KR100873214B1 -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usim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usim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214B1
KR100873214B1 KR1020070119393A KR20070119393A KR100873214B1 KR 100873214 B1 KR100873214 B1 KR 100873214B1 KR 1020070119393 A KR1020070119393 A KR 1020070119393A KR 20070119393 A KR20070119393 A KR 20070119393A KR 100873214 B1 KR100873214 B1 KR 100873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history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11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USIM 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사용 이력 정보를 USIM 카드로 전달하되, USIM 카드에 전달된 사용 이력 정보를 USIM 카드에 저장함으로서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USIM 카드에 저장하므로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통일된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웹 접속 이력, 사용 이력, 히스토리, 컨텐츠 재생, 이어보기, USIM 카드

Description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USIM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Method for managing content playing information using USIM car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USIM card}
본 발명은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USIM 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USIM 카드에 전달하여 USIM 카드에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USIM 카드는 금융, 통신, 교통 등 다양한 방면에서 이용되고 있다. USIM 카드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그 정보를 보호한다. USIM 카드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내부에 CPU, 비휘발성 메모리 및 활성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USIM 카드에 메모리가 커짐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기본 정보뿐 아니라 일반적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USIM 카드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USIM 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들 간에 호환이 되고, 크기가 작아 이동성에 좋다. 즉, USIM 카드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하는 경우에도 원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다.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각 이동통신 단말기마다 사용 이력 정보가 달려져 이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개인의 사용 이력 정보를 타인이 열람할 우려가 있어 개인 사생활의 침해가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 이력 정보를 USIM 카드에 저장하여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 이력 정보가 USIM 카드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사용 이력 정보가 저장된 USIM 카드를 탑재함으로써, 통일된 사용 이력 정보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 이력 정보가 USIM 카드에 저장되어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타인에게 개인의사용 이력 정보를 열람할 수 없어 개인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사용 이력 정보를 상기 USIM 카드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USIM 카드에 전달된 사용 이력 정보는 상기 USIM 카드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USIM 카드가 탑재된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USIM 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사용 이력 정보를 상기 USIM 카드로 전달하는 단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 이력 정보를 상기 USIM 카드에 저장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USIM 카드는 상기 전달된 상기 사용 이력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 이력 정보를 USIM 카드에 저장하므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통일된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 이력 정보가 USIM 카드에 저장되어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타인에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 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USIM 카드 사이의 통신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USIM 카드(150)는 WCDMA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및 정보의 저장, 연산 처리가 가능한 카드이다. USIM 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 Micro-Processor Unit), 메모리, 카드운영체제(COS : Card Operation System), 보안 알고리즘 및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등을 내장하고 있어 자체 연산 처리 및 대용량 저장의 기능을 갖춘 COB(Chip On Board) 형태의 카드를 말한다.
USIM 카드(150)에는 USIM 카드(150)의 ID, 위치 정보, 암호화 키, 데이터 서비스 변수 값, 사용자 식별 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기능 및 환경 변수 값, 서비스 망 정보, 서비스 테이블, 가입자 인증 키, PIN, 통화 시간 및 요금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USIM 카드(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탑재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USIM 카드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USIM 카드(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분리도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때에 USIM 카드(150)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시킴으로써, USIM 카드(150)내에 저장된 정보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기술의 발달로 인해 대용량 메모리를 갖는 USIM 카드(150)가 개발되어 보다 많은 데이터를 USIM 카드(150)에 저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일 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USIM 카드(150) 사이의 통신은 ISO 7816 표준에 정의된 구문을 이용한 요구/응답 형태의 반이중 모드(Half duplex mode) 통신 방식을 따른다. 일반적으로, ISO 7816 표준에 정의된 전송 방식은 시리얼(Serial) 양방향 전송 라인을 사용한 저속-예를 들면, 9.6kbps-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ISO 7816 표준에서는 2가지 전송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그 중 하나인 T=0 프로토콜은 ISO 7816에서 초기부터 사용된 전송 프로토콜로서 비동기 반이중 바이트 전송 방식을 따른다.
