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898B1 -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 Google Patents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898B1
KR100864898B1 KR1020060136244A KR20060136244A KR100864898B1 KR 100864898 B1 KR100864898 B1 KR 100864898B1 KR 1020060136244 A KR1020060136244 A KR 1020060136244A KR 20060136244 A KR20060136244 A KR 20060136244A KR 100864898 B1 KR100864898 B1 KR 10086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istor
variable
output
variable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2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1480A (en
Inventor
홍성철
이희동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6013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898B1/en
Publication of KR2008006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4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8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17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the device being at least one of the amplifying solid state elements of the amplifier
    • H03G1/0029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the device being at least one of the amplifying solid state elements of the amplifier using F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 H03F1/2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 H03F1/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with MOSF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83Long tailed pairs
    • H03F3/45188Non-folded cascode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4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 H03F3/45632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in differential amplifiers with 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63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in differential amplifiers with 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by using feedback means
    • H03F3/45641Measuring at the loading circui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65Controlling the common source circui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MOS 가변 이득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차동입력전압신호가 캐스코드 입력단에 차동입력되고, 상기 캐스코드 공통 게이트 전압인 이득조절전압신호에 따라 트랜스컨덕턴스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출력전류를 발생하는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의 출력전류를 저항 부하 또는 능동 부하를 이용하여 차동출력전압으로 출력하는 부하 저항단; 상기 부하 저항단과 병렬로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에 브리딩 전류를 공급하는 브리딩 전류 생성부; 상기 차동출력전압의 직류전압값을 검출하여 소정의 원하는 직류전압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차동출력전압의 직류전압값을 일정한 하게 유지시키는 출력 직류 전압 비교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낮은 공급전압에서 외부 조절전압 신호에 의해 넓은 범위를 가지는 입력신호에 대한 가변 이득 증폭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이득, 저왜곡, 고선형성, 광대역 동작, 안전적인 전류 바이어스 형태를 갖는 가변 이득 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wherein a differential input voltage signal is differentially input to a cascode input terminal, and the transconductance is adjusted according to a gain control voltage signal which is the cascode common gate voltage. A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sion unit generated; A load resistance stage configured to output an output current of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to a differential output voltage using a resistive load or an active load; A breeding current generating unit supplying a breeding current to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ing unit in parallel with the load resistance stage; An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which detects the DC voltage value of the differential output voltage and compares the DC voltage value of the differential output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desired DC voltage value; Characterized in having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able gain amplification function for an input signal having a wide range by an external regulated voltage signal at a low supply voltage, and high gain, low distortion, high linearity, wideband operation, and safe current bias typ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able gain amplifier having a.

캐스코드, 블리딩 전류, 부하저항, 가변이득증폭기, 능동부하 Cascode, Bleeding Current, Load Resistance, Variable Gain Amplifier, Active Load

Description

CMOS 가변 이득 증폭기{CMOS variable gain amplifier}CMOS variable gain amplifier

도 1은 종래의 가변 이득 증폭기(VGA)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variable gain amplifier (VGA);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이득 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variable gain ampl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이득 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variable gain ampl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 이득 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4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variable gain ampl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변 이득 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gain amplifi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ber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100: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sion unit

210: 저항단210: resistance

220: 블리딩 전류 생성부220: bleeding current generating unit

230: 출력 직류 전압 비교기230: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본 발명은 가변 이득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득을 가변시켜 회로의 동작영역을 증가시키는 CMOS 가변 이득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gain ampl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for varying the gain to increase the operating area of the circuit.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신호의 크기는 송신단과 수신단의 거리 및 상태에 따라 변화정도가 심하다. 특히, 무선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파라미터에 의하여 신호의 변화가 더욱 심해지는데. 이렇게 변화가 심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신호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큰 신호가 입력되면 이득을 작게 가지도록 하고, 작은 신호가 입력되면 이득을 크게 가지도록 해 주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이득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이득 증폭기 (VGA)가 요구된다.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e magnitude of the signal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distance and state of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In particular, in the wireless system, the change of the signal becomes more severe by various kinds of parameters. In order to process such a highly variable signal, it must have a constant signal size. Therefore, when a large signal is input, the gain should be small, and when a small signal is input, the gain should be large. Thus, a variable gain amplifier (VGA) capable of adjusting the gain is required.

