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988B1 -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태양전지장치 - Google Patents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태양전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988B1
KR100866988B1 KR1020070055518A KR20070055518A KR100866988B1 KR 100866988 B1 KR100866988 B1 KR 100866988B1 KR 1020070055518 A KR1020070055518 A KR 1020070055518A KR 20070055518 A KR20070055518 A KR 20070055518A KR 100866988 B1 KR100866988 B1 KR 10086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olar cell
solar
frame
cel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민
Original Assignee
김현민
주식회사 솔라코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민, 주식회사 솔라코 컴퍼니 filed Critical 김현민
Priority to KR102007005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62J17/083Frame mounted hoods specially adapted for rider propelled cy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 태양전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의 주행환경과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탑재된 태양전지장치를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태양전지의 발전출력을 증대시켜서 자전거에 장착된 전자기기나 자동주행용 모터를 구동시키는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직사광선을 차광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는 전면으로 전개되는 2단 구조의 태양전지판과 다양하게 변형되는 가변형 프레임 및 전원 컨트롤러와 충전지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주행안정을 위하여 수직날개와 수평날개 및 선바이저가 마련된 것으로, 컨버터블 형태의 전개방식과 공기역학적 구성을 통해 주행시 자전거의 균형유지와 태양광 발전 및 차광기능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자전거, 태양전지, 차광기능

Description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 태양전지장치{A VARIABLE SOLAR-BATTERY APPARATUS FOR BICYCLE INCLUDED SHADING FUNCTION OF CONVERTIBLE TY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를 전개하여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를 자전거에 장착하여 전개상태의
사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를 자전거에 장착하여 대기상태의
사용 예시도.
도 4는 자전거에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와 구동 모터를 장착하여
태양전지 구동 전기자전거로 사용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를 탑승자의 상단에 사용하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를 탑승자의 배면에 사용하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의 태양전지판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의 전원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본체 프레임 21 : 이동 프레임 22-1 : 제1 태양전지판
22-2 : 제2 태양전지판 23 : 고정노브 24 : 선바이저
25 : 수직날개 26 : 피스톤 파이프 27 : 피스톤 로드
28 : 전원 컨트롤러 29 : 충전지(리튬이온) 30 : 지지프레임
31 : 후륜축 32 : 수직프레임 33 : 높이조절 노브
34 : 프레임 고정대 35 : 완충용 가스스프링 36 : 각도조절 노브
37 : 수평날개 40 : 컨트롤러 41 : 구동모터
42 : 전원표시기 43 : 전원출력단자 50 : 아크릴수지 커버
51 : 투명코팅 시트 52 : 태양전지 53 : 회로기판
54 : 아크릴판 60 : 태양전지장치 61 : 전자기기
본 발명은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 태양전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의 주행환경과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탑재된 태양전지장치를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태양전지의 발전출력을 증대시켜서 자전거에 장착된 전자기기나 자동주행용 모터를 구동시키는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직사광선을 차광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태양전지(solar battery)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목적으로 제작된 광전지로, 실리콘 같은 반도체의 광전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한 것 이다. 태양전지는 인공위성을 비롯한 우주비행장치의 전원, 무인등대 전원, 외딴곳의 기상관측소 전원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주택이나 건물의 태양광 발전용으로 대량 사용되고 있다.
태양전지에 의한 발전은 태양에너지의 자외선 부분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흐린 날에도 발전이 가능하여 태양에너지의 이용효율이 높다. 특히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은 그 과정에 기계적, 화학적 작용이 없으므로 구조가 단순하며, 환경에 대한 영향이 미미하고 안전하며, 수명이 20년 이상 지속되는 장점이 있어서 무공해 대체에너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근래 태양전지에 대한 각국의 연구개발 투자와 양산경쟁에 따라 발전효율과 경제성이 향상되어, 각종 태양전지 관련제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태양전지로 구동되는 솔라자동차, 솔라항공기, 솔라보트 등은 시험제작 단계를 벗어나 각종 대회의 경주용으로 양산되고 있다.
