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059B1 -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059B1
KR100870059B1 KR1020020011374A KR20020011374A KR100870059B1 KR 100870059 B1 KR100870059 B1 KR 100870059B1 KR 1020020011374 A KR1020020011374 A KR 1020020011374A KR 20020011374 A KR20020011374 A KR 20020011374A KR 100870059 B1 KR100870059 B1 KR 100870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ghness
sound
frequency band
sign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505A (ko
Inventor
이승화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0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00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 G01D1/02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giving mean values, e.g. root means square val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4Fourier, Walsh or analogous domain transformations, e.g. Laplace, Hilbert, Karhunen-Loeve, transfor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6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 G10K1/063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the sounding member being a bell
    • G10K1/064Operating or striking mechanisms therefor
    • G10K1/0645Operating or striking mechanisms therefor provided with loudness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2Amplifying systems for the dea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관하여 게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러프니스사운드 측정방법은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한 라우드니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라우드니스를 각 주파수대역 별로 분리하는 단계; 주파수대역 별로 분리된 음향신호를 역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파수 도메인을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음향신호에 대한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음향신호의 시간 도메인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시키고, 효과적 변조도를 검출하는 단계; 효과적 변조도가 검출된 다음, 각 주파수대역 별로 소정의 가중치를 부과하는 단계; 가중치가 부과된 각 주파수 대역의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한 다음, 적분하여 러프니스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음향신호 중에서 사람이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러프니스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SYSTEM FOR MEASURING ROUGHNESS SOUND AND METHOD FOR MEASURING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을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에 나타나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마이크로폰 110 : 증폭부
120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130 : 버퍼
140 : 디에스피부(DSP) 150 : 메모리
16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러프니스사운드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우드니스를 이용하여 음향신호를 각 주파수밴드별로 분리하고, 각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된 음향신호로 러프니스를 측정하는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 한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신호는 전 주파수대역에 걸쳐서 균일한 증폭특성을 나타내지 않고 주파수마다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감쇠량을 보상하여 전체적인 주파수 증폭특성을 평탄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회로나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음향신호는 라우드니스(loudness), 샤프니스(sharpness), 러프니스(roughness), 요동강도(fluctuation strength) 등이 있다.
상기 라우드니스는 사람이 느끼는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심리음향인자이다. 사람의 귀는 주파수에 따라 소리의 크기에 대한 민감도가 변하기 때문에, 같은 데시벨 값을 갖는 소리도 주파수에 따라 동일한 크기로 느끼지 않는다. 따라서, 라우드니스로는 데시벨 대신, 사람이 느끼는 감각상 음의 크기 단위인 손(sone)을 사용한다. 따라서, 손의 값이 두배 증가되어야 소리의 크기가 두배로 증가된 것처럼 느껴진다.
샤프니스는 소리가 날카롭거나 무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이 값은 저주파와 고주파 사이의 균형을 나타내며, 음향신호 중에 고주파영역이 많을수록 날카롭게 들린다.
러프니스는 소리의크기나 주파수변조에 의해 발생하는 음의 거칠기를 평가하는 지각량이다. 15Hz 부근의 변조시 귀는 소리의 요동현상이라기 보다는 떨림이나 윙윙거리는 소리로 인식하기 시작하고, 70Hz 부근의 빠른 주파수변조에 매우 민감하게 소리의 거칠기를 느낀다.
요동강도는 소리의 저주파크기변조를 정량적으로 표시하는 량이다. 귀는 4Hz 로 변조된 소리의 요동에 가장 민감하다. 소리가 20Hz 이하의 주파수로 변조되면 귀는 시간에 따라 느리게 변화하는 크기의 변화, 즉 소리의 요동을 감지하게 된다. 일예로, 음향신호의 주파수밴드분리신호가 100Hz의 밴드구간을 갖는 신호라고 가정하는 경우, 이렇게 분리된 각 주파수밴드분리신호의 각 심리음향인자별 특성에 가중치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즉, 이 주파수밴드분리신호가 러프니스에서 큰 특성을 나타낸다고 할때, 이 러프니스값에 가중치가 부여된다.
이러한 심리음향인자 중에서 사람이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것이 음의 거칠기인 러프니스이다.
그러나, 종래의 소음측정 장치인 데시벨 미터로는 음의 압력만을 측정할 뿐, 사람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러프니스를 측정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라우드니스를 검출하여 각 주파수대역 별로 나누고, 상기 음향신호에 대한 직류성분의 평균값과 교류성분의 첨두치(rms)값의 비를 이용하여 효과적 변조도를 검출한한 다음, 적분하여 소정의 음향신호에 대한 러프니스를 계산하는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러프니스사운드 측정방법은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한 라우드니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라우드니스를 각 주파수대역 별로 분리하는 단계;
주파수대역 별로 분리된 음향신호를 역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파수 도메인을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음향신호에 대한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음향신호의 시간 도메인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시키고, 효과적 변조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효과적 변조도가 검출된 다음, 각 주파수대역 별로 소정의 가중치를 부과하는 단계;
가중치가 부과된 각 주파수 대역의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한 다음, 적분하여 러프니스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은,
소정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부터 입력받은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음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컨버터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서 변환된 음향신호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
상기 버퍼에서 저장된 음향 신호의 러프니스를 측정하는 DSP;
상기 DSP에서 측정된 음향신호의 러프니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DSP에서 측정된 러프니스를 측정한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러프니스사운드 측정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을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소음측정 장치는 소정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100)과, 상기 마이크로폰(100)에서 입력받은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10)와, 증폭된 음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20)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130)와, 상기 버퍼(130)를 통해 전송받는 디지털 음향신호의 러프니스를 측정하는 디에스피부(140)와, 상기 디에스피부(140)가 러프니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러프니스 계산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메모리(150)와, 상기 디에스피부(140)에서 측정된 러프니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6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소음측정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마이크로폰(100)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가 증폭부(110)에 의해 증폭시킨 다음,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20)에 의해 증폭된 음향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디에스피부(140)에서 러프니스를 계산하고 디스플레이부(16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러프니스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신호의 여러가지 특성 중에서 러프니스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마이크로폰(100)을 통해 소정의 음향신호를 수신하여(S200), 음향신호의 라우드니스(loudness)를 검출한다(S210). 이러한 경우, 마이크로폰(100)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한 주파수밴드분리신호에 의해 23개의 주파수대역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음향신호를 역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파수 도메인을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시킨 다음(S220), 상기 음향신호에 대한 직류성분의 평균값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음향신호의 저주파 대역을 필터링시킨 후에(S230), 다시 시간 도메인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시킨다(S240).
