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566B1 -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566B1
KR100872566B1 KR1020070004622A KR20070004622A KR100872566B1 KR 100872566 B1 KR100872566 B1 KR 100872566B1 KR 1020070004622 A KR1020070004622 A KR 1020070004622A KR 20070004622 A KR20070004622 A KR 20070004622A KR 100872566 B1 KR100872566 B1 KR 10087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input device
case
information storag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7403A (en
Inventor
정호철
이재형
강응천
현부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566B1/en
Publication of KR2008006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4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며 케이스의 이동을 인식하는 광 모듈과, 외부 장치와 연결되며 광 모듈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외부장치에 전달하고, 휴대용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휴대용 저장장치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는 정보의 입력은 물론 저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다.And a case, an optical module fixed inside the case and recognizing movement of the case, a connector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ransferr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ptical module to an external device, and having a portable storage device. The storage device includes a memory to store data in the memory, and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that can read the stored data by an external device is convenient to carry and use because the information can be input as well as stored.

메모리, USB, 커넥터 Memory, USB, connector

Description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INFORMATION STORAGE AND INPUTTING APPARATUS}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의 블록도. 2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에서 상부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se is separa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회전식 입력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rotary input device us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전식 입력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rotary input device shown in FIG.

도 7a는 외주면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t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도 7b는 휠의 내주면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휠 및 홀더의 사시도. 7B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 and a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ent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본 발명은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마우스(mouse)와 같은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전자 기기 등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하드웨어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운영 체계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사의 윈도우(Window)를 OS(Operating System)로 사용하면서 키보드 이외의 입력 수단으로 마우스가 급속하게 보급되었다. BACKGROUND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s such as a mouse are used as hardware for inputting information from electronic devices such as personal computers and notebooks. In particular, while using Microsoft's Windows as the operating system (OS) a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computer, the mouse has rapidly spread as an input means other than the keyboard.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및 휴대용 전화기 등의 보급에 따라서 동영상, 디지털 사진, MP3 파일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와 휴대용 디스크 등 디지털 저장장치는 이미 수많은 컴퓨터 사용자들이 휴대하는 물품이 되었으며, 디스켓과 비교해 보면 메모리카드와 휴대용 디스크는 부피가 작은데 반해 용량은 디스켓에 비해 훨씬 크고 액세스 속도로 빠르며, 더욱이 이 두 종류의 저장 장치는 습기 등에 의해 훼손되는 경향이 적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이 두 저장장치로 디스켓을 대체하여 휴대하고 있다. With the spread of digital cameras, camcorders, MP3 players and portable telephones, digital storage devices such as memory cards and portable disks used to store moving pictures, digital photos, MP3 files, etc. have already been carried by many computer users. Compared to diskettes, memory cards and portable disks are smaller, but their capacities are much larger and faster than diskettes. Moreover, these two types of storage devices are less likely to be damaged by moisture. It is carrying a replacement diskette.

본 발명은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한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that is easy to use and store and which is portab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보 입력 및 저장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며 케이스의 이동을 인식하는 광 모듈과, 외부 장치와 연결되며 광 모듈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외부장치에 전달하고, 휴대용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휴대용 저장장치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장치가 읽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formation input and storage device includes a case, an optical module fixed inside the case and recognizing movement of the cas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ransferr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ptical module to an external device. And a connector having a portable storage device, wherein the portable storage device includes a memory to store data in the memory and read the stored data by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의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저장장치는 USB 플러그를 구비하고, 외부장치는 USB 플러그와 접속되는 USB 포트 연결단자를 구비할 수 있고, 휴대용 저장장치는 광 모듈에 의한 정보 입력과 메모리에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For example, the portable storage device may include a USB plug,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 USB port connector connected to the USB plug, and the portable storage device may simultaneously store data in a memory and input data by an optical module. It may be provided with a USB controller to control.

그리고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으며,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는, 회전 가능한 휠을 가지고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회전식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휠의 회전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입력장치는 휠의 하측에 고정되어 휠과 동시에 회전하는 다극 착자 링형 마그네트와, 마그네트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소자 및 검출소자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고정되어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may be a flash memory, and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may include a rotary input device having a rotatable wheel and fixed inside the case, and may input information by rotating the wheel. In addition, the rotary input device includes a multi-pole magnetized ring magnet which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wheel and rotates simultaneously with the wheel,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detection element and a detection element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magnet are mounted, a base o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fixed, and It may include a holder fixed to the base to rotatably support the wheel.

휠은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인쇄회로기판은 고정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사이드 돔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휠의 중앙에는 센터키가 형성되어 있고, 인쇄회로기판에는 센터키의 누름에 의해 가압되는 센터 돔버튼을 구 비할 수 있다. 그리고 휠 및 휠과 접하는 홀더의 일측에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에는 굴곡부에 걸림되는 탄성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The wheel ha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projecting down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have a side dome button pressed by the fixing protrusion, the center key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heel, the printed circuit board A center dome button may be provided that is pressed by pressing. And a bent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wheel and the holder in contact with the wheel, a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groove may be an elastic member that is caught in the bent portion.