CMOS 공정을 이용해서 가변 이득 증폭기를 설계할 때, 주된 고려 사항은 원하는 응용 분야에 맞는 주파수 대역폭, 큰 입력신호까지 받아 처리할 수 있는 선형성, CMOS 집적화에 따른 저전압 구동 가능성, 가변 이득 범위, 조절전압 및 이득조절 특성 등이다. When designing a variable gain amplifier using a CMOS process, the main considerations are the frequency bandwidth for the desired application, the linearity to accept and process large input signals, the possibility of driving low voltages due to CMOS integration, the variable gain range, and the regulated voltage. And gain control characteristics.

고속으로 많은 데이터를 한꺼번에 처리하기 위해서 근거리 통신용 통신시스템들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광대역을 가지는 Multi-Band 시스템, UWB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가변 이득 증폭기는 광대역 특성을 가져야 한다. 가변 이득 증폭기를 다른 부분과 같이 집적화하기 위해서는 가변 이득 증폭기가 저전압 특성과 저전력 특성을 가져야 하며 회로도 단순화되어 작은 크기를 가져야만 한다. In order to process a large amount of data at a high speed at a time, communication system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have emerged. Accordingly, a variable gain amplifier used in a multi-band system and a UWB system having a wide bandwidth must have a wideband characteristic. In order to integrate the variable gain amplifier with other parts, the variable gain amplifier must have low voltage characteristics and low power characteristics, and the circuit must be simplified to have a small size.

CMOS 공정이 발전하면서 게이트 선폭이 작아지면서 집적된 CMOS 회로에서는 저전압,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회로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저공급전원을 사용할 때 높은 이득을 가지고 저왜곡 특성을 가지는 가변 이득 증폭기가 필요하다.As CMOS processes have evolved, gate line widths have been reduced, resulting in the need for low voltage, low power circuits in integrated CMOS circui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variable gain amplifier having high gain and low distortion when using a low power supply.

도 1은 종래의 가변 이득 증폭기(VGA)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동입력신호(Vin+, Vin-)가 입력 트랜지스터 M1과 M2의 게이트에 입력되어 전류형태의 차동신호로 변화된다. 이러한 차동전류신호는 캐스코드 형태의 윗쪽에 위치한 트랜지스터 M3와 M4를 거쳐 부하저항 RL에 의해서 증폭된 출력전압 차동신호(Vout)로 바뀌게 된다. 이 때 위쪽 트랜지스터 M3와 M4의 게이트에 이득조절신호(VCTRL)가 인가되며, 이득조절신호(VCTRL)에 의해서 전체회로의 트랜스컨덕턴스를 조절함으로써 가변 이득이 얻어진다. 이득조절신호(VCTRL)에 따라서 입력 트랜지스터 M1과 M2는 선형영역 또는 포화영역에서 동작하고, 윗쪽 트랜지스터 M3과 M4는 포화영역에서 동작한다.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variable gain amplifier (VGA). Referring to FIG. 1, the differential input signals V in + and V in− are input to the gates of the input transistors M1 and M2 to be converted into differential signals in the form of current. The differential curren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output voltage differential signal V out amplified by the load resistor R L through transistors M3 and M4 located above the cascode. At this time, the gain control signal V CTRL is applied to the gates of the upper transistors M3 and M4, and the variable gain is obtained by adjusting the transconductance of the entire circuit by the gain control signal V CTRL . According to the gain control signal V CTRL , the input transistors M1 and M2 operate in a linear or saturation region, and the upper transistors M3 and M4 operate in a saturation region.

상술한 종래의 경우에는, 가변이득 셀의 공급전압(VDD)이 낮으면 큰 이득과 큰 다이나믹 레인지를 얻기 위해서 부하 저항 RL을 크게 할 수 밖에 없다. 그러면, 부하저항 RL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의해서 출력(Vout)의 직류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모든 CMOS 트랜지스터들(M1~M4)이 선형영역 혹은 컷오프 영역에서 동작하게 되어서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없다. 출력(Vout) 직류전압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바 이어스 전류 IS를 낮추면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지만, 높은 차동입력신호(Vin+, Vin-)가 인가되었을 때, 심한 왜곡이 생기게 되어서 회로의 선형성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In the conventional case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ly voltage VDD of the variable gain cell is low, the load resistance R L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obtain a large gain and a large dynamic range. Then, the DC voltage of the output V out is lowered by the voltage applied between the load resistors R L , and all the CMOS transistors M1 to M4 operate in the linear region or the cutoff region, and thus high gain cannot be obtained. . Higher gains can be obtained by reducing the bias current I S to prevent the output (V out ) DC voltage from falling.However, when a high differential input signal (V in + , V in- ) is applied, severe distortion occurs. There is a problem with linearity.

