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653B1 -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653B1
KR100871653B1 KR1020070041766A KR20070041766A KR100871653B1 KR 100871653 B1 KR100871653 B1 KR 100871653B1 KR 1020070041766 A KR1020070041766 A KR 1020070041766A KR 20070041766 A KR20070041766 A KR 20070041766A KR 100871653 B1 KR100871653 B1 KR 100871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ignal
music
step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899A (ko
Inventor
남태균
Original Assignee
남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균 filed Critical 남태균
Priority to KR102007004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6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8Sensor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단위 공동주택단지 또는 근린공원 등에 조경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물로서 연못이나 개울 등을 조성할 때 노약자들도 이용할 수 있는 징검다리를 설치하여 그 징검다리를 디딜 때마다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의해 각기 다른 음악 또는 음계를 송출함과 아울러 램프를 점멸시켜 조명을 하게 됨에 따라 조경과 더불어 놀이시설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조경을 목적으로 조성되는 연못이나 개천 등의 수리시설에 설치되는 징검다리에 있어서,
개천을 건널 수 있도록 개천의 바닥에 그 수위보다 높은 높이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어 상하로 개구된 배선공이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 유속에 대한 지지력을 갖도록 기초부가 돌출형성된 중량체의 디딤돌과,
상기 수용홈에 삽입장착되어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탄성스프링과 센서감지의 센서가 삽입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관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부 내측에 상기 배선공과 연통을 이루어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전선이 배선된 주름관이 연결되는 관통공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디딤돌을 딛고 개천을 건너는 사람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 이스의 상부 내측에서 개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수밀되어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관을 따라 승강이동하여 상기 가이드관 내에 설치된 센서감지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바와 상기 센서감지부의 신호를 중앙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발광램프가 점멸되는 발광부가 설치된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의 디딤판 및;
상기 센서감지부의 신호를 중앙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개천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지정된 음악과 음계를 송출하는 음원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70041766
징검다리, 디딤돌, 케이스, 발광램프, 스피커

Description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A play stepping stones system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디딤돌 120 : 케이스
130 : 디딤판 140 : 제어부
150 : 센서감지부 160 : 발광부
170 : 음원송출부
본 발명은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단위 공동주택단지 또는 근린공원 등에 조경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물로서 연못이나 개울 등을 조성할 때 노약자들도 이용할 수 있는 징검다리를 설치하여 그 징검다리를 디딜 때마다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의해 각기 다른 음악 또는 음계를 송출함과 아울러 램프를 점멸시켜 조명을 하게 됨에 따라 조경과 더불어 놀이시설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한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단위의 거주공간이나 근린공원을 조성할 때 환경에 친화적인 조경을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물을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한 개울을 만들거나 연못을 만드는 등의 시공법이 일부에서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수리시설을 이용한 조경방법은 수생식물 및 수서곤충에게 생육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대기정화와 오염을 감소시키는 등의 생활환경에 친화적인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되면서 호평을 받고 있으나, 시설을 조성하기 위해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반면에 사람이 접근하여 놀 수 있는 놀이공간으로서의 기능이 결여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 조경과 놀이터를 설치해야되는 시공사와 시행사의 입장에서 볼 때 손쉽게 채택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리시설을 이용한 조경방법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대단위 공동주택단지 또는 근린공원 등에 조경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물로서 연못이나 개울 등을 조성할 때 노약자들도 이용할 수 있는 징검다리를 설치하여 그 징검다리를 디딜 때마다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의해 각기 다른 음악 또는 음계를 송출함과 아울러 램프를 점멸시켜 조명을 하게 됨에 따라 조경과 더불 어 놀이시설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한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조경을 목적으로 조성되는 연못이나 개천 등의 수리시설에 설치되는 징검다리에 있어서,
개천을 건널 수 있도록 개천의 바닥에 그 수위보다 높은 높이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어 상하로 개구된 배선공이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 유속에 대한 지지력을 갖도록 기초부가 돌출형성된 중량체의 디딤돌과,
상기 수용홈에 삽입장착되어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탄성스프링과 센서감지부의 센서가 삽입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관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부 내측에 상기 배선공과 연통을 이루어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전선이 배선된 주름관이 연결되는 관통공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디딤돌을 딛고 개천을 건너는 사람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에서 개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수밀되어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관을 따라 승강이동하여 상기 가이드관 내에 설치된 센서감지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바와 상기 센서감지부의 신호를 중앙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발광램프가 점멸되는 발광부가 설치된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의 디딤판 및;
