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620B1 -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620B1
KR100863620B1 KR1020077004039A KR20077004039A KR100863620B1 KR 100863620 B1 KR100863620 B1 KR 100863620B1 KR 1020077004039 A KR1020077004039 A KR 1020077004039A KR 20077004039 A KR20077004039 A KR 20077004039A KR 100863620 B1 KR100863620 B1 KR 100863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ase
fixed
tongu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0049A (ko
Inventor
조셉 두란본 알스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트 오르쏘돈틱 월드 제이.두란 본 악스,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트 오르쏘돈틱 월드 제이.두란 본 악스, 에스.엘 filed Critical 인스티튜트 오르쏘돈틱 월드 제이.두란 본 악스, 에스.엘
Priority to KR1020077004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620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교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계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치아(1) 에 결합될 수 있는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 위에 설치되는 캡 또는 클로저 부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이 블래킷의 베이스에 제공되는 것이 아닌 캡 또는 클로저 부재 상에 제공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삽입 홈; 캡 또는 클로저 부재 상의 당김 장치에 의한 상기 와이어의 조절; 상기 와이어의 자동 폐쇄 장치; 부드러운 조직(입술)에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미적, 기능적 디자인; 각각의 사례와 치료 과정에서의 필요에 따라 적합한 수치로 조절될 수 있는 토크(torque)와 팁(tip)의 고객맞춤; 및 구강 내에서 아치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 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Mechanical Device for its Use in Orthodontics}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와 같은 기능적 특징을 가지는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이 블래킷(bracket)의 베이스에 제공되는 것이 아닌 캡 또는 클로저(closure) 부재 상에 제공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삽입 홈;
· 캡 또는 클로저 부재 상의 당김 장치(pull mechanism)에 의한 와이어의 조절;
· 상기 와이어의 자동 폐쇄 장치(self-closing mechanism)
· 부드러운 조직(입술)에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미적, 기능적 디자인;
· 각각의 사례와 치료 과정에서의 필요에 따라 적합한 수치로 조절될 수 있는 토크(torque)와 팁(tip)의 고객맞춤.
· 구강 내에서 아치(arch)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최소화.
발명의 배경
치열교정에 있어서, 장치(device)는 치아를 움직여서 환자의 잘못된 치아 위 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와이어에 의해 제공되는 힘을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장치는 금속제를 사용하거나 (치아의 색과 유사한 색을 가진) 보다 미적 외관을 가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장치는 기본적으로 단일 조각으로 구성되는데, 이를 일반적으로 베이스(base)라 일컫고 이 베이스는 교정 와이어가 삽입되는 수평 홈(horizontal groove)을 가진다. 상기 장치의 홈 내부에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것은 상기 장치에 결합되는 금속제 또는 탄성체인 타이(tie)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제로 사용되는 상기 홈은 0.18 인치 또는 0.22 인치의 폭을 가진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Kozo Kawaguchi 외 다수에 의한 유럽특허 EP 제1332727호와 Yoshiharu Shin 외 다수에 의한 유럽특허 EP 제1350482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의 베이스는 치아의 순측(labial face)에 접촉되고, 교정 와이어는 클로저 부재를 가지고 있지 않다. 다른 몇몇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교정 와이어는 2003년 3월 5일에 공개된 Masaaki Orikasa에 의한 유럽특허 EP 제128778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가적인 클로저 부재에 의해 접착되어 덮어진 상태로 되어있다.
수년전에는, 몇몇 장치들은 치아의 후면에 (설측(lingual face)에 대해) 고정되는 방식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기술은 설측 치아교정이라 일컬어지고 이러한 기술의 한 구체예는 2004년 4월 7일에 공개된 Arthur Rosemberg에 의한 유럽특허 EP 제1405610호에서 개시되었다.
앞서 언급한 모든 시스템은 치아에 대해 와이어를 조절하기 위해서 장치의 홈 내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고, 본 발명은 와이어와 교정용 아치를 종전 경우에서와 같이 후면 블래킷의 베이스 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닌, 와이어가 설치되는 홈을 가진 캡(cap)이라 불리는 새로운 클로저 부재 및 상기 베이스와 고정되는 고정 장치(retention mechanism)에 의해 설치함으로써 이와 같은 불편함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개략적인 설명
본 발명의 기계적 장치는 치아에 와이어의 힘을 전달하는 새로운 기계적 치아교정 시스템에 적용된다. 상기 장치에 대해 개발된 혁신적인 기술적 사상은 그 작동되는 시스템 자체에 있다. 교정 전문의는 금속제 혹은 탄성체 타이(tie)(종래의 시스템)에 의해 상기 장치의 홈 내의 와이어를 고정하는 대신에, (베이스 상의 캡의) 두 개의 주요 구성성분을 조정하여 치아에 상기 와이어를 조절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금속제 혹은 탄성체 타이들에 의해 조절되지 않고서도 그것들 사이에 고정되어 있을 것이다.