그러나 근거리 이동과 레저용으로 대중화된 이동수단인 자전거에는,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태양전지를 마땅히 부착할 곳이 없어서, 대용량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나 전기자전거의 모터용 전원으로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자전거의 악세사리 전원용으로 소규모의 태양전지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지구온난화와 오존층 파괴의 영향으로 기온이 상승하고 태양광 자외선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태양이 내리쬐는 야외에서 자전거를 타고 레저를 즐기거나 장거리 주행시 피부가 그을리고 피부홍반이나 피부암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늘어나 자전거 이용에 제약요소가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자전거에 설치하는 다양한 차양수단이 제안되어 왔으나, 대부분 설치가 번거롭고 설치시 자전거의 주행에 방해가 되어 대중화되지 못하고, 장거리를 주행하는 자전거 이용자는 무더운 날씨에도 자외선을 차단하느라, 두꺼운 옷을 입고 안면에 선그라스와 가림천을 착용하며 자전거를 타는 실정이다.
또한, 페달 자전거에 모터와 충전지 및 컨트롤러를 장치하여 구성된 전기자전거는, 자동주행 기능으로 사용이 편리하여 사용자가 날로 늘어나고 있으나, 자전거 탑재형 충전지의 한정된 충전용량으로 인하여 단거리(20~30Km)를 운행한 뒤, 4~8시간 재충전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전기자전거의 대중화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자전거에 태양전지를 설치하는데 따르는 많은 제약요소(좁은 공간과 주행방해 및 균형유지 문제)를 극복하고, 자전거의 주행안정와 조화를 이루며 효율적으로 태양광 전원을 얻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의 주행여건과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판을 최대한 넓게 전개하고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자전거에 장 착된 전자기기나 모터를 구동할 수 있는 자전거용 태양전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 탑승자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컨버터블 타입의 전개방식을 적용하고,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공기역학적 구성을 하여, 주행시 자전거의 균형유지와 태양광 발전 및 차광기능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는, 제1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본체 프레임과; 제2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이동 프레임과; 높이와 수평각이 조절되도록 한조로 구성된 수직프레임, 지지프레임, 가스스프링과; 주행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전거의 균형을 유지하는 수직날개 및 수평날개와;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전원 컨트롤러와 충전지가 포함되어; 일체형의 태양전지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도 4와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태양이 중천에 위치할 때 자전거를 탈 경우, 후륜 위에 대기된 태양전지장치를 탑승자의 앉는 키만큼 들어올려 고정하고, 탑승 후 제2 태양전지판이 마련된 이동 프레임을 전면으로 전개하면, 2개의 태양전지판이 수평으로 길게 배열되어 태양전지의 발전출력이 최대로 증대되고, 직사광선이 차광되어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태양이 탑승자의 후방에 위치할 때 자전거를 탈 경우, 태양전지장치의 수직 프레임을 내리고 완충용 가스스프링를 조절하여 본체가 45~60도 경사지게 구성하면, 태양전지판에 태양광이 직각으로 입사되어 유용한 발전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장치는 탑승자의 배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자전거 주행시 바람의 영향이 적으며, 탑승자의 뒷면에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차광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는, 자전거의 주행여건과 탑승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구조로서, 장치의 프레임과 구성품은 마그네슘 합금재질 또는 프라스틱 사출품을 사용하여 가볍고 견고하게 제작되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는, 본체 내부에 전원 컨트롤러와 리튬이온(Li-Ion) 충전지가 마련되어, 태양전지에서 발전된 전기를 최적화하여 충전지에 저장하고, 자전거에 장착된 각종 전자기기나 구동용 모터에 적합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는, 자전거의 주행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동 프레임의 상단에 수직날개와 하단에는 선바이저가 마련되고,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는 수평날개가 마련되어, 바람에 의해 태양전지판이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자전거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강풍이 불어 태양전지장치에 의해 자전거의 균형유지가 어려울 경우, 전개된 이동 프레임을 닫고 본체를 하단으로 내려서 주행하는 것으로, 이 경우 태양전지의 발전량은 1/2로 축소되나 공기의 흐름에 의해 본체가 수평날개 기능을 하여 자전거의 균형유지에 보탬이 되는 작용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를 전개하여 보인 전체 사시도로,
