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285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285B1
KR100862285B1 KR1020080068920A KR20080068920A KR100862285B1 KR 100862285 B1 KR100862285 B1 KR 100862285B1 KR 1020080068920 A KR1020080068920 A KR 1020080068920A KR 20080068920 A KR20080068920 A KR 20080068920A KR 100862285 B1 KR100862285 B1 KR 10086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xternal air
bar
suction
swir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영
남철
Original Assignee
(주)세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인테크 filed Critical (주)세인테크
Priority to KR102008006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5Means for the mechanical control of flow of air, e.g. deflectors, baffles or labyrin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6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87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e.g.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이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중량의 오물을 수용하는 오수조의 상단에 끼움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게 되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하는 선회류 형성부와, 상기 선회류 형성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정화액이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여 수막을 형성시키는 정화액 수용부로 이루어지는 수막필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타측에 연결고정된 고정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상기 고정관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며, 일측에 상기 수막필터부와 상기 커버를 경유한 외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공기에 포함된 물 등의 중량의 오물 또 한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워터펌프를 사용하여 물 등의 중량의 오물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 수막필터부, 커버, 흡입부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이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중량의 오물을 수용하는 오수조의 상단에 끼움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게 되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하는 선회류 형성부와, 상기 선회류 형성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정화액이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여 수막을 형성시키는 정화액 수용부로 이루어지는 수막필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타측에 연결고정된 고정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상기 고정관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며, 일측에 상기 수막필터부와 상기 커버를 경유한 외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란 전동기를 이용한 흡인력으로 먼지와 티끌을 빨아들이는 청소기구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진공청소기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백필터(Back Filter)와 해파필터에 의해 미세먼지 및 물에 젖은 오물 등을 흡입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백필터는 대게 입자크기가 큰 오물만을 거를 수 있을 뿐 미세먼지를 거를 수 없고, 상기 해파필터는 상기 진공청소기의 진공도 및 흡입력을 약화시키키 때문에 상기 진공청소기의 청소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청소하고자 하는 공간에 물이 있을 경우 번거롭게 별도의 워터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공기에 포함된 물 등의 중량의 오물 또한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워터펌프를 사용하여 물 등의 중량의 오물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이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중량의 오물을 수용하는 오수조의 상단에 끼움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게 되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하는 선회류 형성부와, 상기 선회류 형성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정화액이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여 수막을 형성시키는 정화액 수용부로 이루어지는 수막필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타측에 연결고정된 고정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상기 고정관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인접한 거리 에 위치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며, 일측에 상기 수막필터부와 상기 커버를 경유한 외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막필터부의 선회류 형성부는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의 상단에 안착고정되는 환형테와; 상기 환형테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예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선회시키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막필터부의 정화액 수용부는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직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 정화액이 내부로 유입되는 정화액 유입관과; 상기 정화액 유입관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정화액 유입관을 통해 내부에 상기 선회류 형성부가 형성한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는 정화액이 수용되는 수용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흡입부의 상부에는 상기 오수조에서 상기 하우징이 분리되도록 상기 하우징을 상하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흡입부의 상부 에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일단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흡입부의 상부 양측에 축결합되는 제 1지지바와; 상기 제 1지지바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바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입부의 상부 양측에 축결합되는 제 2지지바와; 상기 이동바의 내측에 구비되는 축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이동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이동바의 내부에 경사지게 수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기 이동바의 내부로 인입출되고, 상기 제 1지지바와 제 2지지바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입부의 상부 양측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각각 접하게 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기 이동바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흡입부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된 후 수직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외부공기를 선회류 형성부가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시킬 시 정화액 수용부에 수용된 정화액이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여 형성한 수막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이 흡착되기 때문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공기에 포함된 물 등의 중량의 오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끼움고정되는 오수조의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물 등의 중량의 오물 또한 보다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청소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번거롭게 별도의 워터펌프를 사용하여 물 등의 중량의 오물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류 형성부의 환형테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블레이드가 예각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외부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직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 정화액이 내부로 유입되는 정화액 유입관으로 인해 상기 공간에 수용된 정화액이 상기 정화액 유입관을 따라 이동하여 보다 용이하게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을 