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121B1 -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121B1
KR100859121B1 KR1020080042831A KR20080042831A KR100859121B1 KR 100859121 B1 KR100859121 B1 KR 100859121B1 KR 1020080042831 A KR1020080042831 A KR 1020080042831A KR 20080042831 A KR20080042831 A KR 20080042831A KR 100859121 B1 KR100859121 B1 KR 10085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nel
tape
diffusion sheet
mol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8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승휘
김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08004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1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A display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ompensate mechanically the thermal expiation rate of a light shielding tape based on the thermal expansion of a diffusing sheet, thereby preventing the diffusing sheet from being curved and shriveled. A display module(20) includes a panel(30) and a BLU(Back Light Unit)(40). An image is formed on the panel. The BLU is disposed in the rear of the panel to transmit light to the panel. The BLU includes a light guide plate(41), a reflection sheet(42), at least one diffusing sheet(43,44), and a light shielding tape(45). The reflection sheet is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light guide plate to reflect light to the light guide plate. The at least one diffusing sheet is disposed in the upper part of the light guide plate to diffuse light to the panel. The light shielding tape is bonded between the panel and the at least one diffusing sheet to prevent light from being leaked through the panel and has an open loop shape in which at least one side is open to compensate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ng sheet.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Display module and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확산시트의 열팽창에 기초한 차광테이프의 열팽창률을 기구적으로 보상하여 종래와 같이 확산시트가 부분적으로 굴곡지면서 우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module and a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phenomenon in which a diffusion sheet is partially bent and crying as in the prior art by mechanically compensating a thermal expansion rate of a light shielding tape based on thermal expansion of a diffusion sheet. It relates to a display module and a terminal having the same tha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단말기란 PCS폰, PDA 등을 포함하는 개인 휴대전화기를 가리킨다. 현대인들에게 있어 단말기는 더 이상의 사치품이 아닌 생필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단말기 제조사들의 경우, 새로운 신기술을 내장시키거나 혹은 외관 디자인을 화려하게 만들어 수시로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소비자들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말기를 교체하고 있는 추세이다.The terminal refers to a personal mobile phone including a PCS phone, a PDA and the like. For modern people, terminals are becoming a necessity rather than a luxury. Accordingly, in case of terminal manufacturers, new products are built or the exterior designs are made colorful and products are released from time to time, and consumers are also replacing terminals at regular intervals.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분과,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외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분으로 나뉜다. 표시부분이란 소위, 액정이라고도 불리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을 가리킨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terminal is divided into an input portion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a display portion for outputting the input information or displaying external information. The display portion refers to a display module, also called liquid crystal.

디스플레이 모듈은 크게,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Panel)과, 패널의 배후에 결 합되어 패널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과, 이들이 수용되어 결합되는 메인 몰드프레임(Mold Frame)을 구비한다.The display module largely includes a panel in which an image is formed, a back light unit that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panel to project light to the panel, and a main mold frame in which they are received and combined. Equipped.

패널로는 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채용되는데, LCD로 적용된 패널은 그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지 못하고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채용되기 때문에 패널에 소정의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려면 패널로 빛을 투사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은 백라이트 유닛이 담당한다.LCD (Liquid Crystal Display) is mainly adopted. Panel applied to LCD does not emit light by itself and is adopted by adjusting the transmittance of light. Should be projected. This function is handled by the backlight unit.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을 패널의 평면 일 측에 배치하여 패널 전면을 직접 조광하는 직하 방식과, 패널의 일측면 또는 다수의 측면에 선 광원 혹은 점 광원을 배치시켜 도광판 및 반사시트 등에 광선을 반사 및 확산하는 에지(edge) 방식으로 나뉜다. 현재, 휴대전화기라 불리는 단말기 등과 같은 기기는 주로 후자의 에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The backlight unit directly directs the front surface of the panel by arranging the light source on one side of the panel, and arranges a line light source or a point light source on one side or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of the panel to reflect and diffuse light beams on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reflective sheet. It is divided into the edge (edge) method. At present, devices such as terminals called mobile phones mainly adopt the latter edge method.

한편, 백라이트 유닛을 이루는 다수의 부품 중에 하나로서 차광테이프가 존재한다. 차광테이프는 패널과 확산시트 사이에 마련되어 패널과 확산시트를 상호간 접착시킴으로써, 패널의 화상 표시영역 외의 부분으로 빛이 새는 이른 바, 빛샘 방지의 역할을 담당한다. 현재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되고 있는 차광테이프는 4면이 닫힌 사각의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ight shielding tape as one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acklight unit. The light shielding tape is provided between the panel and the diffusion sheet to bond the panel and the diffusion sheet to each other, so that light leaks to a portion outside the image display area of the panel, and thus serves to prevent light leakage. Currently, the light blocking tape applied to most display modules has a rectangular closed loop shape with four surfaces closed.

