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019B1 -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019B1
KR100871019B1 KR1020070023097A KR20070023097A KR100871019B1 KR 100871019 B1 KR100871019 B1 KR 100871019B1 KR 1020070023097 A KR1020070023097 A KR 1020070023097A KR 20070023097 A KR20070023097 A KR 20070023097A KR 100871019 B1 KR100871019 B1 KR 100871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tensity
unit
sampling data
ligh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339A (ko
Inventor
여인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0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5Scanning systems with one or more pivoting mirrors or galvano-mirr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04N9/313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using one-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회절광의 광세기를 검출하여 상부 반사부의 변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부 반사부의 변위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절형 광변조기, 변위 변화, 보정 장치, callibration

Description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Callibration apparatus of the reflective part in the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픈홀 기반의 회절 광변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오픈홀 기반의 회절형 광변조기의 평면도.
도 3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일부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1 상부 반사부(106a)와 제2 상부 반사부(106b)의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가 구비된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전자계의 블럭 구성도.
도 6는 회절형 광변조기에서 회절광의 광세기 대 인가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회절형 광변조기의 엘리멘트별로 인가되는 전압대 광세기 그래프.
도 8은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보정 테이블.
도 9는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10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4의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의 광세기 측정부의 내부 블럭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반 사부 변위 보정 장치의 반사부 변위 보정부의 내부 블럭도.
도 11은 도 10a의 오프셋 제거기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2은 도 10b의 반사부 변위 보정부의 보정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3은 도 10b의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가 출력하는 샘플링 데이터의 예시도.
도 14는 도 10b의 판정부가 판정 기준으로 삼는 이상적인 그래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5a 내지 도 15f는 도 10b의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가 샘플링 데이터를 조정하기 위한 판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
402 : 디스플레이 광학계 404 : 디스플레이 전자계
406 :광원 408 : 조명 광학부
410 : 회절형 광변조기 412 : 투사부
413 : 광세기 측정부 416 : 필터 광학부
418 : 스크린 500 : 영상 입력부
502 : 영상 피봇부 503 : 영상 데이터 저장부
504 : 감마 기준전압 저장부 506 : 영상 보정 및 제어부
508 :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
510 : 영상 데이터 출력부 512 : 영상동기신호 출력부
514 : 상부 전극 기준전압 보정부 515 : 하부전극 기준전압 출력부
516 : 광원 제어부 518 : 스캐닝 제어부
522 : 광변조기 구동회로 524 : 광원 구동회로
526 : 스캐너 구동회로 600 : 포토다이오드
602 : 증폭기 604 : 오프셋 제거기
606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본 발명은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회절광의 광세기를 검출하여 상부 반사부의 변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부 반사부의 변위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종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PD:Flat Panel Display)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일반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액정의 전기광학적 특성을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가스 방전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
그 중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 LCD" 라 약칭함)는 시야각이 좁고 응답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반도체 제조공정을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TFT:Thin Film Transistor) 및 전극 등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다는 난점이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은 제조 공정이 단순하여 대면적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전력 소비가 클 뿐 아니라, 방전 및 발광 효율이 낮고 고가라는 난점이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극초미세 가공기술인 마이크로 일렉트로메카니컬 시스템(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 이하, " MEMS" 라 약칭함)을 이용하여 픽셀(Pixel)마다 미세한 공간 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 SLM)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여기에서, 공간 광 변조기(SLM)란 전기적이거나 광학적인 입력에 대응하는 공간 패턴으로 입사 광선을 변조시키는 변환기이다. 