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218B1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218B1
KR100868218B1 KR1020060125891A KR20060125891A KR100868218B1 KR 100868218 B1 KR100868218 B1 KR 100868218B1 KR 1020060125891 A KR1020060125891 A KR 1020060125891A KR 20060125891 A KR20060125891 A KR 20060125891A KR 100868218 B1 KR100868218 B1 KR 10086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ary gear
gear set
planetary
input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858A (ko
Inventor
노창현
장욱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218B1/ko
Publication of KR2008005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even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07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two sets of orbit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단순 유성기어셋트와 1개의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4개의 클러치와 2개의 브레이크로 조합하여 전진 7속과 후진 1속을 구현하되, 각 변속단에서 2개의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일펌프의 용량 축소와 유압 제어효율을 높일 목적으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서, 제1 선기어가 입력축과 연결되어 제1 입력경로를 형성하고, 제1 유성 캐리어가 고정요소가 되며, 제1 링기어가 중간 출력경로를 형성하여 입력축으로부터 입력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동력을 중간 출력경로를 통해 감속 출력이 이루어지는 제1 유성기어셋트와; 싱글 및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조합하되, 선기어와 유성 캐리어를 공유하는 복합 유성기어셋트로서, 제2 선기어가 상기 입력축과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2 입력경로를 형성하고, 제2 유성 캐리어가 상기 입력축과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3 입력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 출력경로와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1 중간 입력경로를 형성하며, 롱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2 링기어가 상기 중간 출력경로와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2 중간 입력경로를 형성하며, 숏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3 링기어가 출력기어와 연결되어 최종 출력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의 중간 출력경로부터의 회전동력을 2개의 중간 입력경로를 통해 전달받거나,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2개의 입력경로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변속하여 최종 출력경로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와 엔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성기어셋트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선기어를 연결하는 제1 클러치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유성 캐리어를 연결하는 제2 클러치와,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의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유성 캐리어를 연결하는 제3 클러치와,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의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링기어를 연결하는 제4 클러치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 브레이크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제2 브레이크로 구성되는 다수의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을 제공한다.
자동 변속기. 클러치. 유성기어셋트

Description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7 - SPEED POWER TRAI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FOR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파워 트레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찰요소의 변속단별 작동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변속선도.
도 4는 종래 파워 트레인의 일 실시예도.
도 5는 도 4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작동 요소표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은 각 자동차 메이커에 따라 형식을 달리하면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데,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동 변속기는 4속 및 5속 변속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에는 6속 자동 변속기가 개발되어 일부 차량에 적용되는 한편으로 7속 자동 변속기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일예로서는 도 4에서와 같이(BENZ 7G-TRONIC 7속), 2개의 복합 유성기어 셋트를 3개의 클러치와 4개의 브레이크, 그리고 하나의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조합하여 7속 변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복합 유성기어셋트(100)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조합하되, 유성 캐리어(102)와 선기어(104)를 공유함으로써, 제1 선기어(104)와 제1 유성 캐리어(102), 그리고 제1, 2 링기어(106)(108)로 이루어지는 4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복합 유성기어셋트(110)는 2개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세트를 조합하되, 제3 링기어(112)와 제4 유성 캐리어(114)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제3, 4선기어(116)(118), 제3 유성 캐리어(120), 제4 유성 캐리어(124), 제4 링기어(126)로 이루어지는 5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하게 된다.