제1 태양전지판(22-1)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본체 프레임(20)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제2 태양전지판(22-2)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동 프레임(21)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연결되고, 한조로 구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수평각을 조절하는 수직 프레임(32) 및 완충용 가스스프링(35)과; 후륜축(31)에 체결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한조가 되어 높이가 조절되고 본체를 지탱시키는 지지 프레임(30)과; 주행시 바람의 영향을 축소시키고 자전거의 균형유지를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면에 마련되는 수직날개(25)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면에 마련되는 수평날개(37)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면 하단에 마련되고, 자외 선을 차단하는 선바이저(24)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고, 태양전지에서 발전된 전기를 제어하여 충전하기 위한 전원 컨트롤러(28)와 충전지(29)가; 포함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자전거에 탑재되어 가변기능을 통해 태양광 발전의 극대화와 차광작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를 자전거에 장착하여 전개상태의 사용 예시도며, 도 3은 태양전지장치의 대기상태를 보인 사용 예시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는 자전거의 후륜축(31)에 장착되고, 상단의 이동프레임(21)이 전면으로 전개되어 2개의 태양전지판에 의해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륜에 구동모터(41)가 장착되고 핸들에는 컨트롤러(40)가 장착되어, 태양전지장치의 전기로 자동주행용 모터를 구동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가 최소크기로 접혀진 대기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야간주행을 할 때나 강풍이 불어 자전거의 균형유지가 힘들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다. 대기상태에서도 태양광이 있을 경우, 이동프레임(21)에 구비된 제2 태양전지판(22-2)에 의해 발전되어 내장된 충전지에 전기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자전거에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와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태양 전지 구동 전기자전거로 사용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다.
일반 자전거(a)에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가 장착(b)되고, 탑승자의 앉은 키만큼 태양전지장치를 상단으로 들어올린 상태(c)와 탑승 후에 태양전지장치의 이동 프레임을 전면으로 전개하여 사용하는 상태(d)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는, 일반 자전거에 탑재되어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과 함께 각종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전원공급장치로 사용되거나, 일반 자전거에 허브모터와 컨트롤러를 장착하여 태양전지로 구동되는 솔라 자전거의 전원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축전지로 구동되는 전기자전거에 탑재되어 충전용 전원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를 탑승자의 상단에 사용하는 측면도며, 도 6은 태양전지장치를 탑승자의 배면에 사용하는 측면도다.
도 5는 탑승자의 상단에 경사지게 전개된 태양전지장치의 측면을 보인 것으로, 탑승자의 앉은키 만큼 수직프레임(32)으로 높이를 조절하고, 완충용 가스스프링(35)과 각도조절 노브(36)를 통해 바람에 의한 롤링이 최소화되도록 태양전지장치를 전면으로 약간 기울게 조정하며; 고속 주행시 이동프레임(21) 상단의 수직날개(25)와 본체 프레임(20) 상단의 수평날개(37)에 의해 양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태양전지장치의 흔들림을 막고 자전거의 균형유지에 보탬이 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태양을 마주보면서 자전거를 주행할 경우, 태양광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고 얼굴이 그을리게 되므로, 이동프레임(21)의 전면에 구비된 선바이저(24)를 내려서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맞바람의 영향이 클 경우 선바이저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상단으로 유도시켜서 태양전지장치를 안정되게 하는 것이다.
