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462B1 - Golf tee with fixing-pin of type of entrance and exit - Google Patents
Golf tee with fixing-pin of type of entrance and ex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3462B1 KR100863462B1 KR1020070057019A KR20070057019A KR100863462B1 KR 100863462 B1 KR100863462 B1 KR 100863462B1 KR 1020070057019 A KR1020070057019 A KR 1020070057019A KR 20070057019 A KR20070057019 A KR 20070057019A KR 100863462 B1 KR100863462 B1 KR 100863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e
- shaft
- groove
- fixing pin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2—Golf tees attached to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의 결합상태 일측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the golf t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티샤프트 고정핀 수납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embodiment showing a state of receiving the T-shaft fixing pin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티샤프트 고정핀 수납상태를 나타낸 다른 일 실시 예시도,Figure 3 is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showing the state of receiving the T-shaft fixing pin of Figure 1,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따른 일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ccording to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본체 110 ... 걸림턱100 ...
120 ... 인출홈 130 ... 가이드홈120 ...
140 ... 연결부 141 ... 고정용홈140 ...
142 ... 통공 200 ... 티샤프트142 ... through-
210 ... 안착부 220 ... 티샤프트 고정핀210
230 ... 이탈방지리브 240 ... 지지턱230 ... Breakaway
250 ... 제1스토퍼 260 ... 제2스토퍼250 ...
300 ... 탄성부재 400 ... 분실방지끈300 ...
500 ... 숏티500 ... Short Tea
본 발명은 수납식 티샤프트 고정핀을 갖는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골프티를 휴대함에 있어서, 상기 골프티의 날카로운 모서리부인 고정핀 부분 즉, 티잉-그라운드에 실질적으로 꽂히는 매설부가 보호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 내측으로 수납되었다가 티샷을 위해 골프공 안착부를 누르면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핀이 하부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시 외에는 고정핀이 사용자의 바지 주머니 또는 포켓 주머니 내에서 안전하게 보관되어 골프티를 꺼내는 동작이나 골프티를 넣은채로 활동함에 대해 사용자의 손, 피부가 찔림 긁힘 등의 찰과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티샤프트 고정핀을 갖는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tee having a retractable tee shaft fixing pin, the technical gist of which, in carrying a golf tee, a buried portion that is substantially inserted into the fixed pin portion, that is, the teeing-ground of the golf tee, a protective cover When the golf ball seating part is stor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tee shot is pressed, the fixing pin protrudes downward by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so that the fixing pin is safely stored in the user's pants pocket or pocket pocket except when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tee having a retractable tee shaft fixing pin, wherein the user's hand and skin are scratched so as not to cause abrasion such as a puncture or a scratch.
통상 골프티는 골프공 스윙시 티잉-그라운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향 돌출되도록 보조하며 상기 지면과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임팩트시 골프공의 비거리를 높이도록 형성된다.In general, golf tees are assisted to protrude a certain height upward from the teeing-ground ground during the golf ball swing, and are formed to increase the distance of the golf ball at impact by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the ground.
이러한 골프티는 통상 골프공을 안착시킬 수 있는 일방향 길이를 갖는 몸체 상단부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티잉-그라운드에 꽂히도록 형성되는 매 설부가 마련된다.Such a golf tee is usually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having a one-way length for seating the golf ball, the bottom is provided with a buried portion formed to be plugged into the teeing-ground.
이때, 상기 안착부는 접시(사발) 모양으로 형성되어 골프공을 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매설부는 지면으로 꽂아 박을 수 있도록 못과 같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bowl) so that the golf ball can be easily placed, and the buried portion is pointed like a nail so as to be plugged into the ground.