컨넥터는 와이어에 의해 케이스와 연결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케이블을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감는 권선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ase by a wire, and the inside of the case may be provided with a winding device for automatically winding the cable by the elastic for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부 케이스(13) 및 하부 케이스(18)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1)를 가진다. 케이스(11)를 직육면체로 형성하는 경우,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의 휴대 시 노트북 컴퓨터 등의 본체 내부에 삽입이 용이하기 때문에 휴대가 편리하다. 케이스(11)는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휴대를 편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11)의 미관을 위해서 상부 케이스(13)의 상면 등에는 데코 스핀(deco spin) 가공 등을 행할 수 있다. 케이스(11)의 길이 및 폭은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하도록 형성된다. 케이스(11)의 형상은 물 론 직육면체에 국한되지 않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다면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1, an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11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ving an upper case 13 and a lower case 18. When the case 11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case 11 is easily inserted into a main body such as a notebook computer when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is carri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ase 11 be formed thin in thickness to facilitate portability. For the aesthetics of the case 11,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3 can be subjected to a deco spin process or the like. The length and width of the case 11 are formed to be convenient for the user to hold and to be portable. Of course, the shape of the case 11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of course, if it is easy to carry and convenient to use, it can have any shape.

상부 케이스(13)의 일부에는 회전식 입력장치(도 3의 30)의 휠(33)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케이스(11)를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 등으로 휠(33)을 돌리거나 휠(33)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키(35)를 눌러서 정보를 입력한다. 상부 케이스(13)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8)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입력장치(30), 광 모듈(80) 및 권선장치(9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A part of the upper case 1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heel 33 of the rotary input device (30 in Fig. 3), the user rotates the wheel 33 with the index finger, etc. while holding the case 11 Or press the center key 35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heel 33 to enter th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3, the rotary input device 30, the optical module 80, and the winding device 90 ar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lower case 18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case 13 to form an inner space. It is.

케이스(11)의 측면에는 측면 버튼(17)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측면 버튼(17)을 눌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측면 버튼(17)은 오디오 기능의 실행 시 볼륨(volume) 조절 기능,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이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기능(클릭(click) 기능)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At least one side button 17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ase 11, and the user presses the side button 17 using a thumb or the like while holding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to press the information. You can enter The side button 17 may have a volume control function when the audio function is executed, a function of selecting and executing a pointer when the pointer is at a desired position on the display (click function), and the like. no.

케이스(11)의 전방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와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며 그 내부에 휴대용 저장장치(24)를 구비하는 커넥터(21)가 구비되어 있다. 커넥터(21)는 와이어(20)에 의해 케이스(11) 내부에 위치하는 권선 장치(90)와 연결되며, 와이어(20)는 권선 장치(90)에 감겨진다. 즉, 와이어(20)는 사용자에 의해 풀려져서 외부로 연장되며, 손으로 살짝 당기면 권선 장치(90) 내부에 장착된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의 탄성력 에 의해 자동으로 감겨진다. 와이어(20)를 통해서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식 입력장치(30) 및 광 모듈(80)에서 생성된 신호가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전달된다. In front of the case 11, a connector 21 for connecting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ving a portable storage device 24 therein. ) Is provided. The connector 21 is connected to the winding device 90 located inside the case 11 by the wire 20, and the wire 2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evice 90. That is, the wire 20 is released by the user and extends to the outside, and when pulled slightly by hand, the wire 20 is automatically woun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iral spring (spiral spring) mounted inside the winding device (90). Signals generated by the rotary input device 30 and the optical module 80 formed inside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ar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hrough the wire 2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는 광 모듈(80) 및 회전식 입력장치(30)로 이루어지는 입력장치와 메모리(28)를 포함하는 휴대용 저장장치(24)를 포함한다. 광 모듈(80)은 광 마우스와 같이 케이스(11)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상에 포인터를 이동시키며, 회전식 입력장치(30)는 휠(33)의 회전 등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휴대용 저장장치(24)는 메모리(28)를 구비하기 때문에 각종 데이터를 메모리(28)에 쓰고 지울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storage device including an input device and a memory 28 including an optical module 80 and a rotary input device 30. (24). The optical module 80 moves the pointer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se 11 like the optical mouse, and the rotary input device 30 enables input of information by the rotation of the wheel 33 or the like. Since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4 includes a memory 28, various types of data can be written to and erased from the memory 28.

광 모듈(80) 및 회전식 입력장치(3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ptical module 80 and the rotary input device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광 모듈(80) 및 회전식 입력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는 광 모듈(80) 및 회전식 입력장치(30)를 제어하여 광 모듈(80) 및 회전식 입력장치(30)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USB 컨트롤러(26)에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케이스(11)가 이동하여 광 모듈(80)에 의해 생성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회전식 입력장치(30)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거나, 휠(33)의 회전에 의해 회전식 입력장치(30)에 의한 입력 이 이루어지는 경우 광 모듈(80)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40 controlling the optical module 80 and the rotary input device 30 controls the optical module 80 and the rotary input device 30 to signal the optical module 80 and the rotary input device 30. If is input, it is converted so that the external device (not shown) can be recognized and input to the USB controller 26. In addition, when the case 11 is moved and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ptical module 80 is input, the control unit 40 does not make an input by the rotary input device 30 or by rotating the wheel 33. When the input by the rotary input device 30 is made, the input by the optical module 80 may not be made.

