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740B1 - A primary settlement tank for regulating flux - Google Patents
A primary settlement tank for regulating flu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0740B1 KR100870740B1 KR1020070125893A KR20070125893A KR100870740B1 KR 100870740 B1 KR100870740 B1 KR 100870740B1 KR 1020070125893 A KR1020070125893 A KR 1020070125893A KR 20070125893 A KR20070125893 A KR 20070125893A KR 100870740 B1 KR100870740 B1 KR 1008707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 tank
- wastewater
- flow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라 유량조정조와 일차침전지가 모두 구비된 하·폐수처리장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1A and 1B are schematic flow charts showing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equipped with both a flow regulating tank and a primary settling batte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라 유량조정조가 생략되고 일차침전지만이 구비된 하·폐수처리장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Figure 2a and Figure 2b is a schematic flow chart showing a waste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which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is omitted and only the primary settler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가 하·폐수처리장에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3 is a schematic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where a primary settler battery having a flow rate controll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도 4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imary needle battery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5 is a plan view showing a primary needle battery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 2도류벽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고, 6A and 6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flow walls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A to 7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일차침전지 110 : 침전조100: primary sedimentation battery 110: sedimentation tank
120 : 제 1분배조 130 : 제 2분배조120: first division tank 130: second division tank
140 : 자연유동라인 150 : 강제유동라인140: natural flow line 150: forced flow line
160, 190 : 제1,2도류벽160, 190: First and second flow walls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에 적용되는 일차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일차침전지에 복수의 챔버를 구성하고 자연유하에 의한 생물반응조로의 하·폐수 공급 및 선택된 챔버로부터의 강제유하에 의한 생물반응조로의 하·폐수 공급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하·폐수처리장으로의 하·폐수 유입량에 상관없이 일정량의 하·폐수를 생물반응조로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mary sedimentation battery applied to a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mary sedimentation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urality of chambers in a primary sedimentation cell, and to a wastewater supply to a bioreactor by natural oil and a forced discharge from a selected cha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mary sedimentation battery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a certain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to a bioreactor regardless of the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일반적으로 하·폐수처리장에는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하·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정조와 하·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성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일차침전지와 생물반응조가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즉, 상기 일차침전지는 후단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예비처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하·폐수를 일정시간 체류시켜 물보다 무거운 부유 입자를 중력에 의해 침전 분리하는 것으로 침전된 물질은 생슬러지로 제거되고, 물보다 가벼운 물질은 수표면의 스컴제거장치를 통해서 제거한 후 무동력에 의한 자연유하로 상기 생물반응조로 유입된다. 상기 일차침전지는 일반적으로 운전관리를 위해 소정 크기로 구분된 다수의 챔버로 구획되어져 사용하고 있으며, 일차침전지로부터 생물반응조까지의 하·폐수의 흐름은 무동력에 의한 자연유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생물반응조는 산소공급장치를 통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산화분해시키거나, 임의성 또는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므로 미생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유지되어야 하고 일정한 체류시간을 유지해야 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일차침전지로부터 생물반응조로 공급되는 하·폐수량이 항상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as shown in FIGS. 1A and 1B,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has a flow control tank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wastewater from the outside, and a primary settler and a bioreactor for removing floating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re applied sequentially. That is, the primary sedimentation battery serves as a pretreatment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the rear stage, so that the sewage and wastewater flowing in stay for a predetermined time to precipitate and separate suspended particles heavier than water by gravity by means of fresh sludge. Substances that are lighter than water are removed through the scum removal device on the water surface and then flow into the bioreactor with natural flow due to no power. The primary sedimentation battery is generally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hambers divided into predetermined sizes for operation management, and the flow of sewage and wastewater from the primary sedimentation battery to the bioreactor is performed by natural flow due to no power. In this case, the bioreactor is a process of oxidatively decomposing contaminants using aerobic microorganisms through an oxygen supply device, or removing contaminants using random or anaerobic microorganisms, so that an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must be maintained and a constant stay is maintained. Time must be maintained to ensure process stability.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supplied from the primary settler to the bioreactor is always constant.