이러한 복합 유성기어셋트(100)(110)의 각 작동요소를 연결함에서 있어서는 제1 유성 캐리어(102)는 제4 링기어(126)가 고정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원웨이 클러치(F)를 개재시켜 변속기 하우징(128)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선기어(104)는 제1 클러치(K1)를 이용하여 제1 링기어(106)와 가변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제 1 브레이크(B1)를 통해 변속기 하우징(128)에 가변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2 링기어(108)는 입력축(13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항시 입력요소로 작동하게 되고, 상기 제3 링기어(112)는 제2 클러치(K2)를 개재시켜 상기 입력축(128)과 가변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3, 4선기어(116)(118)는 제3 클러치(K3)를 개재시켜 가변적으로 연결 되고, 상기 제3 선기어(116)는 제2 브레이크(B2)를 개재시켜 변속기 하우징(128)과 가변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링기어(106)와 제4 유성 캐리어(124)는 제3, 4 브레이크(B3)(B4)를 개재시켜 변속기 하우징(128)과 가변적으로 연결되며, 제3 유성 캐리어(120)는 출력축(132)와 연결되어 항시 출력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7속 파워 트레인은 도 5에서와 같이, 전진 1속에서는 제3 클러치(K3)와 제2,3 브레이크(B2)(B3), 전진 2속에서는 제3 클러치(K3)와 제1,2 브레이크(B1)(B2), 전진 3속에서는 제1, 3 클러치(K1)(K3)와 제2 브레이크(B2), 전진 4속에서는 제1,2 클러치(K1)(K2)와 제2 브레이크(B2), 전진 5속에서는 제1,2,3 클러치(K1)(K2)(K3), 전진 6속에서는 제2, 3클러치(K2)(K3)와 제1 브레이크(B1), 전진 7속에서는 제1,3 클러치(K1)(K3)와 제3 브레이크(B3)가 작동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후진 1속에서는 제3 클러치(K3)와 제2,4 브레이크(B2)(B4), 후진 2속에서는 제1,3 클러치(K1)(K3)와 제4 브레이크(B4), 후진 3속에서는 제3 클러치(K3)와 제3, 4 브레이크(B3)(B4)가 작동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워 트레인은 전진 7속 및 후진 3속을 실현할 수는 있으나, 각 변속단에서 3개의 마찰요소가 작동함으로써, 유압 제어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이들 마찰요소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오일펌프의 용량이 커져야 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4개의 브레이크를 적용함으로써, 자동 변속기의 크기가 커짐과 동시에 구성이 복합해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1개의 단순 유성기어셋트와 1개의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4개의 클러치와 2개의 브레이크로 조합하여 전진 7속과 후진 1속을 구현하되, 각 변속단에서 2개의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일펌프의 용량 축소와 유압 제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서, 제1 선기어가 입력축과 연결되어 제1 입력경로를 형성하고, 제1 유성 캐리어가 고정요소가 되며, 제1 링기어가 중간 출력경로를 형성하여 입력축으로부터 입력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동력을 중간 출력경로를 통해 감속 출력이 이루어지는 제1 유성기어셋트와;
싱글 및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조합하되, 선기어와 유성 캐리어를 공유하는 복합 유성기어셋트로서, 제2 선기어가 상기 입력축과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2 입력경로를 형성하고, 제2 유성 캐리어가 상기 입력축과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3 입력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 출력경로와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1 중간 입력경로를 형성하며, 롱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2 링기어가 상기 중간 출력경로와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2 중간 입력경로를 형성하며, 숏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3 링기어가 출력기어와 연결되어 최종 출력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의 중간 출력경로부터의 회전동력을 2개의 중간 입력경로를 통해 전달받거나,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2개의 입력경로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변속하여 최종 출력경로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와 엔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성기어셋트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선기어를 연결하는 제1 클러치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유성 캐리어를 연결하는 제2 클러치와,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의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유성 캐리어를 연결하는 제3 클러치와,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의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링기어를 연결하는 제4 클러치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 브레이크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제2 브레이크로 구성되는 다수의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파워 트레인은 동일축선 상에 배치되는 제1, 2 유성기어세트(PG1)(PG2)와, 4개의 클러치(C1)(C2)(C3)(C4)로 이루어지는 클러치 수단과, 그리고 2개의 브레이크(B1)(B2)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입력축(IS)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전이 상기 제1, 2 유성기어셋트(PG1)(PG2)를 거치면서 변속되어 출력축를 통해 출력되는데,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PG2)가 엔진측으로 배치되고, 제1 유성기어셋트(PG1)가 제2 유성기어셋트(PG2)의 후측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입력축(IS)은 입력부재로서 토크 컨버터의 터빈축을 의미하며, 이는 엔진의 크랭크 축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토크 컨버터를 통해 토크 변환이 이루어지면서 입력되고, 출력축은 출력부재로서 출력기어(OG)를 거쳐 공지의 차동장치를 통해 좌우 구동륜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PG1)는 1개의 입력경로(IP1)로 입력되는 회전동력을 중간 출력경로(MOP)를 통해 감속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1 