그러나, 종래의 골프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 매설부가 지면에 용이하게 박히도록 '못'처럼 매우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사용자가 티잉-그라운드에서 샷을 날린 후 주머니에 보관하며 활동, 이동시 허벅지 또는 옆구리 등 포켓 주머니 위치 선의 피부를 찌르거나 긁음으로써 찰과상이 유발되는 한편, 골프티를 다시 꺼내는 동작에서도 사용자의 손이 상기와 같은 찰과상에 노출되는 등 안전성에 적지 않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golf tee is very sharply formed as a nail so that one side buried portion is easily embedded in the ground, which is stored in a pocket after the user blows the shot from the teeing-ground and moves and moves. Abrasion is caused by poking or scratching the skin of the pocket pocket location line such as the thigh or flank, while the user's hand is exposed to such abrasions even when the golf tee is pulled out agai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골프티를 휴대함에 있어서, 상기 골프티의 날카로운 모서리부인 고정핀 부분 즉, 티잉-그라운드에 실질적으로 꽂히는 매설부가 보호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 내측으로 수납되었다가 티샷을 위해 골프공 안착부를 누르면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핀이 하부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시 외에는 고정핀이 사용자의 바지 주머니 또는 포켓 주머니 내에서 안전하게 보관되어 골프티를 꺼내는 동작이나 골프티를 넣은채로 활동함에 대해 사용자의 손, 피부가 찔림 긁힘 등의 찰과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티샤프트 고정핀을 갖는 골프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gist of carrying a golf tee, the fixed pin portion of the golf tee, that is, the buried portion that is substantially plugged into the teeing-ground body is made of a protective cover form When the golf ball seating part is stored inside and the tee shot is pressed, the fixing pin is protrud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so that the fixing pin is safely stored in the user's pants pocket or pocket pocket except for use, and the golf tee is remov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olf tee having a retractable tee shaft fixing pin, which is formed so as not to generate abrasions such as a user's hand and skin puncture scratch while the tee is put into ac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길이방향 상하로 관통된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110)과, 상기 걸림턱(110)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인출홈(120)과, 상기 걸림턱(110)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0)과, 상기 가이드홈(130)측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되 내측에 고정용홈(141)과 통공(142)을 갖는 연결부(1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인출홈(120)과 가이드홈(130)을 경유하며 삽입되되 길이방향 일측 상단부에 형성되는 안착부(210)와, 상기 안착부(210)의 타측에 형성되는 티샤프트 고정핀(220)과, 상기 티샤프트 고정핀(220)으로부터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리브(230)와, 상기 이탈방지리브(230)로부터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턱(240)과, 상기 지지턱(240)과 안착부(210)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스토퍼(2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티샤프트(200)와; 상기 본체의 인출홈(120) 내측에 수납되되 티샤프트의 이탈방지리브(230)와 지지턱(24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타샤프트(200)가 인출홈(120) 내측벽을 기준으로 상방향 텐션이 제공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이때, 상기 티샤프트(200)는 지지턱(240)과 제1스토퍼(250)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스토퍼(26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이때, 상기 본체(100)는 연결부(140)에 분실방지끈(400) 일측단이 결합되고, 상기 분실방지끈(400) 타측단에는 숏티(500)가 매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이에, 상기 숏티(500)는 접시 형태의 몸체로써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511)과, 상기 결합공(511)과 연통되어 분실방지끈(400)이 관통되도록 끈결합공(512)이 구비되는 받침부(510)와; 상기 받침부의 결합공(511)과 대응되도록 상단부에 끈삽입공(521)이 형성되는 고정부(52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티잉-그라운드에 실질적으로 매설되도록 일측 하단부에 고정핀(220)이 형성되는 티샤프트(200)와; 상기 티샤프트(200)의 안착부(210)를 제외한 축 선단 대부분을 내측 공간부(인출홈:120, 가이드홈:130)에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 인출홈(120)을 기준으로 고정핀(220)을 포함한 