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603B1 -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with brake modulator - Google Patents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with brake modu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603B1
KR100869603B1 KR1020080066390A KR20080066390A KR100869603B1 KR 100869603 B1 KR100869603 B1 KR 100869603B1 KR 1020080066390 A KR1020080066390 A KR 1020080066390A KR 20080066390 A KR20080066390 A KR 20080066390A KR 100869603 B1 KR100869603 B1 KR 100869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brake
circuit
signal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6486A (en
Inventor
박민식
Original Assignee
박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식 filed Critical 박민식
Priority to KR1020080066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603B1/en
Publication of KR2008009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6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2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andem
    • B62K13/025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andem from two or more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0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in combination with mechan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Abstract

본 발명은 1인승 자전거와 다인승 자전거를 겸할 수 있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자전거를 앞뒤로 연결하여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때 선두 측 자전거의 탑승자가 후미 측 자전거 전체의 브레이크를 일거에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제한된 용량의 전지로 장시간의 브레이크 작동을 도모할 수 있게 하고자, 브레이크 레버에 연동하여 로터리 엔코더에서 발생하는 펄스 위상신호를 뒤로 연결되는 모든 자전거 전체에 동시 입력되게 하고, 브레이크 레버 회전축에 연결된 로터리 엔코더의 펄스신호에 대응한 위상신호와 주파수 결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계단식 파형을 조합하여 얻어지는 펄스 폭 변조신호의 듀티 비로 모든 자전거에 비치된 브레이크 모듈레이터의 모터를 작동시켜서 감속 기어를 통하여 통상의 브레이크에 연결된 분지선이 감기거나 풀어지며, 브레이크 레버 조작의 변화가 일정시간 이상 없을시는 래칫 핑거를 스풀에 동심 배치된 래칫 기어에 맞물려지게 하여 감긴 채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전원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결된 모든 자전거의 브레이크 력이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작용을 통해, 선두 측 탑승자에 의한 브레이크 레버의 조작으로 연결된 모든 자전거의 브레이크가 동시 작동되게 할 수 있는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를 갖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connectable bicycle that can serve as both a single-seater bicycle and a multi-seater bicycle, wherein when a plurality of bicycles are connected back and forth to be used as a multi-seater bicycle, the occupant of the front bicycle may brake the entire rear bicycle. In order to enable long-term brake operation with a limited capacity battery, the pulse phase signal generated by the rotary encoder in conjunction with the brake lever is simultaneously input to all the bicycles connected backwards, and the brake lever rotation shaft The duty ratio of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pha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signal of the rotary encoder connected to the stepped waveform and the stepped waveform output from the frequency determining circuit operates the motor of the brake modulator provided on all the bicycles, Connect to brake All connected bicycles without power being applied by holding and winding the ratchet fingers engaged with the ratchet gears concentrically arranged on the spool when the branch line is wound or released and the brake lever operation has not chang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an interconnectable bike equipped with a brake modulator that allows the brakes of all the connected bicycles to be operated simultaneously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lever by the leading passengers through the action of maintaining the brake force of the same.

다인승 자전거용 브레이크 시스템, 다인승 자전거용 브레이크, 자전거 브레이크, 브레이크 모듈레이터,  Brake system for multi-seater bicycle, brake for multi-seater bicycle, bicycle brake, brake modulator,

Description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를 갖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WITH BRAKE MODULATOR}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WITH BRAKE MODULATOR}

본 발명은 1인승 자전거를 2대 이상 탈착할 수 있게 구성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자전거를 일렬로 연결하여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하거나 또는 각각 분리하여 통상의 1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의 자전거에 있어서,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 시에 선두 측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모든 자전거가 일시에 제동되게 하는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를 갖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configured to detach two or more single-seat bicycles, wherein a plurality of bicycles are connected in a row to be used as a multi-seat bicycle or a bicycle configured to be used as a conventional single-seat bicycle. In a multi-seat bicy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connectable bicycle having a brake modulator that causes all bicycles to be braked at one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ad occupant.

자전거는 핸들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프런트 포크 엔드로 전륜이 축 지지 되는 한편, 상기 핸들은 안장과 페달을 갖춘 프레임의 헤드 튜브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가 되고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어 포크 엔드에는 후륜이 축 지지가 된 구조로 되어서 탑승자의 힘으로 추진되는 승용 수단이다.The bicycle is axially supported by the front fork end extending downward of the handle, while the handle is axially rotatably supported by the head tube of the frame with the saddle and pedals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fork end. The rear wheel is a shaft-supported structure, which is a means of riding that is driven by the occupant's power.

상술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는 자전거는 대부분 1인승 형식으로 만들어지고 있으나, 2인 이상이 함께 탑승할 수 있는 다인승 자전거도 일부 공지되어 있다.Most bicycle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made in a single-seater format, but some multi-seater bicycles that can be carried by two or more people are also known.

도 7은 종래에 제안된 다인승 자전거의 대표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프레임(2)은 여러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프런트 포 크(4)가 형성되어서 헤드 튜브(6)에 의해 수평 회동 가능하게 지지가 된 채로 전륜(8)을 축 지지하고 있고, 후방에는 리어 포크(10)가 형성되어서 후륜(12)을 축 지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7 is a view showing a typical configuration of a multi-seat bicycle proposed in the prior art, the frame (2) is formed long so that several people can ride, the front fork (4) is formed in front of the head tube (6) The front wheel 8 is axially supported while being supported horizontally so that the rear wheel 10 can be rotated. A rear fork 10 is formed at the rear, and the rear wheel 12 is axially supported.

상기 프레임(2) 상에는 안장(14)이 2 이상 부착되어 2인 이상이 동시에 탑승가능하고, 또한 프레임(2)의 하측 체인 스테이(16)에도 탑승자 수만큼 스프로켓(18)과 페달(20)이 배치되어 있어서 함께 자전거를 추진할 수 있게 되어 있다.Two or more saddles 14 are attached to the frame 2 to allow two or more passengers to ride at the same time, and the sprockets 18 and the pedals 20 are also provided on the lower chain stay 16 of the frame 2 by the number of occupants. It is arranged to be able to push bicycle together.

한편, 프레임(2)에는 핸들(22)도 탑승자 수만큼 배치되어 있으나 선두 측 핸들(22)만 능동으로 조향 가능하고 후미 측 핸들(22)은 모두 조향 기능이 없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2 is also arranged in the frame 2 as many as the number of occupants, but only the front handle 22 can be actively steered and the rear handle 22 is provided in a structure without a steering function.

다른 형식의 다인승 자전거로서 도 8의 도시와 같이 1인승 자전거를 앞뒤로 연결하여 다인승 자전거로 변환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도 한국 공개특허 제1999-0033140호에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type of multi-seat bicycle, as shown in FIG. 8, the interconnectable bicycle having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onverted to a multi-seat bicycle by connecting the single-seat bicycle back and forth is also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33140.

이 종류 자전거는 프레임(2)에 프런트 포크(4), 헤드 튜브(6), 리어 포크(10), 탑 튜브(24), 시트 튜브(26) 및 다운 튜브(28)가 두루 배치되어 있어서 외관적으로는 통상의 1인승 자전거와 같게 되어 있다.This type of bicycle has a front fork (4), a head tube (6), a rear fork (10), a top tube (24), a seat tube (26), and a down tube (28) arranged on the frame (2). At least it's like a normal single-seater bike.

다만, 앞뒤로 연결하여 다인승 자전거로 변환시킬 때는 후미 측 자전거의 프런트 포크(4)에서 전륜(8)을 분리한 다음, 선두 측 자전거의 리어 포크(10)와 함께 후륜(12)을 축 지지하게 함으로써 종으로 2대가 연결된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고, 같은 방법으로 후미 측 자전거에 다른 자전거를 연속하여 연결하면 2대 이상도 일렬로 연결할 수 있다.However, when converting to a multi-seater bicycle by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eparate the front wheels (8) from the front fork (4) of the rear side bicycle, and then support the rear wheels 12 together with the rear fork (10) of the leading bicycle. By doing so, it can be converted into a state in which two vehicles are connected by a bell. In the same way, when two bicycles are connected to the rear bicycle in a row, two or more can be connected in a row.

