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640B1 - Displacement apparatus for display - Google Patents

Displacement apparatus for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640B1
KR100866640B1 KR1020070078766A KR20070078766A KR100866640B1 KR 100866640 B1 KR100866640 B1 KR 100866640B1 KR 1020070078766 A KR1020070078766 A KR 1020070078766A KR 20070078766 A KR20070078766 A KR 20070078766A KR 100866640 B1 KR100866640 B1 KR 100866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pport
driving means
motor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브라이언성호 강
Original Assignee
브라이언성호 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이언성호 강 filed Critical 브라이언성호 강
Priority to KR102007007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6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5Corn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 viewing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for a display is provided to perform pivot-angle adjustment so that both ends of the display get farther from walls during angle adjustment, thereby broadening a rotation angle and preventing damages due to a touch between the walls and the display. A base(10) includes a cover(12) in which a sliding hole(12A). A display is equipped in a support(50). The first driving unit(20) is connected to the base to move the support forward and backward. The second driving unit(30) pivots the support. The support is arranged in a pulley(40) equipped in the base. The pulley moves straight by power transferred from the first driving unit. The support mov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with the sliding hole.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조절장치{DISPLACEMENT APPARATUS FOR DISPLAY}Viewing position adjuster for display {DISPLACEMENT APPARATUS FOR DISPLAY}

본 발명은 PDP, LCD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TV,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의 시청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가 되도록 각도와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that can easily adjust the angle and distance so that the viewing position of the display, such as a TV, a monitor, etc. produced using a flat panel display panel such as a PDP, LCD to a desired shape,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된 디스플레이의 시청각도를 시청자가 원하는 각도와 거리가 되도록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More specifically, the viewing angle of the fixed display can be finely adjusted to be the distance and distance desired by the viewer.

간단한 리모트콘트롤러의 조작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노약자 및 부녀자 등도 쉽게 시청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 display which can easily adjust the viewing angle of the elderly and the female, since the angle can be adjusted by a simple remote controller.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는 기존 CRT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얇고 가벼워 벽걸이형태로 설치될 정도로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므로 각광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화질 또한 크게 개선되고 있어 컴퓨터 모니터를 비롯한 TV 모니터에 이르기까지 CRT 디스프레이를 거의 대체 하기에 이르렀다.Flat panel displays such as plasma display panels (PDP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re popular because they are thinner and lighter than conventional CRT displays and occupy a small area so that they can be installed in a wall-mounted form. From monitors to TV monitors, they have almost replaced CRT displays.

종래 평판 디스플레이의 각도조절수단 도입의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정면에서 시청할 때에는 선명하지만, 일정 각도 이상의 측면에서 시청할 때에는 색상 왜곡과 색반전이 일어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가능한 정면에서 시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is to have a clear view when viewed from the front, bu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olor distortion and color inversion when viewing from a certain angle or more side, the viewing is possible from the front as possible. .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를 위한 거치수단으로는 장식장과 같은 랙(rack)과 같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도록 하는 '스탠드형 장치'와 벽에 부착하는 '벽걸이형 장치'가 있으며, 각각 각도조절, 거리조절, 그리고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다.Mounting means for such a flat panel display includes a 'stand type device' for placing the display at a certain height on the ground, such as a rack such as a cabinet, and a 'wall type device' for attaching to a wall. It is implemented to adjust the distance and height.

보다 구체적인 종래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장치를 살펴보면,Looking at a more specific conventional display angle adjuste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1762호(공개일자 2000년01월25일) 'PDP-TV의 화면각도 조절장치'에서는 '핸들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구동피니언과 회전방향에 따른 회동부재와 이에 연결된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기 위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핸들을 회동시키게 된다.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0-1762 (published Jan. 25, 2000) In the 'PDP-TV screen angle control device', 'the drive pinion operated by the handle and the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drive connected thereto The rotation angle is adjusted by the member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handl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adjust the desired angle.

그러나 각도를 조절할 때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뒷쪽에 설치된 핸들을 파지해서 회동시키게 되며 조절된 각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시 자리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과 수동으로 각도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각도를 맞추기 위하여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each time the angle is adjusted, the user grasps the handle installed at the back of the display and rotates, and it is inconvenient to move the seat again to check the adjusted angle and manually sets the angle. There was a problem that must be repeated once.