구강 내에서의 상기 장치의 치료적 사용법은 베이스에 대해 캡의 압력을 간단히 조절하여 치아 위의 교정 와이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 작업을 단순화한다. 상기 캡은 상기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액티브 홈(active groove)을 가지고 있고, 상기 액티브 홈은 각기 다른 토크(전정-혀 방향(vestibular-lingual direction)에서의 치아의 경사각)와 팁(근원심 경사각(mesiodistal inclination))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블래킷과 비교하여 볼 때 본 발명은 베이스 내부가 아닌 캡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홈의 존재에 있어 그 차이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캡은 치아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에 재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캡의 액티브 홈의 변하지 않는 고정된 토크와 팁 수치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는 캡의 교체를 수월하게 한다. 상기 토크는 상기 캡의 베이스에 대한 상기 액티브 홈의 경사도이고 상기 팁은 정중선에 대한 치아의 경사도이다. 만약 각기 다른 토크와 팁(몇 도에서 몇 도까지, 예를 들면 0°에서 30°까지)을 가지는 캡이 폭넓은 범위를 가진다면, 매순간 치료상 필요에 따라 상기 캡을 단순히 교체함으로써 토크와 팁의 수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캡의 토크와 팁의 수치는 그 수치들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베이스에서의 현재 수치를 조절할 수 있다. 캡의 경사도와 별도로, 상기 홈은 폭을 변화시킬 수 있고, 캡들은 .018" 또는 .022"의 상기 홈의 폭 수치에 따라 사용될 있고, 이보다 더 크거나 작은 치수 또는 두께의 사용도 허용된다.
(상기 캡이 베이스에 대해 조절되어 있는) 조립체의 반구형 모양은 본 장치의 마찰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디자인을 나타낸다. 이러한 디자인은 환자에게 최상의 편안함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가 금속제일지라도, 만약 상기 캡이 모두 치아와 유사한 색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다면, 상기 조립체의 미적 효과는 최적화될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설측 치열교정에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장치의 디자인은 혀 또는 치아의 구개면(palatine face)의 해부학적 특징에 따라 변화된다. 홈 내부에서 와이어를 당기는 자동-폐쇄 시스템은 상기 기술의 치료상 작업을 수월하게 하여준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치아와 관련된 팁과 베이스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베이스인 캡 내에 위치한 액티브 홈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2도는 상기 캡의 홈의 토크/팁의 각기 다른 각도에서 치아, 베이스 및 캡을 볼 수 있게 하는 한 세트의 측면도들이다.
제3도는 고정 플랩(flap)이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의 한 구체예에 대한 투시도이다.
제4도는 리버스 아치(reverse arch)와 고정 홈을 가진 제3도의 베이스 위의 상호보완적인 캡(complementary cap)의 한 구체예에 대한 투시도이다.
제5도는 제3도의 베이스와 제4도의 캡으로 구성되는 리버스 블래킷(reverse bracket)을 고정/해제하는데 사용되는 보조 클립(clip)의 투시도이다.
제6도는 상기 도면들(제3도 내지 제5도)의 베이스-캡-클립의 장치를 고정/해제하는데 사용되는 트위저(tweezer)의 투시도이다.