그런데 하·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폐수의 유량은 시간대에 따라 크게 변동한다. 예를 들면 사람들의 활동이 활발한 낮 시간대에는 하·폐수량이 증가하고, 사람들이 활동을 거의 하지 않는 새벽시간대에는 하·폐수량이 급격이 감소된다. 하지만 하·폐수처리장의 모든 구조물들은 평균적으로 유입되는 하·폐수량을 기준으로 각각 설계하고 있으며, 생물반응조는 일평균 유입 하·폐수량을 기준으로 설계한다. 따라서 기존의 기술은 일평균 유입 하·폐수량으로 설계된 생물반응조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하여 시간대별로 변동이 심한 유입 하·폐수량을 별도의 유량조정조 설치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However, the flow rate of sewage and wastewater flowing into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time of day. For example, the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increases during the daytime when people are active, and the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decreases rapidly during the early morning hours when people are not active. However, all structures of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re designed based on the average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introduced, and bioreactors are designed based on the daily average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Therefore, the existing technology is able to buffer the inflow and wastewater volume fluctuated over time by installing a separate flow control tank for stable operation of the bioreactor designed with daily average inflow and wastewater flow.
이러한 유량조정조는 배열방식에 따라 직렬방식과 병렬방식으로 구분되는데 도 1a는 유입하수가 모두 유량조정조를 통과하는 직렬방식이고, 도 1b는 1일 최대하수량을 초과하는 양만 유량조정조로 유입되는 병렬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량조정조를 설치하게 되면 유입하수량의 변동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량조정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넓은 면적의 설치부지가 요구되므로 부지구입 비용과 시설공사비 등이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These flow adjusting tanks are classified into a serial method and a parallel metho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method. FIG. 1A is a serial method in which all inflow and outflow water passes through the flow adjusting tank, and FIG. 1B is a parallel method in which only an amount exceeding the maximum daily amount of sewage flows into the flow adjusting tank. to be. Therefore, if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fluctuations in the inflow and outflow. However, in order to install such a flow rate adjustment tank, since the installation site of a very large area is required, the site purchase cost and facility construction cost, etc. have a high co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93580호 "유량조정 기능을 갖는 일차침전지와 이를 이용한 유량조정방법"에서는 유량조정조가 생략되고 일차침전지에서 침전된 하수를 일차침전지 이전 공정인 펌프장으로 반송하여 유량조정 기능을 갖도록 한 일차침전지를 제시하고 있다. 즉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차침전지로 유입하수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유입펌프로 구성된 펌프장과 상기 펌프장에서 펌핑되는 유입하수를 유량조정용 일차침전지의 각 침전조로 균등 분배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배장치와 다수의 침전조로부터 침전조 내부의 하수를 상기 펌프장으로 반송하는 반송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기술은 유입하수의 수량이 부족할 때, 유량조정용 일차침전지의 침전조 중 선택된 어느 침전조의 하수를 상기 펌프장으로 반송하고, 상기 펌프장에 설치된 유입펌프를 이용하여 반송된 하수를 분배장치로 다시 유입시켜서 유량조정용 일차침전지의 각 침전조로 균등하게 공급하도록 하는 기술로써 이미 일차침전지에서 침전하여 처리된 하수를 다시 펌프장으로 보내어 퍼 올리도록 함으로써 중복된 펌핑으로 전력비가 증가되며, 또한 침전이 된 하·폐수를 전단으로 리싸이클 하여 다시 침전조로 유입하게 함으로써 재침전을 해야 하는 불합리한 공정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기술은 침전된 조내 하수를 이전 공정인 펌프장으로 반송한 후 다시 퍼 올림으로써 하수도시설기준에서 제시된 침전을 위한 적정한 표면적부하율을 맞추기 위해서 일차침전지의 용적을 크게 해야 하므로 부지 면적이 커져야만 되는 단점을 가지 고 있다. 상기 기술을 기존에 설치 운영 중인 시설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일차침전지의 적정한 용적이 확보되어야 가능하므로 적용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신규시설의 적용시에도 일차침전지의 용적이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493580 "Primary Sedimentation Cell with Flow Adjustment Function and Flow Adjustment Method Using It" omits the flow adjustment tank and returns the sewage precipitated from the primary sedimentation cell to the pumping station before the primary sedimentation battery. The primary settler battery with the adjustment function is proposed. That is, 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is installed so that the pumping station consisting of the inlet pump to transfer the influent sewage to the primary sedimentation battery and the inflow sewage pumped from the pump station to be evenly distributed to each settling tank of the flow control primary sedimentation cell And a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sewage inside the sedimentation tank from the plurality of settling tanks to the pump station. When the quantity of inflow sewage is insufficient, this technology returns the sewage of any sedimentation tank selected from the sedimentation tank of the primary settling cell for flow rate adjustment to the pump station, and flows the sewage returned to the