상하이동시키는 레버의 고정바의 일단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바의 내부로 인입출되어 흡입부의 수용함 상부 양측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각각 접하게 되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기 레버의 이동바를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을 상기 오수조에서 분리한 상태로 간편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공청소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 수막필터부(30), 커버(50) 및 흡입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0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101)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된 흡입관이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된 흡입관이 상기 흡입구(101)에 기밀하게 연결될 경우 바닥에 있는 물 등의 오물 또한 외부공기와 함께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의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입관의 길이가 보다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은 지지틀(7)의 일단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 는 오수조(71)의 상단에 끼움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오수조(71)는 고정볼트 등의 고정부재(73)에 의해 상기 지지틀(7)의 일단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물 등의 중량의 오물이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외주연에는 오링 등의 실링부재(103)가 구비되는데 이로써, 상기 하우징(10)의 하단과 상기 오수조(71)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상기 오수조(71)의 내부에 수용된 중량의 오물이 외부로 누수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7)의 일단과 타단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이동바퀴(75)로 인해 일정장소로 상기 지지틀(7)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수막필터부(3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105)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판부(107)의 양측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07a)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게 되는 수직관(310)과;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하 는 선회류 형성부(330)와;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정화액이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여 수막(도 4의 9)을 형성시키는 정화액 수용부(3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직관(3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판부(107)의 중심부가 예를 들어, 후술할 정화액 유입관(351)의 하부면에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353)의 하단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직관(310)의 하부방향에 상기 판부(107)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부(107)의 양측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경사부(107a)로 인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상기 판부(107)와 상기 수직관(31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311)를 통해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선회류 형성부(3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평면도이다.
한편,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관통구(331a)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310)의 상단에 안착고정되는 환형테(331)와; 상기 환형테(331)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예각(α)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선회시키는 복수의 블레이드(3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의 환형테(331)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블레이드(333)가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각(α)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외부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막필터부(30)의 정화액 수용부(35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격벽(105)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수직관(3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10)에 수용된 정화액이 내부로 유입되는 정화액 유입관(351)과; 상기 정화액 유입관(351)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정화액 유입관(351)을 통해 내부에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가 형성한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는 정화액(도 4의 b의 3)이 수용되는 수용통(3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수직관(31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110)에 수용된 정화액(5)이 내부로 유입되는 정화액 유입관(351)으로 인해 상기 공간(110)에 수용된 정화액(5)이 상기 정화액 유입관(351)을 따라 이동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수용통(37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수용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물이 상기 수막필터부(30)에 의해 제거되는 과정은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막필터부(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제거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5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타측에 연결고정된 고정관(111)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상기 고정관(111)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개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50)의 내부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막필터부(30)에 의해 오물이 제거되어 상승하는 외부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510)가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510)의 내부에는 상기 수막필터부(30)를 경유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일부 오물이 상기 커버(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펀지(5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흡입부(7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하우징(10)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틀(7)의 타단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수막필터부(30)와 상기 커버(50)를 경유한 외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7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7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관(111)의 하부에 연결된 연 결관(113)의 하부가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관(113)은 예를 들어,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113a)가 형성된 PVC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우징(10)이 후술할 레버에 의해 상하이동될 시 상기 연결관(113)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레버에 의해 용이하게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흡입부(70)는 예를 들어, 상기 지지틀(7)의 타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용함(710)과; 상부에 상기 연결관(113)의 하부가 연결되고, 상기 수용함(7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흡입시킨 후 상기 수용함(710)의 일측에 형성된 그물망 형상의 상기 배출구(730)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수막필터부(30)와 상기 커버(50)를 경유한 외부공기를 배출하는 흡입부재(7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부재(750)로 공지된 흡입펌프 또는 흡입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커버(50)의 타측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수직관(3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10)에 정화액(5)을 투입하게 된다.