이미 공지된 미국특허 제6,759,904호(2004.07.06, Large gain range, high linearity, low noise MOS VGA)에서는 왜곡 특성을 위해 추가적으로 복잡한 회로를 사용해서 소모전력도 크고, 집적화된 크기도 크게 되어서 다른 회로와 집적화 할 때 문제가 된다. US Patent No. 6,759,904 (Jul. 6, 2004, Large Gain Range, High Linearity, Low Noise MOS VGA), which is already known, uses an additional complex circuit for distortion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high power consumption and large integrated size. This is a problem when integrating.

그리고, 또 다른 공지기술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01-38781호(2003.01.08 공개, 가변이득증폭기)에서는 잡음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앞단의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최대화 한다는 특징을 가지기는 하지만, 낮은 공급전압에서 제안된 형태로 전압이득을 최대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In addition, another known techniqu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01-38781 (published Jan. 08, 2003), has a characteristic of maximizing the gain of the preceding variable gain amplifier in order to improve noise characteristics, but at a low supply voltage. It is unreasonable to maximize the voltage gain in the proposed form.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전압에서 동작가능하며, 넓은 가변 이득 범위를 가지는 입력 신호에 대한 가변 이득 증폭 기능을 갖으며, 고정된 전류 바이어스에 의한 광대역 동작 특성을 갖는 CMOS 가변 이득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다른 부분과 집적화할 수 있도록 IC화 된 가변 이득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capable of operating at a low voltage, having a variable gain amplification function for an input signal having a wide variable gain range, and having a wide band operation characteristic by a fixed current bias. To provide. It also provides a variable gain amplifier that is IC integrated to integrate with other part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이득 증폭기는,  Variable gain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차동입력전압신호가 캐스코드 입력단에 차동입력되고, 상기 캐스코드 공통 게이트 전압인 이득조절전압신호에 따라 트랜스컨덕턴스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출력전류를 발생하는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A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ing unit configured to differentially input a differential input voltage signal to a cascode input terminal and adjust a magnitude of a transconductance according to a gain control voltage signal which is the cascode common gate voltage to generate output currents of various magnitudes;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의 출력전류를 저항 부하 또는 능동 부하를 이용하여 차동출력전압으로 출력하는 부하 저항단;A load resistance stage configured to output an output current of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to a differential output voltage using a resistive load or an active load;

상기 부하 저항단과 병렬로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에 브리딩 전류를 공급하는 브리딩 전류 생성부;A breeding current generating unit supplying a breeding current to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ing unit in parallel with the load resistance stage;

상기 차동출력전압의 직류전압값을 검출하여 기준 직류전압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차동출력전압의 직류전압값을 일정한 하게 유지시키는 출력 직류 전압 비교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for detecting a DC voltage value of the differential output voltage and comparing the DC voltage value with a reference DC voltage value to maintain a constant DC voltage value of the differential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having a.

상기 부하 저항단은, 제 1 P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제 2 P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양단을 캐패시터로 연결하고, 상기 제 2 P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제1 P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양단을 캐패시터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oad resistance terminal connects the gate of the first P-type transistor and the drain of the second P-type transistor with a capacitor, and connects the gate of the second P-type transistor and both ends of the drain of the first P-type transistor with a capacitor. It can be done by.

상기 부하 저항단은, 제1 N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제 2 N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양단을 캐패시터로 연결하고, 상기 제2 N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제1 N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양단을 캐패시터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oad resistance terminal connects the gate of the first N-type transistor and the drain of the second N-type transistor with a capacitor, and connects the gate of the second N-type transistor and the both ends of the drain of the first N-type transistor with a capacitor. It can be done by.