나머지 T=1 프로토콜은 블록 전송 프로토콜이라고 하며 바이트 전송 프로토콜에 비해 보안성이 다소 개선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GSM의 11.11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에서 T=0 프로토콜을 채택한 이래 차세대 신용카드 EMV에서는 T=0, T=1 양 프로토콜을 채택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명령(Command)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의해 개시되며, USIM 카드(150)에 내장된 카드 운용 체제(Card OS)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해석하여, USIM 카드(150)에 저장된 데이터의 상태를 갱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대한 응답(Respond)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 이력 정보를 USIM 카드(150)에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말 인터페이스부(210),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 및 제어부(230)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 이력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작동에 대한 입력을 받는 입력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단말 인터페이스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USIM 카드(150)간에 정보를 입출력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사용 이력 정보를 USIM 카드(150)로 전달할 수 있으며, USIM 카드(150) 내부에 저장된 사용 이력 정보를 전달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USIM 카드(150)는 USIM 카드를 탑재할 수 있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에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즉 호환성을 갖고 있으므로 단말 인터페이스부(210)의 구성은 표준에서 정해진 바와 같고 이러한 표준에 따라 단말 인터페이스부(210)는 구성된다.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된 작업들의 이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사용 이력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접속한 웹 페이지를 리스트의 형태로 표현한 웹 접속 이력 정보, 데이터 통신에 수행하는 경우 포함되는 데이터 통신 이력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재생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재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컨텐츠 재생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재생 도중 중단된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의 재생이 중단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중단된 부분부터 이어보기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되는 웹 접속 이력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해당 페이지를 리스트의 형태로 기록하여 이미 저장된 웹 접속 이력 정보에 업데이트 하는 방식으로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 기(100)에서 A라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였다고 가정한다.
USIM 카드(150)에 미리 저장된 사용 이력 정보에 포함된 웹 접속 이력 정보에 A에 대한 정보를 새로 추가하여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접속 이력 정보는 접속한 웹 페이지의 리스트를 최신 날짜순으로 정렬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서 A에 대한 정보는 가장 앞쪽에 기록되는 형식으로 웹 접속 이력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새로 접속한 웹 페이지를 가장 앞쪽에 기록하는 방법으로는 스택(stack)의 형태, 큐(queue)의 형태 및 연결 리스트(linked lis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현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고, 이에 대해서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웹 접속 이력 정보를 포함한 사용 이력 정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새로 접속한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웹 접속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웹 접속 이력 정보만을 USIM 카드(150)로 전달하여 USIM 카드(150) 자체적으로 웹 접속 이력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함으로서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이미 USIM 카드(150)로부터 사용 이력 정보 전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수신하여 로딩(loading)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새로 웹 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는 경우,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 에서 생성된 웹 접속 이력 정보를 갱신하여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자의 경우 사용 이력 정보가 갱신 되는 장소가 USIM 카드(150)이고, 단말 인터페이스부(210)에서 USIM 카드(150)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사용 이력 정보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웹 접속 이력 정보뿐이다.
반면에, 후자의 경우 사용 이력 정보가 갱신 되는 장소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이고, 단말 인터페이스부(210)에서 USIM 카드(150)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웹 접속 이력 정보를 포함한 사용 이력 정보 전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도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웹 접속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실시 가능하다.
또한, 사용 이력 생성부(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수행한 데이터 통신의 이력에 대한 정보인 데이터 통신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종래에 사용자가 데이터 통신을 사용한 이력(예를 들면 부과된 요금, 데이터 통신 사용 시간 및 데이터 통신의 양 등)을 확인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해당 이동통신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확인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 이력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생성하여 USIM 카드(150)에 저장해 놓으면 사용자는 데이터 통신 이력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통신의 데이터 통신 이력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 이력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날짜, 송수신 상대방 정보, 송수신된 데이터의 양, 데이터 통신 이용 요금, 데이터 통신 사용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이력 생성부(220)는 재생 도중 중단된 컨텐츠를 중단된 부분부터 이어보기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한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재생 도중 중단된 부분부터 이어보기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컨텐츠 ID, 재생날짜, 재생시각, 중단된 시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영화, 동영상, 보이스(mp3)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재생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는 무관하다.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되는 컨텐츠 재생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재생 도중 중단된 컨텐츠의 정보를 기록하여 이미 저장된 컨텐츠 재생 정보에 업데이트 하는 방식으로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한 사용 이력 정보는 USIM 카드(15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재생 도중 중단된 컨텐츠가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USIM 카드(150)로 전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도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실시 가능하다.