제7도는 더브테일(dovetail)에 의한 한 타입의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수직면을 축으로 한 단면도와 함께, 고정 시스템(retention system)이 치아의 전정 표면(vestibular surface)에 수직으로 형성된 치아, 베이스 및 캡의 배치상태(array)를 나타내는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8도는 제7도의 고정 장치와 다른 더브테일에 의한 한 타입의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수직면을 축으로 한 단면도와 함께, 고정 시스템이 치아의 전정 표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치아, 베이스 및 캡의 조립체(assembly)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9도는 더브테일에 의한 한 타입의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수직면을 축으로 한 단면도와 함께, 고정 시스템이 치아의 전정 표면에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 치아, 베이스 및 캡의 조립체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현재 사용되는 치열교정 장치에 대한 중요한 새로운 기술특징을 나타낸다; 상기 새로운 기술적 특징은 본 기술 분야에서 현재 사용되는 상기 특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베이스(2)의 내부가 아닌, 캡(3)의 내부에 위치한 액티브 홈(8)의 존재에 있다. 교정용 와이어는 액티브 홈(8) 내부에 삽입되는데, 이 액티브 홈(8)은 각기 다른 각도에서의 토크와 팁을 가질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베이스는 그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토크, 팁, 인/아웃(in/out)(베이스 축에 대한 치아의 회전), 및 고정 표면(retentive surface)에 의해 치아 자체에 적용되는 형상을 포함한다. 캡(3)은 고정 장치에 의해 베이스(2)와 결합되어, 상기 캡의 교체가 수월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된 치열교정상의 문제점에 대한 매순간에서의 필요에 따라 토크와 팁의 각도를 손쉽게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들인 치아(1), 베이스(2), 및 캡(3)이 도시되어 있다. 치아(1)는 치아의 설측(4)과 순측(5)을 가지고 있다. 치아(1)에 결 합되는 베이스의 고정 표면(6) 및 캡(3)과 결합되는 베이스의 액티브 표면(active surface)(7)을 가진 베이스(2)가 치아(1) 상에 결합된다. 캡(3)은 치열교정 아치가 삽입되는 액티브 홈(8)과 결합 장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캡(3)은 베이스(2)의 액티브 표면(7)에 쉽게 부착/탈착될 수 있다.
베이스(2)는 치아(1)에 결합되고, 이러한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토크 또는 전정-혀 방향(vestibular-lingual direction)으로의 치아의 경사각, 팁 또는 근원심 경사도(mesiodistal inclination), 다른 치아에 대한 치관(dental crown)의 높이 또는 돌출 정도 및 베이스 축에 대한 치아의 회전과 같은 다수의 특징들을 나타낸다. 상기 형태학적 특징들은 변함이 없고, 이러한 특징들은 평균값들에 대응되므로, 허용될 수 있는 범위(토크와 팁의 최대값과 최저값)의 평균값인 토크와 팁의 고정 수치를 가진 각각의 치아에 대한 베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베이스(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치아에 베이스가 결합(접착)되는 것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치아에 고정될 수 있는 불규칙한 형태 또는 "격자(grid)" 형태를 나타내는 고정 표면(6)을 가진다. 상기 소위 액티브 표면(7)은 실제 작동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상기 캡과 접촉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액티브(active)"라는 명칭을 붙인 이유는 교정 와이어가 상기 캡에 삽입되고, 베이스 상의 상기 와이어의 조절에 의해 치아에 접착되어 발행되는 힘을 상기 액티브 표면이 전달하기 때문이다. 상기 힘의 작용 경로는 하기와 같다: -> 상기 캡의 액티브 홈(8) -> 캡(3)의 본체 -> 캡-베이스 접촉면 또는 액티브 표면(7) -> 베이스(2)의 본체 -> 베이스/치 아 고정부 또는 고정 표면(6) -> 치아(1).
캡(3)은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액티브 홈(8)을 가지고 있고, 상기 액티브 홈(8)은 각기 다른 토크와 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은 각기 다른 특성(토크와 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치아 상의 베이스의 표준 효과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캡은 0°에서 15°까지 1 도씩 증가할 수 있고,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캡의 위치에 따라 치아의 경사도에 양수 또는 음수의 토크가 산입될 수 있는 각기 다른 토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토크는 캡의 기능을 다양하게 한다. 같은 방식으로, 상기 액티브 홈에 1°에서 12°까지 1 도씩 증가할 수 있는 각기 다른 근원심 경사도를 주어 상기 근원심 경사도나 팁과 관련하여 캡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베이스(2)와 캡(3)은 고정 시스템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 시스템은 상기 캡의 모양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의 모양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캡과 베이스의 모양은 상호 보완적이어야 한다.