그런 다음, 필터링된 음향신호의 교류성분의 첨두치(rms)값을 검출한 다음, 효과적 변조를 산출한다(S250). 이때, 상기 효과적 변조도는 저주파 대역이 필터링되기 전의 교류성분의 첨두치(rms)값에 대한 저주파 대역이 필터링되기 전의 직류성분의 평균값이다.
그리고, 음향신호의 각 임계대역에 대해 주파수 특성마다의 가중치를 부과하여 러프니스가 정확히 측정되도록 한다(S260).
그리고, 각 주파수대역별로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하고(S270), 각 임계대역에 대한 음향신호를 적분하여 러프니스를 산출한다(S28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음측정 방법에 따르면, 음향신호 중에서 사람이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러프니스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a)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일정한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고, 라우드니스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된 음향 신호를 역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파수 도메인을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c) 상기 시간 도메인의 음향 신호에서 직류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직류 성분이 제거된 음향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시키고, 효과적 변조도를 검출하는 단계;
    e) 상기 효과적 변조도를 검출한 다음, 각각의 주파수 대역별로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f) 상기 가중치가 부과된 각 주파수 대역에 따른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화이트 노이즈가 제거된 음향 신호를 적분하여 러프니스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프니스 사운드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적 변조도는 직류성분의 평균값에 대한 직류성분이 제거된 후의 교류성분의 첨두치(rms)값의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프니스사운드 측정방법.
  3. 삭제
KR1020020011374A 2002-03-04 2002-03-04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0870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374A KR100870059B1 (ko) 2002-03-04 2002-03-04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374A KR100870059B1 (ko) 2002-03-04 2002-03-04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505A KR20030072505A (ko) 2003-09-15
KR100870059B1 true KR100870059B1 (ko) 2008-11-24

Family

ID=3222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374A KR100870059B1 (ko) 2002-03-04 2002-03-04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5221B (zh) * 2020-12-10 2022-10-21 煌太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助力蜗杆表面粗糙度的检测方法
CN114046999A (zh) * 2021-09-28 2022-02-15 上海汽车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制动器的心理声学分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195A (ja) * 1996-05-13 1997-11-28 Omron Corp 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方法
JPH09305200A (ja) * 1996-05-10 1997-11-28 Olympus Optical Co Ltd 音声記録装置
JPH1082693A (ja) * 1996-09-05 1998-03-31 Kayaba Ind Co Ltd 音色評価装置
US5805457A (en) * 1996-12-06 1998-09-08 Sanders; David L. System for analyzing sound quality in automobiles using musical interva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200A (ja) * 1996-05-10 1997-11-28 Olympus Optical Co Ltd 音声記録装置
JPH09305195A (ja) * 1996-05-13 1997-11-28 Omron Corp 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方法
JPH1082693A (ja) * 1996-09-05 1998-03-31 Kayaba Ind Co Ltd 音色評価装置
US5805457A (en) * 1996-12-06 1998-09-08 Sanders; David L. System for analyzing sound quality in automobiles using musical interv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505A (ko) 200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9337B1 (en) Acoustic device
US9674593B2 (en) Loudspeaker controller
KR101164937B1 (ko) 오디오 신호의 인식된 라우드니스를 계산 및 조정하는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8638962B2 (en) Method to reduce feedback in hearing aids
JP6420353B2 (ja) 周波数依存的減衰段をチューニ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40140522A1 (en) Estimating nonlinear distortion and parameter tuning for boosting sound
US9986352B2 (en) Acoustic processing device, acoustic processing method, and acoustic processing program
JP2010211190A (ja) バックグラウンドノイズ推定
WO2004086362A1 (ja) 音声信号雑音除去装置、音声信号雑音除去方法及びプログラム
Katalin Studying noise measurement and analysis
US70891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audio perceptual tone alerts
EP1629691A1 (en) Oscillation suppression
JP2009296298A (ja)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870059B1 (ko) 러프니스사운드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CN110942781A (zh) 声音处理方法及声音处理设备
US20130177170A1 (en) Intelligent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tral expansion of an input signal
US20190000392A1 (en) Electronic Blood Pressure Monitor, Blood Pressure Measuring Method, and Electronic Stethoscope
JP3146691B2 (ja) 音色評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71066B1 (ko) 전기설비용 소음측정장치
RU227486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и индикации искажений выходного сигнала усилителей звуковой частоты (индикация перегрузки)
JP2001165766A (ja) 非定常騒音のラウドネス評価装置
KR101942044B1 (ko) 다이나믹 부스트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1035573A (ja) 音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信号処理方法
JP6531418B2 (ja) 信号処理装置
Tate Acou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