여기서, 정화액(5)으로 물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공간(110)에 투입된 정화액(5)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 일단이 상기 공간(110)과 연통되도록 연결된 별도의 배출관(1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별도의 상기 배출관(115)의 타단은 상기 배출관(115)의 타단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도 1의 117)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 일단이 상기 공간(110)과 연통되도록 연결된 별도의 상기 배출관(115)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주름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그 길이가 보다 용이하게 신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수막필터부(30)의 선회류 형성부(330)의 상부방향에는 별도의 판부(109)가 위치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판부(109)의 양측에 하향경사지게 경사부(109a)가 형성되기 때문에 정화액(5)이 상기 판부(109)의 경사부(109a)를 따라 이동한 후 상기 공간(110)으로 자연스럽게 낙하하게 된다.
상기 수막필터부(30)의 선회류 형성부(33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별도의 상기 판부(109)의 중심부는 예를 들어, 상기 정화액 유입관(351)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고, 상단이 폐쇄된 배출관(357)의 상단에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355) 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데, 이로써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의 상부방향에 별도의 상기 판부(109)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수직관(3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10)에 수용된 정화액(5)은 도 5의 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화액 유입관(35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정화액 유입관(351)의 배출관(357)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배출공(357a)을 통해 상기 수용통(370)의 내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357)의 배출공(357a)을 통해 상기 수용통(370)의 배부로 배출되는 정화액(5)이 상기 정화액 유입관(351)과 상기 수용통(370) 사이에 형성된 틈새(313)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화액 유입관(351)과 상기 수용통(370) 사이에 형성된 틈새(313)에는 오링 등의 실링부재(35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링 등의 실링부재(359)는 상기 배출관(357)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틈새(313)에 기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57)의 배출공(357a)을 통해 상기 수용통(37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정화액(5)이 수용되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상기 커버(50)가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70)가 도 5의 ②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물 중 물 등의 중량의 오물(3)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오수조(71)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은 도 5의 ③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판부(107)의 경사부(107a)에 의해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로 외부공기와 함께 유입되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게 되는 미세먼지 등의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는 상기 정화액 유입관(351)과 상기 수용통(370)의 외주연을 경유한 후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의 복수의 블레이드(333)로 인해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의 내부로 유입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도 5의 ④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통(370)에 수용된 정화액(5)은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의 내부로 유입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선회할 시 형성된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여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 내부에 수막(도 4의 9)을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막(9)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이 흡착되기 때문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의 내부에서 형성된 선회류는 도 5의 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의 환형테(331)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331a)를 통해 상승하여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판부(109)를 지나 상기 커버(5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선회류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이 흡착된 수막(9)은 선회류가 상기 판부(109)와 접할 시 자중에 의해 상기 하 우징(10)과 상기 수직관(31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110)으로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수직관(31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110)으로 낙하한 상기 판부(109)와 접한 수막(9)은 다시 상기 정화액 유입관(35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관(357)의 배출공(357a)을 통해 상기 수용통(370)의 내부로 이동된다.
