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045B1 - 출산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출산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045B1
KR100865045B1 KR1020070040851A KR20070040851A KR100865045B1 KR 100865045 B1 KR100865045 B1 KR 100865045B1 KR 1020070040851 A KR1020070040851 A KR 1020070040851A KR 20070040851 A KR20070040851 A KR 20070040851A KR 100865045 B1 KR100865045 B1 KR 100865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ignal
fluid supply
control unit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송창훈
박정은
김은진
Original Assignee
큐렉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렉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큐렉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 A61B17/1355Automated control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of foet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43Pregnancy and labour monitoring, e.g. for labour onset detection
    • A61B5/4356Assessing uterine contr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43Pregnancy and labour monitoring, e.g. for labour onset detection
    • A61B5/4362Assessing foetal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1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infl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정상 분만시에 산모는 주기적인 자궁 수축을 통해 태아를 분만한다. 이때,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여 원활한 출산이 가능하도록 돕는 출산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출산 보조 장치의 제 1 센서는 산모의 자궁 내압을 측정하고, 제2 센서는 태아의 심장 박동 상태를 측정한다. 제1 센서에 의해 측정된 산모의 자궁 내압을 근거로, 산모의 자궁 수축중에만 유체공급장치에 연결된 유체 주머니를 통하여 산모의 상복부에 압력이 인가된다. 이와 동시에 제 2 센서에 의해 측정된 태아의 심장 박동 상태를 감지하여 태아에게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 유체공급장치를 정지시킨다. 또한, 사용이 종료되었거나 출산 보조 장치를 시급히 제거하여야 할 때에는 유체 주머니에 있는 유체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산모의 상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신속히 제거하고, 유체 주머니의 크기를 급속히 감소시킨다. 압력의 제거를 통해 태아에게 가해질 수 있는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하고, 압력이 제거된 유체 주머니로 인하여 출산 도움용 벨트를 헐겁게 함으로써 출산 도움용 벨트의 제거 및 필요한 처치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초음파 센서, 자궁 내압 센서, 공기주머니, 출산, 태아 감시

Description

출산 보조 장치{CHILD BIRTH ASSIS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출산 보조 장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 보조 장치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구성도 중 제어부와 유압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제어부
111 : 제 1 제어부 112 : 제 2 제어부
120 : 유체공급장치 121 : 유체 압축기
122 : 릴리프 벨브 123 : 유체 배출부
124 : 응급 공기 배출 핀 125 : 흡입 배출 전환장치
130 : 외부 공기 유입부 140 : 유체 주입 라인
200 : 제 1 센서 201 : 제 1 센서 벨트 연결부
210 : 제 1 신호 전달 라인 220 : 제 1 신호수신부
300 : 제 2 센서 301 : 제 2 센서 벨트 연결부
310 : 제 2 신호 전달 라인 320 : 제 2 신호수신부
400 : 복부 가압 벨트 401 : 유체 주머니
402,403 : 벨트 체결 수단 410 : 유체 공급 라인
420 : 유체 공급 라인 체결구 500 : 표시부
501 : 조작부 600 : 센서부착용 벨트
1000 : 산모
미국등록특허 제5,405,356호, 제5,645,563호, 제5,871,499호, 및 제 7,144,379호.