그 외에도 PCT 특허 공개번호 WO 2002/26554호는 1인승 자전거의 후미에 후륜만 갖춘 프레임을 연결하여 2인승 자전거로 변환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고, PCT 특허 공개번호 WO 2006/080855호는 2대의 1인승 자전거를 어태치먼트로 종 또는 횡으로 연결해서 다인승 자전거로 변환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를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PCT Patent Publication No. WO 2002/26554 show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onverted to a two-seater bicycle by connecting a frame equipped only with rear wheels to the rear of a single-seater bicycle, and PCT Patent Publication No. WO 2006/080855 has two units. A bicycle that can be converted to a multi-seater bike by connecting a single-seater bike vertically or horizontally with an attachment is disclosed.

상술한 구성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는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때에 다음의 문제점을 나타낸다.The interconnectable bicycl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xhibits the following problems when used as a multi-seater bicycle.

1인승 자전거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프레임(2)의 전방에 약간 비스듬하게 부착 고정된 헤드 튜브(6)로 축 지지가 되는 프런트 포크(4)가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전륜(8)을 지지하고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ingle-seat bicycle is supported by the front fork 4, which is axially supported by the head tube 6, which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frame 2 at an angle to the front of the frame 2. have.

상기와 같이 경사 배치된 프런트 포크는 조향 시에 상기 전륜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자세로 변환되게 하여 탑승자가 핸들을 가볍게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안정된 주행을 하도록 하는 작용을 낳는다.The front fork inclined as described above causes the front wheel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steering, thereby allowing the occupant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lightly and stably running.

그렇지만, 다인승 자전거인 상태에서 방향 전환할 때는 선두 측 자전거만 무리 없이 조향할 수 있고 후미 측 자전거는 상기 프런트 포크가 선두 측 자전거의 후륜에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프레임이 조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심하게 기울어져 전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when changing the direction of a multi-seater bicycle, only the leading bicycle can steer without difficulty and the rear bicycle has a severely opposite direction of steering as the front fork is connected to the rear wheel of the leading bicycle. The problem of tilting and falling occurs.

즉, 여러 대가 일렬로 연결된 다인승 자전거는 후미 측 자전거의 프런트 포크가 항상 선두 측 후륜에 추종하여 주행하지만, 조향 시에는 지면과 경사 배치된 후미 측 프런트 포크의 방향 전환으로 프레임이 조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 전도되어 주행할 수 없게 된다.In other words, in a multi-seater bicycle with several cars in a row, the front fork of the rear bicycle always follows the front rear wheel, but when steering, the frame is reversed from the steering direction due to the change of direction of the rear fork that is inclined to the ground. It is pushed in the direction and can not travel.

또 다른 문제점은, 여러 대가 일렬로 연결된 다인승 자전거로 사이클링 할 때에 브레이크 작동은 선두 탑승자의 의지로 행해져야만 안전하고 주행에 무리가 없게 되는 것이지만, 상술한 구성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는 순서에 관계없이 탑승자라면 누구라도 임의로 브레이크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작용이 부정확하게 나타나게 되고, 또 규약을 정하여 선두 측 탑승자만 브레이크를 조작한다고 해도, 한 사람의 힘으로는 전체 자전거의 브레이크를 기계적으로 작동하기가 불가능하여 주행의 안전성이 보장될 수 없다는 것이다.Another problem is that when cycling on a multi-seater bicycle with several cars in series, the braking operation is only at the intention of the first occupant to be safe and comfortable. Anyone can operate the brakes arbitrarily, and the brake action will be inaccurate, and even if only the front passenger controls the brake by setting the rules, it is impossible to mechanically operate the brakes of the entire bicycle with the force of one person. Therefore, the safety of the driving can not be guaranteed.

본 발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인승 자전거로 방향 전환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해서는, 자전거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헤드 튜브와 탑 튜브를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분할 배치하고, 양 튜브 사이로 클러치 수단을 개재시켜서 1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때는 양 튜브 사이가 클러치 상태로 되어 일체로 고정되게, 또한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때는 양 튜브 사이가 언 클러치상태로 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를 별도로 제안한 바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roblem in which the head tube and the top tube, which form the frame of the bicycle, are arranged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 clutch means is interposed between both tubes. When used as a single-seater bicycle, there has been separately proposed an interconnectable bicycle that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ixed between the two tubes by a clutch state, and to be unclutched when using a multi-seater bicycle.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러 대를 일렬로 연결하고 함께 주행할 때에 선두 측 탑승자만이 모든 자전거의 브레이크를 일거에 가벼운 힘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를 갖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connectable bicycle having a brake modulator configured to allow only the front passenger to operate the brakes of all the bicycles at one stroke when connecting several cars in a row and driving together. have.

상기의 목적은 통상의 1인승 자전거의 후륜에 다른 1인승 자전거의 프런트 포크를 축 연결하여 다인승 자전거로 변환시킬 수 있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로서, 통상의 자전거에 비치된 브레이크 레버의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로터리 엔코더와, 앞쪽 자전거로 연결되는 플럭을 갖춘 앞쪽 자전거 연결 케이블을 구비하고 뒤쪽 자전거에서 연장되는 플럭이 접속되는 소켓을 보유하는 브레이크 모듈레이터와, 상기 로터리 엔코더와 상기 브레이크 모듈레이터 사이를 유선 연결하는 엔코더 케이블과, 상기 브레이크 모듈레이터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통상의 브레이크에 연결된 분지선을 감거나 풀어주는 스풀과, 상기 스풀에 동심 배치되는 래칫 기어와, 그리고 상기 래칫 기어에 상시 끼워져 있게 배치되는 래칫 핑거 와, 상기 래칫 핑거를 자력으로 래칫 기어에서 이탈되게 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스풀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감속 기어를 통해 치차 연결되는 모터와, 제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태를 인식하여 솔레노이드와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기판으로 구성된 브레이크 모듈레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n interconnectable bicycle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multi-seat bicycle by connecting the front fork of another single-seater bicycle to the rear wheel of a conventional single-seater bicycle, and coping with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brake lever provided on the ordinary bicycle. A brake modulator having a rotary encoder for outputting a pulse signal, a front bicycle connecting cable having a plug connected to the front bicycle, and a socket to which a plug extending from the rear bicycle is connected, between the rotary encoder and the brake modulator. An encoder cable for wired connection, a spool disposed inside the brake modulator to wind or unwind a branch line connected to a normal brake, a ratchet gear concentrically arranged on the spool, and a ratchet gear that is always fitted to the ratchet gear. Ratchet fingers with, ratchet fingers To the brake modulator consisting of a solenoid which causes the motor to deviate from the ratchet gear with its own force, a motor geared through the reduction gear to drive the spool, and a control board that generates a signal and recognizes a state to drive the solenoid and the motor. Can be implemented.

상기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는 내부에 제어기판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제어기판은 상기 플럭이 앞쪽 자전거의 브레이크 모듈레이터의 소켓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와 소켓에 뒤쪽 자전거의 플럭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케이블 연결 인식부와, 상기 케이블 연결 인식부의 출력을 인가받아 각 부분으로의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공급 판단회로와, 상기 로터리 엔코더에서 송출되는 펄스신호를 인가받아 위상 신호로 전환 출력하는 볼륨 인식회로, 상기 솔레노이드와 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신호 파형을 생성하는 클록 발생회로 및 주파수 결정회로, 상기 볼륨 인식회로에서 출력되는 위상신호와 주파수 결정회로에서 출력되는 계단식 파형을 조합하여 모터 구동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펄스 폭 변조신호 발생회로, 상기 볼륨 인식회로의 출력이 일정시간 안에 변화를 일으키는가의 여부를 인식하는 신호지속 판별회로를 갖춘 신호부와, 그리고 앞쪽 자전거로부터 오는 신호를 복구하고 상기 신호지속 판별회로의 출력을 인가받아 솔레노이드 및 모터로의 출력신호를 제어하고 뒤쪽 자전거로 신호를 출력하고 모터 구동신호와 솔레노이드 구동신호를 시차를 두고 출력하는 입출력 제어회로와, 상기 입출력 제어회로의 출력신호로 각각 상기 솔레노이드와 모터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회로 및, 모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brake modulator has a control plate therein, and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cabl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socket of the brake modulator of the front bicycle and whether the plug of the rear bicycle is connected to the socket. A power supply determination circuit configured to receive the output of the cabl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and determine whether to supply power to each part, a volume recognition circuit converting and outputting a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rotary encoder into a phase signal, and the solenoid; A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for generating a motor driving signal by combining a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a frequency determination circuit for generating a signal waveform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a stepped waveform output from the frequency determination circuit and a phase signal output from the volume recognition circuit. The output circuit and the output of the volume recognition circuit A signal unit having a signal duration discrimination circuit that recognizes whether a change occur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recovers the signal from the front bicycle and receives the output of the signal duration discrimination circuit to control the output signal to the solenoid and the motor. An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which outputs a signal to the rear bicycle and outputs a motor driving signal and a solenoid driving signal at a time difference, and a solenoid driving circuit which independently drives the solenoid and the motor as output signals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respectively, and a motor driving circuit It may be implemented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urnace.