입사 광선은 이것의 위상, 강도, 편광 또는 방향으로 변조될 수 있고, 광 변조는 여러 가지 전기 광학 또는 자기 광학 효과가 있는 여러 가지 물질, 및 표면 변형에 의해 광선을 변조시키는 물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픈홀 기반의 회절 광변조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오픈홀 기반의 회절 광변조기는 기판(101)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오픈홀 기반의 회절 광변조기는 기판(101)의 상부에 형성된 절연층(10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오픈홀 기반의 회절형 광변조기는 절연층(102)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반사부(106a~106n)의 홀(106aa~106nb)과 상부 반사부(106a~106n)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하부 반사부(10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오픈홀 기반의 회절형 광변조기는 사이에 하부 반사부(103)가 위치하도록 하여 기판(101)의 표면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측면 지지 부재(104, 10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오픈홀 기반의 회절형 광변조기는 한쌍의 측면 지지 부재(104, 104')에 의해 양측면이 각각 지지되며 기판(10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중앙 부위가 상하 이동가능하며 중앙 부위에 상부 반사부(106a~106n)에 형성된 홀(106aa~106nb)에 대응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레이를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적층체 지지판(105a~105n)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오픈홀 기반의 회절형 광변조기는 적층체 지지판(105a~105n)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홀(106aa~106nb)을 가지고 있어 입사되는 광을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홀(106aa~106nb)를 통하여 통과시키며 어레이를 형성하고 있는 상부 반사부(106a~106n)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오픈홀 기반의 회절형 광변조기는 적층체 지지판(105a~105n)에 각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지지 부재(104, 104')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적층체 지지판(105a~105n)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한쌍의 압전체(110a~110n, 110a'~110n')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한쌍의 압전체(110a~110n, 110a'~110n')는 하부 전극층(110aa~110na, 110aa'~110na'), 압전 재료층(110ab~110nb, 110ab~110nb'), 상부 전극층(110ac~110nc 110ac'~110nc)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압전 재료층(110ab~110nb, 110ab'~110nb')의 수축과 팽창에 의하여 적층체 지지판(105a~105n)의 중앙 부위가 상하로 움직이며 이에 따라 상부 반사부(106a~106n)도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광이 오픈홀 회절형 광변조기의 상부 반사부(106a~106n)에 입사될 때 상부 반사부(106a~106n)는 일부의 광은 반사하고 일부의 광은 홀(106aa~106nb)를 통하여 통과시키며, 하부 반사부(103)는 상부 반사부(106a~106n)의 홀(106aa~106nb)을 통하여 통과된 광을 반사시키게 된다.
그 결과, 상부 반사부(106a~106n)에서 반사하는 반사광과 하부 반사부(103)에서 반사한 반사광은 여러 회절계수를 갖는 회절광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회절광의 광세기는 상부 반사부(106a~106n)와 하부 반사부(103)의 단차가 입사광의 파장이 λ라 할때 λ/4의 홀수배가 될 때 최대가 되며, 짝수배가 될 때 최소가 된다.
여기에서, 하나의 상부 반사부(106a)와 그에 대응되는 하부 반사부(103)는 스크린에 형성되는 영상의 픽셀을 형성하기 위한 스캐닝 회절 점광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2를 참조하면, 회절형 광변조기는 스 크린에 형성되는 영상의 제a 픽셀, 제b 픽셀, 제c 픽셀, 제d 픽셀, 제e 픽셀, ..., 제n 픽셀의 각각에 대응되는 n개의 상부 반사부(106a~106n)로 구성되어 있다. 회절형 광변조기는 도면부호 106a의 하나의 상부 반사부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부 반사부(106a)의 반사면(106a1, 106a2, 106a3)에서 반사된 반사광과 상부 반사부(106a)의 오픈홀(107a1, 107a2, 107a3-여기에서 107a3는 상부 반사부(106a)와 인접한 상부 반사부(106b)의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을 통과하여 하부 반사부(103)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회절광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절광은 스크린에 형성되는 영상의 픽셀에 대응되는 스캐닝 회절 점광이 된다.
즉, 상부 반사부(106a~106n)의 각각은 그에 대응되는 하부 반사부(103)의 반사면과 함께 스크린에 형성되는 영상의 픽셀에 대응되는 스캐닝 회절 점광을 형성하며 이러한 스캐닝 회절 점광은 복수개가 일렬로 정렬하여 주사선(여기에서, 주사선은 n개의 픽셀에 대응되는 n개의 스캐닝 회절 점광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함)을 형성한다.
도 3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일부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1 상부 반사부(106a)와 제2 상부 반사부(106b)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서 상부 반사부(106a, 106b)와 절연층상에 형성된 하부 반사부(103) 사이의 간격이 제1 간격(λ/4+(nλ/4), λ는 입사광의 파장, n은 1, 3, 5 등등의 정수)이 되도록 하면 최소의 광세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부 반사부(106a, 106b)와 절연층 상에 형성된 하부 반사부(103) 사이의 간격이 제2 간격(λ/4+(nλ/4), λ는 입사광의 파장, n은 0, 2, 4 등등의 정수)이 되도록 하면 최대의 광세기를 나타낸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반사부(106a)의 초기 위치(l1i)와 제2 상부 반사부(106b)의 초기 위치(l2i)가 서로 상이하다. 그 결과, 제1 상부 반사부(106a)와 제2 상부 반사부(106b)로부터 동일한 광세기의 회절광을 얻기 위한 각각의 상부 반사부(106a, 106b)의 변위의 변화량이 서로 상이하며 이러한 변위의 변화량의 상이는 제1 상부 반사부(106a)와 제2 상부 반사부(106b)를 구동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상이를 발생시킨다.