유성기어셋트(PG1)는 2개의 피니언(P)을 보유하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서, 제1 선기어(S1)로 이루어지는 제1 회전요소(N1)와, 제1 링기어(R1)으로 이루어지는 제2 회전요소(N2)와, 제1 유성 캐리어(PC1)로 이루어지는 제3 회전요소(N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요소(N1)가 입력축(IS)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제1 입 력경로(IP1)를 형성하고, 제2 회전요소(N2)가 출력요소로서 중간 출력경로(MOP)를 형성하며, 제3 회전요소(N2)가 변속기 하우징(H)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항시 고정요소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되는 회전동력은 항시 제2 회전요소(N2)를 통해 감속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PG2)에서는 상기 입력축(IS)와 가변적으로 연결되는 제2, 3 입력경로(IP2)(IP3)와, 상기 중간 출력경로(MOP)와 가변적으로 연결되는 제1, 2 중간 입력경로(MIP1)(MIP2)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 동력을 전진 7속 및 후진 1속으로 변속하여 최종 출력경로(OP)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2 유성기어셋트(PG2)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선기어와 유성 캐리어를 공유하는 역 래비뉴 타입 복합유성기어셋트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PG2)는 제2 선기어(S2)를 제4 회전요소(N4), 숏 피니언(P1)과 치합되는 제3 링기어(R3)를 제5 회전요소(N5), 제2 유성 캐리어(PC2)를 제6 회전요소(N6), 롱 피니언(P2)와 치합되는 제2 링기어(R2)를 제7 회전요소(N7)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4 회전요소(N4)가 상기 입력축(IS)과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2 입력경로(IP2)를 형성하며, 제5 회전요소(N5)가 출력기어(OG)와 연결되어 최종 출력경로(OP)를 형성하며, 상기 제6 회전요소(N6)가 상기 입력축(IS)과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3 입력경로(IP3)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 출력경로(MOP)와 가변적 으로 연결되어 제1 중간 입력경로(MIP1)를 형성하고, 제7 회전요소(N7)가 상기 중간 출력경로(MOP)와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2 중간 입력경로(MIP2)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6 회전요소(N6)가 변속기 하우징(H)과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인 고정요소로도 작동하게 되며, 제7 회전요소(N7)가 변속기 하우징(H)에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제2,3 입력경로(IP2)(IP3)에는 제1,2 클러치(C1)(C2)가 배치되고, 상기 제1,2 중간 입력경로(MIP1)(MIP2)에는 제3, 4 클러치(C3)(C4)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6 회전요소(N6)와 변속기 하우징(H) 사이에는 제1 브레이크(B1)가 배치되고, 상기 제7 회전요소(N7)와 변속기 하우징(H) 사이에는 제2 브레이크(B2)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제1,2,3,4 클러치(C1∼C4)와 제1,2 브레이크(B1)(B2)는 유압에 의하여 마찰 결합되는 다판식 유압 마찰 결합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찰부재 즉, 클러치와 브레이크가 각 변속단에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작동표로서, 본 발명의 파워 트레인은 각 변속단에서 2개의 마찰부재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변속선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측의 가로선이 회전속도 "0"을 나타내고, 상측의 가로선이 회전속도"1.0" 즉, 입력축(IS)과 동일 회전속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1 유성기어셋트(PG1)의 3개의 세로선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회전요소(N1)인 제1 선기어(S1), 제2 회전요소(N2)인 제1 링기어(R1), 제3 회전요소(N3)인 제1 유성 캐리어(PC1)로 설정되며, 이들 간격은 제1 유성기어셋트(PG1)의 기어비(선기어의 잇수/링기어의 잇수)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제2 유성기어셋트(PG2)의 4개의 세로선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제4 회전요소(N4)인 제2 선기어(S2), 제5 회전요소(N5)인 제3 링기어(R3), 제6 회전요소(N6)인 제2 유성 캐리어(PC2), 제7 회전요소(N7)인 제2 링기어(R2)로 설정되며, 이들 간격은 제2 유성기어셋트(PG2)의 기어비(선기어의 잇수/링기어의 잇수)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와 같은 변속선도는 파워 트레인의 당업자라면 공지의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진 1속]
전진 1속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클러치(C1)와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1 유성기어셋트(PG1)에서는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3 회전요소(N3)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바, 제2 회전요소(N2)를 통해 감속 출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유성기어셋트(PG2)에서는 제1 클러치(C1)의 작동으로 입력축(IS)의 회전 동력이 제4 회전요소(N4)로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으로 제6 회전요소(N6)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바, 제1 변속선(SP1)을 형성하게 되며, 이의 제1 변속선(SP1)과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연결하는 D1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1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진 2속]
전진 2속에서는 상기 전진 1속의 상태에서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1 유성기어셋트(PG1)에서는 상기 제1속에서와 같이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3 회전요소(N3)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바, 제2 회전요소(N2)를 통해 감속 출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유성기어셋트(PG2)에서는 제1 클러치(C1)의 작동으로 입력축(IS)의 회전 동력이 제4 회전요소(N4)로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으로 제7 회전요소(N7)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바, 제2 변속선(SP2)을 형성하게 되며, 이의 제2 변속선(SP2)과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연결하는 D2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2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진 3속]