또 공개특허공보 제1997-51720호(공개일자 1997년07월29일) '평면형 화상표시장치의 시청각조정장치'에서는 '습동면이 형성된 다수의 습동안내부재와 위치고정수단과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PDP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범위내에서 조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사용자가 쉽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In addition,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997-51720 (published on July 29, 1997) in the `` Audio-visual adjusting device of a flat image display device '' consists of an inner member, a position fixing means and a guide member during a plurality of wet surfaces in which a sliding surface is formed. PDP can be adjuste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user's operation,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사용자가 PDP를 쥐고 원하는 각도를 조절한 후 조정부재를 전진시켜 위치를 고정하게 되어 중량이 무거운 PDP를 노약자 및 부녀자가 쉽게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PDP를 쥐고 각도를 조절한 후 조정부재를 전진시켜야 하는데 이때 PDP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조정부재를 조작하게 되는 불편함과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도 있었다.After the user grabs the PDP and adjusts the desired angle, the adjustment member is moved forward to fix the position so that the elderly and the female can not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heavy PDP. At this time, there was a concern that the discomfort and safety accident may occur that the PDP is held by one hand and the adjustment member is operated by the other hand.

나아가 종래 단순히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기만 하는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장치가 벽면에 인접 설치된 경우 디스플레이 회전시 일정 각도 선회되면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좌우 끝단부가 설치된 벽면에 부딪혀서 회전 각도의 제약을 받으며 또한 회전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Furthermore, in the conventional device that simply rotates the display, when the display angle adjusting device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wall, when the display is rotated at an angle,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splay display are constrained by the angle of rotation and the rotation is difficult.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의 시청각도 및 시청거리를 시청자가 시청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형태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 display that can easily adjust the viewing angle and viewing distance of the display in a desired form without the viewer moving from the viewing position. There is this.

또 디스플레이의 시청위치를 조절할 때 디스플레이가 벽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벽체에서 떨어뜨리면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 display that allows an angle adjustment while the display is dropped from a wall so as to prevent the display from being damaged by a wall when adjusting the viewing position of the displa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모터의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중계부를 포함하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중계부에 의하여 전달된 동력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활차와 상기 활차에 배열되며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를 선회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제2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ive means including a relay for converting the circular motion of the first motor into a linear motion and the pulley for linear movement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relay and the And second driving means arranged on the pulley and including a support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a second motor for pivoting the suppo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구동수단의 중계부는 상기 제1모터에 의하여 원운동을 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결합 되고 상기 활차에 형성된 너트로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relay unit of the first driving means includes a screw that is circularly moved by the first motor and a nut coupled to the screw and formed on the pulley.

또한, 상기 제2구동수단은 상기 제2모터와 연결된 피니언과 상기 서포트에 구비된 웜휠로 이루어진 웜기어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means is a worm gear consisting of a pinion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and a worm wheel provided in the support.

또한, 상기 활차는 상기 웜휠이 설치되는 수용부를 갖고, 상기 피니언이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 된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ulley has an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worm wheel is installed, and the pinion is installed through the pinion, and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the nut is formed and a roller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를 위한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Preferably it further comprises a base formed with a rail for the roller.

본 발명에 따른 시청위치 조절장치는 시청자가 원하는 시청각도 및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각도 및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움직임 없이 제어부에 연결된 리모트콘트롤러를 작동하여 노약자 및 부녀자도 쉽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나아가 원하는 각도로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시청자 개개인이 선호하는 시청각도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고장의 염려가 적은 효과가 있다.The 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viewing angle and distance desired by the viewer, and the elderly and women can easily adjust the angle by operating a remot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ithout additional movement to adjust the angle and distance. In addition, it can be finely adjusted to the desired angle to obtain the viewing angle preferred by each viewer, as well as simple components can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re is less concern about the failure.

또한 디스플레이가 벽면에 설치될 경우 각도 조절시 디스플레이의 좌우 끝단부가 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형태로 선회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회전각이 더 넓어질 뿐만 아니라 벽면에 부딪혀 제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is installed on the wall,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splay are turned away from the wall when the angle is adjusted, so that the angle of rotation is wider, and the rotation angle is wider and the product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wall.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조절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viewing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for a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articular, the tens and ones digits, or the same digits, tens, ones, and alphabets refer to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reference in the drawings. The member referred to may be regarde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criteria.