즉, 일예로 최대의 광세기를 얻기 위하여 제1 상부 반사부(106a)는 l1 또는 L1 만큼 변위의 변화가 있어야 하고, 제2 상부 반사부(106b)는 l2 또는 L2 만큼 변위의 변화가 있어야 하는데, l1≠l2임으로 이러한 변위를 얻기 위하여 인가되어야 하는 전압값이 서로 상이하다.
결론적으로,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특정 광세기를 얻기 위하여 각각의 상부 반사부를 구동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전압은 서로 상이하며 회절형 광변조기의 각각의 상부 반사부를 구동시킬 때 이러한 전압 특성을 미리 고려한 후에 인가전압을 결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회절형 광변조기에서 보정(callibration)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여 변위의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변위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서 출사되는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광세기 측정부; 및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 픽셀별로 복수의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광세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광세기를 입력받아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의 각 픽셀에 대한 반사부의 변위를 측정하여 반사부 변위에 따른 보정값을 산출하는 반사부 변위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 변위 보정부는, 상기 광세기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광세기 측정값이 최소값과 최대값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판정부;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 광세기 측정값이 최소값과 최대값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 샘플링 데이터의 구간을 이동시켜 새로운 샘플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의 광변조기 구동회로로 출력하는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 광세기 측정값이 최소값과 최대값을 구비하고 있으면 보정값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보정값 산출부; 상기 보정값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보정값에 따라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의 테이블을 갱신하는 테이블 갱신부; 및 상기 판정부와,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와, 보정값 산출부와, 테이블 갱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광세기 측정부는,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서 출사되는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광검출기; 상기 광검출기에서 출력되는 광세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광세기에서 오프셋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오프셋 제거기; 및 상기 오프셋 제거기를 통과하여 오프셋이 제거된 아날로그 광세기 신호를 디지털 광세기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도 4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가 적용된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가 적용된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400), 디스플레이 광학계(402), 디스플레이 전자계(40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광학계(402)는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광원(406)을 포함한다. 광원(406)은 레이저 조명을 방출하며, 일예로 광원(406)(실제로는 R광원의 레이저, G광원의 레이저, B광원의 레이저로 이루어져 있다)은 R광, G광, B광을 순차적으로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광학계(402)는 광원(406)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회절형 광변조기(410)에 선형(line shape)의 평행광으로 조사하기 위해 조명 광학부(408)를 포함한다.
조명 광학부(408)는 광원(406)이 방출한 레이저 조명을 선형의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광으로 만든 후에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회절형 광변조기(410)상에 입사시킨다.
이러한 조명 광학부(408)는 일예로 볼록렌즈(미도시)로 이루어지거나 볼록렌즈(미도시)와 콜리메이팅 렌즈(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광학계(402)는 조명 광학부(408)로부터 조사된 선형광을 회절시켜 회절광의 광세기가 조절된 복수의 회절차수의 회절광을 생성하는 회절형 광변조기(41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회절형 광변조기(410)가 출사하는 회절광은 0차 회절광, ±1차 회절광, ±2차 회절광, ±3차 회절광 등등의 여러 회절차수의 회절광을 포함한다.
그리고, 회절형 광변조기(410)가 출사하는 회절광은 선형(line shape)의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회절광이 된다.