웹 접속 이력 정보 및 컨텐츠 재생 정보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2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단말 인터페이스부(210),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어부(230)는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도록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웹 접속 입력 정보 및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2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웹 접속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데, 웹 접속 이력 정보는 접속된 웹 페이지의 도메인네임, 접속된 웹 페이지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웹 접속 이력 정보를 USIM 카드(150)에 전달하여 USIM 카드(150)에 저장된 사용 이력 정보에 추가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 이력 정보 전체가 USIM 카드(15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로딩된 경우에는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웹 접속 이력 정보를 로딩된 사용 이력 정보 중 웹 접속 정보에 갱신하여 USIM 카드(150)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하도록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재생 도중 중단된 컨텐츠가 있는 경우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하는데, 컨텐츠 재생 정보는 컨텐츠 ID, 재생날짜, 재생시각, 중단된 시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정보를 USIM 카드(15)에 전달하여 USIM 카드(150)에 저장된 사용 이력 정보에 추가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 이력 정보는 카테고리(category)별로 구분하여 별개의 폴더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 이력 정보의 하위 폴더로 웹 접속 이력 정보, 데이터 통신 이력 정보 및 컨텐츠 재생 정보를 둘 수 있으며, 각각의 하위 폴더는 각자의 의미에 맞는 사용 이력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웹 접속 이력 정보를 생성할 것이고, 이 경우 제어부(230)는 사용 이력 정보 중 하나의 하위 폴더인 웹 접속 이력 정보만 갱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 이력 정보의 다른 하위 폴더인 데이터 통신 이력 정보 및 컨텐츠 재생 정보는 갱신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웹 접속 이력 정보 및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실 시예 중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3은 사용 이력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및 사용 이력 정보에 포함된 웹 접속 이력 정보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 이력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된 작업의 이력을 담은 정보로서, 사용 이력 정보에는 다양한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즐겨찾기 정보, 통화 내용의 기록을 저장하는 통화 내역 정보,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한 내역을 저장하는 문자메시지 내역 정보 등이 사용 이력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이력 정보는 모바일 브라우저를 통해 최근 접속한 웹 페이지의 목록을 포함하는 웹 접속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사용 이력 정보는 테이블(table)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각 테이블의 개체는 사용 이력 정보를 구성하는 각각의 정보(info #N)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웹 접속 이력 정보는 info #N 중 하나로서 최근 열어본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웹 접속 이력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순간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되고, USIM 카드(150)에 저장된다. 웹 접속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생성된 웹 접속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www.magicn.co.kr"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는 상기 페이지의 정보를 포함한 웹 접속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웹 접속 이력 정보는 미리 USIM 카드(150)에 저장된 사용 이력 정보에 업데이트 하되, 최근에 접속한 웹 페이지 순으로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www.magicn.co.kr"는 웹 접속 정보의 가장 앞쪽에 기록되어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 이력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이력 정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사용 이력 정보를 USIM 카드에 저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교체하더라도 USIM 카드만 탑재하는 경우 기존의 사용 이력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사용 이력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및 사용 이력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재생 정보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 이력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재생 도중 중단된 컨텐츠를 중단된 시점부터 다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사용 이력 정보는 테이블(table)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테이블의 개체는 사용 이력 정보를 구성하는 각각의 정보(info #N)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정보는 info #N 중 하나로서 재생된 컨텐츠 중 재생 완료전에 중단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정보는 컨텐츠 ID, 재생날짜, 재생시각, 중단된 시 점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는 그 종류는 무관하다.