distribution device by using the inflow pump installed in the pump station. It is a technology to supply equally to each sedimentation tank of adjusting primary sedimentation cell, and the sewage which has already been settled in primary sedimentation cell is sent back to pumping station and pumped up so that the power cost is increased by redundant pumping, and the sewage and sewage water which has settled is sheared. It has an unreasonable process configuration that needs to be reprecipitated by recycling it to the sedimentation tank again. In addition, this technology is required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primary settler in order to meet the proper surface area load ratio for sedimentation proposed in the sewage system standards by returning the sedimentary sewage in the tank and returning it to the previous process. It has a downside. In order to apply the technology to a facility that is already installed and operated, it is possible to secure an appropriate volume of the primary settler battery, and thus has a limitation in applic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부지면적을 필요로 하는 유량조정조를 생략하면서도 유입 하·폐수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생물반응조로 공급되는 하·폐수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일차침전지의 용적에 상관없이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이미 침전된 하·폐수를 다시 리싸이클 하여 재침전하게 하는 불필요한 공정이 필요 없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niformize the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supplied to the bioreactor regardless of fluctuations in the amount of inflow and wastewater, while omitting a flow adjustment tank requiring a large amount of land area. It is to provide a primary settler battery which can maintain the flow rate, can be flexibly applied irrespective of the volume of the primary settler battery, and can control the flow rate without the unnecessary process of re-precipitating the recycled sewage and wastewater aga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는 하·폐수 처리장에서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부유성 이물질을 제거하여 생물반응조로 하·폐수를 유출하는 일차침전지에 있어서, 다수의 챔버로 구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전단에 구성되며 다수의 챔버에 하수를 균등하게 분배하는 제 1분배조와; 상기 침전조의 후단에 구성되며 상기 침전조로부터 유출되는 하수를 균등하게 상기 생물반응조로 분배하는 제 2분배조와; 상기 침전조와 상기 제 2분배조 사이에 하수가 유동하는 자연유동라인과 강제유동라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low rate-controlled primary settler battery includes a plurality of chambers in a primary settler cell which discharges sewage and wastewater to a bioreactor by removing floating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sewage introduced from a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A settling tank consisting of; A first distribution tank configured at the front end of the settling tank and distributing sewage equally to the plurality of chambers; A second distribution tank configured at a rear end of the precipitation tank and equally distributing sewage flowing out of the precipitation tank to the bioreactor;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natural flow line and a forced flow line in which sewage flows between the settling tank and the second distribution tank.
상기 침전조와 상기 제 2분배조 사이에는 하·폐수가 유동하는 2개의 라인이 구성되는데, 우선 상기 자연유동라인은 상기 각각의 챔버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 2분배조로 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로가 구성되며, 이러한 복수의 유로는 하나로 합류하여 상기 제 2분배조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Two lines are provided between the sedimentation tank and the second distribution tank, in which sewage and wastewater flow. First, the natural flow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flow paths so that sewage flows into the second distribution tank from the top of each chamber. The plurality of flow paths are configured to join one and communicate with the second distribution tank.
또 하나의 라인으로 상기 강제유동라인은 상기 각각의 챔버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 2분배조로 하·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로가 구성되며, 이러한 복수의 유로도 하나로 합류하여 상기 제 2분배조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In another line, the forced flow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flow paths so that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second distribution tank from the lower portion of each chamber, and the plurality of flow paths also join together to form the second distribution tank. Configured to communicate.
상기 강제유동라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유로에는 제어밸브가 구성되어 챔버로부터의 하수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Each flow passage constituting the forced flow line is configured with a control valve to selectively control the sewage flow from the chamber.