또한, 회절형 광변조기(410)가 출사하는 회절광은 하나의 상부 반사부와 그 에 대응되는 하부 반사부(여기에서는 이것을 하나의 엘리멘트라고 부른다)가 형성하는 회절광이 스크린(418)에 형성되는 영상의 하나의 픽셀에 대응하는 회절광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상부 반사부와 그에 대응되는 하부 반사부(복수의 엘리멘트)가 형성하는 회절광이 스크린(418)에 형성되는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회절광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광학계(402)는 회절형 광변조기(410)에서 출사된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광세기 측정부(413) 및/또는 스크린(418)을 향하도록 하는 투사부(412)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광세기 측정부(413)는 스크린(418)의 바로 앞에 위치할 수도 있고 스크린(418)의 양측중 어느 일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스크린(418)과 분리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광세기 측정부(413)가 스크린(418)의 앞단에 위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광학계(402)는 투사부(412)와 스크린(418) 사이에 위치하여 투사부(412)에서 투사된 여러 차수의 회절광에서 사용하기를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스크린(418)로 통과시키는 필터 광학부(41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필터 광학부(416)의 일예는 슬릿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전자계(404)는 광원(406), 회절형 광변조기(410), 투사부(412),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400)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전자계(404)는 광원(406)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전자계(404)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에 따른 회절형 광변조기(410)의 압전체의 상부 전극층과 하부 전극층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여 회절형 광변조기(410)로 출력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전자계(404)는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400)가 생성한 각 칼라별로 구별된 계조도에 대한 보정값에 따른 보정된 구동전압을 생성하여 회절형 광변조기(410)로 출사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전자계(404)는 투사부(412)를 제어하여 투사부(416)가 회절광을 스크린(418)에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전자계(404)의 일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영상 입력부(500), 영상 피봇부(502), 영상 데이터 저장부(503), 감마 기준전압 저장부(504), 영상보정 및 제어부(506),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508), 영상 데이터 출력부(510), 영상동기신호출력부(512), 상부 전극 기준전압 보정부(514), 하부 전극 기준전압 출력부(515), 광원 제어부(516), 스캐닝 제어부(518), 광변조기 구동회로(522), 광원 구동회로(524), 스캐너 구동회로(52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영상 입력부(500)는 외부로부터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동시에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영상 피봇부(502)는 횡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종방향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트랜스포즈를 수행하여 횡방향으로 입력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종방향의 영상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처럼 영상 피봇부(502)에서 데이터 트랜스포즈가 필요한 이유는 회절형 광변조기(410)에서 출사하는 주사선은 복수의 픽셀(일예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480*640인 경우에 480개의 픽셀)에 대응되는 스캐닝 회절 점광이 세로로 배열되어 있어 가로 방향으로 스캔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영상 보정 및 제어부(506)는 스캐닝 시간 동안에는 영상 피봇 부(502)에 의해 데이터 트랜스포즈되어 영상 데이터 저장부(503)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첫번째 열부터 마지막 열까지 순차적으로 읽어 와서 출력한다.
또한, 영상 보정 및 제어부(506)는 영상 피봇부(502)로부터 영상 이미지 데이터가 입력되면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508)에 저장된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테이블에 따른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출력부(510)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감마 기준 전압 저장부(504)에 저장된 상부 전극(감마) 기준전압과 하부 전극(감마) 기준전압이란 회절형 광변조기(410)의 광변조기 구동회로(522)가 엘리멘트별로 영상 데이터의 계조도에 따른 인가 전압을 출력할 때 참조하는 상부 전극 기준전압과 하부 전극 기준전압을 의미한다.
이러한 감마 기준 전압 저장부(504)에 상부 전극 기준전압과 하부 전극 기준전압을 저장하여 회절형 광변조기(410)의 광변조기 구동회로(522)가 계조도에 따른 인가전압을 출력할 때 참조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회절형 광변조기(410)에서 출사되는 회절광의 광세기가 인가되는 전압의 전압레벨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지 않고 비선형적으로 변하는 도 6의 감마특성이 나타내기 때문이다. 즉, 도 6의 광세기 이력 곡선을 참조하면 얻기를 원하는 광세기가 선형적으로 변화되는데 반하여-즉, P1, P2…PN이 간격이 일정하게 할때, 인가되어야 하는 인가 전압은 R1, R2 …RN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지 않고 비선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감마 기준 전압 저장부(504)에 상부 전극 기준전압과 하부 전극 기준전압을 저장하여 회절형 광변조기(410)의 광변조기 구동회로(522)가 계조도에 따른 인가전압을 출력할 때 참조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감마 기준 전압 저장부(504)에 저장되어 있는 상부 전극 기준전압과 하부 전극 기준전압은 각각의 광원에 대해 정해져 있는데 일예로 R광원에 대하여 R1~Rn의 R 상부 전극 기준 전압이, 그리고 G광원에 대하여 G1~Gn의 G 상부 전극 기준 전압이, B광원에 대하여 B1~Bn의 B 상부 전극 기준 전압이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는 영상 데이터 출력부(510)에서 영상 이미지 데이터로 계조도가 입력되면 이에 매칭되는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얻기 위하여 상부 전극 기준전압 보정부(514)로 해당 계조도에 대응되는 상부 전극 기준전압의 출력을 요구한다. 그러면, 상부 전극 기준전압 보정부(514)는 감마 기준전압 저장부(504)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계조도에 대응되는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읽어와서 읽어온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로 출력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는 하부전극 기준전압 출력부(515)로 하부 전극 기준전압의 제공을 요구하며, 이에 따라 하부 전극 기준전압 출력부(515)는 감마 기준전압 저장부(504)에 저장되어 있는 하부 전극 기준전압을 읽어와서 읽어온 하부 전극 기준전압을 출력한다.