티샤프트(20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수납 및 인출되도록 탄성부재(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에 상기 본체(100)는 상하로 길이방향을 갖는 원기둥 또는 다면체로써 크게 걸림턱(110)과, 인출홈(120)과, 가이드홈(130)과, 연결부(140)로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걸림턱(110)은 본체의 내측으로 관통된 공간부에 있어서, 관통된 내주면 어느 일측부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티샤프트의 이탈방지리브(230)가 하부측에서 상부측로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인출홈(120)은 걸림턱(110)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탄성부재(300)가 수납되어 티샤프트의 지지턱(240)과 인출홈의 내측벽(121:개구된 상단부 반대 측벽)은 소정의 텐션구간(t)을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가이드홈(130)은 걸림턱(110)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티샤프트의 고정핀(220)이 수납되거나 돌출되도록 일종의 보호관을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에 상기 가이드홈(130)은 내경이 티샤프트의 이탈방지리브(230) 외경과 서로 대응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 유동없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ly, the
이때, 상기 연결부(140)는 가이드홈(130)측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되 내측에 고정용홈(141)과 통공(142)을 갖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연결부(140)는 후술되는 분실방지끈(400) 일측단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컵' 형상을 뒤집어 놓은 듯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다시 말해, 상기 고정용홈(141)은 하부가 개구된 요홈으로써, 상하 관통된 통공(142)으로 인입된 분실방지끈(400)의 일측단이 묶여져 수용되는 한편, 인입된 분실방지끈(400)이 상기 통공(142)으로 하여금 다시 반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이에 상기 티샤프트(200)는 안착부(210)와, 고정핀(220)과, 이탈방지리브(230)와, 지지턱(240)과, 제1스토퍼(250)로 크게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안착부(210)는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골프공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접시형태로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고정핀(220)은 안착부(210)와 대향되는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티잉-그라운드에 실질적으로 지지 고정되도록 날카로운 모서리 형태로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고정핀(220)은 본체의 가이드홈(130) 내에 수납되어 별도의 탄성 제공에 의해서만 가이드홈(130)의 하단 개구부로 돌출되거나 다시 수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고정핀(220)이 필요시 티잉-그라운드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사용후에는 가이드홈(130)으로부터 찰과상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이탈방지리브(230)는 고정핀(220)으로부터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걸림턱(110)에 걸림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이탈방지리브(230)의 외경은 본체의 가이드홈(130)에 수납시 직경차에 대한 유격이 최소화되어 상하방향 슬라이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이때, 상기 지지턱(240)은 본체의 인출홈(120) 내측에서 수납된 탄성부재(300)의 상단부를 마감하며 상방향 텐션력을 받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제1스토퍼(250)는 지지턱(240)과 안착부(210)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이러한 제1스토퍼(250)는 인출홈(120)의 개구된 상단부와 대응되며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티샤프트의 안착부(210)를 눌러 탄성부재(300)의 수축이 진행되면 고정핀(220)이 가이드홈(130)의 개구된 하부로 돌출되고, 이에 인출홈(120)의 개구된 상단부와 제1스토퍼(250)가 억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핀(220)이 티잉-그라운드에 박히도록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티샤프트(200)는 지지턱(240)과 제1스토퍼(250)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스토퍼(26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 제1스토퍼(250)는 안착부(210)의 바로 밑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턱(240)과 제1스토퍼(250) 사이에는 적지 않은 구간이 형성된다.That is, the
이러한 높이 구간 사이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스토퍼(260)를 더 구비하여 상기 티샤프트(200)가 본체(100)에 대해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샷 포인트를 보다 최적의 상태로 제공하도록 형성된다.One or more