먼저, 도 1,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청위치 조절장치(100)는 활주장공(12A)이 형성된 커버(12)가 구비된 베이스(10)와, 디스플레이(P)(도 3a 참조)가 장착된 서포트(50),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서포트를 전후진시키는 제1구동수단(20), 그리고 상기 서포트의 선회를 위한 제2구동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S. 1, 2A and 2B, the 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 having a cover 12 having a slide hole 12A and a display P. (See FIG. 3A), the support 50 is mounted, the first driving means 20 mounted on the base to move the support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30 for turning the support. Is done.

상기 서포트(50)는 상기 베이스(10) 내부에 구비된 활차(40)에 배열되는데, 상기 활차(40)는 제1구동수단(20)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서포트(50)가 활주장공(12A)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The support 50 is arranged on the pulley 40 provided in the base 10, the pulley 40 is a linear movement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ing means 20 and the support 50 moves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slide hole 12A.

상기 제1구동수단(20)은 제1모터(21)와 중계부(J)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모터(21)와 제1감속기(22)를 거쳐 중계부(J)에 동력을 전달한다.The first driving means 20 includes a first motor 21 and a relay unit J, which transmits power to the relay unit J through the first motor 21 and the first reducer 22. do.

이때 상기 중계부(J)는 상기 제1모터(21)의 원운동을 상기 활차(4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In this case, the relay unit J is for converting the circular motion of the first motor 21 into a linear motion of the pulley 40.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나,Various known methods may be employed,

도면에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제1모터의 토크 향상을 위한 제1감속기(22)를 거쳐 원운동을 하는 스크류(23)와 상기 스크류(23)에 결합되고 상기 활차(40)에 형성된 너트(43)로 이루어지는데, In the drawing, the relay unit is coupled to the screw 23 and the screw 23 in circular motion via the first reduction gear 22 for improving the torque of the first motor, and the nut 43 formed on the pulley 40. It consists of

상기 제1모터(21)와 제1감속기(22)를 거치면서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23)가 원운동을 하고 상기 활차(40)에 형성된 너트(43)가 상기 스크류(23)의 원운동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활차(4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The screw 23 is circularly moved by the power transmit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motor 21 and the first reducer 22, and a nut 43 formed on the pulley 40 is formed of the screw 23. The pulley 4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a linear motion along a circular motion.

상기 디스플레이(P)를 원하는 시청각도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P)가 고정된 서포트(50)를 선회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서포트(50)를 선회시키는 제2구동수단(30)이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다.In order to adjust the display P to a desired viewing angle, the display P to which the display P is fixed must be pivoted. For this purpose, the second driving means 30 that pivots the support 50 is the base 10. ) Is provided.

상기 제2구동수단(30)은 제2모터(31)의 동력을 방향전환하여 상기 서포트에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나,The second driving means 30 may be employed in various ways to redirect the power of the second motor 31 to the support,

도면에서는 상기 제2모터의 토크 향상을 위한 제2감속기(32)를 거쳐 연결된 피니언(33)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웜휠(34)(이빨을 생략하여 단순화된 형태로 표시함)로 이루어진 웜기어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웜휠은 상기 서프트와 연결되어 있다.In the drawing, a worm gear composed of a pinion 33 connected via a second reduction gear 32 for improving torque of the second motor, and a worm wheel 34 engaged with the pinion (represented in a simplified form by omitting teeth). The worm wheel is connected to the support.

상기 제2모터(31)와 제2감속기(32)를 거친 동력에 의하여 상기 피니언(33)이 선회하면, 이어 웜휠(34)이 선회하면서 동력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서포트(50)를 선회시키게 된다.When the pinion 33 is rotated by the pow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motor 31 and the second reducer 32, the worm wheel 34 is rotated so that the power direction is changed to rotate the support 50. .

