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539B1 -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방법 및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플래시 메모리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방법 및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플래시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539B1
KR100859539B1 KR1020070013744A KR20070013744A KR100859539B1 KR 100859539 B1 KR100859539 B1 KR 100859539B1 KR 1020070013744 A KR1020070013744 A KR 1020070013744A KR 20070013744 A KR20070013744 A KR 20070013744A KR 100859539 B1 KR100859539 B1 KR 10085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memory
password
lost
loss prevention
process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4513A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주)세이비트텔레콤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이비트텔레콤, 김광수 filed Critical (주)세이비트텔레콤
Priority to KR102007001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539B1/ko
Publication of KR2008007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G06F9/4413Plug-and-play [Pn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에 아이디, 패스워드, 사용자 정보 및 안내메시지 등을 기록하여 플래그 앤 플레이로 자동 실행될 때 미리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분실신고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플래시 메모리 분실방지방법 및 분실방지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방법에 있어서, (1) 플러그인 플레이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과정; (2)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3)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인 경우 히든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가 아닌 경우 데이터 영역이 잠금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히든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서버, 아이디, 비밀번호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방법 및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LOSS PREVENTION METHOD AND FLASH MEMORY HAVING LOSS PREVEN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방법의 실시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방법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방법의 실시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CD-ROM 영역
20 : 히든영역
30 : 데이터 영역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분실방지방법 및 분실방지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시 메모리에 아이디, 패스워드, 사용자 정보 및 안내메시지 등을 기록하여 플래그 앤 플레이로 자동 실행될 때 미리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분실신고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플래시 메모리 분실방지방법 및 분실방지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는 플래시 램(flash RAM)으로도 불리는 비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의 변형 중 하나인데, 바이트 레벨에서 지울 수도 있고 수정할 수도 있는 EEPROM과는 달리 블록단위로 수정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는 디지털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랜스위치, 노트북 컴퓨터의 PC 카드, 디지털 셋톱박스 또는 내장 컨트롤러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에 휴대용 기억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근래에 들어서는 기억 용량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기가비트 급의 플래시 메모리까지도 출시되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는 윈도우98의 출시와 더불어 관심을 끌게 된 직렬 포트의 일종으로서, 오디오 플레이어, 조이스틱, 키보드, 전화, 스캐너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기기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컴퓨터 사이의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이다. 플래시 메모리와 관련하여, 컴퓨터에서는 이러한 USB 포트 를 통해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 들이거나 플래시 메모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분실할 경우 분실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중요한 자료까지 유출되어 곤란을 겪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래시 메모리에 아이디, 패스워드, 사용자 정보 및 안내메시지 등을 기록하여 플래그 앤 플레이로 자동 실행될 때 미리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분실신고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플래시 메모리 분실방지방법 및 분실방지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플래시 메모리가 분실된 상태로 판단하여 저장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 잠금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사용자 정보가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플래시 메모리 분실방지방법 및 분실방지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플래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서버로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분실된 플래시 메모리인지를 판단하여 플래시 메모리 습득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자 정보가 표 출되도록 하는 플래시 메모리 분실방지방법 및 분실방지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방법에 있어서, (1) 플러그인 플레이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과정; (2)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3)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인 경우 히든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가 아닌 경우 데이터 영역이 잠금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히든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방법에 있어서, (a) 플러그인 플레이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과정; (b)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c)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분실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분실상태인 경우 히든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방법에 있어서, (A) 플러그인 플레이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과정; (B)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C)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분실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분실상태인 경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실처리 서버로 업로드 시켜 해당 사용자가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CD-ROM 영역; 아이디, 비밀번호, 사용자 정보 및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히든영역;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플러그인 플레이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인지를 판단하며,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인 경우 히든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가 아닌 경우 데이터 영역이 잠금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히든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실방지운용 프로그램은,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분실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분실상 태인 경우 히든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분실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분실상태인 경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실처리 서버로 업로드 시켜 해당 사용자가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ROM 영역(10)과, 아이디, 비밀번호, 사용자 정보 및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히든영역(20)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플래시 메모리를 윈도우즈에서 플러그 앤 플레이 하기 위하여 플래시 메모리의 파티션을 나누어서 구성하게 되는데, 읽기전용의 가상 CO-ROM 드라이브인 CD-ROM 영역(10)을 구성하게 되며, 이 CD-ROM 영역(10)은 플래시 메모리를 USB 포트에 연결할 때 플러그 앤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메모리 영역으로서, 일반 유저들은 읽기만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업데이트와 관련하여 일고 쓰도록 구성된다.