휴대용 저장장치(24)는 커넥터(21)의 내부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8) 및 휴대용 저장장치(24)와 광 모듈(80) 및 회전식 입력장치(30)를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26)를 포함한다.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4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21 and is a USB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memory 28 and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4 that store data, the optical module 80, and the rotary input device 30. (26).

메모리(28)는 USB 컨트롤러(26)의 제어에 의해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8)로서 사용될 수 있는 소자로는 접속 방식에 따라서 IEEE1394, MS(Memory Stick), CFC(Compact Flash Card), MMC(Multi-Media Card), SMC(Smart Media Card) 등이 있다.The memory 28 can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USB controller 26. The elements that can be used as the memory 28 include IEEE1394, MS (Memory Stick), CFC (Compact Flash Card), MMC (Multi-Media Card), SMC (Smart Media Card)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connection method.

USB 컨트롤러(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가 외부 장치와 접속하면, 메모리(28)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허브 컨트롤러를 통해 PC에 드라이버 정보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전송하게 한다. 그리고 USB 컨트롤러(26)는 외부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영화 파일, 각종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MP3 파일 등을 메모리(28)에 저장할 수 있게 한다. When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USB controller 26 automatically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28 to the PC through the hub controller. Send driver information and appli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USB controller 26 may store movie files, various programs, game programs, MP3 files, and the like, which are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in the memory 28.

USB 컨트롤러(26)는 광 모듈(80) 또는 회전식 입력장치(30)에 의한 정보의 입력과 메모리(28)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등의 저장 및 읽기를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The USB controller 26 enables the input of information by the optical module 80 or the rotary input device 30 and the storage and reading of data and the like stored in the memory 28 at the same time.

인터페이스(22)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의 USB 포트에 접속시켜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접속 단자로 서, 외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Vcc와 GND를 포함하며 데이터 통신을 위한 USB V+와 USB V-를 포함한다. Interface 22 is an external device by connecting to the USB port (for example, personal computers, laptops, MP3 players, digital cameras) a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mmunicating data, V cc and for supplying power to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GND and USB V + and USB V- for data communic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는 정보의 입력과 동시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저장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하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information is inpu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storage device, which is convenient to use and carry.

도 3은 상부 케이스(13)를 제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8)에는 회전식 입력장치(30), 광 모듈(80) 및 권선장치(9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권선장치(90) 내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the upper case 13. Referring to FIG. 3, the rotary input device 30, the optical module 80, and the winding device 90 ar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lower case 18.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pecific configuration inside the winding device 90 is not shown.

광 모듈(80)은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의 이동을 인식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커넥터(21)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달한다. 광 모듈(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83)를 통해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빛을 조사하고 바닥 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센서가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상에서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광 모듈(80)로는 부피가 적은 모듈을 사용하여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모듈(8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방법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optical module 80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formation storage and the input device 10 and transfers the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21. As shown in FIG. 4, the optical module 80 irradiates light from a light emitting diode (LED), which is a light source, through a lens 83, and recognizes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ptical module 80 to position a pointer on a display. Let's move on. As the optical module 80, it is desirable to use a module having a small volume so as to reduce the volume of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as a whole.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optical module 80 corresponds to a general technology,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권선장치(90)는 케이스(11)의 내부에 고정되어 와이어(20)를 감는 역할을 한 다. 권선장치(90)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고정돌기(93)에 고정되어서 회전 보빈(95)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와이어(20)는 회전 보빈(95)의 둘레에 자동으로 감겨진다. 즉, 와이어(20)를 케이스(11)의 내부에서 뽑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당겨서 인출하지만, 와이어(20)를 감을 경우에는 살짝 당겨주면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보빈(95)이 회전하면서 자동으로 감겨진다. 권선장치(90)는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케이스(11)와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장착된다. Winding device 9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11 serves to wind the wire 20. As described above, a spiral spring (not shown)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93 to provide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bobbin 95. The wire 20 is automatically wound around the rotary bobbin 95. That is, when the user pulls out the wire 20 from the inside of the case 11, the user pulls it out by hand, but when the wire 20 is wound, the user pulls the wire 20 slightly while the rotary bobbin 95 rotate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iral spring. It is wound automatically. The winding device 90 is mounted to be substantially horizontal with the case 11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권선장치(9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5-0004652호 또는 2004-0082918호 등 다수에 개시되어 있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winding device 90 will be omitted because it corresponds to a known technique disclosed in a number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004652 or 2004-0082918.