상기 활차(40)는 제1구동수단(20)에 의한 서포트(50)의 전후진 운동과 제2구동수단(30)에 의한 서포트(50)의 원운동이 상호 간섭 없이 함께 구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ㄷ'자 형상의 본체(41)와 롤러(42)로 이루어진다.The pulley 40 is to allow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of the support 50 by the first driving means 20 and the circular motion of the support 50 by the second driving means 30 to be implemented together without mutual interference. , 'C' shaped body 41 and the roller 42 is composed of.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활차(40)의 본체(41)는 상기 웜휠(34)이 설치되는 수용부(S)를 각고, 상기 피니언(33)가 베어링(B)을 개재한 상태로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계부(J)를 구성하는 너트(43)가 형성되어 있고,In more detail, the main body 41 of the pulley 40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S in which the worm wheel 34 is installed, and the pinion 33 is penetrated through a bearing B. , The nut 43 constituting the relay unit J is formed,

상기 롤러(42)는 본체(41)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The roller 42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41.

도 2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41)에는 덮개(4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덮개와 상기 롤러(42)에는 각각 상기 웜휠(34)과 상기 서포트(50)를 위한 베어링(B)이 구비되어 있다.As can be seen in FIG. 2B, the main body 41 is provided with a cover 44, and the cover and the roller 42 have bearings B for the worm wheel 34 and the support 50, respectively. ) Is provided.

상기 제1구동수단(20)에서 전달된 동력은 상기 활차(40)의 직선운동을 일으키게 되고,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ing means 20 causes the linear motion of the pulley 40,

상기 활차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제2구동수단(30)을 이루는 제2모터(31)와 웜기어, 그리고 상기 서포트(50)도 함께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linear motion of the pulley, the second motor 31, the worm gear, and the support 50 constituting the second driving means 30 are also linearly moved together.

또 제2구동수단(30)의 동력은 상기 제1구동수단의 동력전달과정과 무관하게 상기 서포트(50)가 선회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The power of the second driving means 30 does not prevent the support 50 from turning, regardless of the power transmission process of the first driving means.

즉, 디스플레이(P)의 시청각도를 조절할 때 조절되는 변위각에 따라서 디스플레이(P)의 위치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동시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angle of the display P can be adjusted while moving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angle adjusted when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P is adjusted.

따라서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P)의 설치 위치가 벽면(W)과 가까워도 디스플레이를 전진시켜 벽면에서 이격시킨 다음 선회시키게 되면 벽면(W)과 디스플레이(P)가 충돌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even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splay P is close to the wall surface W, the display is advanced and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and then the wall surface W and the display P are rotated. You can prevent conflicts.

다음으로 도 2c에는 도 1 내지 도 2b와는 달리 상기 제2구동수단(30)이 별도에 장착부(M)에 구비되어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Next, unlike FIG. 2 to FIG. 2B, the second driving means 30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M separately.

상기 장착부(M)에는 상기 제2구동수단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가 장착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 may be mounted with a display as well as the second driving means.

제1구동수단(20)에 의하여 전후진운동을 하는 활차(40)에 연결된 서포트(50)는 공회전방지를 위하여 키(key) 역할을 하는 요홈(51)이 구비되어 있으며,The support 50 connected to the pulley 4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irst driving means 20 is provided with a recess 51 serving as a key to prevent idling.

상기 서프트(50) 상단에 구비된 장착부(M)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있어 상기 제2모터(3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33)이 선회하면 고정 정지된 웜휠(35)로 인하여 상기 장착부(M)와 제2모터(31), 피니언(33), 그리고 디스플레이가 선회하게 된다.The mounting portion M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50 has a bearing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pinion 33 is rot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31. (M), the second motor 31, the pinion 33 and the display will turn.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청위치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state of the viewing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특히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시청위치 조절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D)가 벽멱(W)과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음에도, 이에 무관하게 제1구동수단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전진으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어지는 동작모드에 중점을 두고 있다.In particular, the following description, even though the display (D) installed in the 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wall (W), the operation mode in which the angle adjustment is made by advancing the display by the first driving means regardless of this. Focus on.

설명에 앞서 먼저, 도 3 (a)를 참조하여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First, if the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 3 (a),

디스플레이(P)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시청자가 시청하는 위치를 전면이라 하고, The position that the viewer watches while the display P is horizontal is called the front surface.

각종 단자가 배열되며 벽면(W)이 위치한 쪽을 후면이라 하고Various terminals are arranged and the side where the wall surface (W) is located is called the rear side.