또한, 상기 케이블 연결 인식부는 플럭과 앞쪽 자전거 소켓 사이의 접속 연결을 인지하는 플럭 연결 인식회로, 소켓과 뒤쪽 자전거 플럭 사이의 접속 연결을 인지하는 소켓 연결 인식회로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cabl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includes a plug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for recognizing the connection connection between the plug and the front bicycle socket, a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for recognizing the connection connection between the socket and the rear bicycle plug.

이들 플럭 연결 인식회로와 소켓 연결 인식회로에서의 출력신호는 선두 자전거/뒤쪽에 연결된 자전거/1인승 자전거 중의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출력신호가 플록 연결 인식회로의 신호만일 때는 맨 뒤쪽 자전거, 또 플럭 연결 인식회로와 소켓 연결 인식회로 양쪽의 신호일 때는 중간에 연결된 자전거, 그리고 소켓 연결 인식회로의 신호만일 때는 선두 자전거이고, 상기 플럭 연결 인식회로와 소켓 연결 인식회로 모두에서 신호 출력이 없는 때는 앞뒤로 자전거가 연결되지 않은 1인승 자전거이다.The output signals from these plug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s and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s represent one of the front bicycle / rear bike / seat bicycle connected to the rear, and the rear bicycle and the floc connection when the output signal is only a signal of the flock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When the signal of both the recognition circuit and the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is the bicycle connected in the middle, and when the signal of the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is only the lead bicycle, the bicycle is connected back and forth when there is no signal output in both the plug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and the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Not a single-seater bike.

연결된 자전거 중에서 뒤쪽 자전거의 플럭이 연결되어 소켓 연결 인식회로에서만 신호가 출력되는 선두 자전거의 브레이크 모듈은, 전원공급 판단회로에 의해 신호부, 입출력제어회로, 솔레노이드 구동회로 및 모터 구동회로로 전원이 공급된다.The brake module of the first bicycle, in which the rear bicycle's plug is connected and the signal is output only from the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is supplied to the signal unit,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the solenoid drive circuit, and the motor drive circuit by the power supply judgment circuit. do.

상기 신호부에서는 일정 주파수의 파형을 생성하는 클록 발생회로의 출력 파형을 입력받는 주파수 결정회로가 상기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솔레노이드 구동신호 발생회로로 출력하는 한편으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계단식 파형을 출력하고, 또한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출력을 받는 볼륨 인식회로는 입력되는 신호가 증가 방향인지 감소방향인지를 인식하고 위상을 결정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신호 발생회로에서 계단식 파형과 위상 결정신호 의 조합에 의한 듀티 비를 가진 펄스 폭 변조신호로 출력되게 하며, 상기 신호지속 판별회로는 로터리 엔코더에서의 출력이 일정시간 내에 변화를 일으키는가의 여부를 인식하고 변화 발생 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신호가 모터 구동신호보다 빠른 시차로 출력되게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In the signal unit, a frequency determining circuit that receives an output waveform of a clock generation circuit generating a waveform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output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for driving the solenoid to the solenoid driving signal generating circuit while driving the motor. And outputting a stepped waveform, and the volume recognition circuit receiving the output of the rotary encoder recognizes whether the input signal is in the increase direction or the decrease direction, and outputs a signal in which the phase is determined to output a stepped waveform and phase in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The signal duration discrimination circuit recognizes whether the output from the rotary encoder causes a chang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outputs the solenoid driving signal when a change occurs. Starts with a parallax faster than the motor drive signal And 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cause.

상기 입출력 제어회로는 펄스 폭 변조신호 발생회로의 출력과 솔레노이드 구동신호 발생회로의 출력을 인가받아 솔레노이드 구동회로, 모터 구동회로를 제어하되, 상기 신호지속 판별회로의 출력이 인가되는 경우, 즉, 입출력 제어회로에서 브레이크 레버 조작에 의해 로터리 엔코더의 출력변화가 생겨서 솔레노이드 구동신호와 펄스 폭 변조신호에 의한 듀티 비를 갖는 모터 구동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를 모터보다 우선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펄스 폭 변조신호 발생회로의 출력과 솔레노이드 구동신호 발생회로의 출력을 뒤쪽 자전거로 전달한다.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controls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and the motor driving circuit by receiving the output of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and the output of the solenoid driving signal generating circuit, but the output of the signal sustain determination circuit is applied, that is, the input / output When the output of the rotary encoder is changed by the brake lever operation in the control circuit and the motor drive signal having the duty ratio by the solenoid drive signal and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is output, the solenoid is controlled to be driven before the motor. The output of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and the output of the solenoid driving signal generating circuit is transmitted to the rear bicycle.

또한, 브레이크 조작중에 어느 시점에서 아무런 변화가 없는 상태가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신호지속 판별회로가 이를 인식하여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입출력 제어회로는 솔레노이드 구동신호와 모터 구동신호를 차단하도록 제어된다.In addition, when a state in which no chang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during the brake operation,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is controlled to block the solenoid drive signal and the motor drive signal by a signal that the signal sustain determination circuit recognizes and outputs the same.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관련된 브레이크 모듈레이터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이 일정 시간 동안 변화없이 유지되면, 래칫 핑거가 래칫 기어에 맞물린 상태로 되어 전원 소모 없이 현재의 제동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서 제한된 전지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rake operation by the brake mod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tained without ch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ratchet finger is engaged with the ratchet gear so that the current braking force can be maintained without power consumption, thereby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limited battery. Can be.

또한, 입출력 제어회로에서 솔레노이드 구동신호가 모터 구동신호보다 짧은 시차로 먼저 출력되게 하면, 상기 모터가 구동 개시하는 시점에서는 항상 래칫 핑거가 벗겨진 상태로 되어 무리 없는 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solenoid drive signal is output first with a shorter time difference than the motor drive signal in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the ratchet finger is always peeled off at the time when the motor starts to be driven, thereby ensuring a comfortable operation.

그리고 앞쪽 자전거에서 출력되어 뒤쪽 자전거의 입출력 제어회로로 입력되는 솔레노이드와 모터 구동신호는 상기 입출력 제어회로를 경유하면서 신호의 변위나 감쇠 등이 보상되게 하면 뒤쪽으로 연결된 자전거 전체를 동시에 브레이크 제어할 수 있다. The solenoid and the motor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front bicycle and input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of the rear bicycle can brake control the entire bicycle connected to the rear at the same time when the signal displacement or attenuation is compens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

뒤쪽 자전거인 경우에, 제어기판에서 전원공급 판단회로는 신호부로의 전원은 차단하고 입출력제어회로와 모터 구동회로 및 솔레노이드 구동회로로만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rear bicycle,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circuit in the control board cuts the power to the signal unit and supplies power only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the motor driving circuit and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이와 같이 제어함에 따라 뒤쪽 순서의 자전거는 모두 선두 자전거에서 출력되는 신호로 제어됨으로써 상기 선두 자전거의 운전자가 행하는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 작동이 모든 자전거에서 동시에 나타나게 된다.In this way, the bicycles in the rear sequence are all controlled by signals output from the leading bicycle so that the brak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driver of the leading bicycle is simultaneously displayed on all the bicycles.