회전식 입력장치(30)는 케이스(1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고정되며, 휠(33)이 상부 케이스(13)의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가 회전식 입력장치(30)의 휠(33)을 회전함으로써 종래의 마우스 등에 수직으로 장착된 휠의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마우스 휠은 수직으로 장착되어 마우스의 부피를 크게 함에 반해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30)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휠(33)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rotary input device 30 is fix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ase 11, and the wheel 3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case 13. The user rotates the wheel 33 of the rotary input device 30 to perform a function of a wheel mounted perpendicularly to a conventional mouse. While the conventional mouse wheel is mounted vertically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mouse, the rotary input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reduced in volume because it is moun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wheel 3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move the screen of the display of the external device up and dow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3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회전식 입력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input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input device is coupl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30)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휠(33), 휠(33)을 홀더에 고정하는 와셔(59), 휠(33)의 중앙에 결합되는 센터키(35), 휠(33)의 하측에 고정되어 휠(33)과 함께 회전하는 링(ring) 형상의 마그네트(41), 베이스(75)의 상면에 결합되어 휠(3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45), 베이스(75)의 상면에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65) 및 인쇄회로기판(65)에 위치하면서 마그네트(41)의 회전을 감지하는 검출소자인 홀센서(69)를 포함한다.5 and 6, the rotary input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heel 33 rotatably coupled, a washer 59 for fixing the wheel 33 to a holder, and a wheel 33. The center key 35 coupled to the center, the ring-shaped magnet 41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wheel 33 and rotates with the wheel 33,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75 wheel 33 ) Is a holder 45 rotatably supporting, a printed circuit board 65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75 and a hole which is a detection element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magnet 41 loca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Sensor 69.

휠(33)은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는 센터키(35)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휠(33)은 삽입홀(43)에 인접해서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고정돌기(39)를 가진다. 고정돌기(39)가 와셔(59)의 회전홀(61)에 삽입됨으로써 휠(33)이 홀더(4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휠(33)의 하면에는 다극으로 착자된 링 형상의 마그네트(41)가 고정된다. 휠(33)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그네트(41)와 함께 회전하는데, 이로 인해 홀센서(69)가 마그네트(41)의 회전 각도, 방향, 속도 등을 감지함으로써 다양한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일부가 가압 되어 홀더(45)의 이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9)가 사이드 돔버튼(67) 및 센터 돔버튼(68)을 가압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The wheel 33 has a disc shape as a whole, and an insertion hole 43 into which the center key 35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wheel 33 ha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39 protruding downwardly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43. As the fixing protrusion 39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61 of the washer 59, the wheel 33 is rotatably fixed to the holder 45. In addition, a ring-shaped magnet 41 magnetized into a multi-pole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heel 33. The wheel 33 rotates together with the magnet 41 by a user's manipulation, which causes the hall sensor 69 to detect various rotation angles, directions, speeds, and the like of the magnet 41. In addition, the fixed protrusion 39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lder 45 by being partially pressed by the user may press information on the side dome button 67 and the center dome button 68.

고정돌기(3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45)의 센터홀(55) 및 와셔(59)의 회전홀(61)에 삽입된 후 그 단부가 처리되어 회전홀(6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와셔(59)는 홀더(45)의 중앙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휠(33)이 홀더(45)에 고정된다. 고정돌기(39)가 삽입된 와셔(59)의 회전홀(61)은 와셔(59)의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휠(33)이 360도 회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fixing protrusion 39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55 of the holder 45 and the rotation hole 61 of the washer 59, and then the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39 is processed to separate from the rotation hole 61. It doesn't work. The washer 59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center of the holder 45, which causes the wheel 33 to be fixed to the holder 45. Since the rotating hole 61 of the washer 59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39 is inserted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sher 59, the wheel 33 can rotate 360 degrees.

마그네트(41)는 휠(33)의 하면에 부착되어 휠(33)과 함께 회전하는데, 이러한 마그네트(41)의 회전은 홀센서(69)에 의해 감지되어 그 회전 각도에 따른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그네트(41)는 N극 및 S극이 교호(交互)적으로 착자된 링(ring) 형상을 가지며, 홀센서(69)는 그 상부에 위치하는 N극 및 S극의 변화에 따라 휠(33)의 회전각도, 방향 및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The magnet 41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heel 33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wheel 33, the rotation of the magnet 41 is detected by the Hall sensor 69 and the input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is made. . The magnet 41 has a ring shape in which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alternately magnetized, and the hall sensor 69 has a wheel 33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located thereon. Rotation angle, direction and speed can be detected.

홀더(45)는 베이스(75)의 일면에 고정되며 휠(3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홀더(45)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휠(33)에 가해지는 특정한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 홀더(45) 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휠(33)을 원상 복귀하게 한다. 홀더(45)는 프레스(press)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홀더(45)는 물론 탄성력이 큰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holder 45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75 and rotatably supports the wheel 33. The holder 45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so that when the specific force applied to the wheel 33 is removed, the wheel 33 may be reshape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holder 45 itself. To return. The holder 45 may be formed by press working or the like. The holder 45 may of course be formed of a plastic having a large elastic force.