한편, 상부 전극 기준전압과 하부 전극 기준 전압은 회절형 광변조기(410)를 제작할 때 회절형 광변조기(410)을 일정 전압 범위에서 반복적으로 구동한 후에 광세기 검출부(일예로 포토다이오드 등)를 이용하여 엘리멘트별 광세기를 얻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따라 엘리멘트별 광세기 이력 곡선을 구성하여 얻어진다. 이때 얻어진 서로 다른 3개의 엘리멘트에 대한 광세기 이력 곡선의 일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데 엘리멘트1의 경우에 광세기가 가장 작은 전압은 Vp1min이고 광세기가 가장 큰 전압의 경우에 Vp1max이며, 엘리멘트 2의 경우에 광세기가 가장 작은 전압은 Vp2min이고 광세기가 가장 큰 전압의 경우에 Vp2max이며, 엘리멘트 3의 경우에 광세기가 가장 작은 전압은 Vp3min이고 가장 큰 전압의 경우는 Vp3max이다.
이때, 시험자는 모든 엘리멘트의 가장 작은 광세기를 검출할 수 있는 최하위 전압과 가장 큰 광세기를 검출할 수 있는 최상위 전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상부 전극 기준 전압 범위를 정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7에서는 Vtmin, Vtmax가 정해진다.
이처럼 시험자가 선택한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감마 기준전압 저장부(504)에 입력하면 입력된 상부 전극 기준전압이 감마 기준전압 저장부(504)에 저장된다.
한편,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508)에 저장된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는 영상 보정 및 제어부(506)가 영상 피봇부(502)에서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하여 보정된 출력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로 작성될 수 있다.
도 8의 보정 데이터 테이블을 보면 외부 입력 영상 계조도(입력 영상 이미지 데이터)가 있고 그 각각에 대하여 보정된 영상 계조도(보정된 출력 영상 이미지 데이터)가 엘리멘트별로 정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예로 엘리멘트 1의 경우에 입력 영상 계조도가 0이면 보정된 영상 계조도는 5이고, 1이면 6, 그리고 254이면 249, 255면 250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 한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가 필요한 이유를 알기 위해 산출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그 산출 과정은 이해하기 위해서는 회절형 광변조기(410)의 디스플레이 응용에서 광변조기 구동회로(522)의 동작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는 계조도가 입력되면 상부 전극 기준전압 보정부(514)로 해당 계조도에 대한 상부 전극 기준전압의 출력을 요구한다. 그러면, 상부 전극 기준전압 보정부(514)는 감마 기준전압 저장부(504)에 저장되어 있는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보정하여 출력하여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는 출력된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구동 전압을 출력한다. 즉 일예로 R 광원에 대하여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R1~Rn이라 한다면,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는 계조 0이 입력되면 구동 전압을 R1를 출력하고 계조 255이 입력되면 구동 전압을 Rn을 출력하며, 0과 255의 사이값이 입력되면 미리 결정된 구동 전압을 출력한다. 그런데,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엘리멘트별로 최소 전압과 최대 전압으로 설정하지 않고 최소 전압과 최대 전압을 모두 포함하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에 역으로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를 산출하여야 한다. 이를 엘리멘트 1에 대해서만 광세기 이력 곡선을 나타내고 있는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계조도가 일예로 0인 경우에 0을 보정하지 않고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로 인가하게 되면 출력전압은 R1가 되며 이때 실제 엘리멘트 1이 출력하는 광세기는 15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제 엘리멘트 1이 0의 광세기를 출사하는 Vp1min에 대응되는 대응 계조도 10을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로 출력하면 된다.
결론적으로,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508)에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영상 계조도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 영상 계조도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로 작성하여 저장하고 있다.