상기 센서감지부의 신호를 중앙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개천의 양측 가장자 리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지정된 음악과 음계를 송출하는 음원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센서감지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송출부에서 제공되는 음악과 음계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감지부에서 신호가 전달될 경우 상기 각 디딤돌의 음계에 해당하는 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며,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음원송출부에서 제공되는 음계 및 음악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음출력제어부와,
상기 센서감지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의 감지시와 평상시의 대기상태로 구분하여 발광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센서감지부는 상기 디딤판을 딛고 통행하는 사람의 무게와 압력에 의해 통행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작동바에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중앙제어장치로 송신하는 센서송신회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발광부는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설치된 PCB기판의 상면에 장착된 다수개의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여 발광램프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및
상기 발광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드라이버로 전송하 기 위한 발광송신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원송출부는 다수곡의 음악 및 음계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칩과
상기 음출력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음악 또는 음계를 선택적으로 컨버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음원제어기와
상기 메모리칩에서 전달받은 음악파일을 실제 음계 및 음악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기 위한 컨버터 및
24시간을 10분 단위로 구분하여 야간에 음계 및 음악의 출력을 제한하고 주간에 음계 및 음악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은 디딤돌(110), 케이스(120) 및 디딤판(130)으로 이루어진 구조물과 중앙제어부(140), 센서감지부(150), 발광부(160) 및 음원송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딤돌(110)은 개천을 건널 수 있도록 개천의 바닥에 개천의 수위보다 높은 높이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디딤돌(110)은 그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홈(1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홈(111)과 연통되어 상하로 개구된 배선공(113)이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는 개천수의 유속에 대한 지지력을 갖도록 기초부(115)가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딤돌(110)은 중량의 무게를 갖는 콘크리트 재질의 중량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120)는 상기 디딤돌(110)의 각 수용홈(111)에 삽입장착되어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부(121)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개의 가이드관(123)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부 내측에 관통공(1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가이드관(123)의 내부에는 탄성스프링(127)이 삽입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127)의 하부 내주면에는 센서감지부(150)의 센서(15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125)은 상기 배선공(113)과 연통을 이루며, 상기 관통공(125)에는 주름관(128)의 일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128)의 타단에는 상기 개천의 바깥측에 위치한 전력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주름관(128)의 내부에는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전선(L)이 배선된다.
한편, 상기 디딤판(130)은 상기 디딤돌(110)을 딛고 개천을 건너는 사람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20)의 상부 내측에서 개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수밀되어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디딤판(130)은 그 하부에 상기 탄성스프링(127)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관(123)을 따라 승강이동하여 상기 가이드관(123) 내에 설치된 센서감지부(15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작동바(131)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작동바(131) 사이의 디딤판(130) 하부에는 상기 센서감지부(150)의 신호를 중앙제어부(140)를 통해 전달받아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1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디딤판(130)은 상기 발광부(160)의 빛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20)와 디딤판(130)은 개천수가 그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133)가 덮여지며, 상기 외피(133)의 단부는 상기 수용홈(111)과 케이스(120) 사이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상기 중앙제어부(140)는 음출력제어부(141)와 발광제어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출력제어부(141)는 상기 센서감지부(150)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원송출부(170)에서 제공되는 음악과 음계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상기 센서감지부(150)의 센서(151)신호가 상기 음출력제어부(141)에 전달될 경우 상기 각 디딤돌(110)의 음계에 해당하는 소리를 스피커(178)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며, 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음원송출부(170)에서 제공되는 음계 및 음악을 스피커(178)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발광제어부(143)는 상기 센서감지부(150)의 센서(151)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의 감지시와 평상시의 대기상태로 구분하여 발광램프(163) 의 점멸을 제어한다.
즉, 상기 센서감지부(150)의 센서(151)에서 신호가 전달되어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발광램프(163)가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센서감지부(150)에서 전달되는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발광램프(163)가 소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센서감지부(150)는 센서(151)와 센서송신회로(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센서(151)는 상기 디딤판(130)을 딛고 통행하는 사람의 무게와 압력에 의해 통행 유무를 감지한다.