전진 3속에서는 상기 전진 2속에서 작동하던 마찰부재 중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은 해제되고, 제3 클러치(C3)가 작동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1 유성기어셋트(PG1)에서는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3 회전요소(N3)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바, 제2 회전요소(N2)를 통해 감속 출력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제2 유성기어셋트(PG2)에서는 제1,3 클러치(C1)(C3)의 작동으로 입력축(IS)의 회전 동력이 제4 회전요소(N4)로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회전요소(N2)로부터의 감속 출력이 제6 회전요소(N6)로 입력이 이루어져 제3 변속선(SP3) 을 형성하게 되며, 이의 제3 변속선(SP3)과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연결하는 D3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3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진 4속]
전진 4속에서는 상기 전진 3속에서 작동하던 마찰부재 중 제3 클러치(C3)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4 클러치(C4)가 작동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1 유성기어셋트(PG1)에서는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3 회전요소(N3)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바, 제2 회전요소(N2)를 통해 감속 출력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제2 유성기어셋트(PG2)에서는 제1,4 클러치(C1)(C4)의 작동으로 입력축(IS)의 회전 동력이 제4 회전요소(N4)로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회전요소(N2)로부터의 감속 출력이 제7 회전요소(N7)로 입력이 이루어져 제4 변속선(SP4)을 형성하게 되며, 이의 제4 변속선(SP4)과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연결하는 D4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4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진 5속]
전진 5속에서는 상기 전진 4속에서 작동하던 마찰부재 중 제4 클러치(C4)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2 클러치(C2)가 작동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1 유성기어셋트(PG1)에서는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3 회전요소(N3)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바, 제2 회전요소(N2)를 통해 감속 출력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제2 유성기어셋트(PG2)에서는 제1,2 클러치(C1)(C2)의 작동에 의하여 입력축(IS)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이 제4, 6 회전요소(N4)(N6)로 입력되는 바,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5 변속선(SP5)을 형성하게 되며, 이의 제5 변속선(SP5)과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연결하는 D5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5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진 6속]
전진 6속에서는 상기 전진 5속에서 작동하던 마찰부재 중 제1 클러치(C1)의 작동은 해제되고, 제4 클러치(C4)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2 유성기어셋트(PG2)에서는 제2,4 클러치(C2)(C4)의 작동으로 입력축(IS)의 회전 동력이 제6 회전요소(N6)로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회전요소(N2)로부터의 감속 출력이 제7 회전요소(N7)로 입력이 이루어져 제6 변속선(SP6)을 형성하게 되며, 이의 제6 변속선(SP6)과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연결하는 D6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6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진 7속]
전진 7속에서는 상기 전진 6속에서 작동하던 마찰부재 중 제4 클러치(C4)의 작동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2 유성기어셋트(PG2)에서는 제2 클러치(C2)의 작동으로 입력축(IS)의 회전 동력이 제6 회전요소(N6)로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으로 제7 회전요소(N7)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바, 제7 변속선(SP7)을 형성하게 되며, 이의 제7 변속선(SP7)과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연결하는 D7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7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후진]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4 클러치(C4)와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2 유성기어셋트(PG2)에서는 제4 클러치(C4)의 작동으로 제2 회전요소(N2)로부터의 감속 출력이 제7 회전요소(N7)로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으로 제6 회전요소(N6)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바, 후진 변속선(SR)을 형성하게 되며, 이의 후진 변속선(SR)과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연결하는 RS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파워 트레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하여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파워 트레인은, 1개의 단순 유성기어셋트와 1개의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4개의 클러치와 2개의 브레이크로 조합하여 전진 7속과 후진 1속을 구현하되, 각 변속단에서 2개의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일펌프의 용량 축소와 유압 제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서, 제1 선기어가 입력축과 연결되어 제1 입력경로를 형성하고, 제1 유성 캐리어가 고정요소가 되며, 제1 링기어가 중간 출력경로를 형성하여 입력축으로부터 입력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동력을 중간 출력경로를 통해 감속 출력이 이루어지는 제1 유성기어셋트와;