도 6은 태양을 등지고 자전거를 주행할 경우, 태양전지장치를 경사지게 구성한 형태를 보인 것으로, 태양전지장치를 탑승자의 배면과 비슷한 45~60도로 경사지게 가변하여,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직각으로 입사되도록 하여 태양전지의 발전출력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며, 도 8은 태양전지장치의 태양전지판 구성을 보인 단면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하여 상단의 태양전지판을 들어낸 구성도로, 본체 프레임(20)에 피스톤 파이프(26)가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 파이프에 수직 프레임(32)이 장착되며; 양쪽에는 전원 컨트롤러(28)와 리튬이온 충전지(29)가 구비되며; 피스톤 로드(27)는 이동 프레임(21)에 연결되어, 이동 프레임(21)을 수평으로 유도하고 프레임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전면 내부 에는 선바이저(24)가 접혀진 상태로 마련된 것이다.
도 8은 태양전지장치의 태양전지판 단면을 보인 것으로, 태양전지장치에 의해 자전거의 무게중심이 크게 흔들리지 않도록, 기존 태양전지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무거운 강화유리의 사용을 배제하고, 가볍고 내구성과 투명도가 우수한 강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태양전지판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가벼운 회로기판(53)에 셋팅된 태양전지(52)를 투명코팅 시트(51)로 정착하여 프레임 구조로 성형된 아크릴수지 커버(50)의 하단에 부착하고, 회로기판(53)의 하단을 아크릴판(54)으로 밀착시켜 프레임 일체형 태양전지판으로 성형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양전지판은 가벼우면서도 태양광 투과율이 우수하고, 태양전지의 내구성이 강화되어 태양광 발전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의 전원회로 구성도로서, 제1 태양전지판(22-1)과 제2 태양전지판(22-2)이 마련되고,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발전된 전기를 제어하여 내장된 충전지(29)에 충전하고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컨트롤러(28)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전원 컨트롤러를 통해 전기자전거용 컨트롤러(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모터(41)를 작동시키고, 전원출력단자(43)를 통해 자전거에 장착된 각종 전자기기(61)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구성도로 보인 것이다.
상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내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전거의 한정된 공간을 극복하여 차광기능과 태양광 발전이 병행되도록 한 자전거용 태양전지장치로서, 컨버터블 타입의 전개방식을 통해 사용의 간편함을 도모하고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태양전지의 발전출력을 극대화시키고, 직사광선을 차광시켜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장치는 태양전지와 전원 컨트롤러 및 충전지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사용과 탈착이 용이하며, 자전거에 장착되는 각종 전자기기(네비게이션/TV, 핸드폰 충전 등)의 전원공급은 물론 전기자전거용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대용량의 태양광 발전장치로서, 각종 자전거용 전자기기를 사용하거나 전기자전거의 전원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차광기능이 있는 자전거용 태양전지장치는,
    제1 태양전지판(22-1)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본체 프레임(20)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제2 태양전지판(22-2)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동 프레임(21)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연결되고, 한조로 구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수평각을 조절하는 수직 프레임(32) 및 완충용 가스스프링(35)과; 후륜축(31)에 체결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한조가 되어 높이가 조절되고 본체를 지탱시키는 지지 프레임(30)과; 주행시 바람의 영향을 축소시키고 자전거의 균형유지를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면에 마련되는 수직날개(25)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면에 마련되는 수평날개(37)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면 하단에 마련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선바이저(24)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고, 태양전지에서 발전된 전기를 제어하여 충전하기 위한 전원 컨트롤러(28)와 충전지(29)가; 포함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자전거에 탑재되어 가변기능을 통해 태양광 발전의 극대화와 차광작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 태양전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20)과 이동 프레임(21)은 상하 2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에 연결된 피스톤 파이프(26)와 피스톤 로드(27)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이 전면으로 수평이동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 태양전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32)과 완충용 가스스프링(35) 및 지지프레임(30)은 한조로 구성되어, 상기 태양전지장치의 수평각과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 태양전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개(25)와 수평날개(37)는 자전거의 고속주행시 상기 태양전지장치에 수직과 수평의 양력이 작용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 태양전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22-1,22-2)은 회로기판(53)에 다수의 태양전지(52)를 배치하고 투명코팅 시트(51)로 정착하여 마련한 태양전지기판을 강화 아크릴수지로 상하단을 밀착시켜 일체형 태양전지판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 태양전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장치는 제1 태양전지판(22-1)과 제2 태양전지판(22-2) 및 전원 컨트롤러(28)와 충전지(29)가 본체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 태양전지장치.