본 발명의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를 갖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는,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때 유선 연결되는 앞뒤 자전거의 브레이크 모듈레이터 사이로, 선두 측 탑승자의 브레이크 조작신호가 전달 인가되어서 모든 자전거의 브레이크를 동기 작동시킬 수 있고, 이때의 브레이크 력은 브레이크 모듈레이터에 내장된 모터의 힘으로 작용하는 것이므로 선두 측 탑승자의 조작이 가볍게 되어,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시에도 전체 자전거의 주행 안전성이 보장되어 무리 없이 주행할 수 있게 된다.Interconnectable bicycles equipped with the brake mod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brake modulator of the wired connection when using as a multi-seat bicycle, the brake operation signal of the front passenger can be transmitted and applied to synchronize the brakes of all the bicycles In this case, the brake force acts as the power of the motor built into the brake modulato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head occupant becomes light, and the driving safety of the entire bicycle is guaranteed even when used as a multi-seater bicycle, so that the user can travel without difficult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관련된 자전거는 도 1의 도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즉, 프레임(2)의 전방에는 헤드 튜브(6)로 지지가 된 프런트 포크(4)가 전륜(8)을 축 지지하고, 후방에는 리어 포크(10)가 연장되어서 후륜(12)을 축 지지하는 한편, 상기 프레임(2) 상에는 안장(14), 핸들(22), 브레이크 레버(220), 그리고 프레임(2)의 하측에는 스프로켓(18)과 페달(20)이 각각 배치되는 전형적인 1인승 자전거를, 다수 일렬로 연결하되 후방 자전거의 프런트 포크(4)를 전방 자전거의 리어 포크(10)에 일치시켜서 공동으로 후륜(12: 후방 자전거의 경우는 전륜)을 지지하게 한 구성을 포함하고, 그 외에 프레임(2)은 탑 튜브(24)와 부동 튜브(60)로 분할 형성되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양 튜브(24)(60) 사이로는 클러치 수단(30), 그리고 이 클러치 수단(30)과 프런트 포크(4) 사이로 배치되는 싱크로나이저(32)를 더 포함하여, 1인승 자전거인 경우는 클러치 수단(30)의 위치 이동으로 싱크로나이저(32)가 해제되고 양 튜브(24)(60) 사이는 일체로 연결되는 한편, 다인승 자전거로 변환되었을 때는 역시 클러치 수단(30)의 위치 이동으로 싱크로나이저(32)가 연결됨과 동시에 양 튜브(24)(60) 사이는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That is, the front fork 4 supported by the head tube 6 axially supports the front wheel 8 at the front of the frame 2, and the rear fork 10 extends at the rear to support the rear wheel 12. On the other hand, the saddle 14, the handle 22, the brake lever 220, and the sprocket 18 and the pedal 20 are disposed on the frame 2, the typical single-seater bicycle, respectively Includ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lines are connected in a row, but the front fork 4 of the rear bicycle is aligned with the rear fork 10 of the front bicycle so that the rear wheel 12 (the front wheel in the case of the rear bicycle) is jointly supported. In addition, the frame 2 is divided into a top tube 24 and a floating tube 60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and between the two tubes 24 and 60, the clutch means 30 and this clutch means ( 30) and a synchronizer 32 disposed between the front fork 4, in the case of a single-seater bicycle When the synchronizer 32 is released by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clutch means 30 and both the tubes 24 and 60 are integrally connected, the position of the clutch means 30 is also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clutch means 30. At the same time as the synchronizer 32 is connected, the two tubes 24 and 60 are configured to be converted into a relatively rotatable state.

이러한 구성의 자전거에서, 예를 들면 리어 포크(10)의 상부, 또는 안장(14)의 하측과 같이 비교적 외부 물체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본 발명의 브레 이크 모듈레이터(72)가 장착된다.In the bicycl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brake modulator 7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t a position which does not cause relatively interference with an external object such as,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fork 10 or the lower side of the saddle 14.

더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는 도 2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1인승 자전거에 갖추어진 V 브레이크(120)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Mor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2, the brake modulator 72 is a device for interlocking the V brake 120 provided in a conventional single-seater bicycle.

상기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에는 소켓(722)이 비치되는 한편, 브레이크 레버(22)로 이어지는 엔코더 케이블(224)과, 앞 자전거에 비치되는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의 소켓(722)으로 끼워지는 플럭(724)을 갖춘 연결케이블(720)이 연장된다.The brake modulator 72 is provided with a socket 722, and a plug fitted into the encoder cable 224 leading to the brake lever 22 and the socket 722 of the brake modulator 72 provided on the front bicycle. A connecting cable 720 with 724 is extended.

연결 케이블(720)의 플럭(724)은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때 앞쪽의 자전거에 구비된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의 소켓(722)으로 끼워져서 앞 뒤쪽 자전거 사이로 전기신호 전달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다.The plug 724 of the connecting cable 72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722 of the brake modulator 72 provided in the front bicycle when used as a multi-seater bicycle to form an electric signal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front and rear bicycle.

상기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와 V 브레이크(120) 사이는 Y자상으로 갈라진 분지선(122)으로 연결되어서 통상의 브레이크 와이어(124)와 함께 2중으로 연결됨에 따라 V 브레이크(120)는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 또는 브레이크 와이어(124)에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분지선(122)은 아주 유연한 재질의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에 의하여 당겨지거나 브레이크 와이어(124)에 의하여 당겨질 때 상호 방해되는 부하로 작용하지 않게 해야 한다.As the brake modulator 72 and the V brake 120 are connected by a branch line 122 divided into Y-shapes and are connected in duplicate with the normal brake wire 124, the V brake 120 is a brake modulator 72. Or in conjunction with the brake wire 124. In this case, the branch line 122 should be made of a very flexible wire so that it does not act as an interfering load when being pulled by the brake modulator 72 or pulled by the brake wire 124.

도 3은 브레이크 레버(220)에 내장된 로터리 엔코더(222)를 묘사하고 있다.3 depicts a rotary encoder 222 embedded in the brake lever 220.

로터리 엔코더(222)는 브레이크 레버(220)의 조작에 따라 공통의 고정 접점에 대하여 2개의 가변 접점이 시차를 달리하는 펄스신호를 출력하여 제어기판(74) 에 내장된 신호부(77)의 볼륨 인식회로(774)로 입력시키는 장치이다.The rotary encoder 222 outputs a pulse signal in which two variable contacts vary in time with respect to a common fixed contac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rake lever 220, so that the volume of the signal unit 77 embedded in the controller board 74 is increased. A device for inputting to the recognition circuit 774.

상술한 구성은 본 발명의 자전거에서 브레이크 형식이 V 브레이크(120)임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의 브레이크, 예를 들면 U 브레이크나 드럼 브레이크에도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적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dicates that the brake type is V brake 120 in the bi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brakes, for example, U brakes or drum brakes without greatly changing the structure. .

본 발명의 자전거를 다인승 자전거로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뒤쪽 자전거의 플럭(724)을 앞쪽 자전거의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에 마련된 소켓(722)과 접속 연결하는 것으로 모든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결선 된다.In the case of using the bi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rconnecting a multi-seat bicycle, as shown in FIG. 4, the plug 724 of the rear bicycle is connected to the socket 722 provided in the brake modulator 72 of the front bicycle. All brake modulators 72 are wired to operate simultaneously.

상기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의 내부에는, 도 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73), 제어기판(74) 등의 회로적 요소와, 모터(86), 솔레노이드(88), 그리고 상기 모터(86)의 출력 기어(860)와 감속 기어(862) 및 이 감속 기어(862)에 동심으로 배치된 래칫 기어(864), 스풀(866), 및 상기 솔레노이드(88)에 연동하여 래칫 기어(864)로 계탈되는 래칫 핑거(880) 등의 기계적 요소가 배치되어 있다.Inside the brake modulator 72, as shown in FIG. 5, circuit elements such as the battery 73, the control board 74, the motor 86, the solenoid 88, and the motor 86 are provided. Relating to the output gear 860 and the reduction gear 862 and the ratchet gear 864, the spool 866, and the solenoid 88 arranged concentrically to the reduction gear 862, the ratchet gear 864 is included. Mechanical elements, such as ratchet fingers 880, are disposed.