상기 디스플레이를 바라본 상태에서 좌측과 우측을 나누며,Dividing the left and right side while looking at the display,

평면도로 도시한 도 3에서 좌회전은 디스플레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며, 우회전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In FIG. 3, the left turn indicates that the display rotates clockwise, and the right turns rotates counterclockwise.

먼저, 도 3 (a) 에서는 디스플레이(P)가 전면을 향하여 수평을 이룬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때 상기 서포트(50)는 활주장공(12A)의 후면 끝단에 위치하여 최대로 후진된 상태이고 상기 서포트(5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P)는 전면을 향하여 수평을 이루고 있어,First, Figure 3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 is leveled toward the front, wherein the support 50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lide hole (12A) to the maximum backward state and The display (P) fixed to the support 50 is horizontal to the front,

제1구동수단(20) 및 제2구동수단(30)이 모두 정지된 상태이고, Both the first driving means 20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30 are stopped,

디스플레이(P)의 전진거리(D)는 0이고, 회전각(A)은 도 0°이다.The advancing distance D of the display P is zero, and the rotation angle A is 0 degrees.

이러한 상태에서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한 조작으로 자동화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마이컴의 동작으로 제1 및 제2 모터가 정역 회전된다.In this state, when the display is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automatic display position adjustment is performed by an operation by the remote controller, the first and second motors ar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시청자가 리모트컨트롤러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P)의 시청각도를 조절할 때 원하는 각도의 선택버튼을 누르면 베이스(10)에 구비된 수신부에 입력된 입력값을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된 입력값과 현재 서포트(50)가 위치하는 위치값을 비교하여 제1구동수단(20)과 제2구동수단(30)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제어하게 된다.When the viewer adjusts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P by manipulating the buttons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and presses a selection button having a desired angle, the viewer transmits an input value input to the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base 10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previously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mount of the first driving means 20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30 are controlled by comparing the set input value with the position value at which the current support 50 is located.

이상에서 상기 제1구동수단(20)의 스크류(23)와 제2구동수단(30)의 웜휠(34)이 가지는 피치값 및 회전량을 미리 계산하여 제어부에 기준값으로 입력한다.The pitch value and rotation amount of the screw 23 of the first driving means 20 and the worm wheel 34 of the second driving means 30 are calculated in advance and input to the controller as a reference value.

즉, 스크류(23)가 가지는 피치값 및 회전량에 따라서 전진하는 거리를 계산하여 저장하고, 웜휠(34)의 피치값 및 회전량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각을 계산하여 저장한 후, 입력된 신호값에 따라 스크류(23)의 회전량 및 웜휠(34)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것이다.That is, the distance to move forward is calculat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pitch value and the rotation amount of the screw 23, the rotation angle to rotate according to the pitch value and the rotation amount of the worm wheel 34 is stored, and then the input signal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screw 23 and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worm wheel 34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value.

그 구체적인 동작으로 먼저, 디스플레이를 10˚ 좌회전시킬 경우에는,In the specific operation, first, when the display is rotated 10 degrees left,

도 3 (b)에서와 같이, 제1모터의 정회전으로 상기 서포트(50)가 상기 활주장공(12A)의 후면 끝단에서 전면을 향하여 상기 장공(12A) 길이(D)의 1/3D 길이만큼 전진하고, 제2모터는 역회전하게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P)는 좌측을 향하여 10°회전한다.As shown in FIG. 3 (b), the support 50 is forward by the first rotation of the first motor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rear end of the slide hole 12A by 1 / 3D of the length D of the long hole 12A. Advancing, the second motor rotates in reverse and the display P rotates 10 ° toward the left.

이어 도 3 (b) 위치에서 디스플레이(P)가 다시 좌측으로 10˚ 더 회전(결국 최초 수평 위치에서 20˚ 좌회전)하는 경우를 살펴보면,Next, look at the case in which the display P is further rotated further 10 degrees to the left (20 degrees left from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in the position (b) of FIG.