홀더(45)는 링 형상의 몸통부(50), 몸통부(5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베이스(75)의 일면에 고정되는 지지부(47)를 구비한다. 몸통부(50)는 가운데 센터홀(55)을 가지고, 센터홀(55)의 둘레를 따라서 4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부(47)는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하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부(49), 그리고 경사부(49)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정부(51)를 포함한다. The holder 45 includes a ring-shaped trunk portion 50 and a support portion 47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unk portion 50 and fix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75. Body portion 50 has a center hole 55, the support portion 47 formed to protrude in the four direc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nter hole 55, the inclined portion 49 protrudes downward with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and And a fixing part 51 extending horizontally from one end of the inclined part 49.

경사부(49)는 외향으로 돌출되어 몸통부(50)와 고정부(51)를 연결한다. 경사부(49)는 탄성력을 갖는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기 문에, 홀더(45)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는 경사부(49)의 탄성력에 의해 홀더(45)가 원상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서 휠(33)의 특정부위가 가압되어 휠(33)이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원상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51)는 경사부(49)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며, 베이스(75)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홀더(45)를 고정한다. 고정부(51)는 베이스(75)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he inclined portion 49 protrudes outward and connects the body portion 50 and the fixing portion 51. Since the inclined portion 49 is formed by a metal having elasticity, the holder 45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inclined portion 49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older 45 is removed. The specific force of the wheel 33 is pressed by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wheel 33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even when the wheel 33 is inclined. The fixing portion 51 extends from on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49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75 to fix the holder 45. The fixing part 51 may be fixed to the base 75 by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는 홀더(45)가 베이스(75)의 일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홀더(45)의 탄성력에 의해 홀더(45) 뿐만 아니라 휠(33)이 외력이 제거된 후에도 용이하게 원상 복귀하기 때문에 사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The rotar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excellent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since the holder 45 is directly fix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75 by an adhesive or the like.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holder 45 made of metal not only the holder 45 but also the wheel 33 is easily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 is excellent.

지지부(47)에는 지지부홀(5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홀(53)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수단인 홀센서(69)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몸통부(50)는 센터홀(55)에 연해서 형성된 단턱(57)을 구비한다. The support part hole 47 is formed in the support part 47. As shown in FIG. 6, a part of the hall sensor 69 that is a sensing means may be located in the support hole 53. The body portion 50 has a stepped portion 57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center hole 55.

지지부(47)에 형성된 지지부홀(53)은 인쇄회로기판(65) 상에 실장된 홀센서(69)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센서(69)의 일부를 수용한다. 그리고 센터홀(55)은 홀더(45)의 중앙에 형성된다. 단턱(5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홀(55)에 연해서 형성된다. 단턱(57)에는 와셔(59)가 삽착되어 고정된다. The support hole 53 formed in the support 47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all sensor 69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and accommodates a part of the hall sensor 69 as shown in FIG. 6. . The center hole 5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lder 45. As shown in FIG. 6, the step 57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center hole 55. A washer 59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tepped jaw 57.

와셔(5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을 가지고 둘레에는 회전홀(61)이 형성되어 있다. 와셔(59)는 단턱(57)에 삽착 고정되어 휠(33)의 이탈을 방지한다. 센터키(35)는 휠(33)의 삽입홀(43)에 삽입되어 탄성고무(미도시) 등에 의해 지지된다. The washer 59 has a donut shape as shown in FIG. 5 and a rotation hole 61 is formed around the washer. The washer 59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tep 57 to prevent the wheel 33 from being separated. The center key 3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3 of the wheel 33 and supported by an elastic rubber (not shown).

인쇄회로기판(65)은 베이스(75)에 대응하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는 고정돌기(39)에 대응하여 하나의 센터 돔버튼(68) 및 복수 개의 사이드 돔버튼(67)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65)의 지름은 베이스(75)의 지름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홀더(45)의 고정부(51)가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has a disc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se 75, and one center dome button 68 and a plurality of side dome buttons 67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to correspond to the fixing protrusion 39. The diamet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is formed to be somewhat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se 75, in order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fixing portion 51 of the holder 45 can be fixed.

센터 돔버튼(68)은 센터키(35)에 의해 가압되고 사이드 돔버튼(69)은 고정돌기(39)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이드 돔버튼(67)이 가압되는 경우, 종래의 마우스에서와 같은 클릭(click) 기능이 수행되고, 센터 돔버튼(68)이 가압되는 경우 휠 클릭(wheel click)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휠(33)에 의해 가압되는 것으로 돔버튼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돔버튼을 대신하여, 예를 들면, 압력 센서 또는 접촉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center dome button 68 is pressed by the center key 35 and the side dome button 69 is pressed by the fixing protrusion 39 to input information. When the side dome button 67 is pressed, a click function as in a conventional mouse is performed, and when the center dome button 68 is pressed, a wheel click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dome button is illustrated as being pressed by the wheel 3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stead of the dome button, for example, a pressure sensor or a contact sensor may be used.