상기 제2분배조는 상기 자연유동라인 및 상기 강제유동라인의 일단과 연통하며 상기 각각의 챔버로부터 유동된 하·폐수를 일시적으로 혼합하였다가 상기 생물반응조로 혼합된 하·폐수를 유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수가 일시적으로 혼합되는 혼합실과 상기 혼합실로부터 하수가 유동하여 분배되는 복수의 분배실로 구성되며, 상기 혼합실에서 상기 분배실로 하·폐수가 유동할 시 그 흐름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도류벽이 구성된다.The second distribution tank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one end of the natural flow line and the forced flow line to temporarily mix the sewage and wastewater flowing from the respective chambers, and to discharge the mixed sewage and wastewater into the bioreactor. It consists of a mixing chamber in which sewage is temporarily mixed and a plurality of distribution chambers in which sewage flows from the mixing chamber and is distributed. The flow wall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peed of the flow of waste water from the mixing chamber to the distribution chamber.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가 하·폐수처리장에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 침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도류벽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flow chart showing a case where the flow rate adjustable primary sedimentation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sewage, wastewater treatment pla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imary sedimentation basin can be adjusted flow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6A and 6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uctive wall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to 7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는 크게 3개의 조로 구성되는 바, 제 1분배조, 침전조, 제 2분배조로 구성되어 이러한 3개의 조의 작용에 의해 펌프장에서 유출되는 하·폐수가 생물반응조로 일정 유량이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펌프장(10)으로 유입된 하·폐수가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100)로 유입되는데, 세부적으로는 제 1분배조(120)로 유입되어 침전조(110)의 각각의 챔버(111)로 균등하게 하·폐수가 분배되며, 침전조(110)의 각각의 챔버(111)에 하·폐수로부터의 이물질이 침전과정을 거치고 각각의 챔버(111)와 연통하는 자연유동라인(140) 또는 강제유동라인(150)을 통해 제 2분배조(130)로 하·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하·폐수는 제 2분배조(130)에서 정류과정을 거쳐 생물반응조(20)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rimary sedimentation battery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ree tanks, which is composed of a first division tank, a settling tank, and a second division tank, and the sewage and wastewater flowing out of the pump station by the action of these three tanks is fixed as a bioreactor. 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flow rate to flow out.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sewage and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우선 상기 침전조(110)는 그 내부에 복수의 챔버(111)가 구성되는 바, 각각의 챔버(111)는 바닥면이 경사구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구배가 형성됨에 의해 챔버(111) 내에서 자연스럽게 유입된 하·폐수가 유동을 할 수 있으며, 침전되는 이물질이 일측에 침적되므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First,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챔버(111)에 유입된 하·폐수의 흐름방향과 직각으로 제 1도류벽(160)이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t least one
상기 제 1도류벽(160)은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공부(165)를 형성하는 2중벽 구조로 형성되는데, 제 1분배조(120) 방향의 전면벽(161) 즉 유입된 하·폐수가 유동 시 먼저 접하게 되는 벽에는 상부에 복수의 관통공(163)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벽(161)과 일정거리가 유격된 후면벽(162)에는 하부에 복수의 관통공(164)이 형성되는데, 유입된 하·폐수가 전면벽(161)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63)을 통해 유입되어 중공부(165)를 거쳐 후면벽(162)에 형성된 관통공(164)을 통하여 유출됨에 의해 하·폐수의 챔버(111) 내 체류시간을 길게 가져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도류벽(160)의 수, 관통공(163, 164)의 크기 및 수, 중공부(165)의 너비 등을 조절함으로써 챔버(111) 내에서 하·폐수의 체류시간을 조절하여 이물질의 침전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하며 배출되는 하·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상기 제1분배조(12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펌프장(10)과 