즉, 사람이 디딤판(130)을 딛고 통행할 경우, 상기 작동바(131)가 가이드관(123)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센서(151)를 작동시켜 사람이 통행하고 있음을 감지하며, 상기 작동바(131)가 가이드관(12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고, 상기 탄성스프링(127)에 의해 지지되어 센서(151)가 동작하지 않으면, 사람이 통행하고 있지 않음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센서송신회로(153)는 상기 센서(151)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그 신호를 중앙제어부(140)로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151)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151)가 작동바(131)에 의해 작동하여 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센서송신회로(153)는 그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중앙제어부(140)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발광부(160)는 발광램프(163), 드라이버(165), 발광송신회로(1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광램프(163)는 상기 디딤판(130)의 하부에 설치된 PCB기판(161)의 상면에 다수개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PCB기판(161)에는 상기 발광램프(163)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여 발광램프(163)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165)와 상기 발광제어부(143)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드라이버(165)로 전송하기 위한 발광송신회로(167)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음원송출부(170)는 상기 센서감지부(150)의 센서(151) 신호를 중앙제어부(140)의 음출력제어부(141)를 통해 전달받아 개천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스피커(178)를 통해 지정된 음악과 음계를 송출한다.
이때, 상기 음원송출부(170)는 메모리칩(171), 음원제어기(175), 컨버터(173) 및 타이머(1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칩(171)은 MP3와 같이 디지털화된 다수곡의 음계 및 음악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음원제어기(175)는 상기 음출력제어부(141)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칩(171)에 저장된 음계 및 음악을 선택적으로 컨버터(173)로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컨버터(173)는 상기 메모리칩(171)에서 음원제어기(175)를 통해 전달받은 음계 또는 음악을 변환하여 스피커(178)를 통해 외부로 발산한다.
한편, 상기 타이머(177)는 24시간을 10분 단위로 구분하여 야간에 음계 및 음악의 출력을 제한하고 주간에 음계 및 음악을 출력되도록 한다. 즉, 야간시간대에 상기 중앙제어부(140)의 음출력제어부(141)로 그 신호를 전송하여 음악 및 음계 가 발산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발광램프(163)와 센서(151) 및 스피커(178)는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전선(L)과 연결되어, 그 기능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은 대단위 공동주택단지 또는 근린공원 등에 조경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물로서 연못이나 개울 등을 조성할 때 노약자들도 이용할 수 있는 징검다리를 설치하여 그 징검다리를 디딜 때마다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의해 각기 다른 음악 또는 음계를 송출함과 아울러 램프를 점멸시켜 조명을 하게 됨에 따라 조경과 더불어 놀이시설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설치관계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중량체의 디딤돌(110)을 개천의 바닥에 다수개가 설치한다.
이때, 상기 디딤돌(110)들의 배선공(113)에는 전선(L)이 배선된 주름관(128)이 내설되며, 상기 주름관(128)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120)의 관통공(125)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전력공급장치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111)에는 케이스(120)가 삽입장착되며, 상기 케이스(120)의 상부 내측에는 디딤판(130)이 개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수밀되어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20)와 디딤판(130)은 그 외측에는 외피(133)가 덮여 밀폐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20)의 가이드관(123)에는 탄성스프링(127)과 센서감지 부(150)가 내설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27)의 상부에는 디딤판(130)의 작동바(131)가 가이드관(123)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작동바(131)의 슬라이딩 거리는 상기 센서감지부(150)의 센서(151)를 동작시킬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딤판(130)의 하부에는 발광부(16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개천을 통행하기 위한 사람이 상기 디딤판(130)을 밟으면, 상기 디딤판(130)의 작동바(131)는 탄성스프링(127)을 가압하며 그 단부가 센서감지부(150)의 센서(151)를 작동시킨다.