한편, 영상 보정 및 제어부(506)는 영상 피봇부(502)에서 입력받은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영상 동기 신호 출력부(525)로 출력한다.
또한, 영상 보정 및 제어부(506)는 광원 제어부(516)로 광원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광원 제어부(516)가 광원 구동회로(524)를 제어하여 광원을 스위칭하도록 하며, 스캐닝 제어부(518)로 스캐닝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스캐닝 제어부(518)가 스캐너 구동회로(526)를 구동하도록 한다.
그러면,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는 영상 데이터 출력부(510)에서 영상 이미지 데이터(계조도)가 입력되고, 상부 전극 기준 전압 보정부(514)로 상부 전극 기준전압의 출력을 요구하여 상부 전극 기준전압을 입력받아 그에 따른 구동전압을 회절형 광변조기(410)로 출력한다.
한편,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400)는 광세기 측정부(413)와 반사부 변위 보정부(414)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절형 광변조기(410)의 상부 반사부의 각각에 대하여 변위 변화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전자계(404)에 있는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508)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된 영상 계조도를 조정한다.
이러한 광세기 측정부(413)의 내부 구성도의 일예가 도 10a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포토다이오드(600), 증폭기(602), 오프셋 제거기(604),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0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포토다이오드(600)는 광세기 를 측정하여 출력하며, 증폭기(602)는 포토다이오드(600)가 측정한 광세기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물론, 포토다이오드(600)는 광검출기로서 하나의 포토다이오드를 의미하며, 다른 실시예로 CCD, CMOS 이미지 센서도 가능하다. 그리고, 오프셋 제거기(604)는 증폭기(602)에서 출력하는 광세기의 오프셋을 제거하여 출력하는데, 도 11을 보면 큰 오프셋을 갖는 증폭기(602)의 출력 전압이 오프셋이 많이 제거되어 적은 오프셋을 갖는 출력전압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반사부 변위 보정부(414)는 제어부(610), 판정부(612),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 보정값 산출부(616), 테이블 갱신부(618)로 이루어져 있다.
제어부(610)는 판정부(612),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 보정값 산출부(616), 테이블 갱신부(618)를 제어한다.
판정부(612)는 광세기 측정부(413)를 통하여 얻은 광세기를 판정하여 원하는 광세기의 출력 파형에 도달하였지는 판정한다.
그리고,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는 판정부(612)의 판정결과에 따라 샘플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샘플링 데이터를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로 전송하여 광변조기(410)를 구동한다.
여기에서, 보정값 산출부(616)는 판정 결과에 따라 각 픽셀별로 보정값을 산출하여 출력한다.
테이블 갱신부(618)는 보정값 산출부(616)에서 산출된 보정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전자계(404)에 있는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508)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된 영상 계조도를 조정한다.
이후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의 동작을 보정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610)는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에 보정값을 산출하기 위한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110). 이때, 제어부(610)는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에 보정을 원하는 픽셀 번호를 지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610)가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에 픽셀 번호를 지정하여 출력하는 이유는 픽셀별로 보정값을 산출하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픽셀에 인가하는 계조도의 범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가 제어부(610)로부터 픽셀 번호를 인가받으면, 해당 픽셀 이외의 픽셀에 대하여는 기본값을 출력하며, 해당 픽셀에 대하여 계조도를 가변시키며 일정 개수의 연속적인 계조도를 출력한다(단계 S112).
이때,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가 출력하는 계조도의 개수는 감마 기준 전압 저장부(504)에 저장되어 있는 감마 기준 전압의 제어 포인트(controll point)의 개수가 M이라면 M+2개가 된다. 여기에서, 감마 기준 전압의 제어 포인트란 감마 기준 전압의 변화가 감마 특성을 나타나기 때문에 최소 감마 전압과 최대 감마 전압의 사이에 복수개의 제어 포인트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 개수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제어 포인트에 2를 더하는 이유는 최소값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최소값보다 작은 값이 필요하며, 최대값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최대값보다 더 큰값이 필요하기 때문이다(즉, 그패프의 최소점과 최대점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최소점과 최대점의 양 측에 있는 2개의 출력값이 필요한 것과 같은 것이다).
일예로, 13을 보면,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는 제어 포인트가 M개일 때 M+2개의 계조도 값을 인가하게 되는데, 이때 그 간격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초기의 계조도 P에 PD값을 일정한 배수배로 더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는 디스플레이 전자계(404)의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는 샘플링 데이터를 회절형 광변조기(410)에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광세기 측정부(413)가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여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414)로 출력한다.