그런데,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있어서는, 상호 접착되는 차광테이프와 확산시트 간의 열팽창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확산시트의 열팽창 시 그에 맞게 차광테이프가 열팽창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확산시트가 부분적으로 굴곡지면서 우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슬림 화(slim)에 따른 확산시트 및 차광테이프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더더욱 심화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isplay module, since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the light-shielding tape and the diffusion sheet bonded to each oth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light-shielding tape is not thermally expanded accordingly during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and as a result, the diffusion sheet is partially bent and crying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particular, this phenomenon is deepened as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sheet and the light shielding tape becomes thin due to the slimming of the display module, and thus measures are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확산시트의 열팽창에 기초한 차광테이프의 열팽창률을 기구적으로 보상하여 종래와 같이 확산시트가 부분적으로 굴곡지면서 우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module and a terminal having the same, which mechanically compensates the thermal expansion rate of a light shielding tape based on thermal expansion of a diffusion sheet, thereby preventing the diffusion sheet from being partially bent while crying. To provid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 및 상기 패널의 배후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 측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향해 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시트; 및 상기 패널과 상기 확산시트 사이에서 접착되어 상기 패널을 통해 빛이 새는 것을 방지시키되 상기 확산시트의 열팽창을 보상하기 위해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개방 루프(open loop) 형상을 갖는 차광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nel on which an image is formed; And a backlight unit disposed behind the panel to project light onto the panel, wherein the backlight unit comprises: a light guide plate; A reflection sheet disposed under the light guide plate to reflect light toward the light guide plate; At least one diffusion sheet disposed on the light guide plate to diffuse light toward the panel; And a light shielding tape bonded between the panel and the diffusion sheet to prevent light leakage through the panel, but having a open loop shape having at least one open loop shape to compensate for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It is achieved by a display module and a terminal having the same.

여기서, 상기 차광테이프에는 상기 확산시트의 열팽창을 기구적으로 보상하는 테이프 삭제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light shielding tape may be formed with a tape erasing section to mechanically compensate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상기 테이프 삭제구간은 상기 차광테이프의 장변에 형성될 수 있다.The tape erasing section may be formed at a long side of the light blocking tape.

상기 테이프 삭제구간은 상기 차광테이프의 양측 장변에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tape erasing section may be provided in a pair to be symmetrical to both long sides of the light shielding tape.

상기 테이프 삭제구간은 상기 도광판의 측면 중앙 영역에 형성된 후크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차광테이프의 장변에 형성될 수 있다.The tape erasing section may be formed at a long side of the light shielding tap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ortion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차광테이프의 양면에 마련된 보호필름의 제거 시 상기 테이프 삭제구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프 삭제구간의 경계 영역에는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A perforation line may be formed in a boundary region of the tape erasing section so that the tape erasing section is formed when the protective film provided on both surfaces of the light blocking tape is removed.

상기 패널은,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표시영역과, 상기 화상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되 흑색 처리된 블랙 매트릭스 구간(back matrix)과 흑색 처리되지 않은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ransparent glass)으로 구분된 노이즈 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메인 몰드프레임; 및 상기 패널의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과 상기 패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해당 위치에서 상기 패널 측으로의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는 서브 몰드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includes an image display area in which an image is formed and noise divided into a black matrix back matrix and a black untransparent transparent glass section formed outside the image display area. A main mold frame, the main mold frame supporting the panel and the backlight unit; And a sub-molded fram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main mold frame and the panel based on the size of the transparent glass section of the panel and preventing light leakage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the panel.

상기 차광테이프는 상기 패널의 화상 표시영역에 인접된 위치에서의 빛샘 발생을 저지시킬 수 있도록, 양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패널, 상기 확산시트,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 및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The light-shielding tape partially adheres to the panel, the diffusion sheet, the main mold frame, and the sub mold frame so that at least one area on both sides of the light blocking tape prevents light leakage from occurring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mage display area of the panel. Can be.

상기 차광테이프는, 상면의 일 영역이 상기 패널 및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의 하면에 접착되고, 하면의 일 영역은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 및 상기 확산시트의 상 면에 접착될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tape may have one region of an upper surface adhered to a lower surface of the panel and the sub mold frame, and one region of a lower surface adher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mold frame and the diffusion sheet.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은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의 측벽을 강제로 후퇴시켜 형성된 공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b mold frame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forcibly retracting the side wall of the main mold frame.