상기 부하 저항단은 로드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oad resistance stage may include a load resistor.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는, 제 1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2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저항에 의해 상호 접속된다.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may include a first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a first input voltage and a second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a second input voltage, in which case the source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may be resistors. Interconnected by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는, 제1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2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접속되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접속된다.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may include a first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a first input voltage and a second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a second input voltage, in which case the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is the third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third transistor.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는, 제1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2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접속되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제 3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접속된다.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may include a first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a first input voltage and a second transistor driven in accordance with a second input voltage. In this case, the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may include a third transistor. A sourc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is connected to a drain terminal of the third transistor.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presented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many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이득 증폭기에 대한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각각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이득 증폭기는 크게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100), 출력 직류 전압 비교기(230), 블리딩 전류 생성부(220), 및 부하 저항단(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조번호 200은 출력 직류 전압 비교기(230)와 블리딩 전류 생성부(220)를 포함하는 부하 저항부이다. 2 to 5 are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variable gain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gain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100, an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230, a bleeding current generator 220, and a load resistance stage 210. Reference numeral 200 is a load resistor including an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230 and a bleeding current generator 220.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100)][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100]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100)는 차동입력트랜지스터 M1과 M2를 통해 차동입력전압신호(Vin+, Vin-)를 차동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되, 이득조절전압신호(Vctrl)에 따라 가변되는 트랜스컨덕턴스를 이용하여 차동입력전압신호(Vin+, Vin-)의 가변 이득을 조절한다. 캐스코드 형태의 입력단은 트랜지스터 M1, M2, M3, 및 M4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캐스코드 형태의 입력단은 밀러효과와 기생 캐패시턴스 성분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ing unit 100 differentially receives and inputs the differential input voltage signals V in + and V in- through the differential input transistors M1 and M2, and outputs the amplified signals according to the gain control voltage signal V ctrl . The transconductance is used to adjust the variable gain of the differential input voltage signals (V in + , V in- ). The cascode type input stage is composed of transistors M1, M2, M3, and M4. The cascode type input stage has an effect of minimizing a Miller effect and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s.

도 3에서 차동입력트랜지스터 M1은 노드 P1과 트랜지스터 M3의 소스단에 연결되며 또 다른 입력트랜지스터 M2는 노드 P1과 트랜지스터 M4의 소스단에 연결된다. 도 2, 도4, 도5에서 차동입력트랜지스터 M1은 노드 P1a과 트랜지스터 M3의 소스단에 연결되며 또 다른 차동입력트랜지스터 M2는 노드 P1b와 트랜지스터 M4의 소스단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M3와 트랜지스터 M4의 게이트 단에는 이득조절전압신호(Vctrl)가 인가되며, 이득조절전압신호(Vctrl)에 따라 공동 게이트 증폭기로 동작한다. In FIG. 3, the differential input transistor M1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node P1 and the transistor M3, and another input transistor M2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node P1 and the transistor M4. 2, 4, and 5, the differential input transistor M1 is connected to the node P1a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transistor M3, and another differential input transistor M2 is connected to the node P1b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transistor M4. The gain control voltage signal V ctrl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s of the transistors M3 and M4, and operates as a common gate amplifier according to the gain control voltage signal V ctrl .

차동입력트랜지스터 M1과 M2는 이득조절전압신호(Vctrl)에 따라 선형영역 또는 포화 영역에서 동작한다. 이득조절전압신호(Vctrl)가 크면 트랜지스터 M1, M2, M3, 및 M4는 모두 포화영역에서 동작한다. 반면, 이득조절전압신호(Vctrl)가 작으면 트랜지스터 M1과 M3는 선형영역에서 동작하고 트랜지스터 M2와 M4는 포화영역에서 동작한다. The differential input transistors M1 and M2 operate in the linear or saturation region in accordance with the gain control voltage signal V ctrl . When the gain control voltage signal V ctrl is large, the transistors M1, M2, M3, and M4 all operate in the saturation reg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gain control voltage signal V ctrl is small, the transistors M1 and M3 operate in the linear region and the transistors M2 and M4 operate in the saturation region.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차동입력전압신호(Vin+, Vin-)가 인가될 때에는 이득조절전압신호(Vctrl)를 크게 하여 캐스코드 접속을 가지는 두 트랜지스터(M1과 M3, M2과 M4)가 모두 포화영역에서 동작하게 하고, 큰 차동입력전압신호(Vin+, Vin-)가 인가될 때에는 이득조절전압신호(Vctrl)를 작게 하여 차동입력전압신호(Vin+, Vin-)가 인가되는 두 트랜지스터(M1, M2)만 선형영역에서 동작하게 함으로써, 차동입력전압신호(Vin+, Vin-)의 크기에 관계없이 선형성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이 캐스코드 형태의 구성은 출력 노드 P2와 P3에서 들여다 보았을 때, 큰 출력 임피던스를 갖게 되고, 이로 인해전압 이득을 크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mall differential input voltage signals V in + and V in- are applied, the gain control voltage signal V ctrl is increased so that the two transistors M1 and M3 having a cascode connection are connected. ) Are all operated in the saturation region, and when the large differential input voltage signals (V in + , V in- ) are applied, the gain control voltage signal (V ctrl ) is made small to make the differential input voltage signals (V in + , V in- ) Since only two transistors M1 and M2 to which V is applied are operated in the linear region, linearity can be maximized regardless of the magnitudes of the differential input voltage signals V in + and V in- . In addition, this cascode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large output impedance when viewed from the output nodes P2 and P3, thereby increasing the voltage gain.