상기 히든영역(20)에 저장된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플러그인 플레이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인지를 판단하며,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인 경우 히든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데이터 영역이 잠금상태가 아닌 경우 데이터 영역이 잠 금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히든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히든 영역(20)에 저장된 분실방지운용 프로그램은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분실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분실상태인 경우 히든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든 영역(20)에 저장된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분실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분실상태인 경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실처리 서버로 업로드 시켜 해당 사용자가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래시 메모리의 분실방지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분실방지방법의 실시예 1은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의 히든영역(20)에 저장된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플래시 메모리가 사용자 단말기의 커넥터에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0).
판단 결과 플래시 메모리가 사용자 단말기의 커넥터에 연결된 경우 자동실행 기능을 수행(S102)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 입력 요청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S104).
그리고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06). 판단 결과 입력된 경우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히든 영역(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를 체크하여(S108),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10).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S112).
한편 상기 S106 과정에서 사용자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할 때 미리 설정된 입력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S114), 입력시간을 초과한 경우, 그리고 상기 S110 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미리 등록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플래시 메모리 분실상태로 인식(S116)한다.
상기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 분실상태로 인식한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데이터 영역(30)을 잠금상태로 전환시키고(S118), 히든 영역(2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즉 플래시 메모리 소유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소유자가 입력한 메시지가 플래시 메모리가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한다(S120).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는 달리, 플래시 메모리 소유자가 플래시 메모리를 분실한 경우 플래시 메모리의 히든영역(20)에 저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분실 처리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플래시 메모리 분실 접수를 하고, 플래시 메모리의 히든영역(20)에 저장된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이 이를 인식하여 분실상태인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즉, 플래시 메모리의 히든영역(20)에 저장된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플래시 메모리가 사용자 단말기의 커넥터에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0).
판단 결과 플래시 메모리가 사용자 단말기의 커넥터에 연결된 경우 자동실행 기능을 수행(S102)하고, 히든영역(20)에 저장된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히든영역(20)에 저장된 분실처리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접속(S122)을 이룬 후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플래시 메모리가 현재 분실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24).
판단 결과 분실된 상태인 경우(S124),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데이터영역(30)을 잠금상태로 전환(S126)시킨 후 히든 영역(2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즉 플래시 메모리 소유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소유자가 입력한 메시지가 플래시 메모리가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한다(S120).
만약, 상기 S124의 판단 결과 분실 상태가 아닌 경우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S112).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동일한 루틴으로 수행되도록 구현되며, 실시예 2와 다른 점은 실시예2에서 S126 과정인 플래시 메모리의 현재 상태가 분실상태로 판명되는 경우 데이터 영역을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는 과정이 데이터 영역을 잠금상태로 전환시킨 후 데이터 영역(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실 처리 서버로 업로드시키도록 하는 S130 과정으로 확장된 점이다. 즉, 실시예 3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는 달리 플래시 메모리의 현재 상태가 분실 상태로 판명되는 경우 데이터 영역(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실 처리 서버에 업로드시켜 플래시 메모리를 분실한 사용자인 플래시 메모리 소유자가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시킨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데이터를 분실 처리 서버에 업로드 시킨 후 데이터 영역(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파괴시켜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에 아이디, 패스워드, 사용자 정보 및 안내메시지 등을 기록하여 플래그 앤 플레이로 자동 실행될 때 미리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분실신고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플래시 메모리가 분실된 상태로 판단하여 저장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 잠금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사용자 정보가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여, 플래시 메모리 습득자로 하여금 습득한 플래시 메모리를 본래의 사용자에게 돌려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플래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서버로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분실된 플래시 메모리인지를 판단하여 플래시 메모리 습득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자 정보가 표출되도록 하여, 플래시 메모리 습득자로 하여금 습득한 플래시 메모리를 본래의 사용자에게 돌려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방법에 있어서,
    (a) 플러그인 플레이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과정;
    (b)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c)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분실상태 인지를 판단하고, 분실상태인 경우 히든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과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방법.