KR1020070055518A 2007-06-07 2007-06-07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태양전지장치 KR100866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518A KR100866988B1 (ko) 2007-06-07 2007-06-07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태양전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518A KR100866988B1 (ko) 2007-06-07 2007-06-07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태양전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988B1 true KR100866988B1 (ko) 2008-11-18

Family

ID=4028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518A KR100866988B1 (ko) 2007-06-07 2007-06-07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태양전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9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450B1 (ko) * 2008-12-31 2011-01-28 정창호 태양광 충전 전기 자전거
KR101492264B1 (ko) 2012-11-01 2015-02-17 (주)미르 알엔티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전기자전거
CN114475879A (zh) * 2020-10-26 2022-05-13 什拉姆有限责任公司 用于自行车的能量收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1188A (en) 1978-08-28 1980-01-01 Richard Dessert Energy efficient passenger vehicle
JP2004268609A (ja) 2003-03-05 2004-09-30 Shirouma Science Co Ltd 走行用カバー体付自転車
JP2005253221A (ja) 2004-03-05 2005-09-15 Shiro Tsuji ソーラーマイクロビーク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1188A (en) 1978-08-28 1980-01-01 Richard Dessert Energy efficient passenger vehicle
JP2004268609A (ja) 2003-03-05 2004-09-30 Shirouma Science Co Ltd 走行用カバー体付自転車
JP2005253221A (ja) 2004-03-05 2005-09-15 Shiro Tsuji ソーラーマイクロビーク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450B1 (ko) * 2008-12-31 2011-01-28 정창호 태양광 충전 전기 자전거
KR101492264B1 (ko) 2012-11-01 2015-02-17 (주)미르 알엔티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전기자전거
CN114475879A (zh) * 2020-10-26 2022-05-13 什拉姆有限责任公司 用于自行车的能量收集
US11894716B2 (en) 2020-10-26 2024-02-06 Sram, Llc Energy harvesting for a bicy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791B2 (en) Vehicle forming a self-balancing human transporter with an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KR100975660B1 (ko) 지붕달린 삼륜자전거
US20110297459A1 (en) Solar powered electric motor vehicle
JP2012515116A (ja) 車両用ソーラーパワー充電及び供給
CN202400039U (zh) 一种太阳能车窗
US20100084208A1 (en) Power generation system for use with vehicle
US20120043143A1 (en) Solar Electric Vehicle with Foldable Body Panels on a Sun Tracking Chassis
KR100866988B1 (ko) 컨버터블 타입의 차광기능을 겸한 자전거용 가변태양전지장치
JP7239690B2 (ja) 二輪車用太陽光薄膜発電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EP2559585A1 (en) A solar electric vehicle with foldable body panels on a sun tracking chassis
CN209547207U (zh) 太阳能风扇伞
CN202798038U (zh) 多功能野外电源
KR101390235B1 (ko) 태양광 모듈을 구비한 전동스쿠터
CN102180228B (zh) 休闲多功能太阳能自行车
WO2013143589A1 (en) Lighting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solar cell and led
KR102379278B1 (ko) 스마트 벤치
CN202295196U (zh) 休闲多功能太阳能自行车
WO2011038821A1 (en) An electric power generating device for automobiles
CN206859769U (zh) 一种新能源棚体
KR101011450B1 (ko) 태양광 충전 전기 자전거
CN101007509A (zh) 密闭-轻型舱式太阳能电动车
CN207421849U (zh) 一种led照明灯
CN208813443U (zh) 一种无需充电的电动自行车
CN208510255U (zh) 高精度智能化多功能太阳能定位包
CN206255203U (zh) 一种太阳能植保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