또한, 상기 제어기판(74)의 내부 회로 구성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정류회로(750)와 전원공급 판단회로(752)로 구성된 전원부(75), 플럭 연결인식회로(762)와 소켓 연결인식회로(764)로 구성된 케이블 연결 인식부(76), 클록 발생회로(770)와 주파수 결정회로(772), 볼륨 인식회로(774), 펄스 폭 변조신호 발생회로(776), 신호지속 판별회로(778), 솔레노이드 구동신호 발생회로(780)들로 구성된 신호부(77), 입출력 제어회로(80), 모터 구동회로(82)와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board 74 is a power supply unit 75, a plug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2 and a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onsisting of a rectifying circuit 750 and a power supply determination circuit 752 as shown in FIG. A cabl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76 composed of a circuit 764, a clock generation circuit 770 and a frequency determination circuit 772, a volume recognition circuit 774, a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776, a signal duration determination circuit ( 778, a signal unit 77 composed of solenoid drive signal generation circuits 780, an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a motor drive circuit 82, and a solenoid drive circuit 84.

상기 스풀(866)은 모터(86)로 회전되면서 분지선(122)의 한쪽을 감거나 또는 기존 브레이크의 스프링에서 가해지는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분지선(122)을 풀어주는 과정을 통해 통상의 V 브레이크(120)를 작동할 수 있게 배치된다.The spool 866 is rotated by the motor 86 while winding one side of the branch line 122, or through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branch line 122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pplied by the spring of the existing brake conventional V brake It is arranged to operate 120.

또 래칫 핑거(880)는 자중으로 래칫 기어(864)에 상시 끼워질 수 있는 위치로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스풀(866)이 회전될 수 없도록 구속하고 있다가 솔레노이드(88)의 자력에 연동하면 상기 래칫 기어(864)에서 이탈되어 상기 스풀(866)을 해방하는 작용을 한다.In addition, the ratchet finger 880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can be always fitted to the ratchet gear 864 by its own weight, usually restrained so that the spool 866 can not be rotated, if interlocked with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88 The ratchet gear 864 is released to act to release the spool 866.

이와 같이 래칫 핑거(880)에 의해 스풀(866)이 구속되게 하면 모터(86)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시켜도 상기 스풀(866)에서 분지선(122)이 풀려나갈 수 없게 되므로 브레이크를 의도한 대로 작동시켜 놓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정시간 동안 브레이크 레버(220)의 조작에 변화가 없게 되면 로터리 엔코더(222)에서의 출력도 변화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신호지속 판별회로(778)가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여 “로우” 신호를 출력하면 입출력 제어회로(80)는 모터 구동회로(82)와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의 출력을 차단하게 되고, 그 결과로 모터(86)와 솔레노이드(88)가 미작동 상태로 되더라도 상기 래칫 기어(864)가 래칫 핑거(880)에 맞물려져 있음에 따라 브레이크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spool 866 is restrained by the ratchet finger 880, the branch line 122 cannot be released from the spool 866 even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motor 86 is interrupted. You can make it. In other words,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operation of the brake lever 22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output from the rotary encoder 222 does not change. Accordingly, the signal continuity discriminating circuit 778 does not recognize the change and generates a “low” signal. When outputting,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cuts off the outputs of the motor driving circuit 82 and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84, and as a result, even if the motor 86 and the solenoid 88 become inoperative, the ratchet gear As the 864 is engaged with the ratchet finger 880, the brake state remains.

이러한 구조는 주행 중에 브레이크 레버(220)가 어느 위치에서 변동 없이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고 있으면 모터(86)와 솔레노이드(88)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므로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는데 일조한다.This structure is to stop the power supply to the motor 86 and the solenoid 88 if the brake lever 220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certain time without any change in the position while driving to help minimize the limited battery consumption.

상기 제어기판(74)에서 전원부(75)는 정류회로(750)와 전원공급 판단회로(752)를 포함하고 있고, 여기에 사용되는 전지(73)는 일반의 1차 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 상기 정류회로(750)에 의해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도 사용 가능하다.In the control panel 74, the power supply unit 75 includes a rectifier circuit 750 and a power supply determination circuit 752. The battery 73 used here may be a general primary battery.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may also be used by the rectifier circuit 750.

게다가 정류회로(750)는 외부에서 태양전지(732)나 자전거용 발전기(734) 등을 통해 얻어지는 전류로 재충전 전지(73)를 충전할 때에도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tifier circuit 750 may also be used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73 with a current obtained through the solar cell 732 or the bicycle generator 734 from the outside.

상기 전원부(75)는 케이블 연결 인식부(76), 신호부(77), 입출력 제어회로(80), 모터 구동회로(82) 및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로 직접 전원을 인가하도록 결선 된다.The power supply unit 75 is connected to directly supply power to the cabl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76, the signal unit 77,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the motor driving circuit 82 and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84.

케이블 연결 인식부(76)는 플럭(724)이 앞쪽 자전거의 소켓(722)으로 접속 연결되었음을 인지하는 플럭 연결인식회로(762)와, 소켓(722)으로 뒤쪽 자전거의 플럭(724)이 접속 연결되었음을 인지하는 소켓 연결인식회로(764)로 구성되고, 이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현재 자전거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The cabl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76 includes a plug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2 that recognizes that the plug 724 is connected to the socket 722 of the front bicycle, and the plug 724 of the rear bicycle is connected to the socket 722 by the connection. And a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4 for recognizing that the signal is outputted, and the signals outputted from them represent the current use mode of the bicycle.

즉, 플럭(724)이 앞쪽 자전거의 소켓(722)에 끼워지면 플럭 연결인식회로(762)가“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소켓(722)에 뒤쪽 자전거의 플럭(724)이 끼워지면 소켓 연결인식회로(764)에서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plug 724 is inserted into the socket 722 of the front bicycle, the plug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2 outputs a “high” signal, and when the plug 724 of the rear bicycle is inserted into the socket 722, the socket is connected. The recognition circuit 764 outputs a high signal.

이에 따라 플럭 연결인식회로(762)와 소켓 연결인식회로(764) 중 어느 한쪽이라도 “하이” 신호를 출력하면 현재 상태가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하고, 반대로 양 연결인식회로(762)(764) 모두 “로우” 신호를 출력하면 1인승 자전거로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either of the plug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2 and the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4 outputs a “high” signal, it means that the current state is used as a multi-seater bicycle, and conversely, both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s 762 ( 764) Outputting a “low” signal means that it is being used as a single-seater bike.

또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 중일 경우에, 소켓 연결인식회로(764)에서만 “하이” 신호를 출력하면 선두 자전거인 상태를, 또 플럭 연결인식회로(762)에서만 “ 하이” 신호를 출력하면 후미 자전거인 상태를, 그리고 양 연결인식회로(762)(764) 모두 “하이” 신호를 출력하면 중간 순번의 자전거로 사용중인 상태를 의미하게 된다.In the case of using a multi-seat bicycle, if the output signal "high" is output only from the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4, the state of the leading bike is output. If the output signal "high" only from the plug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2, the rear bicycle is The status, and both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s 762 and 764, output a “high” signal, indicating a state of being used as a bicycle in the middle turn.

상기 케이블 연결 인식부(76)의 양 연결인식회로(762)(764)에서 모두 “로우” 신호가 출력되는 1인승 자전거의 경우는, 전원부(75)의 전원공급 판단회로(752)에 의하여 케이블 연결 인식부(76)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다른 부분으로의 전원 공급은 차단된다.In the case of a single-seat bicycle in which both of the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s 762 and 764 of the cabl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76 output a “low” signal,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circuit 752 of the power supply unit 75 provides a cable. Power is supplied only to the connection recognizing unit 76 and power to other parts is cut off.

그리고 소켓 연결인식회로(764)에서만 “하이” 신호가 출력되는 선두 자전거의 경우는, 상기 전원공급 판단회로(752)에 의하여 신호부(77), 입출력 제어회로(80), 모터 구동회로(82),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에 전원이 공급된다.In the case of the first bicycle in which the "high" signal is output only in the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4, the signal supply unit 77,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the motor driving circuit 82 by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circuit 752. ), Power is supplied to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84.