도 3, 4, 5 및 6은 본 발명의 제1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베이스(2)를 도시하고, 도 4는 캡(3)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각각 도 3과 도 4의 베이스와 캡 사이의 고정 클립(retention clip)을 도시하고 있고, 그리고 도 6은 앞서 언급한 구성성분들의 조작을 위한 트위저(tweezer)를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2)는 원형의 타원체 또는 직사각형 모양일 수 있고, 하기의 구성성분들로 구성될 수 있다:
· 치아 표면 위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 표면(6);
· 도 4에 도시된 캡(3)의 베이스 위에 형성되고 고정 윙(retentive wing)이 돌출되는 액티브 표면(7); 상기 각각의 한 쌍의 고정 윙은 두 개의 지지 텅(stabilising tongue)(24)과 상기 지지 텅들 사이에 있는 고정 텅(retentive tongue)의 단부(26)로 일컬어지는 그 끝부분의 두꺼운 피니쉬(finish)를 가진 고정 텅(retentive tongue)(25)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하나의 지지 텅(24)에는 필요한 경우에 금속제 타이에 의해 치아를 당길 수 있는 작은 고정 홀(retentive hole)(27)이 도시되어 있다. 캡(3)은 반구형 모양이고, 하기 구성요소를 통합하고 있다:
· 본 발명의 필수적인 부분이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베이스에 따라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는 액티브 홈(8). 상기 액티브 홈은 캡(3)의 본체를 형성하는 재료를 단순히 절단하여 만들 수 있고, 또는 사용되는 교정용 와이어와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금속 강화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 특정 구체예에 따라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베이스의 고정 텅(25)에 고정될 수 있는 지지 텅의 네 개의 홈(34), 상기 베이스의 고정 텅(25)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텅의 두 개의 홈(35) 및 상기 캡의 표면에 더블 원(double one) 기능을 가지는 두 개의 측면 구멍으로 이루어진 고정 홈 또는 구성요소: 이들은 고정 텅(26)의 단부에 고정되는 역할을 하거나, 뒤에 상술되는 보조 클립에 의해 고정되는데 사용된다. 상기 고정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에 상기 캡이 고정되는 방향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 또는 구성요소는 상기 베이스 내에 또는 상기 캡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클립(10)은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낸다:
· 캡(3)의 표면 일부에 부착되는 본체(12).
· 캡(3)의 표면의 동일한 측면 구멍(9)들에 맞추어진 고정 단부(13). 암(arm)(14)은 고무줄 또는 고정 와이어의 조절을 수월하게 한다. 이러한 암은 암의 기능이나 치료적 효용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단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암들은 치열교정에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무줄 또는 고무 체인과 같은 이러한 엑티브 장치(active device)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러한 암들은 상기 캡이나 베이스의 고정된 구성요소(떼어낼 수 없음)와 같이 상기 캡 또는 베이스의 일부분일 수 있다.
트위저(11)는 보조 클립(10)을 조절하여 베이스(2)로부터 캡(3)을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트위저는 동일한 두 개의 단부를 가진 스토퍼(stopper)(15)를 나타내고, 상기 스토퍼는 베이스(3)의 고정 텅(26)의 단부의 고정부에 있는 캡(3)의 표면의 동일한 측면 구멍(9)들을 누름으로써, 현재 기계적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그리하여 캡(3)이 지지 텅(24)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장치의 베이스(2)의 액티브 표면(2)으로부터 분리된다. 트위저(11)의 뒷부분은 캡(3)의 표면에 있는 동일한 측면 구멍(9)들에서의 상기 보조 클립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보조 클립(10)의 고정 단부(13)에의 상기 트위저의 사용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레버(lever)(16)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위저는 사용되는 고정 장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고정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도 7 내지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상기 고정 장치가 전정 표면에 수직으로(도 7 내지 8) 또는 치아 표면에 접선 방향으로(도 9) 배치될 수 있는 더브테일을 통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고, 한 고정 장치 또는 다른 고정 장치가 제조 이익에 따라 선택된다. 도 7에서는 고정 장치(41)는 더브테일이고, 상기 고정 장치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치아에 대해 평행하게 안쪽 방향으로 눌러져야 하고, 도 8의 고정 장치(42)는 이와 정반대로 바깥쪽으로 당겨져야 한다. 도 9에서 고정 장치(43)는 치아 표면에 대해 수직력이 작용하여야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제조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이러한 구체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과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특유의 원리들은 하기 청구항에 의해 정해진 범위에서 본 발명의 범위의 내에서 다른 구체예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치아에 결합되는 베이스(2), 상기 베이스(2)의 클로저 부재 또는 캡(3), 및 보조 조절 클립(10)을 가지는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3)은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액티브 홈(8)을 가지고, 이 홈(8)은 각기 다른 토크 및/또는 팁을 가진 형태를 나타낼 수 있어 각기 다른 방향에서의 힘을 상기 와이어에 발생시키고, 상기 방향은 캡(3)의 액티브 홈(8)의 경사도에 의존하고, 교체 가능한 상기 캡은 다양한 경우의 치열교정의 필요에 따라 토크 및/또는 팁의 수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홈(8)의 폭은 .018" 또는 .022"일 수 있어, 상기 홈(8)이 각기 다른 크기의 교정용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에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베이스(2)는 치아에 접착되는 고정 표면(6)과 고정 윙이 돌출되는 액티브 표면(7)을 가지고, 상기 각각의 한 쌍의 고정 윙은 지지 텅(24)과 상기 지지 텅들 사이에 고정 텅의 단부(26)로 일컬어지는 두꺼운 단부를 가진 고정 텅(2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 표면(7)은 교정용 와이어가 캡(3)의 액티브 홈(8) 내로 삽입되어 제공하는 힘을 전달하고;