수용홀(73)은 홀더(45)의 지지부홀(53)에 대응하여 인쇄회로기판(65)에 형성되며, 수용홀(73)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센서(69)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한다. 따라서 홀센서(69)가 인쇄회로기판(65)의 상면에 실장되는 것에 비해 본 실시 예는 입력장치의 두께를 적어도 수용홀(73)의 두께 만큼 줄일 수 있다. The receiving hole 73 is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le 53 of the holder 45, and the receiving hole 73 has at least a part of the hall sensor 69 as shown in FIG. 6. Is located.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input device by at least the thickness of the accommodating hole 73 as compared with the hall sensor 69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검출소자는 자기장 내에서 전자가 로렌츠의 힘을 받아 운동방향이 굽어져 기전력이 발생하는 효과를 이용한 실리콘 반도체인 홀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홀센서는 휠(33)에 부착된 마그네트(41)의 회전에 비례하는 기전력을 발생하여 인 쇄회로기판(65)을 통하여 외부의 제어장치(미도시)로 전달한다. The detection element may be a hall sensor, which is a silicon semiconductor, in which electrons are bent in the magnetic field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to generate an electromotive force. The hall sensor generates an electromotive force proportional to the rotation of the magnet 41 attached to the wheel 33 and transmits the electromotive force to an external control device (not shown)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검출소자는 물론 홀센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마그네트(41)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검출소자는 MR(Magneto Resistor) 센서 또는 GMR(Great Magneto Resistor) 센서일 수도 있다. MR 센서 또는 GMR 센서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저항 값이 변화하는 소자로서, 고체 속의 캐리어 진로가 전자력에 의해 휘어져 길어지기 때문에 저항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MR 센서 또는 GMR 센서는 크기가 작고 신호 레벨이 클 뿐만 아니라 민감도가 우수하여 저자계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온도 안정성(temperature stability) 또한 높다. The detection element is, of course, not limited to the hall sensor, and any thing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rotation of the magnet 41. For example, the detection element may be a magnetoresistive (MR) sensor or a great magneto resistor (GMR) sensor. MR sensor or GMR sensor is a device whose resista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The MR sensor or the GMR sensor uses the property of changing resistance because the carrier path in the solid is bent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MR sensors or GMR sensors are small in size, have high signal levels, and have high sensitivity, allowing them to be operated in low light and have high temperature stability.

검출소자가 홀센서(69) 경우, 홀센서(69)는 리드(71)에 의해 인쇄회로기판(65)에 고정되는데, 리드(71)는 베이스(75)의 삽입홀(77)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65)의 이면에 고정된다. When the detection element is the Hall sensor 69, the Hall sensor 69 is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by the lid 71, the lead 7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77 of the base 75 It is fixed to the back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베이스(7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을 가지며, 홀더(45) 및 휠(3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이스(75)의 지름은 인쇄회로기판(65)에 비해서 다소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75)에는 인쇄회로기판(65)의 수용홀(73)에 대응하는 삽입홀(77)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홀(77)에는 홀센서(69)의 일부가 위치하는데, 이로 인해 회전식 입력장치의 두께가 삽입홀(77)의 두께 만큼 추가적으로 감소할 수 있게 된다.The base 75 has a disc shape as shown in FIG. 5, and rotatably supports the holder 45 and the wheel 33. The diameter of the base 75 is somewhat larger than tha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In the base 75, an insertion hole 77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on hole 73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is formed. A part of the hall sensor 69 is positioned in the insertion hole 77, which may further reduce the thickness of the rotary input device by the thickness of the insertion hole 77.