또, 플럭 연결인식회로(762)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되는 후미 자전거나 중간 순번의 자전거인 경우는, 상기 전원공급 판단회로(752)에 의하여 신호부(77)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모터(86)와 솔레노이드(88)에 필요한 구동신호를 발생할 수 없는 미작동 상태로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ar bicycle or the bicycle of the intermediate order in which the "high" signal is output from the plug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2, the power supply to the signal unit 77 is cut off by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circuit 752 and the motor is stopped. The driving signal required for the 86 and the solenoid 88 is in an inoperative state.

이와 같은 케이블 연결 인식부(76)의 제어로 인하여, 선두 자전거를 제외한 모든 자전거의 모터(86)와 솔레노이드(88)는 오직 앞쪽 자전거에서 송출되는 구동신호에 종속하여 작동되는 상태가 되므로 선두 자전거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으로 그 이후 자전거의 모든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Due to the control of the cabl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76, the motors 86 and the solenoids 88 of all the bicycles except the leading bicycle are operated only in dependence on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ront bicycle, and thus the leading bicycle driver. This results in all brakes on the bike running at the same time.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자전거는 1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때는 상기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의 모터(86)와 솔레노이드(88)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 로 기존의 기계적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밖에 없으나,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때는 선두 자전거의 운전자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모든 자전거의 브레이크가 동시에 같은 힘으로 작용하는 것이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bi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ingle-seat bicycl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motor 86 and the solenoid 88 of the brake modulator 72, but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an existing mechanical brake. When used as a bicycle, the brakes of all the bicycles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by 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by the driver of the leading bicycle.

상기 전원공급 판단회로(752)를 통하여 각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면 제한된 용량의 전지 소모가 최소로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each unit through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circuit 752, 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of limited capacity.

또한, 선두 자전거인 경우는 상기 신호부(77)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클록 발생회로(770)가 일정 주파수의 파형을 생성 출력하여 주파수 결정회로(772)로 입력하게 되고, 상기 주파수 결정회로(772)는 클록 발생회로(770)로부터 입력된 파형을 솔레노이드(88)를 구동시키기 위한 일정 주파수의 파형으로 분주하여, 솔레노이드 구동신호 발생회로(780)로 출력하는 한편으로, 일정 주파수의 계단식 파형을 펄스 폭 변조신호 발생회로(776)로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rst bicycle, as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signal unit 77,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770 generates and outputs a waveform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inputs the frequency determination circuit 772 to the frequency determining circuit ( The waveform 772 divides the waveform input from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770 into a waveform of a constant frequency for driving the solenoid 88, outputs the waveform to the solenoid driving signal generation circuit 780, and generates a stepped waveform of a constant frequency.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generator 776 outputs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그리고 선두 자전거의 운전자가 브레이크 레버(220)를 조작하면 상기 로터리 엔코더(222)는 그 조작에 의한 위치 이동으로 변화되는 펄스 파형을 2개의 출력단을 통하여 볼륨 인식회로(774)로 출력한다.When the driver of the first bicycle operates the brake lever 220, the rotary encoder 222 outputs a pulse waveform that is changed by the position movement by the manipulation to the volume recognition circuit 774 through two output stages.

볼륨 인식회로(774)는 로터리 엔코더(222)에서 입력되는 펄스신호의 시차를 인식하여 로터리 엔코더(222)의 회전 방향이 상승/감소 방향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위상신호로 변환하여 펄스 폭 변조신호 발생회로(776)와 신호지속 판별회로(778)로 출력한다.The volume recognition circuit 774 recognizes the parallax of the pulse signal input from the rotary encoder 222 to determine whethe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encoder 222 is an up / down direction, converts it into a corresponding phase signal, and the pulse width. The modulated signal generating circuit 776 and the signal sustain discriminating circuit 778 are outputted to the modulated signal generating circuit 776.

상기 신호지속 판별회로(778)는 로터리 엔코더(222)의 출력 변화, 즉 브레이크 레버(220)의 조작에 기인하는 펄스 파형의 출력 변화 유무를 판별하고, 변화가 발생하면 “하이” 신호를, 변화가 없으면 “로우” 신호를 입출력 제어회로(80)로 출력한다.The signal continuity determining circuit 778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of the rotary encoder 222, that is, whether or not the output of the pulse waveform due to the operation of the brake lever 220, and changes the "high" signal when a change occurs, If not present, the signal “low” is output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상기 펄스 폭 변조신호 발생회로(776)는 상기 주파수 결정회로(772)에서 입력되는 계단식 파형과 볼륨 인식회로(774)에서 입력되는 위상신호의 조합에 의한 듀티 비를 갖는 펄스 폭 변조신호를 입출력 제어회로(80)로 출력한다.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776 controls input / output of a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having a duty ratio by a combination of a stepped waveform input from the frequency determining circuit 772 and a phase signal input from the volume recognition circuit 774. Output to circuit 80.

또한, 솔레노이드 구동신호 발생회로(780)는 주파수 결정회로(772)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한 솔레노이드 구동신호를 입출력 제어회로(80)로 출력한다.Also, the solenoid drive signal generation circuit 780 outputs the solenoid drive signal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frequency determination circuit 772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입출력 제어회로(80)는 상기 신호지속 판별회로(778)의 출력신호로 제어되면서 펄스 폭 변조신호 발생회로(776)와 솔레노이드 구동신호 발생회로(780)의 출력신호를 각각 모터구동회로(82)와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로 출력하게 된다.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is controlled by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sustain determination circuit 778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s of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776 and the solenoid drive signal generation circuit 780 to the motor driving circuit 82, respectively. And to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84.

여기서 모터 구동회로(82)는 상기 펄스 폭 변조신호의 듀티 비로 모터(86)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86)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Here, the motor driving circuit 82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86 by the duty ratio of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thereby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driving the motor 86.

또 솔레노이드(88)는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를 통한 출력신호에 의해 온 오프 여자 된다.The solenoid 88 is turned on and off by the output signal through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84.

상기 신호지속 판별회로(778)에 의한 입출력 제어회로(80)의 제어 과정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브레이크 레버(220)가 임의 위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신호지속 판별회로(778)의 출력은 “로우” 신호로 되어 입출력 제어회로(80)가 출력신호를 차단함으로써 모터(86)와 솔레노이드(88)가 작동되지 않게 하고, 또 브레이크 레버(220)를 가감 조작하여 상기 신호지속 판별회로(778)의 출력이 “하이 ” 신호로 되면 상기 입출력 제어회로(80)가 양 구동회로(82)(84)로 출력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86)와 솔레노이드(88)를 작동시키게 된다.Referring to the control process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by the signal sustain determination circuit 778 in more detail, if the brake lever 220 is maintained at a certain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output of the signal sustain determination circuit 778 is A low signal causes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to block the output signal so that the motor 86 and the solenoid 88 are not operated, and the brake lever 220 is adjusted to adjust the signal duration discrimination circuit 778. When the output of the signal becomes a “high” signal,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applies the output signal to both driving circuits 82 and 84 to operate the motor 86 and the solenoid 88.

이와 같이 제어함에 따라, 브레이크 레버(220)가 일정시간 동안 미조작 상태로 유지되면 래칫 핑거(880)가 래칫 기어(864)에 맞물려지고, 이로 인해 전원의 소모 없이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제한된 용량의 전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 브레이크 레버(220)가 조작될 때는 모터(86)보다 먼저 래칫 기어(864)가 래칫 핑거(880)로부터 해방되어 스풀(866)의 회전을 통한 브레이크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brake lever 220 is left unmanag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ratchet finger 880 is engaged with the ratchet gear 864, thereby maintaining the braking force without consuming power, thereby limiting The battery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and when the brake lever 220 is operated, the ratchet gear 864 is released from the ratchet finger 880 prior to the motor 86 to brake operation by rotating the spool 866. You lose.