  3.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방법에 있어서,
    (A) 플러그인 플레이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과정;
    (B)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C)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분실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분실상태인 경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실처리 서버로 업로드 시켜 해당 사용자가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방법.
  4.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CD-ROM 영역;
    아이디, 비밀번호, 사용자 정보 및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히든영역;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분실방지운용 프로그램은,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분실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분실상태인 경우 히든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
  5. 삭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방지 운용프로그램은,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실처리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분실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분실상태인 경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실처리 서버로 업로드 시켜 해당 사용자가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기능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
KR1020070013744A 2007-02-09 2007-02-09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방법 및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플래시 메모리 KR10085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744A KR100859539B1 (ko) 2007-02-09 2007-02-09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방법 및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플래시 메모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744A KR100859539B1 (ko) 2007-02-09 2007-02-09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방법 및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플래시 메모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513A KR20080074513A (ko) 2008-08-13
KR100859539B1 true KR100859539B1 (ko) 2008-09-22

Family

ID=3988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744A KR100859539B1 (ko) 2007-02-09 2007-02-09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방법 및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플래시 메모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021B1 (ko) * 2014-05-12 2016-01-21 백성하 플래시 메모리 상의 데이터를 영구히 삭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665A (ko) * 2001-05-15 2002-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휴대용 통신단말기의 분실모드에 따른 동작방법
KR20050083117A (ko) * 2004-02-21 2005-08-25 주식회사 성신 인터넷상에서 usb 메모리 스틱을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665A (ko) * 2001-05-15 2002-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휴대용 통신단말기의 분실모드에 따른 동작방법
KR20050083117A (ko) * 2004-02-21 2005-08-25 주식회사 성신 인터넷상에서 usb 메모리 스틱을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513A (ko)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9823C (zh) 用于禁用通用串行总线端口的方法和设备
CN100492277C (zh) 在安全的引导载入程序中使用散列法的方法和装置
US7735145B2 (en) Portable secure media with timed erasure
US20190121537A1 (en)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060253620A1 (en) Data structure of flash memory having system area with variable size in which data can be updated, USB memory device having the flash memor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area
JP2005011151A (ja) メモリカード
EP24928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information based on data card
US20080215720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lost/stolen data storage device recovery
WO2004040428A1 (ja) 着脱式デバイス、制御回路、制御回路のファームウェアプログラム、制御回路における情報処理方法及び回路設計パターン、ログイン方法
US7555588B2 (en) Computers having USB buses,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and programs and information for use therewith
KR20120006427A (ko) 암호화 플래시 디스크
JP2007149101A (ja) 自動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ログイン機能付きの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00185785A1 (en) Automatic mapping and updating computer switching device
US8332561B2 (en) Network adapt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0859539B1 (ko) 플래시 메모리 분실 방지 방법 및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플래시 메모리
CN105812526B (zh) 一种智能终端的外设管控检测方法及装置
CN101315656A (zh) 信息处理设备
JP5163522B2 (ja) Usbストレージデバイス、ホストコンピュータ、usbストレージ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0755789B1 (en) Write protection circuit
CN110555314A (zh) 一种文件数据的处理方法及固态硬盘
JP4866858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CN106778321B (zh) 权限控制方法和装置
US104600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method
JP5080833B2 (ja) メモリ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146880B2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