도 3 (c)에서, 제1모터의 정회전으로 상기 서포트(50)는 상기 활주장공(12A)의 후면 끝단에서 전면을 향하여 1/3D 더 전진(따라서 최초 위치에 비하여 2/3D 위치로 전진)하고, 제2모터의 역회전으로 상기 디스플레이(P)는 좌측을 향하여 최초 수평위치에 비하여 20°회전한다.In Figure 3 (c), the forward rotation of the first motor, the support 50 is moved forward 1 / 3D toward the front at the rear end of the slide hole (12A) (thus forward to 2 / 3D position compared to the initial position) In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the display P rotates 20 ° toward the left side relative to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다음으로 최초 수평 위치에 비하여 디스플레이를 30˚ 좌회전시키는 상태와 관련된 도 3 (d)를 살펴보면,Next, referring to FIG. 3 (d), which relates to a state of rotating the display by 30 ° to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상기 제1구동수단(20)의 제1모터는 정회전하여 상기 서포트(50)는 3/3D 만큼 전진되고, The first motor of the first driving means 20 is rotated forward and the support 50 is advanced by 3 / 3D,

제2구동수단(30)의 제2모터는 역회전하게 되어 상기 서포트(50)는 좌측으로 최초 위치에 비하여 30°회전된다.The second motor of the second driving means 30 is reversely rotated so that the support 50 is rotated by 30 ° compared to the initial position to the lef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청위치 조절장치는 벽체(W)가 디스플레이(P)에 인접하여 있음에도, 제1구동수단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전진과 함께 제2구동수단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선회가 동시에,As described above, in the viewing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wall W is adjacent to the display P, the display by the second driving means is simultaneously turne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the display by the first driving means,

그것도 벽체와 디스플레이와의 거리에 따라 최적화된 전진과 각도조절이 함께 이루어지므로,It also comes with optimized forward and angle adjustments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 and the display,

벽체(W) 위치에 간섭받지 않고 최대한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다.The maximum angle can be adjust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wall (W) position.

보다 자동화된 시청위치 조절장치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네 귀퉁이에 센서를 장착하여, 감지된 센서의 신호를 마이컴이 수신받아 연산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order to operate the automatic viewing position control device, the sensor is mounted on the four corners of the display as needed so that the microcomputer receives the detected sensor signal and adjusts the angle regardless of the display installation place through calculation. It may be.

이러한 특성들은 도 3 (e) 이하에서 최초 수평위치에 비하여 디스플레이가 우회전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These characteristics are equally applicable to the case in which the display is rotated right as compared to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in FIG.

도 3 (d) 위치에서 디스플레이(P)가 다시 우측으로 60˚ 더 회전(결국 최초 수평 위치에서 30˚ 우회전)하는 경우를 살펴보면,Referring to the case in which the display P is rotated 60 degrees further to the right again in the position of FIG.

상기 제1구동수단(20)의 제1모터는 정지된 상태에서, 제2구동수단의 제2모터가 정회전하여 상기 서포트(50)를 우측으로 60°회전시킨다.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tor of the first driving means 20 is stopped, the second motor of the second driving means rotates forward by 60 ° to the right.

이어 도 3의 (f) 는 도 3 (e)의 상태에 비하여 디스플레이(P)를 좌측으로 10°회전한 상태(결국 최초 수평 위치에서 20˚ 우회전)하는 경우인데,3 (f) shows a case in which the display P is rotated 10 ° to the left (20 ° right from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compared to the state of FIG. 3 (e).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구동수단(20)의 제1모터는 역회전하여 상기 서포트(50)는 1/3D 만큼 후진(최초 위치에 비하여 2/3D 위치)하고, To this end, the first motor of the first driving means 20 is reversely rotated so that the support 50 is reversed by 1 / 3D (2 / 3D position compared to the initial position),

제2구동수단(30)은 역회전하여 상기 서포트(50)를 좌측으로 10°회전시킨다.The second driving means 30 reversely rotates the support 50 by 10 ° to the left.

다음으로 도 3 (g)는 도 3 (e)에 비하여 디스플레이(P)가 좌측으로 20°회전한 상태(결국 최초 수평 위치에서 20˚ 우회전)하는 경우인데, Next, FIG. 3 (g) shows a case in which the display P is rotated 20 ° to the left side (finally 20 ° right from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compared to FIG. 3 (e).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구동수단(20)의 제1모터는 역회전하여 상기 서포트(50)를 2/3D 만큼 후진(결국 최초 위치에 비하여 1/3D 위치)시키고, To this end, the first motor of the first driving means 20 reversely rotates the support 50 by 2 / 3D (finally 3D position compared to the initial position),

제2구동수단(30)의 제2모터는 역회전하여 상기 서포트(50)를 좌측으로 20°회전된다.The second motor of the second driving means 30 is rotated in reverse to rotate the support 50 by 20 ° to the left.