본 발명은 출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산시점에 이른 산모의 복부를 압박하여 원활한 출산을 가능하도록 돕는 안전한 출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모가 자연 분만에 의해 출산하는 경우, 출산 시점에 이르게 되면 진통과 함께 수반되는 자궁의 수축작용에 의해 유아를 출산하게 된다. 이때, 원활한 자궁의 수축작용을 돕기 위해 산파나 간호사가 손으로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압박작업은 산모별로 개별적인 차이점은 있지만 비교적 장시간 동안 수행하여야 하므로 매우 어렵고 힘든 과정이다. 수작업에 의해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경우, 압박 위치나 압력이 일정하지 않아 태아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의료사고의 원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출산과정에서 산모의 상복부를 자동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컨대 미국등록특허 제5,405,356호, 제5,645,563호, 제5,871,499호, 및 제7,144,379호와 같은 출산 도움용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등록특허들에서 제안한 발명을 이용한 장치를 임상에서 적용하여 본 결과 장치의 동작 중 태아의 상태를 감시할 수 없어 분만 중 태아에게 이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감지가 늦어질 수 있으며, 또한 태아에 이상이 있을 때 상복부에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박은 태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어 결국 의료 사고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제시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태아 감시용 초음파 장치를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산모의 몸에 상기 미국등록특허에서 제공되는 발명의 구성인 복부 가압 벨트와 자궁 내압 센서가 부착된 벨트를 착용함과 더불어 태아 감시용 초음파 장치에서 제공하는 초음파 센서 및 또 하나의 자궁내압센서를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며, 또한 태아에게 이상상태가 감지되는 응급상황에서 상기 출산 도움용 시스템에 의해 팽창된 공기주머니를 포함한 벨트를 풀기 위해서는 먼저 주입된 공기를 빼고 벨트를 풀어야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응급조치를 하기 위한 시간을 빼앗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산모의 상복부를 자동으로 가압하여 주어 출산을 도와주는 기능과 더불어 태아의 상태를 측정하여 태아에게 이상이 감지되면 가압을 해제하거나 강제적으로 압력을 낮춰서 즉시 가압 벨트를 풀수 있도록 하는 출산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보조장치는, 산모의 자궁 내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센서; 태아의 심장 박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센서; 유체 주머니와 체결수단을 구비한 출산 도움용 벨트; 상기 유체 주머니에 유체를 공급하여 팽창되도록 하는 유체공급장치; 및 상기 제 1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제 1 신호 및/또는 상기 제 2 센서로부터 전달된 제 2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유체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공급장치는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공급라인을 통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라인과 연결된 유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났을 때 상기 유체공급장치를 통하여 상기 유체주머니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를 강제로 배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배출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식 벨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공급장치는 상기 유체 압축기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주입라인과 상기 유체공급라인을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전환하는 흡입 배출 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산보조장치는, 산모의 자궁 내압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신호수신부; 태아의 심장 박동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신호수신부; 상기 제 1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 1 신호를 설정된 제 1 기준과 비교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제 2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 2 신호를 설정된 제 2 기준과 비교하는 제 2 제어부; 및 상기 제 1 제어부 및/또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통제되는 유체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공급장치는 상기 제 1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제 3 신호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공급장치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제 4 신호에 의해 작동을 멈추거나 또는 제 2 방향으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났을 때 상기 유체공급장치의 작동을 멈추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났을 때 상기 유체공급장치를 통하여 상기 유체주머니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를 강제로 배출하도 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출산 보조 장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보조장치는 산모(1000)의 상복부에 유체 주머니(401)를 포함하는 복부가압벨트(400)를 벨트체결수단(402,403)을 이용하여 체결하고, 산모의 자궁내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센서(200)와 태아의 심장 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제 2 센서(300)를 센서부착용벨트(600)에 각각의 벨트 연결부인 제 1 센서 벨트 연결부(201)와 제 2 센서 벨트 연결부(301)에 의해 부착한 후 산모(1000)의 하복부에 센서부착용벨트(600)을 체결한다.
여기에서, 복부가압벨트(400)에 구비된 벨트체결수단(402,403)은 벨크로 화스너나 버클등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 1 센서 벨트 연결부(201)와 제 2 센서 벨트 연결부(301)는 도 1의 예시에서는 센서의 측면에 홀을 형성하고, 벨트를 끼우는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나, 어떠한 형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벨트에 의한 부착 방식이 아닌 접착제에 의한 방식등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응용가능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산모(1000)의 자궁 내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센서(200)에 의해 측정된 신호는 제 1 신호 전달 라인(210)에 의해 본체(100)에 구비된 제 1 신호 수신부(220)에 전달되며, 태아의 심장 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제 2 센서(300)에 의해 측정된 신 호는 제 2 신호 전달 라인(310)에 의해 본체(100)에 구비된 제 2 신호 수신부(320)에 의해 전달된다.