이하에서는, 본 실시에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otar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사용자에 의해 센터키(35)의 외측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휠(33)은 홀더(45)의 외주면(46)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이로 인해 마그네트(41)도 휠(33)과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마그네트(41)는 교호적으로 착자된 N극 및 S극을 다수 개 가지기 때문에 홀센서(69)는 마그네트(41)의 회전에 의한 자극의 변화를 감지하여 휠(33)의 회전 방향, 속도 및 각도를 인지할 수 있다. 홀센서(69)에 의해 생성된 휠(33)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 회전 속도에 해당하는 출력신호는 인쇄회로기판(65)을 통해 외부의 제어장치로 송출되고, 제어장치는 출력신호를 인식하여 휠(33)의 회전에 상응하는 입력을 수행한다.When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center key 35 by the user, the wheel 33 rotat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6 of the holder 45, whereby the magnet 41 also moves together with the wheel 33. Rotate And since the magnet 41 has a plurality of alternatingly magnetized N-poles and S-poles, the Hall sensor 69 detects a change in magnetic poles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magnet 41, and thus the rotation direction and speed of the wheel 33. And angle. The out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the rotation angle,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wheel 33 generated by the hall sensor 69 is sent to the external control device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and the control device outputs the output signal. It recognizes and performs an input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33.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센터키(35)의 외측이 가압되면 휠(33)은 홀더(4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한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고정돌기(39)가 센터 돔버튼(68) 및 사이드 돔버튼(67)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65) 상에 위치하는 센터 돔버튼(68) 및 사이드 돔버튼(67)은 각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센터키(35)가 가압됨으로써 별도의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When the outside of the center key 35 is pressed by the user, the wheel 33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holder 45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39 is provided with the center dome button 68. The side dome button 67 is pressed. As a result, the center dome button 68 and the side dome button 67 position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65 may perform their respective functions. As the center key 35 is pressed by the user, a separate function may be perform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는 두께가 얇은 회전식 입력장치(30)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 부피 및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회전식 입력장치(30)는 케이스(11)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위치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rotary input device 30 having a small thickness, the overall volume and thickness can be reduced, thereby making it easy to carry and store. . The rotary input device 30 is positioned substantially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case 11.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더(45)의 사시도이다.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4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홀더(45)는 센터홀(55)의 외주면에 굴곡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굴곡부(56)에 대향하는 휠(33)의 내주면에는 탄 성부재(58, 점선표시)가 삽입될 수 있는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홈에 삽입된 탄성부재(58)는 휠(33)의 회전 시 굴곡부(56)의 볼록한 부분에 가압되면 홈의 내부로 들어가고, 굴곡부(56)의 오목한 부분과 만나면 홈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휠(33)의 회전 시 굴곡부(56)와 탄성부재(58)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 감촉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감이 우수하다. Referring to FIG. 7A, the holder 45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bent portion 56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hole 55. In addition, a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58 (dotted line)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33 facing the bend 56. When the elastic member 58 inserted into the groove is pressed into the convex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56 dur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33, the elastic member 58 enters the inside of the groove, and when it meets the concave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56, it protrudes out of the groove. Therefore, when the wheel 33 is rot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bent portion 56 and the elastic member 58, the feeling of rot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is excellent.

도 7b는 휠(33)의 내주면에 굴곡부(56')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휠(33')과 홀더(45)의 사시도이다.FIG. 7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 33 'and the holder 45 showing a state where the bent portion 56'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33. As shown in FIG.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부(56')는 휠(33')의 내주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탄성부재(58)는 홀더(45)의 외주면(46)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휠(33')이 홀더(45)에 삽입된 후 회전하면 굴곡부(56')와 탄성부재(58)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일정한 클릭 감이 발생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7B, the bent portion 56 ′ may also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33 ′, wherein the elastic member 58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6 of the holder 45. Therefore, when the wheel 33 'is rotat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holder 45, a constant click feeling is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bent portion 56' and the elastic member 58.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의 정보 입력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는 커서, 메뉴 목록에 있어서 음영 표시, 화살표 모양 등의 포인터(이하, '포인터'로 칭함)가 표시되어 있다.Hereinafter, an information input method of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having a display. On the display, a cursor and a poi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inter”) such as a shaded display or an arrow in the menu list are displayed.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를 이동하거나 휠(33)을 회전하는 방법을 혼용한다.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를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2차원적으로 움직이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휠(33)을 회전시키는 경우 포 인터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가 전체적으로 상하로 이동한다. 휠(3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가 상향 이동하고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향 이동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user may use a method of moving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or rotating the wheel 33 to move the pointer to a desired position on the display. When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is moved, the pointer moves two-dimensionally on the display to a desired location. When the wheel 33 is rotated, the display in which the pointer is positioned moves up and down as a whole. Rotating the wheel 33 clockwise moves the display upward and counterclockwise rotates it downward, and vice versa.

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방법은 휠(33)이 360도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휠(33)에서 손가락을 떼지 않고도 화면을 연속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종래의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의 휠(도 1의 160)은,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 번의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는 휠의 회전 각도에는 일정한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방법은 휠(33)의 전면(全面)이 외부로 노출되어 360도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한 번의 동작으로 화면을 연속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In the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since the wheel 33 may be rotated 360 degrees, the screen may be continuously moved up and down without removing a finger from the wheel 33. Since the wheel of the input device (160 of FIG. 1), such as a conventional mouse,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e rotation angle of the wheel that the user can move in one motion has a certain restriction. However, since the front surface of the wheel 33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rotates 360 degrees, the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venient because the screen can be continuously moved up and down in one operation.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상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센터키(35)를 누른 후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를 상하로 이동하는 방법이 있다. 센터키(35)를 누르면 디스플레이 상에 상하 및 좌우 방향의 화살표가 표시되는데, 이때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를 상하 및 좌우 방향 등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상의 화면이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 끝까지 이동한다. Another method for moving the pointer to a desired position on the display is to press the center key 35 and move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up and down. When the center key 35 is pressed, an arrow of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hen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is mov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creen on the display moves to the up and down and /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do.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사용자는 회전식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30)의 사이드 키(37)를 눌러서 포인터가 선택한 메뉴 또는 링크 등을 실현한다. 예를 들면, 왼쪽 사이드 키(37)를 누르면 포인터가 선택한 메뉴 또는 링크 등이 실현될 수 있고, 오른쪽 사이드 키(37)를 누르면 디스플레이 상에서 또 다른 메뉴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1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버튼(17)을 이용하여 포인터가 선택한 메뉴 또는 링크 등을 실현할 수도 있다. After the pointer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on the display, the user presses the side key 37 of the rotary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30 to realize a menu or link selected by the pointer. For example, pressing the left side key 37 may realize a menu or link selected by the pointer, and pressing the right side key 37 may display another menu list on the display. In addition, a menu or a link selected by the pointer may be realized by using the side button 17 formed on the side of the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10.