도 3의 (h)는 도 3 (e)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P)를 좌측으로 30°회전한 상태(최초 수평 위치로 복귀)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서포트(50)는 활주장공(12A)의 후면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P)는 좌측을 향하여 30°회전하여 전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룬다.FIG. 3 (h)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 is rotated 30 ° to the left (return to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in the state of FIG. 3 (e), and the support 50 is provided with a slide hole 12A.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the display (P) is rotated 30 ° toward the left side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front.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구동수단(20)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서포트(50)를 3/3D만큼 후진시키고, 제2구동수단(30)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서포트(50)를 좌측으로 30°회전시킨다.To this end, the first driving means 20 reverses the support 50 by 3 / 3D while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30 rotates the support 50 by 30 ° to the left while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

이어 도 3 (i) 는 (a)또는 (h)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P)를 우측으로 10°회 전한 상태(상기 서포트는 1/3D 전진)이고,3 (i) i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 is rotated 10 ° to the right in the state of (a) or (h) (the support is 1 / 3D advanced),

도 3 (j)는 (a) 또는 (h)의 상태에 비하여 디스플레이(P)를 우측으로 20°회전한 상태(상기 서포트(50)는 활주장공(12A)의 후면 끝단에서 전면을 향하여 2/3D 위치로 이동)이며,3 (j) i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 is rotated 20 ° to the right as compared to the state of (a) or (h) (the support 50 is directed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end of the slide hole 12A). 3D position)

도 3 (k)는 (a) 또는 (h) 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P)를 우측으로 30°회전한 상태(상기 서포트(50)는 활주장공(12A)의 후면 끝단에서 전면 끝단으로 이동되어 있다.3 (k) i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 is rotated 30 ° to the right in the state of (a) or (h) (the support 50 is moved from the rear end of the slide hole 12A to the front end. .

즉, 상기 서포트(50)는 상기 제1구동수단(2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전진 및 후진하고, 제2구동수단(3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서포트(5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P)의 시청각도를 조절하고 이때 벽면()과 디스플레이(P)의 좌우측 끝단이 맞닿지 않도록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upport 50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driving means 20 and rotates left or right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driving means 30 to the support 50. Adjusting the viewing angle of the combined display (P) and at this time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so that the wall ()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splay (P) do not touch.

아울러 상기에서는 좌측 또는 우측의 회전각이 0°~30°로 변위 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구동수단(20) 및 제2구동수단(30)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각도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left or right side is displaced by 0 ° to 30 °, but is displaced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mount of the first driving means 20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30. It can be natural.

다음의 <표1>은 이상에서 설명한 제1구동수단(20) 및 제2구동수단(30)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서포트(50)의 동작을 표기한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50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s of the first driving means 20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30 described above.

<표 1>TABLE 1

구 분 division 제1구동수단First driving means 서포트support 제2구동수단Second drive means 수평(0°)Horizontal (0 °) 정지stop 정지stop 정지stop 좌회전(0°~30°)Left turn (0 ° ~ 30 °) 시계방향Clockwise 전진/회전Forward / Rotate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우회전(0°~30°)Right turn (0 ° ~ 30 °) 시계방향Clockwise 전진/회전Forward / Rotate 시계방향Clockwise 좌->우회전(0°~60°)Left-> right turn (0 ° ~ 60 °) 정지stop 정지/회전Stop / rotate 시계방향Clockwise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 모터의 사양, 감속수단의 구성,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한 제어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이를 당연히 추측 및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s relate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motor, the configuration of the deceleration means, the control by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like are omitt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aturally be able to infer and deduce this.

나아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시청위치 조절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viewing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the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within the sco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위치 조절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iewing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위치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Figure 2a and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ewing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시청위치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Figure 2c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the form different from FIG.