이때, 상기 입출력 제어회로(80)의 신호 출력이 모터 구동회로(82)의 출력신호보다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의 출력신호가 극히 짧은 시차로 빠르게 출력 되도록 설정하여 두면, 항상 래칫 핑거(880)가 래칫 기어(864)를 해방한 다음에 모터(86)의 작동이 개시되어 기계적 무리 없이 브레이크 조작이 행해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ignal output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is set so that the output signal of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84 is output faster with an extremely short parallax than the output signal of the motor driving circuit 82, the ratchet finger 880 is always present. After releasing the ratchet gear 864, the operation of the motor 86 is started, and the brake operation is performed without mechanical force.

본 발명에 관련된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는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 시에 선두 이후 순서의 자전거는 소켓(722)과 플럭(724)을 통해 앞쪽 자전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모터(86)와 솔레노이드(88)를 동작시키는 구성이므로, 신호 전달 과정에서 앞쪽 자전거의 입출력 제어회로(80)의 출력신호가 뒤쪽 자전거의 입출력 제어회로(80)로 입력될 때에 감쇠 또는 변형된 신호로 입력될 염려가 있다.The interconnectabl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seat bicycle when used as a multi-seater bicycle, and the bicycle after the first order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front bicycle through the socket 722 and the plug 724 to receive the motor 86 and the solenoid 88. Since the output signal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of the front bicycle is input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of the rear bicycle in the signal transmission process, the input signal may be attenuated or deformed.

이 문제는 상기 입출력 제어회로(80)에 보상회로를 추가하여 감쇠 혹은 변형된 파형들을 복구시켜 출력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adding a compensation circuit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to recover the attenuated or modified waveforms.

상기 보상회로는 뒤쪽 자전거의 입출력 제어회로(80)로 입력되는 앞쪽 자전 거의 출력신호를 일률적으로 보상한 신호로 모터 구동회로(82)와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에 인가시킴으로써 모든 자전거의 브레이크가 일정한 힘으로 작용하게 한다.The compensating circuit is a signal that uniformly compensates for the front side rotation output signal input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of the rear bicycle to the motor driving circuit 82 and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84 so that the brakes of all the bicycles are constant. Let it work

또, 브레이크 레버(220)가 원점으로 복귀하면 그 순간부터 일정시간 동안 신호 지속 판별회로(778)의 “하이” 신호 출력이 유지된 다음에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입출력 제어회로(78)를 통한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의 출력신호로 래칫 기어(864)의 해방상태는 일정시간 유지되고, 그 과정에서 기존 브레이크의 스프링 힘으로 스풀(866)에서 분지선(122)이 풀려나와 브레이크는 원래 상태로 복귀된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회로(791)로의 출력이 차단된다.In addition, when the brake lever 220 returns to the home position, the "high" signal output of the signal continuity determining circuit 778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at moment, and then the "low" signal is output. Accordingly, the release state of the ratchet gear 864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output signal of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84 through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78, and in the process, the branch line at the spool 866 with the spring force of the existing brake. The 122 is released and the brak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n the output to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791 is cut off.

본 발명에 관련된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는 다인승 자전거로 사용 시에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반복하면서 브레이크를 조작할 수 있으며, 이때의 브레이크 조작은 선두 측 자전거에서만 자신의 로터리 엔코더(222)의 출력이 신호부(77)에 인가되지만, 그 다음 순서부터는 앞쪽 자전거의 소켓(722)으로 끼워지는 플럭(724)을 통해 자신의 입출력 제어회로(80)로 인가되는 앞쪽 자전거의 입출력 제어회로(80)의 출력신호에 의해 자신의 모터 구동회로(82)와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가 제어됨과 동시에 다시 자신의 소켓(722)과 뒤쪽 자전거의 플럭(724)을 통해 출력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다인승으로 연결된 자전거의 후미까지 차례로 신호가 전달된다.When the brake mod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multi-seat bicycle, the brake can be operated 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In this case, the brake operation outputs the signal of the rotary encoder 222 only from the first bicycle. The output signal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of the front bicycle, which is applied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but is applied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of the front bicycle via the plug 724 inserted into the socket 722 of the front bicycle. The motor drive circuit 82 and the solenoid drive circuit 84 are controlled by the same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outputting through the socket 722 and the plug 724 of the rear bicycle again and again is repeated. Signals are transmitted in turn to the tail.

이에 따라 다인승으로 연결된 자전거 전체는 동일한 신호 레벨로 브레이크가 제어되고, 또한 모든 자전거의 브레이크는 선두 측 자전거의 탑승자가 조작하는 바에 따라 동시에 작동되는 것이므로 여러 대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에도 안전 운행이 보장된다.As a result, the entire multi-seater bicycle is braked at the same signal level, and the brakes of all bicycles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ider of the leading bicycle, thus ensuring safe driving even when connecting multiple vehicles. do.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rconnectabl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를 갖춘 자전거의 1인승 사용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ingle-seat use example of a bicycle with a brake mod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자전거에서 브레이크 레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절단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rake lever in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선두 측 자전거와 후미 측 자전거의 브레이크 모듈레이터 사이가 결선 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brake modulator is connected between a front bicycle and a rear bicycle.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 브레이크 모듈레이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part brake mod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어기판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board shown in FIG. 5; FIG.

도 7은 종래의 다인승 자전거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multi-seater bicycle.

도 8은 종래의 다인승 자전거에 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8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multi-seat bicyc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 프런트 포크 6: 헤드 튜브4: front fork 6: head tube

22: 핸들 220: 브레이크 레버22: handle 220: brake lever

222: 로터리 엔코더 224: 엔코더 케이블222: rotary encoder 224: encoder cable

24: 탑 튜브 30: 클러치 수단24: top tube 30: clutch means

32: 싱크로나이저 72: 브레이크 모듈레이터32: synchronizer 72: brake modulator

720: 앞 자전거 연결 케이블 722: 소켓720: front bike connecting cable 722: socket

724: 플럭 73: 전지724: floc 73: battery

732: 태양열 전지 734: 자전거용 발전기732 solar cell 734: bicycle generator

74: 제어기판 75: 전원부74: control panel 75: power supply

750: 정류회로 752: 전원공급 판단회로750: rectifier circuit 752: power supply judgment circuit

76: 케이블 연결 인식부 762: 플럭 연결인식회로76: cabl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762: plug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4: 소켓 연결인식회로 77: 신호부764: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7: signal portion

770: 클록 발생회로 772: 주파수 결정회로770: clock generation circuit 772: frequency determination circuit

774: 볼륨 인식회로 776: 펄스 폭 변조신호 발생회로774: volume recognition circuit 776: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generating circuit

778: 신호지속 판별회로 780: 솔레노이드 구동신호 발생회로778: signal sustain determination circuit 780: solenoid drive signal generation circuit

80: 입출력 제어회로 82: 모터 구동회로80: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2: motor drive circuit

84: 솔레노이드 구동회로 86: 모터84: solenoid drive circuit 86: motor

860: 출력 기어 862: 감속 기어860: output gear 862: reduction gear

864: 래칫 기어 866: 스풀864: ratchet gear 866: spool

88: 솔레노이드 880: 래칫 핑거88: solenoid 880: ratchet finger

120: V 브레이크 122: 분지선120: V brake 122: branch line

124: 브레이크 와이어124: brake wire

Claims (3)