그리고 사용자는 광 모듈(80) 또는 회전식 입력장치(30)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면서도 메모리(28)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거나 메모리(28)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user may read data stored in the memory 28 or store data in the memory 28 while inputting information using the optical module 80 or the rotary input device 3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예와 수정 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als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본 발명은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한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that is convenient to use and easy to store and portable.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케이스와;A case;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인식하는 광 모듈과;An optical module fixed inside the case and recognizing movement of the case; 외부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광 모듈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달하고, 휴대용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및 A connector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ransferr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optical module to the external device, the connector having 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회전 가능한 휠을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회전식 입력장치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rotary input device having a rotatable wheel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상기 휠의 회전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Information can be input by the rotation of the wheel,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는 The portable storage device 메모리를 구비하여 상기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And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data in the memory and read the stored data by the external devi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회전식 입력장치는 상기 휠의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휠과 동시에 회전하는 다극 착자 링형 마그네트와;The rotary input device includes a multi-pole magnetized ring magnet which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wheel and rotates simultaneously with the wheel; 상기 마그네트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소자 및 상기 검출소자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A detection element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magnet and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detection element is mounted;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되는 베이스와;A base to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fixed;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And a holder fixed to the base to rotatably support the whee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휠은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고정돌기를 구비하고,The wheel has a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protruding downward,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사이드 돔버튼을 구비하는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an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having a side dome button pressed by the fixing projection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휠의 중앙에는 센터키가 형성되어 있고,The center key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heel,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센터키의 누름에 의해 가압되는 센터 돔버튼을 구비하는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And a center dome button pres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by pressing the center ke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휠 및 상기 휠과 접하는 상기 홀더의 일측에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One side of the wheel and the holder in contact with the wheel is formed with a bent portion, 타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groove, 상기 홈에는 상기 굴곡부에 걸림되는 탄성부재가 위치하고 있는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caught in the bent portion is located in the groov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컨넥터는 케이블에 의해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고,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ase by a cable,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을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감는 권선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및 입력장치.Information storage and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case is provided with a winding device for automatically winding the cable by the elastic force.
KR1020070004622A 2007-01-16 2007-01-16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ting apparatus KR100872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622A KR100872566B1 (en) 2007-01-16 2007-01-16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622A KR100872566B1 (en) 2007-01-16 2007-01-16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403A KR20080067403A (en) 2008-07-21
KR100872566B1 true KR100872566B1 (en) 2008-12-08

Family

ID=3982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622A KR100872566B1 (en) 2007-01-16 2007-01-16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5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355A1 (en) * 2022-06-30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rol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68235A2 (en) 2000-06-30 2002-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 personal smart pointing device
WO2002046904A1 (en) * 2000-12-04 2002-06-13 Trek 2000 International Ltd A computer pointing device
JP2003050671A (en) 2001-08-03 2003-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use device with memory card reader/writer compatible with usb
KR20050004652A (en) * 2003-07-03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phone with earphone winding apparatus there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68235A2 (en) 2000-06-30 2002-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 personal smart pointing device
WO2002046904A1 (en) * 2000-12-04 2002-06-13 Trek 2000 International Ltd A computer pointing device
JP2003050671A (en) 2001-08-03 2003-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use device with memory card reader/writer compatible with usb
KR20050004652A (en) * 2003-07-03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phone with earphone winding apparatus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403A (en) 200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23279B (en) Flexible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4023119B (en) For shooting the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photo by using widget
JP4672757B2 (en) Device for accelerated scrolling
US6917349B2 (en) Displaying information on passive storage medium
TW201229830A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CN104715757A (en) Terminal voice control operation method and device
CN103984433B (en) For controlling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ing key operation
KR100792507B1 (en)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US1179999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pop-up structure
JP2004038989A (en) Multi-stylus input device and its packaging method
KR20200095972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llocating function to button input
CN101828377A (en)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unit being movable in relation to a base unit
US201501633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held device control by accessory device
KR100872566B1 (en) Information storage and inputting apparatus
KR20080008217A (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inputting method therefore
KR20140137629A (en) Mobile terminal for detecting earphone connection and method therefor
JP2008027443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putting method therefor
WO2007046604A1 (en) Device for inputting digital information
WO2009015509A1 (en) Stylus data processing device
JP49771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and execution control method, and command execution control program
KR100809978B1 (en) Mouse receptable electronical apparatus
KR100792512B1 (en)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KR100792511B1 (en)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KR20070042858A (en) Digital input device with pen-type
KR200256033Y1 (en) Mouse capable of receiving External Data Storage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