이에 상기 탄성부재(300)는 본체의 인출홈(120) 내측에 수납되되 티샤프트의 이탈방지리브(230)와 지지턱(24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타샤프트(200)가 인출홈(120) 내측벽을 기준으로 상방향 텐션이 제공되도록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탄성부재(300)는 본체의 인출홈(120) 내측벽과 티샤프트의 지지턱(24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확장하려는 탄성력이 부여된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300)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출홈(120) 내에서 구부러짐, 휨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인출홈(120)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에 상기 숏티(500)는 본체(100)의 연결부(140)에 분실방지끈(400)으로 하여금 매달리도록 형성됨으로써, 본체(100)와 티샤프트(200)로 이루어진 메인 골프티가 분실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숏티(500)는 받침부(510)와 고정부(520)로 크게 구성된다.The
이에, 상기 받침부(510)는 접시 형태의 몸체로써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511)과, 상기 결합공(511)과 연통되어 분실방지끈(400)이 관통되도록 끈결합공(51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us, the
이때, 상기 고정부(520)는 받침부의 결합공(511)과 대응되도록 상단부에 끈삽입공(5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xing
이때, 분실방지끈(500)은 받침부의 끈결합공(512)을 관통하여 유입되고, 다시 고정부의 삽입공(521)에 삽입된 뒤 일측 단부가 매듭져서 고정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고정부의 삽입공(521)은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통공으로써, 매듭으로 묶여진 분실방지끈(500)은 당겨지는 측으로 점점 좁아져 빠지지 않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다음은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겠다.Next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최초 본체(100)와 결합된 티샤프트(200)는 지지턱(240)을 기준으로 그 상단부(제1스토퍼:250 및 안착부:210)가 본체의 인출홈(12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나머지 몸체는 본체(10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다.The
이때, 상기 고정핀(220)은 본체의 가이드홈(130)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써, 고정핀(220) 상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리브(230)는 본체의 걸림턱(110)과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fixing
즉, 티샤프트(200)의 텐션구간(t) 몸체를 휘감으며 본체의 인출홈(120)에 내장된 탄성부재(300)가 인출홈의 내측벽(121)을 기준으로 티샤프트의 지지턱(240)을 외측으로 밀며 최대한 고정핀(220)이 가이드홈(130)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하되,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이 일정구간에서 정지되도록 이탈방지리브(230)가 걸림턱(110)과 맞닿아 이를 단속하게 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이, 본원 골프티는 고정핀(220)이 가이드홈(130) 내부에 상시 수납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포켓 주머니에 넣고 활동하거나 다시 꺼내는 동작을 취하더라도 손과 피부가 찰과상을 일으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본체의 연결부(140)에는 별도의 분실방지끈(400)에 의해 숏티(500)가 매달려 있는 상태에다.As described above, the golf tee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hands and skin do not cause abrasion even if the fixing
이후, 사용자는 티잉-그라운드에서 상술한 본원 골프티를 사용하기 위해 최초 돌출된 상태의 안착부(210)를 손으로 누르면 탄성부재(300)의 수축에 의해 고정핀(220)이 가이드홈(130)의 개구된 하부로 돌출되고 이때, 안착부(210) 바로 밑에 위치한 제1스토퍼(250)는 인출홈(120)의 상단 내주면과 맞닿아 억지끼움 방식으로 가벼운 고정을 이루게 된다.Thereafter, the user presses the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써, 상기 제1스토퍼(250)와 지지턱(240) 사이 축상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별 제2스토퍼(260)가 더 부설되어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골프티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stepped
이에 상기 숏티(500)는 분실방지끈(400)과 함께 티샷 후 메인 골프티(본체:100 및 티샤프트:200)가 분실되지 않도록 티잉-그라운드 일측 지면에 견고하게 박혀 이를 보조하게 된다.Accordingly, 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와 티샤프트 내측에 구비된 탄성부재로 하여금 티샤프트의 고정핀이 본체 내측으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본원 골프티는 비사용시 사용자의 포켓 주머니 내에서 날카로운 모서리부 즉, 고정핀이 사용자의 손 또는 피부를 찌르거나 긁지 않도록 형성되어 찰과상으로부터 안전함은 물론, 상기 티샤프트는 본체에 수납되는 높낮이가 소정간격 조절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인 샷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이에 상기 본체 일측 연결부에는 분실방지끈에 의해 연결된 별도의 숏티가 더 구비되어 티샷 후 메인 골프티가 분실되지 않도록 보조함으로써 골프티의 추가 구입 등 경제적 손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tea shaft so that the fixing pin of the tea shaft can be stored and withdrawn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golf tee is a sharp edge in the pocket pocket of the user when not in use That is, the fixing pin is formed so as not to poke or scratch