이에, 상기 센서(151)의 신호는 센서송신회로(153)로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센서송신회로(153)에서는 그 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14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151)의 작동에 의해 디딤판(130)을 딛고 통행하는 사람의 유무를 감지한다.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140)에서는 상기 센서(151)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출력제어부(141)와 발광제어부(143)로 그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음출력제어부(141)를 통해 신호를 전달받은 음원송출부(170)는 각 디딤돌(110)의 음계에 해당하는 소리를 스피커(178)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디딤돌(110)들은 각각 서로 다른 음계의 음이 발산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원송출부(170)가 음출력제어부(141)의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메모리칩(171)에 저장된 음계를 음원제어기(175)를 통해 선택적으로 컨버터(173)로 전 달하며, 상기 컨버터(173)로 전달된 음계를 스피커(178)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피커(178)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음악 및 음계는 상기 타이머(177)에 의해 야간에 음계 및 음악의 출력을 제한하고 주간에 음계 및 음악을 출력되도록 한다.
즉, 상기 타이머(177)는 그 시간이 주간 시간대일 경우와 야간 시간대일 경우를 구분하여 그 신호를 중앙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이에, 상기 중앙제어부(140)의 음출력제어부(141)에서는 타이머(177)의 신호를 통해 스피커(178)의 음계 또는 음악의 발산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발광제어부(143)를 통해 신호를 전달받은 발광부(160)는 그 신호를 통해 발광램프(163)가 발광하도록 한다.
즉, 상기 발광부(160)의 발광송신회로(167)가 발광제어부(143)의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발광송신회로(167)에서는 그 신호를 드라이버(165)로 전송하여 상기 드라이버(165)가 발광램프(163)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램프(163)는 점등된다.
또한, 개천으로 통행하는 사람이 없어 센서감지부(150)에서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음원송출부(170)의 음원제어기(175)는 메모리칩(171)의 음악을 컨버터(173)로 전달하며, 상기 컨버터(173)로 전달된 음악은 스피커(178)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음악은 MP3와 같이 디지털화된 음악파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160)의 발광송신회로(167)로 센서감지부(150)의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드라이버(165)는 상기 발광램프(163)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발광램프(163)가 소등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징검다리를 디딜 때마다 음악 또는 음계를 송출함과 아울러 발광램프를 점멸시켜 조경 및 놀이시설의 역할을 수행할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단위 공동주택단지 또는 근린공원 등에 조경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물로서 연못이나 개울 등을 조성할 때 노약자들도 이용할 수 있는 징검다리를 설치하여 그 징검다리를 디딜 때마다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의해 각기 다른 음악 또는 음계를 송출함과 아울러 램프를 점멸시켜 조명을 하게 됨에 따라 조경과 더불어 놀이시설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조경을 목적으로 조성되는 연못이나 개천 등의 수리시설에 설치되는 징검다리에 있어서,
    개천을 건널 수 있도록 개천의 바닥에 그 수위보다 높은 높이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홈(1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홈(111)과 연통되어 상하로 개구된 배선공(113)이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 유속에 대한 지지력을 갖도록 기초부(115)가 돌출형성된 중량체의 디딤돌(110)과,
    상기 수용홈(111)에 삽입장착되어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부(121)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탄성스프링(127)과 센서감지부(150)의 센서(151)가 삽입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관(123)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부 내측에 상기 배선공(113)과 연통을 이루어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전선(L)이 배선된 주름관(128)이 연결되는 관통공(125)을 갖는 케이스(120)와,
    상기 디딤돌(110)을 딛고 개천을 건너는 사람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20)의 상부 내측에서 개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수밀되어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탄성스프링(127)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관(123)을 따라 승강이동하여 상기 가이드관(123) 내에 설치된 센서감지부(150)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바(131)와 상기 센서감지부(150)의 신호를 중앙제어부(140)를 통해 전달받아 발광램프(163)가 점멸되는 발광부(160)가 설치된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의 디딤판(130) 및;
    상기 센서감지부(150)의 신호를 중앙제어부(140)를 통해 전달받아 개천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스피커(178)를 통해 지정된 음악과 음계를 송출하는 음원송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140)는
    상기 센서감지부(150)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송출부(170)에서 제공되는 음악과 음계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감지부(150)에서 신호가 전달될 경우 상기 각 디딤돌(110)의 음계에 해당하는 소리를 스피커(178)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며,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음원송출부(170)에서 제공되는 음계 및 음악을 스피커(178)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음출력제어부(141)와,