선형영역에서의 드레인 전류(Ids)는, The drain current I ds in the linear region is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1
이고,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1
ego,

선형영역에서의 트랜스컨덕턴스(gm)는, The transconductance (gm) in the linear domain is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2
이다.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2
to be.

여기서,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3
이고,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4
이며,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5
는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이다.here,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3
ego,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4
Is,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5
Is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transistor.

포화영역에서의 드레인 전류(Ids)는,The drain current I ds in the saturation region is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6
이고,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6
ego,

포화영역에서의 트랜스컨덕턴스(gm)는, The transconductance (gm) in the saturation region is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7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7

여기서,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8
이다. here,
Figure 112006097553515-pat00008
to be.

[출력 직류 전압 비교기(230)][Output DC Voltage Comparator 230]

출력 직류 전압 비교기(230)는 출력노드 점의 직류 전압값을 검출해서 원하는 기준 직류 전압값과 비교하는 기능을 한다. 출력 직류 전압 비교기(230)는 도 2, 도 3, 도 4와 도 5에서처럼 트랜지스터 M5와 트랜지스터 M6에 의해서 차동 출력 노드 P2와 P3의 직류 전압을 검출한다. 노드 P4의 직류 전압은 P2와 P3 직류 전압과 동일하며, AC적으로는 차동출력전압에 의해서 버츄얼 접지(virtual) 노드점을 형성한다.The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230 detects a DC voltage value of the output node point and compares the DC voltage value with a desired reference DC voltage value. The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230 detects the DC voltages of the differential output nodes P2 and P3 by the transistors M5 and M6 as in FIGS. 2, 3, 4, and 5. The DC voltage of the node P4 is the same as the P2 and P3 DC voltages, and AC forms a virtual ground node point by the differential output voltage.

또한, 도 2와 도 3에서처럼 트랜지스터 M11, 트랜지스터 M12, 트랜지스터 M13, 트랜지스터 M14, 그리고 주파수 보상회로인 저항 R2와 캐패시터 C2로 구성된 차동 증폭기에 의해서 노드 P4의 직류 전압과 외부 기준 전압 Vcm을 비교해서 노드 P5의 바이어스 전압을 정한다. Also,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DC voltage of the node P4 and the external reference voltage V cm are compared by a differential amplifier including a transistor M11, a transistor M12, a transistor M13, a transistor M14, and a resistor R2 and a capacitor C2, which are frequency compensation circuits. Determine the bias voltage at node P5.

후술하는 브리딩 전류 생성부(220)에 의해서 노드 P5 전압에 의해서 브리딩 전류량을 결정하고, 그 전류량에 의해 출력노드 P2와 P3의 직류 전압이 바뀌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 결국 외부 기준 전압 Vcm과 출력 노드 P2와 P3의 직류 전압이 같아지게 된다. The bleeding current generator 220 to be described later determines the amount of bleeding current according to the node P5 voltage, and the DC voltages of the output nodes P2 and P3 are changed by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is process, the external reference voltage V cm is equal to the DC voltages of the output nodes P2 and P3.

이와 같이 출력 직류 전압비교기(230)와 브리딩 전류 생성부(220)는 부궤환을 구성하여 안정적으로 바이어스 전류와 출력 직류 전압을 설정해 준다. 도 2와 도 3에서 저항 R2와 캐패시터 C2는 보상회로로써 출력 직류 전압 비교기(230)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해 준다. 이와 같이 출력직류전압을 외부에서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가변 이득 증폭기 입력과 출력의 직류 전압 레벨을 같게 함으로써 도 2와 도 3과 같은 회로를 캐스케이드 형태로 연결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어, 더 넓은 다이나믹 동작 영역을 가지는 가변이득 증폭기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230 and the breeding current generator 220 configure negative bias and stably set the bias current and the output DC voltage. In FIGS. 2 and 3, the resistor R2 and the capacitor C2 allow the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230 to operate stably as a compensation circuit. Since the output DC voltage can be adjusted externally, the DC gain level of the variable gain amplifier input and output can be the same, so that the circuits of FIGS. 2 and 3 can be connected in a cascaded form, thus providing a wider dynamic operating range. It is easy to implement a variable gain amplifier.

