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962B1 -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962B1
KR100872962B1 KR1020070061526A KR20070061526A KR100872962B1 KR 100872962 B1 KR100872962 B1 KR 100872962B1 KR 1020070061526 A KR1020070061526 A KR 1020070061526A KR 20070061526 A KR20070061526 A KR 20070061526A KR 100872962 B1 KR100872962 B1 KR 100872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internet service
hotkey
key
addr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한 번의 입력으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 중 기선택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가능한 복수의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디스플레이하는 핫키(Hotkey)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키입력부; 상기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 중 어느 하나가 입력(push)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된 상기 핫키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핫키를 통해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가 사용자의 선택, 소정의 시간주기 또는 단말기 위치에 따라 선택 또는 변경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핫키(Hotkey), 인터넷 서비스, 위치 검출부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200: 키입력부 300, 400: 메모리부
500, 600: 제어부 700: 위치 검출부
800, 900: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소정의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가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제공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처음에는, 단순히 언제 어디서나 음성통화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이동통신기술과 휴대용 단말기 제조공정상의 기술발달에 힘입어 소형화 및 깨끗한 통화품질은 기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전자사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기능 등을 탑재하는 등 실로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사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각종 명령을 입력받는 수단으로 키입력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키입력부에는 숫자키, 문자키, 및 소정의 핫키(Hotkey)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핫키(Hotkey)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버튼 또는 키로서, 통신사별로 특정 명칭으로 불려지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핫키를 한 번 입력(push)하는 것만으로, 그 핫키에 해당하는 (기선택된) 인터넷 서비스에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의 수요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다수의 핫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핫키의 갯수에 비례하여 키입력부를 구성하는 키의 갯수가 늘어나는 것은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역행할 수 있으므로, 이미 다른 기능으로 사용 중인 키에 핫키를 중복할당 하는 방식이 흔히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중복할당 방식의 경우, 핫키가 할당되어 있는 키들을 일일이 기억해야 하거나 또는 중복할당으로 인해 작게 프린트된 핫키의 명칭을 자세히 관찰하여 찾아야 하는 등 불편함이 발생하여, 본래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제안된 핫키가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핫키를 이용하여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키 조작에 의해 선택하고, 해당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메모리부에서 검색하여 접속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가 소정의 시간주기 또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 또는 변경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가 GPS로 구현된 위치검출부가 검출한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 또는 선택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가 사용자의 선택, 소정의 시간주기 또는 단말기 위치에 따라 선택 또는 변경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한 번의 입력으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 중 기선택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가능한 복수의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디스플레이하는 핫키(Hotkey)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키입력부; 상기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 중 어느 하나가 입력(push)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된 상기 핫키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핫키는, 접속가능한 복수의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상기 인터넷 서비스는,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의 특정키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소정의 시간주기에 따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한편, 시간 주기는, 제조공정 및 사용자의 조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접속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핫키(Hotkey)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키입력부;상기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 검출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또한, 상기 핫키는, 접속가능한 복수의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지국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 검출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접속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위치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기능이 있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지국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측위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위치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위치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장착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인공위성의 위치를 탐지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복수의 인공위성의 위치를 상기 GPS에 제공하는 위성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위치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 중 상기 핫키 입력(push)시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계; 및 접속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여기서, 접속할 상기 인터넷 서비스는, 사용자 및 소정의 시간주기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된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상기 핫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 중 상기 핫키 입력(push)시, 사용자의 특정키 조작 및 소정의 시간주기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계; 및 접속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게다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지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는, 상기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접속된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상기 핫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도는 키입력부(200), 메모리부(400), 제어부(600), 및 디스플레이부(800)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도는 키입력부(200), 메모리부(400), 제어부(600), 및 디스플레이부(80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받아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에 이용되는 것으로, 푸쉬버튼(push button) 방식 또는 터치패드(touch pad) 방식의 키패드로 구현할 수 있다. 키입력부(200)는 숫자키, 한글/영문 문자키, 각종 아이콘키(예컨대, 수화기 모양의 통화키, 편지지 모양의 문자 메시지키 등), 핫키, 및 핫키를 이용해서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를 선택하는 특정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특정키(별도의 서비스 선택키 또는 기존의 '메뉴' 등의 키)를 누를 때마다 당해 핫키를 눌러서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핫키는 선택된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자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핫키 자체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탑재하여, 특정 키에 의해 선택되어 현재 접속 중인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자체 디스플레이 기능이 있는 최소한의 핫키만으로도 충분히 접속가능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메모리부(400)는 주로,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CF(Compact Flash) 메모리, SD(Secure Digital) 메모리, 및 MMC(Muliti Media Card)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 단말기의 위치, 또는 소정의 시간주기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메모리부(400)는 별도의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도 단말기 자체적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기지국에 대한 위치정보 등 기지국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의 서버는 단말기와는 별도로 마련된 측위서버(미도시)로, 휴대용 단말기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에 대한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여 단말기의 현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시키는 것 으로,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om)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키를 이용하여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검색하고, 단말기가 그 검색된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00)는 소정의 시간주기에 따라,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주기는 단말기 생산자가 제조공정에서 미리 지정해두거나 또는 단말기 사용자가 키를 조작하여 조절할 수 있는 주기적인 시간을 말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시간주기를 5분으로 조절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조절된 시간주기 5분마다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 또는 변경한다. 그 후 제어부(600)는 그 선택 또는 변경된 인터넷 서비스를 메모리부(400)에서 검색하고, 단말기가 그 검색된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시간주기마다 선택 또는 변경되는 인터넷 서비스는 제조공정에서 미리 프로그램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키를 조작함으로써 메인화면에서 직접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시간주기는 소정의 시간대를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시간대는 낮시간대, 밤 시간대 등을 가리키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 단말기 사용 습관에 맞게 단말기 생산 제조공정에서 또는 단말기의 적절한 조작을 통해서 조절될 수 있는 시간을 말한다.