파이프 등 유로(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통되며 유입된 하·폐수를 일시적으로 혼합하는 혼합실(121)과 상기 혼합실(121)로부터 하·폐수가 유동하여 분배되 는 복수의 분배실(122)로 구성되어 펌프장(10)으로부터 유입된 하·폐수가 균등하게 분배되어 상기 침전조(110)의 각각의 챔버(111)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분배실(122)은 복수의 유출라인(170)에 의해 각각의 챔버(111)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유출라인(170)에는 각각 제어밸브(172)가 구성되어 선택된 챔버(111)로의 하·폐수 유입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상기 제2분배조(13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전조(100)와 자연유동라인(140) 및 강제유동라인(150)을 통해 연통되며 유입된 하·폐수를 일시적으로 혼합하는 혼합실(131)과 상기 혼합실(131)로부터 하·폐수가 유동하여 분배되는 복수의 분배실(132)로 구성되어 침전조(100)로부터 유입된 하·폐수가 균등하게 분배되어 상기 생물반응조(20)로 하·폐수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분배실(132)은 복수의 유출라인(180)에 의해 생물반응조(20)로 하·폐수가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실(131)과 상기 분배실(132)은 제 2도류벽(190)에 의해 구획되어 지는데, 상기 제 2도류벽(190)도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공부(195)를 형성하는 2중벽 구조로 형성되는데, 혼합실(131) 방향의 전면벽(191) 즉 유입된 하·폐수가 유동 시 먼저 접하게 되는 벽에는 상부에 복수의 관통공(193)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벽(191)과 일정거리가 유격된 후면벽(192)에는 하부에 복수의 관통공(194)이 형성되는데, 유입된 하·폐수가 전면벽(191)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93)을 통해 유입되어 중공부(195)를 거쳐 후면벽(192)에 형성된 관통공(194)을 통하여 각각의 분배실(132)로 유출됨에 의해 하·폐수의 제 2분배조(130) 내 체류시간을 길게 가져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2도류벽(190)의 수, 관통공(193, 194)의 크기 및 수, 중공부(195)의 너비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 2분배조(130) 내에서 하·폐수의 체류시간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하·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또한, 상기 제 1, 2도류벽(160, 190)은 정류작용은 물론 전면벽(161, 191)의 상부에 복수의 관통공(163, 193)이 구성됨에 의해 월류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nd
상기 자연유동라인(140)은 상기 각각의 챔버(111)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 2분배조(130)의 혼합실(131)로 하·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로(141)가 구성되는데, 상기 자연유동라인(140)에 의한 하·폐수의 유동은 무동력에 의한 흐름으로 챔버(111) 상부까지 하·폐수가 차면 상기 유로(141)를 통해 하·폐수가 유출되며 이러한 각각의 유로(141)를 통한 하·폐수 유출은 통합유로(142)를 통해 상기 혼합실(131)로 유출되는 것이다.The
한편, 상기 강제유동라인(150)은 상기 각각의 챔버(111)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 2분배조(130)의 혼합실(131)로 하·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로(151)가 구성되는데, 상기 강제유동라인(150)은 인위적으로 선택되어진 챔버(111)에서 하·폐수를 유출하여 각각의 해당 유로(151)를 통해 하·폐수를 유출하며, 각각의 유로(151)를 통한 하·폐수의 유동은 통합유로(154)를 통해 상기 혼합실(131)로 유출된다. 상기 각각의 유로(151)에는 제어밸브(152)가 구성됨으로써 선택되어진 챔버(111)에서 하·폐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유로(154)에는 강제적인 하·폐수의 유출을 위해 펌프(153)가 구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orced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도 7a 및 도 7b는 하·폐수처리장의 외부로부터 하·폐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침전조(110)의 각각의 챔버(111)에서 순차적으로 강제유동라인(150)을 작동하여 생물반응조(20)에 일정한 유량의 하·폐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처리경과를 나타내는 일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며, 도 7c는 하·폐수처리장의 외부로부터 하·폐수가 유입되지 않아 강제유동라인(150)을 작동시키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하·폐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강제유동라인(150)을 중단시키고 자연유동라인(140)에 의한 자연유하로 하·폐수를 일정한 유량으로 생물반응조(20)에 공급하고, 고갈된 챔버(111)에 하·폐수를 충수시키는 처리경과를 나타내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7A and 7B illustrate that when the sewage and wastewater do not flow from the outside of the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forced
일반적으로 펌프장(10)은 수위센서(측정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수위감지와 펌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연동으로 운전되고 있는 바, 하·폐수처리장의 외부로부터 하·폐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펌프장(10)의 수위가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펌프장(10)에 설치된 수위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In general, the