상기 수막필터부(30)의 선회류 형성부(330)와 정화액 수용부(350)에 의해 미세먼지 등의 오물이 제거되어 상승하는 외부공기는 도 5의 ⑥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5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필터(510)를 경유한 후 상기 커버(5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357a)과 상기 고정관(111) 및 상기 연결관(113)의 내부를 지나 도 5의 ⑦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함(710)의 일측에 형성된 그물망 형상의 배출구(7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6 및 도 7은 오수조(71)에서 하우징(10)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70)의 수용함(710) 상부에는 상기 오수조(71)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분리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을 상하이동시키는 레버(9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90)는 상기 흡입부(70)의 수용함(710)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이동바(910)와; 상기 이동 바(910)의 일단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 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흡입부(70)의 수용함(710) 상부 양측에 축결합되는 제 1지지바(930)와; 상기 제 1지지바(930)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 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바(9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입부(70)의 수용함(710) 상부 양측에 축결합되는 제 2지지바(950)와; 상기 이동바(9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축(913)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이동바(9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이동바(910)의 내부에 경사지게 수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971)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기 이동바(910)의 내부로 인입출되고, 상기 제 1지지바(930)와 제 2지지바(95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입부(70)의 수용함(710) 상부 양측에 고정된 고정부재(973)와 각각 접하게 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기 이동바(910)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바(9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971)는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970)의 일단 외주연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바(970)의 일단 외주연에 형성된 단차부(975)와 상기 고정바(97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바(910)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판(915)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971)로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910)의 내측에 구비된 축(913)을 상부방향으로 당길 경우 상기 축(913)은 상기 이동바(91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슬릿(917)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970)는 상기 축(913)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바(970)의 일단은 상기 이동바(910)의 내부로 인입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971)는 수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이동바(910)의 타단을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시 상기 하우징(1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오수조(71)에서 상기 하우징(10)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수조(71)에서 상기 하우징(10)이 분리된 후 작업자가 상기 축(913)을 당기기 위해 상기 축(913)에 가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971)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축(913)은 상기 가이드슬릿(917)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고정바(970)의 일단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9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고정부재(973)의 상부 외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바(970)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973)의 상부 외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접하게 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오수조(71)에서 분리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오수조(71)에서 분리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면 작업자는 상기 지지틀(7)에서 상기 오수조(71)를 분리하여 일정장소로 상기 오수조(71)를 이동시킨 후 상기 오수조(71)에 수용된 물 등의 오물을 버리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오수조(71)에서 분리된 상태로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다시 상기 축(913)을 당기게 되면 상기 축(913)은 상기 이동 바(91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슬릿(917)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970)는 상기 축(913)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재(973)의 외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접했던 상기 고정바(970)의 일단은 다시 상기 이동바(910)의 내부로 인입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971)는 수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이동바(910)의 타단을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시 상기 하우징(10)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오수조(71)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오수조(71)와 결합된 후 작업자가 상기 축(913)을 당기기 위해 상기 축(913)에 가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971)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축(913)은 상기 가이드슬릿(917)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고정바(970)의 일단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9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고정부재(973)의 하부 외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바(970)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973)의 하부 외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접하게 됨에 따라 상기 오수조(71)와 결합된 상기 하우징(10)이 강한바람 등에 의해 의해 상기 오수조(71)에서 분리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을 상하이동시키는 상기 레버(90)의 고정바(970)의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97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바(910)의 내부로 인입출되어 상기 흡입부(70)의 수용함(710) 상부 양측에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973)와 각각 접하게 되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기 레 버(90)의 이동바(910)를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오수조(71)에서 분리한 상태로 간편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흡입부(7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 후 상기 수직관(3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외부공기를 상기 선회류 형성부(330)가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시킬 시 상기 정화액 수용부(350)에 수용된 정화액(5)이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여 형성한 수막(9)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이 흡착되기 때문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공기에 포함된 물 등의 중량의 오물(3)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 끼움고정되는 상기 오수조(71)의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물 등의 중량의 오물(3) 또한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청소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번거롭게 별도의 워터펌프를 사용하여 물 등의 중량의 오물(3)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선회류 형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5는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오수조에서 하우징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중량의 오물, 5; 정화액,
7; 지지틀, 71; 오수조,
73, 973; 고정부재, 75; 이동바퀴,
9; 수막, 10; 하우징,
101; 흡입구, 103, 359; 실링부재,
105; 격벽, 107, 109; 판부,
107a, 109a; 경사부, 110; 공간,
111; 고정관, 113; 연결관,
113a; 주름부, 115, 357; 배출관,
117; 돌출부, 30; 수막필터부,
310; 수직관, 311, 313; 틈새,
330; 선회류 형성부, 331; 환형테,
331a; 관통구, 333; 블레이드,
350; 정화액 수용부, 351; 정화액 유입관,
353, 355, 913; 축, 357a; 배출공,
370; 수용통, 50; 커버,
510; 필터, 530; 스펀지,
70; 흡입부, 710; 수용함,
730; 배출구, 750; 흡입부재,
90; 레버, 910; 이동바,
915; 고정판, 917; 가이드슬릿,
930; 제 1지지바, 950; 제 2지지바,
970; 고정바, 971; 탄성부재,
975; 단차부.