컨텐츠 재생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재생 도중 컨텐츠의 재생이 중단되는 경우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되고, USIM 카드(150)에 저장된다.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Content #1이 재생 도중 전원의 공급 중단으로 인해 재생이 중단된 경우라 가정한다. Content #1의 재생이 중단되면,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하는데, Content #1이 재생된 날짜 및 재생된 시각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재생이 중단된 시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재생이 중단된 시점은 추후에 사용자로부터 Content #1의 재생요청을 받는 경우 Content #1의 처음부터 재생할지 재생이 중단된 시점부터 재생할 것인지를 선택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컨텐츠 재생 정보는 각 컨텐츠마다 포함되는 정보의 내용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2차원 배열(array)형태의 테이블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접속 이력 정보를 USIM 카드에 저장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웹 페이지에 접속(단계 S510)하면 제어부(230)의 제 어에 의해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가 동작 개시되어 웹 접속 이력 정보를 생성(단계 S530)한다.
단계 S530 이전에 USIM 카드(150)에 저장된 사용 이력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달(단계 S520)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웹 접속 이력 정보를 갱신하기 위함이다.
이후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된 웹 접속 이력 정보를 토대로 사용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여 새로운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단계 S540)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사용 이력 정보는 단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USIM 카드(150)에 전달(단계 S550)되고, USIM 카드(150)에 전달된 사용 이력 정보는 소정의 영역에 저장(단계 S560)된다.
웹 접속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사용 이력 정보 중 웹 접속 이력 정보만 수정되는 것이므로,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웹 접속 정보만을 USIM 카드(150)로 전달하여 USIM 카드(150)에서 직접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사용 이력 정보를 새로 생성하는 것이 아니므로 단계 S520 및 단계 S540은 생략될 수 있으며 단계 S550에서 USIM 카드(150)에 전달되는 정보는 단계 S530에서 생성된 웹 접속 이력 정보임은 자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정보를 USIM 카드에 저장하는 절차를 나 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재생된 컨텐츠가 중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단계 S610)을 수행한다. 판단 결과 컨텐츠 재생이 중단되지 않는 경우 단계 S610의 판단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컨텐츠의 중단이 발생하는 경우 USIM 카드(150)에 저장된 사용 이력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달(단계 S620)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함이다.
이후 단계 S610에서 컨텐츠가 중단된 것이 해당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후에 중단된 것인지 해당 컨텐츠의 재생 도중에 중단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S630를 수행한다. 단계 S630은 컨텐츠가 재생 도중 중단된 경우에 이어보기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하고, 컨텐츠가 재생 완료된 후에 중단된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 재생 정보를 초기화하기 위해 수행된다.
단계 S630의 판단 결과 재생 완료전에 컨텐츠가 중단된 것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S64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40에서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가 동작 개시되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한다. 컨텐츠 재생 정보에는 컨텐츠 ID, 재생날짜, 재생시각, 중단된 시점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 단계 S640에서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정보를 토대로 사용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여 새로운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단계 S650)이 수행된다.
한편 단계 S630의 판단 결과 재생 완료 전에 컨텐츠가 중단된 것이라고 판단 되지 않은 경우, 즉 재생이 완료된 후에 컨텐츠가 중단된 것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S66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60에서 재생이 완료된 컨텐츠에 대한 재생 정보가 사용 이력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이전에 재생 완료 전에 중단된 컨텐츠를 이어보기 할 수 있도록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정보를 초기화하기 위함이다.
단계 S660의 판단 결과 해당 컨텐츠 재생 정보가 사용 이력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전에 해당 컨텐츠는 재생 완료 전에 중단된 적이 있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재생 정보가 생성되어 사용 이력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계 S670으로 진행하여 해당 컨텐츠 재생 정보를 초기화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단계 S670에서 해당 컨텐츠 재생 정보를 초기화하는 것은 재생이 완료된 컨텐츠의 경우 이어보기를 할 필요가 없어 이에 대한 정보를 계속 저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는 점은 자명하다.