    상기 센서감지부(15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의 감지시와 평상시의 대기상태로 구분하여 발광램프(163)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감지부(150)는
    상기 디딤판(130)을 딛고 통행하는 사람의 무게와 압력에 의해 통행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관(123)의 내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작동 바(131)에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센서(151)와,
    상기 센서(151)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중앙제어부(140)로 송신하는 센서송신회로(15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60)는
    상기 디딤판(130)의 하부에 설치된 PCB기판(161)의 상면에 장착된 다수개의 발광램프(163)와,
    상기 발광램프(163)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여 발광램프(163)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165) 및
    상기 발광제어부(143)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드라이버(165)로 전송하기 위한 발광송신회로(16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송출부(170)는
    다수곡의 음악 및 음계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칩(171)과,
    상기 메모리칩(171)에서 전달받은 음악파일을 실제 음계 및 음악으로 변환하여 스피커(178)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기 위한 컨버터(173)와,
    상기 음출력제어부(141)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칩(171)에 저장된 음악 또는 음계를 선택적으로 컨버터(173)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음원제어기(175) 및
    24시간을 10분 단위로 구분하여 야간에 음계 및 음악의 출력을 제한하고 주간에 음계 및 음악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타이머(17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KR1020070041766A 2007-04-30 2007-04-30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KR100871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766A KR100871653B1 (ko) 2007-04-30 2007-04-30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766A KR100871653B1 (ko) 2007-04-30 2007-04-30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899A KR20080096899A (ko) 2008-11-04
KR100871653B1 true KR100871653B1 (ko) 2008-12-02

Family

ID=4028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766A KR100871653B1 (ko) 2007-04-30 2007-04-30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060B1 (ko) * 2021-04-14 2023-06-05 윤치영 소리나는 놀이용 공중 발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743A (en) 1989-04-13 1990-05-15 Tsai Chao Hsiung Musical dancing block set
KR960007149U (ko) * 1994-08-29 1996-03-13 박정환 음계발성구가 장착된 완구용 메트리스
KR200203769Y1 (ko) 2000-06-01 2000-11-15 주식회사가원인터내셔널 노래하는 징검다리
KR20000074157A (ko) * 1999-05-18 2000-12-05 윤주홍 입력 감응식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743A (en) 1989-04-13 1990-05-15 Tsai Chao Hsiung Musical dancing block set
KR960007149U (ko) * 1994-08-29 1996-03-13 박정환 음계발성구가 장착된 완구용 메트리스
KR20000074157A (ko) * 1999-05-18 2000-12-05 윤주홍 입력 감응식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3769Y1 (ko) 2000-06-01 2000-11-15 주식회사가원인터내셔널 노래하는 징검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899A (ko) 200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14660Y (zh) 一种带发光体的扬声器及报警装置
US89018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zoned illumination
CN201916807U (zh) 多功能智能灯柱
CN201839482U (zh) 一种闪光装置
KR20090108979A (ko) 환경센서를 구비하는 유비쿼터스 가로등
KR20080109432A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
KR100871653B1 (ko) 조경시설물의 놀이용 징검다리 시스템
KR20120126965A (ko) 감성조명 시스템
JP2008158830A (ja) 点灯制御システム
KR101313355B1 (ko) 공간 연출 장치
JP2006039818A (ja) 住宅用火災警報器および住宅用火災警報システム
KR100987610B1 (ko) 안개센서를 구비하는 사고방지 조명조절용 유비쿼터스가로등
KR200405236Y1 (ko) 조도 제어식 조명등
KR20080081514A (ko) 보안등
CN201947709U (zh) 户外发光花盆
KR20090007775U (ko) 무대조명장치
JP2005318148A (ja) 照明灯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20090049202A (ko) 가로등 조명제어시스템
CN112114613B (zh) 一种触发楼道声控灯用音量扩散踏板
KR20140130606A (ko) 외부제어모듈 착탈형 가로등 제어장치
CN205480877U (zh) 一种市政道路照明系统
JPH11225591A (ja) 街路樹の保護装置
KR20200089102A (ko)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
KR102340375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조명화분 받침대
CN109869678A (zh) 一种市政园林用多功能led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