[브리딩 전류 생성부(220)][Briding current generator 220]

브리딩 전류 생성부(220)는 도 2와 도 3에서처럼 출력 직류 전압 비교기(230)에서 얻어진 노드 P5의 직류 전압이 트랜지스터 M9과 트랜지스터 M10의 게 이트 단에 바로 인가되어서 전류를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100)에 공급한다. The breeding current generator 220 applies the DC voltage of the node P5 obtained from the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230 directly to the gate terminals of the transistors M9 and M10 as shown in FIGS. 2 and 3 to convert the current into a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100).

트랜지스터 M9와 트랜지스터 M10는 전류 소스로 동작하고 출력 노드 P2와 P3에서 들여다 보이는 임피던스가 매우 크기 때문에 회로의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은 브리딩 전류 생성부(220)를 이용하면 회로의 로드에는 바이어스 전류가 작게 흐르고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100)에는 바이어스 전류를 많이 흐르게 할 수 있다.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100)에서는 많은 전류가 흐를수록 선형적이기 때문에 브리딩 전류 생성부(220)를 이용하면 저왜곡, 고선형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ransistors M9 and M10 act as current sources and have a very high impedance seen at output nodes P2 and P3, and do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circuit. When the breeding current generator 220 is used, the bias current flows to the load of the circuit and the bias current flows to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100. In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100, since more current flows linearly, the breeding current generator 220 may improve low distortion and high linearity characteristics.

또한, 도 2에서 부하저항(R1, 210)에 흐르는 전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큰 저항을 사용할 수 있어서 큰 이득과 큰 가변 이득범위를 얻고, 저왜곡을 유지하면서 저전압 동작이 가능해 진다. 도 3에서는 부하 저항단(210)에서 설명하겠지만, 트랜지스터 M7 및 트랜지스터 M8의 트랜스컨덕턴스 값의 역수가 대략적인 출력부하(1/gm7, 1/gm8)가 되며, 트랜지스터 M7 및 트랜지스터 M8에 전류가 적게 흐를수록 트랜스컨덕턴스가 작아지기 때문에 출력 부하의 값을 커져 큰 이득과 큰 가변이득 범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브리딩 전류 생성부(220)는 출력 직류 전압비교기(230)와 함께 구현되어 저전압 동작과 높은 이득, 높은 가변이득 범위 등의 특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oad resistors R1 and 210 can be made small in FIG. 2, a large resistor can be used, thereby obtaining a large gain and a large variable gain range, and enabling low voltage operation while maintaining low distortion. In FIG. 3, as will be explained in the load resistance stage 210, the inverse of the transconductance values of the transistors M7 and M8 becomes an approximate output load (1 / g m7, 1 / g m8 ), and currents are applied to the transistors M7 and M8. The smaller the flow rate, the smaller the transconductance, so the output load increases, resulting in a large gain and a large variable gain range. As described above, the breeding current generator 220 may be implemented together with the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230 to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low voltage operation, high gain, and high variable gain range.

[부하 저항단(210)][Load resistance stage 210]