여기에서 자궁의 내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센서(200)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센서, 즉 산모 복부 피하 경도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자궁내압을 측정하는 간접자궁내압센서(Tocotransducer), 자궁내에 압력계를 직접 삽입하여 자궁내압을 직접 측정하는 직접자궁내압센서(Intra-uterine Pressure Sensor), 또는 ㅈ근전도자궁 주변 근육의 활동도에 따른 근육의 미세한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자궁 내압 및 자궁 수축 여부를 측정하는 근전도계(Electromyographic Sensor)등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정확도 및 환자의 편의를 위해서 보다 바람직한 간접자궁내압센서(Tocotransducer)를 사용하였으며, 도 1 및 도 2에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에서 태아의 심장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제 2 센서(300)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초음파센서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에 수신된 신호는 이하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될 본체(100) 내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의해 복부가압벨트(400)에 포함된 유체주머니(401)에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에서 유체는 기체 또는 액체의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저렴한 가격 및 누출 시 오염 방지를 위하여 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산모(1000)의 자궁 내압이 상승하게 되면 제 1 센서(2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본체(100)에 포함된 제어부(110)등에 의해 유체공급장치(120)로부 터 공급되는 유체가 복부가압벨트(400)에 구비된 유체주머니(401)를 팽창시킴으로써 산모(1000)의 상복부를 압박하여 준다. 이때 태아의 심장 박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본체(100)에 포함된 제어부(110)등에 의해 태아에게 이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예로써 태아의 분당 심장박동수가 100 이하인 상태를 5분 이상 지속하는 경우, 제어부는 유체공급장치(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복부가압벨트(400)에 구비된 유체주머니(401)와 연결된 유체공급라인(410)을 통해 유체주머니(401)의 유체를 배출하여 줌으로써 태아에게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하고, 급히 복부 가압 벨트의 해체하여 응급조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산 보조 장치의 본체(100)는 제 1 신호 수신부(220) 및 제 2 신호 수신부(320)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부, 신호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 1 제어부(111) 및 제 2 제어부(112)를 포함하는 제어부(110),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유체공급장치(120)와 유체공급장치(120)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유입부(130)를 포함하며, 유체 유입부(130)는 본체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신호 수신부(220)는 제 1 센서(200)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신호 전달라인(210)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제어부(111)에 신호를 전달하고, 제 2 신호 수신부(320)는 제 2 센서(300)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전달하는 제 2 신호 전달라인(310)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제어부(112)에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110)에 포함된 제 1 제어부(111)는 제 1 신호 수신부(220)로부터 입력된 산모(1000)의 자궁 내압을 임의의 값으로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산모(1000)의 상복부를 압박을 위하여 유체공급장치(120)의 작동을 통제하며, 제 2 제어부(112)는 제 2 신호 수신부(320)로부터 입력된 태아의 분당 심장 박동수와 임의의 값으로 설정된 기준을 비교하여 산모(1000)의 상복부에 가해지고 있는 압력을 해제하기 위하여 유체공급장치(120)의 작동을 멈추게 하고, 또한 복부 가압 벨트(400)에 구비된 유체주머니(401)에 유입되어 있는 유체를 배출을 하기 위해 유체공급장치(120)의 작동을 통제한다.
유체공급장치(120)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유체 압축기(121)는 유체 유입부(130)로부터 유체를 유입하여 압축하고, 복부 가압 벨트(400)에 연결된 유체공급라인(410)에 압축된 유체를 공급한다.
이때, 압력이 특정압력이상으로 증가하면 산모(1000) 및 태아에게 위험할 수 있으므로 릴리프 벨브(122)를 유체 압축기(121)와 복부가압벨트(400)를 연결하는 유체공급라인(410)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예에서는 200mmHg 이상이 되면 벨브가 열리는 기계식 릴리프 벨브를 사용하였다.
태아에게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제 2 제어부(121)는 유체 압축기(121)의 작동을 멈추게 하며, 유체 배출부(123)를 작동시켜서 유체공급라인(410)을 통해 복부가압벨트(400)에 있는 유체주머니(401) 내의 유체를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에서는 유체 배출부(123)는 전자식 벨브를 사용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체주머니(401)의 유체를 강제로 배출하기 위하여 유체 가 유체 압축기(121)로 유입되는 유체유입라인(140)과 유체 압축기(121)로부터 유체주머니(401)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410)을 상호 전환하는 흡입배출전환장치(125)를 이용하여 유체 압축기(121)를 통하여 유체주머니(410)의 유체를 강제로 유체 유입부(130)로 배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는 제 2 제어부(112)는 유체 압축기(121)의 작동을 멈추게 하지 않고, 흡입배출전환장치(125)가 작동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흡입배출전환장치(125)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회전식 전환장치 또는 4구 2위치 벨브(4 port 2 position valve)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유체공급라인(410)은 유체공급라인체결부(420)를 통해 본체(100) 내부의 유체공급라인과 연결되며, 물리적으로는 같은 라인이 아니지만, 설명의 편리성을 위해 도 3 내지 도 4에서 본체(100) 내부의 유체공급라인(410)도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부 가압 벨트에 의해 산모의 출산을 보조함과 동시에 태아 감시 장치에 의해 태아에게 이상이 발생되면 즉시 복부 가압 벨트에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장치의 작동을 멈추게 하거나, 강제로 압력을 배출하는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태아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산모의 출산을 도울 수 있다.