    싱글 및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조합하되, 선기어와 유성 캐리어를 공유하는 복합 유성기어셋트로서, 제2 선기어가 상기 입력축과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2 입력경로를 형성하고, 제2 유성 캐리어가 상기 입력축과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3 입력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 출력경로와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1 중간 입력경로를 형성하며, 롱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2 링기어가 상기 중간 출력경로와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제2 중간 입력경로를 형성하며, 숏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3 링기어가 출력기어와 연결되어 최종 출력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의 중간 출력경로부터의 회전동력을 2개의 중간 입력경로를 통해 전달받거나,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2개의 입력경로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변속하여 최종 출력경로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와 엔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성기어셋트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선기어를 연결하는 제1 클러치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유성 캐리어를 연결하는 제2 클러치와,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의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유성 캐리어를 연결하는 제3 클러치와,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의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링기어를 연결하는 제4 클러치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 브레이크와,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의 제2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제2 브레이크로 구성되는 다수의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60125891A 2006-12-11 2006-12-11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KR10086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891A KR100868218B1 (ko) 2006-12-11 2006-12-11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891A KR100868218B1 (ko) 2006-12-11 2006-12-11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858A KR20080053858A (ko) 2008-06-16
KR100868218B1 true KR100868218B1 (ko) 2008-11-11

Family

ID=3980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891A KR100868218B1 (ko) 2006-12-11 2006-12-11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2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183A (ko) * 1996-08-30 1998-06-05 박병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20050043013A (ko) * 2003-11-04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20050090873A (ko) * 2004-03-10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20050090563A (ko) * 2004-03-09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183A (ko) * 1996-08-30 1998-06-05 박병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20050043013A (ko) * 2003-11-04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20050090563A (ko) * 2004-03-09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20050090873A (ko) * 2004-03-10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858A (ko)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954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91138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JP5348375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ギヤトレイン
KR20090017874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20130013251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484196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0916784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28359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093104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86821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KR100907064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88797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86821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KR10091679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90706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86821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KR20090054127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86821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KR10090706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86821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KR10091677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20080048286A (ko) 차량용 10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20110000403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88795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KR20090126113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