통상의 1인승 자전거의 후륜에 다른 1인승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를 축 연결하여 다인승 자전거로 변환시킬 수 있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에 있어서.An interconnectable bike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multi-seater bike by connecting the front fork of another single-seater bike to the rear wheel of a conventional single-seater bike. 통상의 자전거에 비치된 브레이크 레버(22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레버(220)의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로터리 엔코더(222)와,A rotary encoder 222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brake lever 220 provided in a normal bicycle and outputting a pulse signal in response to a change in position of the brake lever 220; 상기 로터리 엔코더(222)와 상기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로 유선 연결하는 엔코더 케이블(224)과,An encoder cable 224 wired to the rotary encoder 222 and the brake modulator; 앞쪽 자전거로 연장되는 플럭(724)을 갖춘 연결 케이블(720)을 구비하고 뒤쪽 자전거에서 연장되는 플럭(724)이 접속되는 소켓(722)을 구비한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와,A brake modulator 72 having a connecting cable 720 with a plug 724 extending to the front bicycle and a socket 722 to which the plug 724 extending from the rear bicycle is connected; 상기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로 제어되어서 통상의 브레이크에 연결된 분지선(122)을 감거나 풀어주어 브레이크 작동되게 하는 모터(86)를 갖춘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를 갖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And a motor (86) controlled by the brake modulator (72) to wind or unwind the branch line (122) connected to the normal brake to operate the brak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통상의 브레이크로 연결되는 분지선(122)을 감거나 풀어주는 스풀(866)과,A spool 866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branch line 122 connected to a normal brake, 상기 스풀(866)에 동심 배치되는 래칫 기어(864)와,A ratchet gear 864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the spool 866, 상기 래칫 기어(864)에 상시 맞물리게 배치되는 래칫 핑거(880)와,A ratchet finger 880 disposed at all times in engagement with the ratchet gear 864; 상기 래칫 핑거(880)를 자력으로 래칫 기어(864)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솔레 노이드(88)와,A solenoid 88 which causes the ratchet finger 880 to disengage from the ratchet gear 864 by magnetic force, 상기 스풀(866)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감속 기어(862)를 통해 치차 연결되는 모터(86)와,A motor 86 geared through the reduction gear 862 to rotate the spool 866; 상기 솔레노이드(88) 및 모터(8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기판(74)이 상기 브레이크 모듈레이터(72)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를 갖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Control board 74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88 and the motor 86 is configured to be arranged inside the brake modulator 72 is interconnectable with the brake modulator bicycl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정류회로(750)와 전원공급 판단회로(752)로 구성된 전원부(75)와,A power supply unit 75 including a rectifier circuit 750 and a power supply determination circuit 752; 자전거 연결 상태를 인식하는 플럭 연결인식회로(762) 및 소켓 연결인식회로(764)를 갖춘 케이블 연결 인식부(76)와,A cabl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76 including a plug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2 and a socket connection recognition circuit 764 for recognizing a bicycle connection state, 케이블 연결 인식부(76)의 상태에 대응하여 각 부에 전원 공급 여부를 판단하여 공급 또는 제한하는 전원공급 판단회로(752)를 갖춘 전원부(75)와,A power supply unit 75 having a power supply determination circuit 752 for determining or supplying power or supplying power to each unit in response to the state of the cabl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76; 볼륨 인식회로(774)를 통해 입력되는 로터리 엔코더(222)의 위상 신호를 주파수 결정회로(772)의 파형 정형신호와 조합하여 듀티 비를 갖는 펄스 폭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펄스 폭 변조신호 발생회로(776)와, 상기 볼륨 인식회로(774)의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레버(22)가 일정시간 조작중에 있는지를 인식하는 신호지속 판별회로(778), 및 상기 주파수 결정회로(772)의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88)가 모터(86)보다 빨리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솔레노이드 구동신호 발생회로(780)를 갖춘 신호부(77)와, A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outputting a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having a duty ratio by combining a phase signal of the rotary encoder 222 input through the volume recognition circuit 774 with a waveform shaping signal of the frequency determination circuit 772 ( 776 and a signal sustain determination circuit 778 for recognizing whether the brake lever 22 is in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volume recognition circuit 774, and the solenoi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frequency determination circuit 772. A signal portion 77 having a solenoid drive signal generation circuit 780 for outputting a signal so that the 88 operates faster than the motor 86; 상기 주파수 결정회로(772)와 신호지속판별회로(778), 솔레노이드 구동신호 발생회로(780)의 출력신호에 따라 모터 구동회로(82)와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를 제어하는 동시에, 앞 자전거로부터 오는 감쇠 또는 변형된 신호를 복구시켜서 소켓(722)을 통해 출력하는 입출력 제어회로(80)와,The motor driving circuit 82 and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84 ar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ignals of the frequency determining circuit 772, the signal sustain discriminating circuit 778, and the solenoid driving signal generating circuit 780, An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for recovering attenuated or deformed signals to be output through the socket 722, and 상기 입출력 제어회로(80)에 제어되어 모터(86)를 펄스 폭 변조신호의 듀티 비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회로(82)와,A motor driving circuit 82 controlled by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to drive the motor 86 at a duty ratio of a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래칫 핑거(880)를 연동하도록 상기 입출력 제어회로(80)에 제어되어 솔레노이드(88)를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구동회로(84)가 상기 제어기판(74)에 포함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모듈레이터를 갖춘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A brak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board 74 is configured to include a solenoid driving circuit 84 controlled by the input / output control circuit 80 to operate the ratchet finger 880 to operate the solenoid 88. Interconnectable bike with modulator.
KR1020080066390A 2008-07-09 2008-07-09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with brake modulator KR1008696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390A KR100869603B1 (en) 2008-07-09 2008-07-09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with brake mod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390A KR100869603B1 (en) 2008-07-09 2008-07-09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with brake modul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199A Division KR100869602B1 (en) 2007-04-27 2007-04-27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486A KR20080096486A (en) 2008-10-30
KR100869603B1 true KR100869603B1 (en) 2008-11-21

Family

ID=4015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390A KR100869603B1 (en) 2008-07-09 2008-07-09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with brake modu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60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0762A (en) * 2011-02-28 2012-09-20 Honda Motor Co Ltd Throttle control device
KR20170003264A (en)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크리벤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KR20180138136A (en)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크리벤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300B1 (en) * 2015-04-09 2016-08-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Wireless brake system for special type of tandem bicycle
DE102017211793A1 (en) 2017-07-10 2019-01-10 Gustav Magenwirth Gmbh & Co. Kg Hydraulic line connection for a hydraulic brake handlebar guided vehicles, hydraulic line connection and hydraulic component fixing device for a hydraulic actuator handlebar guided vehicles, handlebar assembly for a handlebar-guided vehicle and hydraulic brake for a handlebar-guided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140A (en) * 1997-10-23 1999-05-15 박규동 Multi-seater bicycle
KR20020020122A (en) * 2000-09-08 2002-03-14 박옥영 A two-seater bicycle comblned with a single-seater bicycle
KR20020035470A (en) * 2000-11-06 2002-05-11 박민식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WO2006080855A1 (en) 2005-01-31 2006-08-03 Njål Underhaug AS Bicycle attach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140A (en) * 1997-10-23 1999-05-15 박규동 Multi-seater bicycle
KR20020020122A (en) * 2000-09-08 2002-03-14 박옥영 A two-seater bicycle comblned with a single-seater bicycle
KR20020035470A (en) * 2000-11-06 2002-05-11 박민식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WO2006080855A1 (en) 2005-01-31 2006-08-03 Njål Underhaug AS Bicycle attach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0762A (en) * 2011-02-28 2012-09-20 Honda Motor Co Ltd Throttle control device
KR20170003264A (en)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크리벤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KR20180138136A (en)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크리벤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486A (en)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6141A (en)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KR100869603B1 (en)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with brake modulator
JP5268479B2 (en) Electric assist bicycle
CN106080871B (en) Bicycle wireless control system
US10322769B2 (en) Saddle riding vehicle
US20140358385A1 (en) Bicycle electronic system
JP5279390B2 (en) Electric bicycle
US9061588B2 (en) Vehicle
EP3176065B1 (en) Electrically assisted bicycle
US20120109436A1 (en) Bicycle motor control system
WO2012014396A1 (en) Electric bicycle
US11254388B2 (en) Hybrid drive for an electric bicycle
CA2446170A1 (en) Electrically assisted bicycle
EP3064423B1 (en)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for a pedal-assisted bicycle
CN106005221A (en) Multi-mode driving method of electric bicycle and multi-mode driven electric bicycle
IT201800006887A1 (en)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a bicycle comprising such control device
KR101473180B1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17138A1 (en) Four-wheeled family bicycle
JP2018020768A (en) Dynamo for bicycle
WO2023170394A1 (en) Electrically-assisted pedal cycles
KR101473183B1 (en) Electric vehicle
CN113247168A (en) Differential conversion mode power assist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KR200167263Y1 (en) Bicycle provided with driving system
KR20210048009A (en) 4­wheel electric bike
JPH06255562A (en) Bicycle with electric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