부하 저항단(210)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형태의 차동 신호를 입력받고, 저항 부하 또는 능동 부하를 이용하여 전류 형태의 상기 차동 신호를 전압 형태의 출력전압(Vout+, Vout-)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부하 저항단(210)은 도 2에서는 저항 로드를 통해서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형태의 차동 신호를 전압 형태의 출력전압(Vout+, Vout-)으로 변화한다. 도 3, 도 4, 및 도 5에서는 저항 소자 대신에 능동 부하를 사용하여 전압 형태의 출력전압(Vout+, Vout-)으로 출력한다. 도 3, 도 4, 및 도 5에서처럼 저항 부하 대신에 능동 부하를 사용한 이유는 CMOS 가변 이득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을 개선하면서 저전압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Load resistance stage 210 receives a differential signal of a current form of output from the transconductance converter 100, a resistive load or active using a load of the differential signal of the electric current-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type (V out +, Output to V out- ). In detail, in FIG. 2, the load resistance stage 210 changes the differential signal in the form of current output from the differential transconductance converter 100 through the resistive load into the output voltages V out + and V out− in the form of voltage. . 3, 4, and 5 output the output voltages V out + and V out− in the form of voltage by using an active load instead of the resistor. The reason for using an active load instead of a resistive load as in FIGS. 3, 4, and 5 is to enable low voltage operation while improv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도 3, 도 4, 및 도 5에서처럼 트랜지스터 M7 및 트랜지스터 M8는 그 트랜스컨덕턴스 값의 역수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략적인 출력부하 값이 된다. 트랜지스터 M7는 전원전압원(VDD)와 출력 노드 P2 사이에 접속되며 바이어스 전압원(Vp)의 전위에 따라 동작된다. 트랜지스터 M8는 전원전압원과 노드 P3 사이에 접속되며 바이어스 전압원(Vp)의 전위에 따라 동작한다. 트랜지스터 M7 및 트랜지스터 M8의 게이트는 저항(R1)을 통해서 바이어스 전압소스(Vp)로 연결된다. 이 전압소스의 전압은 경우에 따라서 접지 신호로 연결가능하다. 트랜지스터 M7의 게이트단자와 노드 P3 사이, 트랜지스터 M8의 게이트단자와 노드 P2 사이에 각각 캐패시터(C1)가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3, 4 and 5, transistors M7 and M8 have the inverse of their transconductance values, as mentioned above, to approximate output load values. Transistor M7 is connected between power supply voltage source VDD and output node P2 and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otential of bias voltage source Vp. Transistor M8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source and the node P3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potential of the bias voltage source Vp. The gates of transistors M7 and M8 are connected to a bias voltage source Vp through a resistor R1. The voltage of this voltage source can optionally be connected to a ground signal. The capacitor C1 is connected between the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M7 and the node P3, and between the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M8 and the node P2,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능동부하의 동작특성을 살펴보면, 트랜지스터 M7 및 트랜지스터 M8은 부하로 동작된다. 주파수 특성 보상 캐패시터(C1)는 노드 P2와 P3에서 들여다 본 출력 임피던스와 함께 영(zero) 주파수를 갖게 되어 VGA 전체회로 주파수 특성을 좋게 한다. 따라서 주파수 특성 보상 캐패시터(C1)의 크기와 저항(R1) 값을 조절하면 원하는 주파수에서 원하는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서의 저항 부하를 사용한 것보다 더 큰 이득, 저전압 및 주파수 보상 캐패시터에 의해서 간단하게 광대역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 load, the transistors M7 and M8 are operated as a loa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compensation capacitor C1 has a zero frequency with the output impedance viewed from nodes P2 and P3, thereby improving the VGA overall circuit frequency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desired gain can be obtained at the desired frequency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frequency compensation capacitor C1 and the resistance R1. This allows for simpler wideband operation with larger gain, low voltage and frequency compensation capacitors than with the resistive load in FIG. 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낮은 공급전압에서 외부 조절전압 신호에 의해 넓은 범위를 가지는 입력신호에 대한 가변 이득 증폭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이득, 저왜곡, 고선형성, 광대역 동작, 안전적인 전류 바이어스 형태를 갖는 가변 이득 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작은 공급전압에서 동작할 수 있어 다른 소자를 이용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들보다 IC로 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able gain amplification function for an input signal having a wide range by an external regulated voltage signal at a low supply voltage, and have high gain, low distortion, high linearity, wideband operation, and safety. A variable gain amplifier having a conventional current bias form can be provided. In addition, CMOS transistors can operate at small supply voltages, making it possible to integrate them into ICs rather than variable gain amplifiers using other devices.

Claims (7)