Claims (10)

  1. 산모의 자궁 내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센서;
    태아의 심장 박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센서;
    유체 주머니와 체결수단을 구비한 출산 도움용 벨트;
    상기 유체 주머니에 유체를 공급하여 팽창되도록 하는 유체공급장치; 및
    상기 제 1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센서로부터 전달된 제 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여 상기 유체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산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장치는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공급라인을 통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라인과 연결된 유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출산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났을 때 상기 유체공급장치를 통하여 상기 유체주머니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를 강제로 배출하도록 설 정된 출산보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식 벨브를 포함하는 출산보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장치는 상기 유체 압축기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주입라인과 상기 유체공급라인을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전환하는 흡입 배출 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출산보조장치.
  6. 산모의 자궁 내압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신호수신부;
    태아의 심장 박동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신호수신부;
    상기 제 1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 1 신호를 설정된 제 1 기준과 비교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제 2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 2 신호를 설정된 제 2 기준과 비교하는 제 2 제어부; 및
    상기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2 제어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통제되는 유체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출산보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장치는 상기 제 1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제 3 신호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작동하는 출산보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장치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제 4 신호에 의해 작동을 멈추거나 또는 제 2 방향으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작동하는 출산보조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났을 때 상기 유체공급장치의 작동을 멈추도록 설정된 출산보조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났을 때 상기 유체공급장치를 통하여 상기 유체주머니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를 강제로 배출하도록 설정된 출산보조장치.
KR1020070040851A 2007-04-26 2007-04-26 출산 보조 장치 KR100865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851A KR100865045B1 (ko) 2007-04-26 2007-04-26 출산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851A KR100865045B1 (ko) 2007-04-26 2007-04-26 출산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045B1 true KR100865045B1 (ko) 2008-10-23

Family

ID=4017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851A KR100865045B1 (ko) 2007-04-26 2007-04-26 출산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0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09B1 (ko) * 2010-05-14 2012-11-0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밀착형 초음파진단장치
WO2012154687A2 (en) * 2011-05-06 2012-11-1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ontraction monitoring belt
CN102860831A (zh) * 2012-09-03 2013-01-09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宫缩压力监测系统及其动态压力校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255A (ko) * 1999-01-21 1999-10-05 황용안 공기압축식분만유도장치
US7144379B2 (en) 2003-11-25 2006-12-05 Pierfrancesco Belli 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hildbirth lab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255A (ko) * 1999-01-21 1999-10-05 황용안 공기압축식분만유도장치
US7144379B2 (en) 2003-11-25 2006-12-05 Pierfrancesco Belli 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hildbirth lab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09B1 (ko) * 2010-05-14 2012-11-0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밀착형 초음파진단장치
WO2012154687A2 (en) * 2011-05-06 2012-11-1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ontraction monitoring belt
WO2012154687A3 (en) * 2011-05-06 2013-01-2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ontraction monitoring belt
CN102860831A (zh) * 2012-09-03 2013-01-09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宫缩压力监测系统及其动态压力校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1499A (en) Child birth assisting system
US5645563A (en) Child-birth assisting system
AU2006243697B2 (en) Surgical tourniquet apparatus for measuring limb occlusion pressure
AU2008324723B2 (en) Improved tourniquet apparatus for measuring limb occlusion pressure
US20070191728A1 (en) Intrapartum monitor patch
US20070255184A1 (en) Disposable labor detection patch
US20130274621A1 (en) Two-arm blood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two-arm blood pressures at the same time
IL186310A (en) Occlusion detector for dual-port surgical tourniquet ststems
KR100865045B1 (ko) 출산 보조 장치
CN210185671U (zh) 一种助产士用便捷式助产器
WO1999019704A1 (en) Embedded semiconductor pressure sensors, tocodynamometers
US10080520B2 (en) Labor monitoring of pelvic floor
EP2432382A1 (en) Inflatable belt to assist labor and/or childbirth
CN209464044U (zh) 一种调压式桡动脉止血压迫器
CN217285948U (zh) 压迫止血器
CN213156160U (zh) 一种用于动脉压迫器的压力测量装置
CN107468261A (zh) 一种连续腹壁压测量监控系统
KR101000113B1 (ko) 분만 유도 장치
CN112402214A (zh) 一种间歇式气动压力系统
CN105748133A (zh) 一种全产程智能助产仪
US20150088009A1 (en) Semi-automatic sphygmomanometer system
WO2017128514A1 (zh) 一种全产程多功能助产仪
CN205849441U (zh) 一种剖腹产术后监测系统
CN219501284U (zh) 一种剖宫产术后使用多功能压力监测报警腹带
CN216724656U (zh) 一种输液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