그러면,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414)의 판정부(612)에서는 최소값과 최대값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최소값과 최대값중에 어느 하나의 값도 검출하기가 힘들다. 왜냐하면,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에서 출력하는 샘플링 데이터의 기본값은 광세기가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판정부(612)는 샘플링 데이터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즉,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414)가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을 수행한 후에 회절형 광변조기(410)에 인가되는 전압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0~VM+1이 된다고 할 때 출력 전압은 I1~Im의 값을 갖는다. 이때, V0에 대한 출력전압이 I0라 하면, 최소 전압이 I1이기 때문에 I0=I2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또한, Vm에 대한 출력 전압이 Im이라고 하면 Im이 최대값이기 때문에 양측에 위치하는 VM-1에 대한 출력값 Im-1과, VM-1에 대한 출력값 Im+1이 Im-1=Im+1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V0~VM+1의 값을 결정할 때 I1~Im에서 각 값이 등간격이 되도록 하여 그에 따라 인가전압값을 결정한다. 즉, 출력 전압의 임의의 값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I1값에 (Im-I1)/M한 값의 배수를 더하여 결정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수학식 1)
In=I1+(n-1)(Im-I1)/M
I0=I2
Im-1=Im+2
따라서, 판정부(612)는 광세기 측정부(413)이 측정한 광세기 측정값이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116, 118).
이러한 판정부(612)는 판정 결과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그 결과를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에 출력하며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는 샘플링 데이터 값을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를 결정한다(단계 S120, 122). 즉,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는 판정부(612)의 판정 결과, 최소값과 최대값이 발견되지 않으며, 도 15a~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그래프를 나타내는지를 판단한다.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는 판정부(612)의 판정 결과가 도 15a의 단조증가 그래프를 나 타내면 샘플링 데이터를 작은 값은 더 작은 값을 인가하도록 하고 큰 값들은 더 큰 값을 인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는 판정부(612)의 판정 결과 도 15b의 볼록한 그래프를 나타내면 샘플링 데이터의 작은 값은 더 작은 값을 나타내도록 인가하고 큰 값들에 대해서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작은 값을 갖도록 이동시킨다. 또한,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는 판정부(612)의 판정 결과가 도 15c에 도시된 오목한 그래프를 나타내면, 샘플링 데이터의 작은 값에 대하여 큰 값을 갖도록 이동시키며, 큰 값에 대해서도 더 큰 값을 가지도록 이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회절형 광변조기의 1차 회절광을 이용하여 반사부 변위 보정을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0차 회절광 또는 2차 회절광등의 짝수차 회절광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면, 그 경우에는 광세기의 그래프가 1차 회절광 즉 홀수 회절광과 반대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가 샘플링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근거가 되는 그래프는 도 15d~15f가 된다.
한편,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614)는 조정된 샘플링 데이터를 광변조기 구동회로(522)로 출력한다(단계 S120).
광변조기 구동회로(522)은 조정된 샘플링 데이터에 따라 광변조기(410)을 구동한다.
그러면, 광세기 측정부(413)은 광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며(단계 S114), 판정부(612)에서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과정부터 반복수행한다.
한편, 판정부(612)의 판정 결과,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며 보정값 산출부(616)는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단계 S130).
그리고, 보정값 산출부(616)은 판정부(612)의 판정 결과에 따라 보정값을 산출하여 산출된 보정값을 테이블 갱신부(618)로 출력한다(단계 S132).