차동입력전압신호가 캐스코드 입력단에 차동입력되고, 상기 캐스코드 공통 게이트 전압인 이득조절전압신호에 따라 트랜스컨덕턴스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출력전류를 발생하는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A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ing unit configured to differentially input a differential input voltage signal to a cascode input terminal and adjust a magnitude of a transconductance according to a gain control voltage signal which is the cascode common gate voltage to generate output currents of various magnitudes;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의 출력전류를 저항 부하 또는 능동 부하를 이용하여 차동출력전압으로 출력하는 부하 저항단;A load resistance stage configured to output an output current of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to a differential output voltage using a resistive load or an active load; 상기 부하 저항단과 병렬로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에 브리딩 전류를 공급하는 브리딩 전류 생성부;A breeding current generating unit supplying a breeding current to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ing unit in parallel with the load resistance stage; 상기 차동출력전압의 직류전압값을 검출하여 기준 직류전압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차동출력전압의 직류전압값을 일정한 하게 유지시키는 출력 직류 전압 비교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An output DC voltage comparator for detecting a DC voltage value of the differential output voltage and comparing the DC voltage value with a reference DC voltage value to maintain a constant DC voltage value of the differential output voltage; Variable gain amplifi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저항단이, 제 1 P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제 2 P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양단을 캐패시터로 연결하고, 상기 제 2 P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제1 P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양단을 캐패시터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2. The gate driving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load resistance terminal connects a gate of the first P-type transistor and a drain of the second P-type transistor with a capacitor, and the gate of the second P-type transistor and the first P-type transistor. A variable gain amplifier, characterized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drain with a capaci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저항단이, 제1 N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제 2 N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양단을 캐패시터로 연결하고, 상기 제2 N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제1 N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양단을 캐패시터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2. The gate driving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load resistance terminal connects a gate of the first N-type transistor and a drain of the second N-type transistor with a capacitor, and the gate of the second N-type transistor and the first N-type transistor. A variable gain amplifier, characterized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drain with a capaci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저항단이, 로드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The variable gain amplifier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said load resistor stage comprises a load resis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는, 제 1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2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저항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includes a first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a first input voltage and a second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a second input voltage, and source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A variable gain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are interconnected by a resis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는, 제1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2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가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접속되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2.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of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includes a first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a first input voltage and a second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a second input voltage. And a drain terminal of the third transistor, wherein a sourc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is connected to a source terminal of the third transis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트랜스컨덕턴스 변환부는, 제1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2 입력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가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접속 되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가 제 3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2.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of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transconductance converter comprises a first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a first input voltage and a second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a second input voltage, wherein a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is connected to a third transistor. And a source terminal of the transistor, wherein the sourc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third transistor.
KR1020060136244A 2006-12-28 2006-12-28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KR1008648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244A KR100864898B1 (en) 2006-12-28 2006-12-28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244A KR100864898B1 (en) 2006-12-28 2006-12-28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480A KR20080061480A (en) 2008-07-03
KR100864898B1 true KR100864898B1 (en) 2008-10-22

Family

ID=3981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244A KR100864898B1 (en) 2006-12-28 2006-12-28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8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071B1 (en) 2011-05-09 2017-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Power amplifier
DE112014000440T5 (en) * 2013-01-15 2015-10-15 Knowles Electronics, Llc Telescopic operational amplifier with slew rate control
KR101590605B1 (en) * 2013-12-27 2016-02-18 전자부품연구원 Linear power amplifier for wireless transmitter
KR101715446B1 (en) * 2014-06-11 2017-03-1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Differential Trans-Impedance Amplif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4909A (en) 1987-03-31 1988-10-12 Toshiba Corp Gain controlled amplifier
JPH02142211A (en) * 1988-11-24 1990-05-31 Hitachi Ltd Gain variable amplif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4909A (en) 1987-03-31 1988-10-12 Toshiba Corp Gain controlled amplifier
JPH02142211A (en) * 1988-11-24 1990-05-31 Hitachi Ltd Gain variable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480A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321B1 (en)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586373B2 (en) Fully differential class AB amplifier and amplifying method using single-ended, two-stage amplifier
US7271663B2 (en) Operational amplifier output stage and method
US8319553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biasing amplifiers
US7733181B2 (en) Amplifier circuit having dynamically biased configuration
US8217720B2 (en) Variable-gain low noise amplifier
US8193861B2 (en) Differential amplifier
US8279004B2 (en) System for driver amplifier
CN109951161B (en) Complementary digital variable gain amplifier
US6496067B1 (en) Class AB voltage current convertor having multiple transconductance stages and its application to power amplifiers
US20090072905A1 (en) Variable gain amplifier having wide gain variation and wide bandwidth
US20050151588A1 (en) Rejection circuitry for variable-gain amplifiers and continuous-time filters
KR100864898B1 (en) CMOS variable gain amplifier
KR100462467B1 (en) Variable gain amplifier circuitry in automatic gain control
US6833760B1 (en) Low power differential amplifier powered by multiple unequal power supply voltages
US7728669B2 (en) Output stage circuit and operational amplifier thereof
US8890612B2 (en) Dynamically biased output structure
US7046089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US72686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inear transconductance device
KR20060091987A (en) Cmos variable amplifier for controlling db linear gain
US20060170497A1 (en) Gain variable amplifier
US7199660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KR100499859B1 (en) Variable gain amplifier
US6741133B2 (en) High output amplifier for stable operation
KR100648380B1 (en) Variable gain ampl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