단계 S650 또는 단계 S670 수행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사용 이력 정보는 단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USIM 카드(150)에 전달(단계 S680)하고, USIM 카드(150)에 전달된 사용 이력 정보는 소정의 영역에 저장(단계 S690)된다.
단계 S640에서 컨텐츠 재생 정보의 생성은 사용 이력 정보 중 일부(컨텐츠 재생 정보)만 갱신되는 것이므로,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정보를 바로 USIM 카드(150)로 전달하여 USIM 카드(150)에서 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사용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 하지 않으므로 단계 S620 및 단계 S65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단계 S680에서 USIM 카드(150)로 전달되는 정보는 단계 S640에서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정보임은 자명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USIM 카드 사이의 통신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사용 이력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및 사용 이력 정보에 포함된 웹 접속 이력 정보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사용 이력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및 사용 이력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재생 정보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접속 이력 정보를 USIM 카드에 저장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정보를 USIM 카드에 저장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9)

  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상기 USIM 카드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재생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 도중 중단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재생 도중 중단된 컨텐츠를 이어보기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컨텐츠가 재생 도중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컨텐츠가 재생 도중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정보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재생 완료된 후에 중단된 경우, 해당 컨텐츠 재생 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정보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정보는,
    컨텐츠 ID, 재생날짜, 재생시각 및 중단된 시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정보 관리 방법.
  5. 삭제
  6.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USIM 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상기 USIM 카드로 전달하는 단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상기 USIM 카드로 전달하여 상기 USIM 카드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재생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 도중 중단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재생 도중 중단된 컨텐츠를 이어보기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정보는,
    컨텐츠 ID, 재생날짜, 재생시각 및 중단된 시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삭제
  9. 삭제
KR1020070119393A 2007-11-21 2007-11-21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usim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73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393A KR100873214B1 (ko) 2007-11-21 2007-11-21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usim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393A KR100873214B1 (ko) 2007-11-21 2007-11-21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usim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214B1 true KR100873214B1 (ko) 2008-12-10

Family

ID=4037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393A KR100873214B1 (ko) 2007-11-21 2007-11-21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usim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2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605A (ko)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팬택 착신 및 발신 이력 정보 제공 단말기 및 그 제공 방법
KR20070001625A (ko) * 2005-06-29 2007-01-0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내역을 검색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605A (ko)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팬택 착신 및 발신 이력 정보 제공 단말기 및 그 제공 방법
KR20070001625A (ko) * 2005-06-29 2007-01-0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내역을 검색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0986B2 (en) Mobile terminal and associated storage devices having web server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026080B2 (en)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US8260353B2 (en) SIM messaging client
US9300521B2 (en) Network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 from a first network device to a second network device
US8180395B2 (en)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US7730236B2 (en) Cellular phone and portable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CN101035145B (zh) 通信系统、地址管理方法、中继装置及管理装置
US20020165987A1 (en) Digital contents watching method and its system
US8732254B2 (en) System, a method, a service server, a mobile terminal and a storage means for contents delivery
CN101416159B (zh) 通信终端、用户数据移动系统及用户数据移动方法
US20020010868A1 (en) Data accumulation system
US10027789B2 (en)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US110425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multi-party recommendation in a peer to peer communication
CN102158852A (zh) 终端、终端数据存储方法及系统
Kostakos et al. NFC on mobile phones: issues, lessons and future research
KR100873214B1 (ko)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usim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US8532136B1 (en) Communication with a handset via a private network
US20220398565A1 (en) Type 4 nfc tags as protocol interface
EP1942437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KR20040010909A (ko) Url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송 메시지 작성방법
CN110443056A (zh) 数据加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873211B1 (ko) 브라우저 초기화면 정보가 저장된 스마트 카드,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브라우저 초기화면 설정 방법
KR20070028960A (ko) 데이터 자동전송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924119B1 (ko) Scws 멀티미디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0419968Y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의 저장 데이타 이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