도 3은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0 : 조절장치 10 : 베이스 11 : 레일100: adjusting device 10: base 11: rail

11A: 활주장공 20 : 제1구동수단 21 : 제1모터11A: Slide maker 20: The first driving means 21: The first motor

22 : 제1감속기 23 : 스크류 30 : 제2구동수단22: first reduction gear 23: screw 30: second driving means

31 : 제2모터 32 : 제2감속기 33 : 피니언31: second motor 32: second reduction gear 33: pinion

34 : 웜휠 40 : 활차 41 : 본체34: worm wheel 40: pulley 41: main body

42 : 롤러 43 : 너트 42: roller 43: nut

P : 디스플레이 W : 벽면P: Display W: Wall

Claims (5)

제1모터의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중계부를 포함하는 제1구동수단;First driving means including a relay for converting the circular motion of the first motor into a linear motion; 상기 중계부에 의하여 전달된 동력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활차;A pulley for linear movement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relay unit; 상기 활차에 배열되며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서포트;A support arranged on the pulley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상기 서포트를 선회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제2구동수단을Second driving means including a second motor for pivoting the support;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조절장치.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 display that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의 중계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ay unit of the first driving means 상기 제1모터에 의하여 원운동을 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고 상기 활차에 형성된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조절장치.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is formed in the pulley coupled to the screw and the circular motion by the first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drive means 상기 제2모터와 연결된 피니언과 상기 서포트에 구비된 웜휠로 이루어진 웜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조절장치.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m gear consisting of a pinion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and a worm wheel provided in the suppor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차는4. The pulle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ulley is 상기 웜휠이 설치되는 수용부를 갖고, 상기 피니언이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된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조절장치.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m wheel has a receiving portion is installed, the pinion is penetrated through the bearing, and the nut is formed and the roller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롤러를 위한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시청위치 조절장치.View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se formed with a rail for the roller.
KR1020070078766A 2007-08-06 2007-08-06 Displacement apparatus for display KR100866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66A KR100866640B1 (en) 2007-08-06 2007-08-06 Displacement apparatus for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66A KR100866640B1 (en) 2007-08-06 2007-08-06 Displacement apparatus for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640B1 true KR100866640B1 (en) 2008-11-04

Family

ID=4028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766A KR100866640B1 (en) 2007-08-06 2007-08-06 Displacement apparatus for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64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76Y1 (en)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와이드 Standing device of a monitor possible for automatic lifting and falling and rotation
KR200349503Y1 (en) 2004-02-10 2004-05-12 (주) 리프컴 Tilting apparatus
KR20070009360A (en) * 2005-08-24 2007-01-18 김선상 Tv crad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76Y1 (en)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와이드 Standing device of a monitor possible for automatic lifting and falling and rotation
KR200349503Y1 (en) 2004-02-10 2004-05-12 (주) 리프컴 Tilting apparatus
KR20070009360A (en) * 2005-08-24 2007-01-18 김선상 Tv cra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059B1 (en) A wall-hanging device of flat pannel display unit
KR102183002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836966B1 (en) A wall-hanging device of flat panel display unit
US8157237B2 (en) Display screen turning apparatus
EP1821173A1 (en) Stand for display device
CN102829309B (en) Double-mode adjusting television hanging bracket
KR100598619B1 (en) The pop-up unit of a monitor in vehicle
KR101673012B1 (en) Stand for Display Device possible Vertical and horizontal pivot
KR20210016239A (en) Tilting apparatus of wall-typed display
KR100866640B1 (en) Displacement apparatus for display
JP2001069431A (en) Television receiver stand device
KR100866639B1 (en) Rotary apparatus for display
KR100593059B1 (en) Elevation device of the display panel device
KR100872350B1 (en) Angle regulation structure of display panel
KR20080064647A (en) A display device with a vertically shifting device
KR101175814B1 (en) Device of adjusting display view angle of television
CN211502171U (en) Illegal-parking information distribution screen
CN111376837B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72878A (en) A wall-hanging supporting appatatus for plat type monitor
EP1776900A1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guiding device
KR20090011416A (en) Displacementappratus for display
KR200401968Y1 (en) Rotating table of television
KR100666329B1 (en) Tv cradle
KR100266709B1 (en) Apparatus akjusting the direction of the sight for pdps
KR20020041999A (en) Moveble installation system for wall television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