상기 신호에 의해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전조(110)에서 만수위 상태에 있는 챔버(111a)가 선택되며, 선택된 챔버(111a)에 구성된 강제유동라인(150) 중 해당 유로(151a)의 제어밸브(152a)가 개방되며 펌프(153)의 작동으로 선택된 챔버(111a)의 하·폐수가 제 2분배조(130)의 혼합실(131)로 유출된다. 이 경우 펌프장(10) 및 제 1분배조(120)를 통해 유입되어 지는 하·폐수는 선택된 챔버(111a)로 유입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 1분배조(120a)의 해당 분배실(122a)과 연통되는 유출라 인(171a)의 제어밸브(172a)를 폐쇄시킨다. 이때 선택된 챔버(111a)에 침적되는 이물질은 이물질배출라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외부로 유출을 하여야 이물질이 제 2분배조(130)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7A, the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택된 챔버(111a)의 하·폐수가 완전히 고갈되고, 선택된 챔버(111a)의 수위센서(s)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개방되어 있는 유로(151a)의 제어밸브(152a)를 폐쇄하고, 타 챔버(111b)를 선택하여 해당 제어밸브(152b)를 개방하여 타 챔버(111b)의 하·폐수가 제 2분배조(130)의 혼합실(131)로 유출된다. 이때 선택된 챔버(111a) 및 타 챔버(111b)에 하·폐수의 유입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 1분배조(120)의 해당 분배실(122a, b)과 연통되는 유출라인(171a, b)의 각각의 제어밸브(172a, b)를 모두 폐쇄시킨다. 이러한 챔버(111)의 선택은 복수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Through this process, the waste water of the selected
이러한 과정 즉 침전조(110)의 챔버(111a, b)의 하·폐수가 전부 또는 일부 고갈된 상태에서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충분한 양의 하수가 유입되면, 상기 펌프장(10)의 수위가 증가하고, 상기 펌프장(10)의 수위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하·폐수를 유출하고 있는 챔버(111b)에서 해당 유로(151b)의 제어밸브(152b)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펌프(153)의 작동을 중단시켜 하·폐수의 강제유동라인(150)으로의 유출을 중지시킨다.In this process, that is, when the sewage and wastewater of the
그리고 펌프장(10)으로 유입되는 하·폐수는 제 1분배조(120)로 유출되고 있으므로 제 1분배조(120)의 각각의 분배실(122)과 연통되는 유출라인(170)의 제어밸 브(172)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시킨다. 그러면 제 1분배조(120)에 의해 균등분배된 하·폐수가 침전조(110)의 각각의 챔버(111)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만수위 상태의 챔버(111c, d)로 유입된 하·폐수는 침전과정을 거친 다음 무동력에 의한 자연유하로 유출되어 제 2분배조(130)를 통해 생물반응조(20)로 공급된다. 그러나 하·폐수가 고갈된 챔버(111a, b)로 유입되는 하·폐수는 만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충수과정이 지속된다.And since the sewage and wastewater flowing into the
한편, 하·폐수처리장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량이 일시적으로 불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고갈된 챔버(111)로 유입되는 하·폐수량을 해당 유출라인(170)의 제어밸브(172)를 제한함으로써 유량을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sewage flowing in from the outside of the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is temporarily insufficient, the flow rate is controlled by limiting th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는 별도의 유량조정조를 설치하지 않고도 침전조의 각각의 챔버에 저장된 하·폐수를 강제유동라인 및 자연유동라인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하·폐수 유량을 유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제적이며 각각의 챔버를 주기적으로 비워줌으로써 이물질(슬러지)의 계면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imary settling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fixed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flow rate using a forced flow line and a natural flow line for sewage and wastewater stored in each chamber of the sedimentation tank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flow adjustment tank. It is economical by allowing to flow out of the chamber, and each chamber is emptied periodically to facilitate the interface management of foreign matter (sludge).
또한, 본 발명의 유량조정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는 리싸이클 형식의 유량조정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리싸이클에 따른 동력원이 필요 없고 불필요한 이중의 침전 공정을 할 필요가 없어 공정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imary settling battery which can adjust the flow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recycle type, there is no need for a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recycle and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n unnecessary double precipitation process,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rocess.