테이블 갱신부(618)는 보정값 산출부(616)에서 출력한 보정값에 따라 픽셀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508)에 저장된 테이블을 갱신한다(단계 S134).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1차원 광변조기의 픽셀별 구동변위 측면에서의 불균일도를 보정함으로써 보정이 없을 시 발생하게 되는 투사영상의 수직 방향의 불균일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화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대 잡음비를 줄여 측정되는 불균일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단계에서 인위적인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불균일 성분을 찾아 보상하고 그 보상값을 저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방법과 비교하여 별도의 장비없이 매우 빠르고 정확하게 불균일 성분을 찾아 보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에 따른 불균일 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보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되지 않고 하나의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불균일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랭크 시간만을 이용해 보정이 가능하여 동작중 실시간 환경변화에 따른 광변조기의 변화에 대해 실시간으로 최적 상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서 출사되는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광세기 측정부; 및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 픽셀별로 복수의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광세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광세기를 입력받아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의 각 픽셀에 대한 반사부의 변위를 측정하여 반사부 변위에 따른 보정값을 산출하는 반사부 변위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 변위 보정부는,
    상기 광세기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광세기 측정값이 최소값과 최대값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판정부;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 광세기 측정값이 최소값과 최대값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 샘플링 데이터의 구간을 이동시켜 새로운 샘플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의 광변조기 구동회로로 출력하는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 광세기 측정값이 최소값과 최대값을 구비하고 있으면 보정값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보정값 산출부;
    상기 보정값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보정값에 따라 엘리멘트별 보정 데이터 저장부의 테이블을 갱신하는 테이블 갱신부; 및
    상기 판정부와,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와, 보정값 산출부와, 테이블 갱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세기 측정부는,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서 출사되는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광검출기;
    상기 광검출기에서 출력되는 광세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광세기에서 오프셋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오프셋 제거기; 및
    상기 오프셋 제거기를 통과하여 오프셋이 제거된 아날로그 광세기 신호를 디지털 광세기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서 출사되는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포토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의 반사부의 변위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해당 픽셀에는 연속적으로 복수의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하고, 다른 픽셀에는 기본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세기 측정부가 홀수차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 광세기 측정값이 단조 증가 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샘플링 데이터를 양측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샘플링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세기 측정부가 짝수차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 광세기 측정값이 단조 감소 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샘플링 데이터를 양측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샘플링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세기 측정부가 홀수차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 광세기 측정값이 볼록 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샘플링 데이터를 작은값측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샘플링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세기 측정부가 짝수차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 광세기 측정값이 볼록 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샘플링 데이터를 큰 값측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샘플링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세기 측정부가 홀수차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 광세기 측정값이 오목 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샘플링 데이터를 큰값측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샘플링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세기 측정부가 짝수차 회절광의 광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샘플링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 광세기 측정값이 오목 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샘플링 데이터를 작은 값측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샘플링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부 변위 변화 보정 장치.
KR1020070023097A 2007-03-08 2007-03-08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 KR100871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097A KR100871019B1 (ko) 2007-03-08 2007-03-08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097A KR100871019B1 (ko) 2007-03-08 2007-03-08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339A KR20080082339A (ko) 2008-09-11
KR100871019B1 true KR100871019B1 (ko) 2008-11-27

Family

ID=4002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097A KR100871019B1 (ko) 2007-03-08 2007-03-08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0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5792A1 (en) * 2002-10-17 2004-07-29 Koichi Maeyama Image production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optical modulation device adjus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5792A1 (en) * 2002-10-17 2004-07-29 Koichi Maeyama Image production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optical modulation device adjus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339A (ko)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8181B2 (en) Apparatus for adjusting applied voltage in display system using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KR20140122254A (ko) 광학 장치 및 방법
KR101968775B1 (ko) 공간 광 변조 장치 및 공간 광 변조 방법
KR100897665B1 (ko) 회절형 광변조기의 교정 데이터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01661A (ko) Lcd패널을 이용한 모아레 형상측정장치
KR100890288B1 (ko)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량 보정 장치
US200602791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reflecting mirror
KR100871019B1 (ko)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
JP2008058968A (ja) 回折型光変調器における反射部の変位変化補正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898566B1 (ko) 모니터링 광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66803A (ko)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온도 보상 장치
KR100905610B1 (ko)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량 보정 장치
KR100897672B1 (ko)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미사용 회절차수의 회절광을이용한 반사부의 변위 변화량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890301B1 (ko)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컬러 특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5806B1 (ko)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반사부의 변위 변화 보정 장치및 그 방법
KR100843378B1 (ko)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화면 불균일 감소 장치
KR20090021612A (ko) 온도 변화에 따른 광변조기의 변화를 보상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53099A (ko)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인가 전압 조정 장치
KR20070045907A (ko)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인가 전압 조정 장치
US8077378B1 (en)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ght modulation device
KR100812644B1 (ko) 광변조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광변조기 보상방법
KR20070117144A (ko) 회절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회절광의 일부를 이용한반사부의 변위 변화량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818190B1 (ko) 광변조기의 물리적 변형 보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6350B1 (ko)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해상도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Inoue et al. Highly stable wavefront control using a hybrid liquid-crystal spatial light mod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