디스플레이부(800)는 키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각종 LCD, OLED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이용될 수 있는 어떤 액정 장치로도 구현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선택, 시간주기 및 시간대 중 어느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식별하기 편리하게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도는 키입력부(100), 메모리부(300), 제어부(500), 위치 검출부(700) 및 디스플레이부(90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받아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에 이용되는 것으로, 도1을 참조하여 전술한 키입력부(200)와 동일하다.
메모리부(300)는 주로,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도1을 참조하여 전술한 메모리부(400)와 동일하다.
위치 검출부(700)는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GPS가 장착된 위치 검출부(700)의 경우 인공위성과 통신한 데이터와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기지국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 계산할 수 있다. 그 후, 위치 검출부(700)는 계산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제어부(500)에 제공한다. 한편, GPS가 통신가능한 인공위성을 신속히 찾기 위하여 별도의 위성 서버(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 서버는 실시간 인공위성의 위치를 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인공위성에 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의 GPS에 제공하여, GPS와 통신가능한 인공위성을 신속히 찾도록 도와준다.
제어부(5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시킨 다. 즉, 제어부(500)는 위치 검출부(700)에 의해 제공된 휴대용 단말기의 현위치 값을 이용하여, 그 위치 값에 대응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를 자동으로 선택 또는 변경한다. 그 후 제어부(500)는 그 선택 또는 변경된 인터넷 서비스를 메모리부(300)에서 검색하고, 단말기가 그 검색된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단말기의 현위치에 대응하는 인터넷 서비스는, 단말기 생산자가 제조공정에서 미리 프로그램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메인화면에서 직접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00)는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도1을 참조하여 전술한 디스플레이부(800)와 동일하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공정에서, 키입력부(200)의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메모리부(400)에 저장한다(S101).
사용자의 선택, 소정의 시간주기, 또는 소정의 시간대에 따라,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가 선택되어 제공된다(S103).
제어부(600)는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S103)에 의해 제공된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S105).
접속된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핫키 자체 또는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다(S107).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공정에서, 키입력부의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메모리부(300)에 저장한다(S102).
위치 검출부(700)는 소정의 서버와 통신하여 단말기의 현위치를 검출하거나(S104), 자체에 탑재된 위치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위치를 검출한다(미도시).
제어부(500)는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검출된 단말기 위치에 대응하는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S106).
접속된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핫키 자체 또는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08).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 터넷 서비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되거나 또는 소정의 시간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변경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가 휴대용 단말기의 GPS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변경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 또는 소정의 시간주기에 따라 선택변경되어 접속되는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핫키 자체에 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하여, 접속되는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핫키 자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한 번의 입력으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 중 기선택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가능한 복수의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디스플레이하는 핫키(Hotkey)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키입력부;
    상기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 중 어느 하나가 입력(push)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된 상기 핫키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상기 인터넷 서비스는,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의 특정키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소정의 시간주기에 따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주기는, 제조공정 및 사용자의 조작 중 어느하나에 의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접속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한 번의 입력으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 중 기선택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핫키(Hotkey)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키입력부;
    상기 핫키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 검출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핫키는, 접속가능한 복수의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접속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 중 상기 핫키 입력(push)시, 사용자의 특정키 조작 및 소정의 시간주기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접속가능한 인터넷 서비스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계; 및
    접속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상기 핫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6.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접속가능한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검출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계; 및
    접속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지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는, 상기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인터넷 서비스의 명칭을 상기 핫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70061526A 2007-06-22 2007-06-22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72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526A KR100872962B1 (ko) 2007-06-22 2007-06-22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526A KR100872962B1 (ko) 2007-06-22 2007-06-22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962B1 true KR100872962B1 (ko) 2008-12-08

Family

ID=4037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526A KR100872962B1 (ko) 2007-06-22 2007-06-22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9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048A (ko) * 2002-12-17 200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북마크 단축실행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북마크단축실행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048A (ko) * 2002-12-17 200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북마크 단축실행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북마크단축실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24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idle screen
JP5118054B2 (ja) 通信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通信情報を配信する方法
CN106528252B (zh) 对象启动方法及装置
JP5961750B2 (ja) 携帯情報端末
US2007029884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tandby screen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of user&#39;s behavior
JP200228786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提供媒体
CN101689096A (zh) 使得能够访问功能的装置、方法、计算机程序和用户接口
KR20070088029A (ko)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681175B2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ing map image and display apparatus
CN101878634A (zh) 移动通信终端和移动通信终端中的菜单显示方法
KR20040054048A (ko) 북마크 단축실행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북마크단축실행방법
US918551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6184436A (ja) 携帯情報端末
CN101667101A (zh) 一种设备及其界面的显示方法
KR20100079340A (ko) 위치에 따른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정보 검색 서버의 검색 결과를 중계하는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0872962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01389B1 (ko) 휴대용 컴퓨터 디바이스
US20100323672A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621431B1 (ko)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CN101945159B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运作方法
CN101573945B (zh) 定制联合数据供给的方法和设备
US8509770B2 (en) Method, communication devices, and storage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US20070021107A1 (en) Additional voice information relating to displayed items
KR100557181B1 (ko) 그래픽액정표시기를구비한휴대용무선전화기의사용자로고선택/표시장치및방법
JPH11259398A (ja) 携帯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