Claims (4)

  1.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이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중량의 오물을 수용하는 오수조의 상단에 끼움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게 되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하는 선회류 형성부와, 상기 선회류 형성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정화액이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여 수막을 형성시키는 정화액 수용부로 이루어지는 수막필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타측에 연결고정된 고정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상기 고정관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며, 일측에 상기 수막필터부와 상기 커버를 경유한 외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필터부의 선회류 형성부는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의 상단에 안착고정되는 환형테와; 상기 환형테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예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오물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선회시키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필터부의 정화액 수용부는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직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 정화액이 내부로 유입되는 정화액 유입관과; 상기 정화액 유입관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정화액 유입관을 통해 내부에 상기 선회류 형성부가 형성한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는 정화액이 수용되는 수용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상부에는 상기 오수조에서 상기 하우징이 분리되도록 상기 하우징을 상하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흡입부의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회 전이동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일단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흡입부의 상부 양측에 축결합되는 제 1지지바와; 상기 제 1지지바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바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입부의 상부 양측에 축결합되는 제 2지지바와; 상기 이동바의 내측에 구비되는 축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이동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이동바의 내부에 경사지게 수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기 이동바의 내부로 인입출되고, 상기 제 1지지바와 제 2지지바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입부의 상부 양측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각각 접하게 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기 이동바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80068920A 2008-07-16 2008-07-16 진공청소기 KR100862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920A KR100862285B1 (ko) 2008-07-16 2008-07-16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920A KR100862285B1 (ko) 2008-07-16 2008-07-16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285B1 true KR100862285B1 (ko) 2008-10-13

Family

ID=40152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920A KR100862285B1 (ko) 2008-07-16 2008-07-16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2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3831A (ja) * 1988-05-20 1989-11-27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KR20010012044A (ko) * 1999-07-16 2001-02-15 구자홍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US6468350B1 (en) 1999-08-27 2002-10-22 Stephen J. Hillenbrand Mobile coater apparatus
KR20050047108A (ko) * 1996-03-29 2005-05-19 미츠이 조센 가부시키 가이샤 열교환기의 통로벽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3831A (ja) * 1988-05-20 1989-11-27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KR20050047108A (ko) * 1996-03-29 2005-05-19 미츠이 조센 가부시키 가이샤 열교환기의 통로벽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2044A (ko) * 1999-07-16 2001-02-15 구자홍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US6468350B1 (en) 1999-08-27 2002-10-22 Stephen J. Hillenbrand Mobile coate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17401B (zh) 分离装置和清洁设备
US10814257B2 (en) Household wastewater filter
KR100530359B1 (ko) 사이클론 분리장치의 오물수거통 착탈장치
KR10162807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120052692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7080425B2 (en) Vacuum canister and mounting bracket for use therewith
KR20190137414A (ko) 사이클론과 백필터 일체형 집진기
KR20170006088A (ko)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CN213429906U (zh) 一种污水箱及其清洗设备
EP2471431B1 (en) Wet-type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KR101946303B1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장치
CN113647876A (zh) 一种清洁设备的污水箱及清洁设备
KR100862285B1 (ko) 진공청소기
GB2516915A (en) Vacuum cleaners
US3146081A (en) Central vacuum cleaning unit
CN215914471U (zh) 一种清洁设备的污水箱及清洁设备
CN113576358B (zh) 一种集尘分离组件及清洁设备的基站
CN215534087U (zh) 一种用于清洁机的分离模块及清洁机
US11660551B2 (en) Household wastewater filter
KR20160138747A (ko) 비유동식 수벽을 이용한 원심분리식 집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4792A (ko) 분리형 원심분리기와 먼지통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2301991B1 (ko) 공기 정화장치
CN115445362B (zh) 一种清洗机多层水气分离的装置结构
CN219878069U (zh) 一种具有干湿分离装置的洗地机污水箱
CN216535179U (zh) 一种用于清洁机的灰尘分离模块及清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