the user's hand or skin, as well as safe from abrasions, the tea shaft is formed to provide a more stable shot point to the user by adjusting the height to be stor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ly, the main body one sid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hort tee connected by a loss prevention strap further assists the main golf tee not to be lost after the tee shot, thereby preventing economic losses such as additional purchase of the golf te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7019A KR100863462B1 (en) | 2007-06-12 | 2007-06-12 | Golf tee with fixing-pin of type of entrance and ex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7019A KR100863462B1 (en) | 2007-06-12 | 2007-06-12 | Golf tee with fixing-pin of type of entrance and ex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3462B1 true KR100863462B1 (en) | 2008-10-16 |
Family
ID=4017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7019A KR100863462B1 (en) | 2007-06-12 | 2007-06-12 | Golf tee with fixing-pin of type of entrance and ex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346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562Y1 (en) * | 2019-04-05 | 2019-07-04 | 김미희주 | Golf tee holde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0564U (en) * | 1990-07-04 | 1992-03-11 | ||
KR100286967B1 (en) | 1992-10-27 | 2001-04-16 | 딕코리러덕 | Golf tee |
KR200383845Y1 (en) | 2005-02-07 | 2005-05-10 | 이왕호 | Gorf Tee |
US6949033B1 (en) | 2003-12-03 | 2005-09-27 | Mydland Don R | Adjustable golf tee precision setting device |
US7223184B2 (en) | 2004-05-21 | 2007-05-29 | Aviar Technology | Golf tee setting device and method |
-
2007
- 2007-06-12 KR KR1020070057019A patent/KR10086346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0564U (en) * | 1990-07-04 | 1992-03-11 | ||
KR100286967B1 (en) | 1992-10-27 | 2001-04-16 | 딕코리러덕 | Golf tee |
US6949033B1 (en) | 2003-12-03 | 2005-09-27 | Mydland Don R | Adjustable golf tee precision setting device |
US7223184B2 (en) | 2004-05-21 | 2007-05-29 | Aviar Technology | Golf tee setting device and method |
KR200383845Y1 (en) | 2005-02-07 | 2005-05-10 | 이왕호 | Gorf Te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562Y1 (en) * | 2019-04-05 | 2019-07-04 | 김미희주 | Golf tee holder |
WO2020204351A1 (en) * | 2019-04-05 | 2020-10-08 | 김미희주 | Golf tee hol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83470B2 (en) | Golf tee | |
US4336940A (en) | Golf tee holder | |
US6929124B2 (en) | Golf club saver | |
KR102189431B1 (en) | Golf Ball Ejector Installed In Hole Cup | |
KR100863462B1 (en) | Golf tee with fixing-pin of type of entrance and exit | |
US7753608B2 (en) | Lipstick case with cam mechanism | |
JP6647494B1 (en) | Golf course flagpole | |
US20060217217A1 (en) | Golf tee recycler | |
US20150314178A1 (en) | Tethered golf tee | |
US20090194552A1 (en) | Golf ball dispenser | |
KR100682482B1 (en) | Functional golf tee | |
KR100569842B1 (en) | Ring improving health for holding golf ball mark | |
KR200469205Y1 (en) | Portable golf ball case | |
KR20180002784U (en) | Ball marker and golf tee storage equipment | |
US20090111615A1 (en) | Golf accessory | |
KR101415055B1 (en) | loss prevention golf tee | |
KR200319956Y1 (en) | Holder for golf ball | |
JPH0626293Y2 (en) | Golf tee | |
KR100903674B1 (en) | The cup with the means to insert a straw | |
KR102619563B1 (en) | Shuttlecock Storage Unit | |
KR200458691Y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a batting ball | |
KR20140095143A (en) | One touch stick for gate-ball used fixed ball | |
KR200377659Y1 (en) | A golf tee | |
KR101121175B1 (en) | Ring for holding golf ball mark | |
JP2023525683A (en) | Device for fixing golf te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