    b) 캡(3)은 반구형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캡의 하부에 액티브 홈(8)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액티브 홈은 캡(3)의 본체를 형성하는 재료를 절단하여 만들 수 있거나 사용되는 교정용 와이어와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금속 강화제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캡(3)은 베이스의 고정 텅(24)에 고정될 수 있는 지지 텅의 네 개의 홈(34)과 상기 베이스의 고정 텅(25)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텅의 두 개의 홈(35)을 갖고, 또한 상기 캡의 표면에 고정 텅의 단부(26)와 결착되는 기능을 가진 두 개의 측면 구멍(9)을 포함하고;
    c) 보조 클립(10)은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캡(3)의 표면 위에 부착되는 본체(12), 캡(3)의 표면의 동일한 측면 구멍(9)들에 맞추어진 고정 단부(13) 및 고무줄 또는 고정 와이어의 조절을 수월하게 하는 암(arm)(1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에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장치는 보조 도구로써 베이스(2)로부터 캡(3)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트위저(11)를 포함하고, 상기 트위저는 두 개의 단부를 가진 스토퍼(15)를 갖고, 상기 스토퍼는 베이스(2)의 고정 텅(25)의 단부(26)의 고정부에 있는 캡(3)의 표면의 동일한 측면 구멍(9)들을 누름으로써, 현재의 기계적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그리하여 캡(3)이 지지 텅(24)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장치의 베이스(2)의 액티브 표면(2)으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트위저(11)는 캡(3)의 표면에 있는 동일한 측면 구멍(9)들에서의 상기 보조 클립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목적으로 보조 클립(10)의 고정 단부(13)에 사용하기 위해서 그 뒷부분을 레버(lever)(16)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에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3)은 상기 기계적 장치의 미적 효과를 최적화시키는 치아와 유사한 색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에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장치.
KR1020077004039A 2007-02-21 2004-07-29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 KR100863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4039A KR100863620B1 (ko) 2007-02-21 2004-07-29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4039A KR100863620B1 (ko) 2007-02-21 2004-07-29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049A KR20070050049A (ko) 2007-05-14
KR100863620B1 true KR100863620B1 (ko) 2008-10-15

Family

ID=3827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039A KR100863620B1 (ko) 2007-02-21 2004-07-29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6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6690B1 (en) 1999-10-08 2001-03-27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removal
US6220857B1 (en) 1998-03-19 2001-04-24 Norbert Abels Orthodontic fastening el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0857B1 (en) 1998-03-19 2001-04-24 Norbert Abels Orthodontic fastening element
US6206690B1 (en) 1999-10-08 2001-03-27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remov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049A (ko) 200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9430B1 (ja) 歯科矯正装置
ES2684539T3 (es) Bracket ortodóncico autoligante
US4927360A (en) Triwing orthodontic bracket
EP3367956B1 (en) Orthodontic bracket with sliding molar distalizer
JP7153571B2 (ja) 自己結紮式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JPH0371896B2 (ko)
US6478579B1 (en) Orthodontic twin bracket with archwire floor and side wall relief
US20070224569A1 (en) Low profil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such orthodontic brackets
EP3426183B1 (en)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JP2008506427A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システム
US11413118B2 (en) Orthodontic molar distalizer
US20090136891A1 (en) Orthodontic appliance
US10105193B2 (en) Orthodontic bracket
WO2014008831A1 (zh) 一种工作翼上自带弹性圈锁扣的自锁托槽
US7775793B2 (en) Orthodontic bracket
CN111374788A (zh) 二段式无托槽隐形矫正器的内收装置
EP1779805B1 (en) Mechanical device for use in orthodontics
KR100863620B1 (ko)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
US11246683B1 (en)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CA2099730A1 (en) Orthodontic bracket
CN212973121U (zh) 一种二段式无托槽隐形矫正器的内收装置
CN216221740U (zh) 一种具有弧面导板的壳状矫治器
CA2234947A1 (en) Orthodontic appliance
Sonawane et al. ASSESSMENT OF SELF-LIGATING BRACK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