또한, 침전조 및 제 2분배조에 정류작용과 월류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도류벽을 구성함에 의해 하·폐수의 유속을 제한하여 일정한 유량이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onstant flow rate can be supplied by limiting the flow rate of the sewage and wastewater by configuring a flow barrier wall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rectification and overflowing operations in the sedimentation tank and the second distribution tank.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5893A KR100870740B1 (en) | 2007-12-06 | 2007-12-06 | A primary settlement tank for regulating flu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5893A KR100870740B1 (en) | 2007-12-06 | 2007-12-06 | A primary settlement tank for regulating flu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0740B1 true KR100870740B1 (en) | 2008-11-27 |
Family
ID=4028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5893A KR100870740B1 (en) | 2007-12-06 | 2007-12-06 | A primary settlement tank for regulating flu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074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26369A (en) * | 2015-05-12 | 2015-08-12 |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 Rotary type horizontal flow sedimentation tank |
KR102025106B1 (en) * | 2019-05-20 | 2019-09-25 | 대구환경공단 | Distributing device for liqui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7228A (en) * | 2001-02-16 | 2002-08-22 | (주)경동이엔씨 | Prefabricated disposal plant of waste or water polluted |
KR20050028899A (en) * | 2004-12-17 | 2005-03-23 | (주)이엠엔씨코리아 | Primary settling basin having flow regulation function and flow regula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20050088047A (en) * | 2005-07-05 | 2005-09-01 | (주)이엠엔씨코리아 |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bnormal water inflow using the same |
KR20070037477A (en) * | 2007-03-16 | 2007-04-04 | 주식회사 하이텍엔지니어링 | Flow regulation method of primary settling basin appling a coercive discharge system |
-
2007
- 2007-12-06 KR KR1020070125893A patent/KR10087074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7228A (en) * | 2001-02-16 | 2002-08-22 | (주)경동이엔씨 | Prefabricated disposal plant of waste or water polluted |
KR20050028899A (en) * | 2004-12-17 | 2005-03-23 | (주)이엠엔씨코리아 | Primary settling basin having flow regulation function and flow regula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20050088047A (en) * | 2005-07-05 | 2005-09-01 | (주)이엠엔씨코리아 |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bnormal water inflow using the same |
KR20070037477A (en) * | 2007-03-16 | 2007-04-04 | 주식회사 하이텍엔지니어링 | Flow regulation method of primary settling basin appling a coercive discharge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26369A (en) * | 2015-05-12 | 2015-08-12 |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 Rotary type horizontal flow sedimentation tank |
KR102025106B1 (en) * | 2019-05-20 | 2019-09-25 | 대구환경공단 | Distributing device for liqui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2378B1 (en) | Sewage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in underground tank | |
CN109020091A (en) | A kind of combined type artificial marsh sewage treatment system and its processing method | |
US3805957A (en) | Floating solids return device | |
US6802975B2 (en) | Method for biological effluent treatment | |
CN111875182B (en) | Operation method of micro-polluted water body treatment system | |
KR100870740B1 (en) | A primary settlement tank for regulating flux | |
KR102031866B1 (en) | Oxic zone control type activated sludge process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0394701B1 (en) | Drain management system | |
KR100537049B1 (en) | A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activated sludge process equipped 2-stage clarifier | |
US6620322B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purifying a waste influent material | |
KR20070037477A (en) | Flow regulation method of primary settling basin appling a coercive discharge system | |
KR20050043855A (en) | Self controlling sewage or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 |
CA315478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return activated sludge | |
KR100493580B1 (en) | Primary settling basin having flow regulation function and flow regul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60024288A (en) | A high efficiency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by vortexed biological reactor-settler | |
KR101577063B1 (en) |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reactor integrated by settling tank/aeration tank | |
KR20090130283A (en) | A settling tank having an aeration part in its inner space | |
KR100375549B1 (en) | Floating internal clarifier | |
CN213141749U (en) | Pretreatment tank and water body treatment system using same | |
KR100540549B1 (en) | An Apparatus for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Using Vertical Type Membrane Bio-Reactor | |
KR101027719B1 (en) |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ulti-story structures to improve the removal t-p and method for improvement of settling pond | |
CN221191586U (en) | Non-occupation of land spore transfer system | |
CN213446434U (en) | SBR reactor without decanter | |
CN108249567A (en) | Sewage disposal device | |
KR200400681Y1 (en) | Device for regulating the fluid flo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