본 발명에 따르면, 확산시트의 열팽창에 기초한 차광테이프의 열팽창률을 기구적으로 보상하여 종래와 같이 확산시트가 부분적으로 굴곡지면서 우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al expansion rate of the light shielding tape based on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may be mechanically compensated to prevent occurrence of the crying phenomenon while partially diffusing the diffusion sheet as in the related ar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된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to which a display modul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는 크게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전면을 개폐하는 폴더부(15)와, 본체부(11)와 폴더부(15) 사이에 마련되어 본체부(11)에 대해 폴더부(15)를 회동시키는 힌지(17)와, 본체부(11)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18)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는 소위 폴더형 휴대전화기이다.As shown in this figure,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the main body portion 11, the folder portion 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f the main body portion 11, the main body portion 11 ) And a hinge 17 for rotating the folder portion 15 relative to the main body portion 11 and the battery 18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1. . The terminal 10 shown in FIG. 1 is a so-called clamshell mobile phone.

본체부(11)의 내면에는 복수의 키버튼(12)이 마련되어 있다. 키버튼(12)들의 하부에는 음성을 전달하는 마이크(13)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기능버튼(14)들이 구비되어 있다. 기능버튼(14)들은 전화번호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12)들과는 달리 단말기(10)에 저장된 각종 메뉴를 검색하거나 기능을 선택하는 데 활용된다.A plurality of key buttons 12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The lower part of the key buttons 12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13 for transmitting voice, and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function buttons 14. The function buttons 14 are used to search various menus or select a function stored in the terminal 10, unlike the key buttons 12 for inputting a phone number or a letter.

폴더부(15)의 내면 상측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는 수신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신부(16)의 하부에는 전화번호, 배터리(18)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 등을 포함하여 문자나 화면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폴더부(15) 그 자체가 될 수도 있고, 혹은 폴더부(15) 내의 한 부분일 수도 있다.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er unit 15, a receiver 16 for receiving voices from the other party is formed. In addition, a display module 20 including a phone number,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8, a vibration state, an alarm state display, and the like is formed below the receiver 16. Here, the display module 20 may be the folder part 15 itself or may be a part of the folder part 15.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광테이프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보호필름이 박리된 차광테이프의 평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module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eeling a protective film from the light shielding tape shown in FIG. 3. 4 is a plan view of the light shielding tape from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30, Panel)과, 패널(30)의 배후에 배치되어 패널(30)로 소정의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40, Back Light Unit)과, 패널(30) 및 백라이트 유닛(40)을 지지하는 메인 몰드프레임(50, Mold Frame)을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isplay modul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hind the panel 30 and the panel 30 on which the image is formed, and the predetermined light to the panel 30. And a backlight unit 40 for projecting the light, and a main mold frame 50 for supporting the panel 30 and the backlight unit 40.

패널(30)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LCD 패널(30)을 적용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panel 30. (30) shall be applied.

LCD 패널(30)에 대해 부연하면, LCD 패널(30)은 내부에 액정(Liquid Crystal, 미도시)이 주입된 상태에서 상호 부분적으로 면배치되는 상부 글라스(31) 및 하부 글라스(32)로 이루어진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부 글라스(31) 및 하부 글라스(32)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편광판(Polarizer Film)이 접착된다.In detail, the LCD panel 30 includes an upper glass 31 and a lower glass 32 which are partially fac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a liquid crystal (not shown) is injected therein. . Although not shown, the upper and lower polarizer films are adher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upper glass 31 and the lower glass 32, respectively.

칼라의 화상을 형성하는 상부 글라스(31, Color Filter Glass)는 하부 글라스(32, TFT Panel)에 비해 그 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글라스(32)의 상면에는 상부 글라스(31)가 중첩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는데, 이 부분에는 드라이버 IC(33)가 장착된다. 드라이버 IC(33)는 FPC(30a, Flexible Printed Circuit)에 의해 단말기(10)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과 연결된다.The upper glass 31, which forms an image of a color, has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glass 32, which is a TFT panel. Therefore, a portion where the upper glass 31 does not overlap exis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glass 32, and the driver IC 33 is mounted on this portion. The driver IC 33 is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CB) provided in the terminal 10 by the FPC 30a (Flexible Printed Circuit).

패널(30) 및 백라이트 유닛(40)을 지지하는 메인 몰드프레임(5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메인 몰드프레임(50)은 완충프레임(51)과 프레임지지부(52)를 구비한다.First, the main mold frame 50 supporting the panel 30 and the backlight unit 40 will be described. The main mold frame 50 includes a buffer frame 51 and a frame support 52.

완충프레임(51)은 백라이트 유닛(40)과 패널(30)을 완충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레임지지부(52)는 백라이트 유닛(40)과 패널(30)이 결합된 완충프레임(51) 전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완충프레임(51)의 외곽을 감싸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uffer frame 51 buffers the backlight unit 40 and the panel 30. In addition, the frame support part 52 serves to surround and surround the buffer frame 51 so that the entire buffer frame 51 to which the backlight unit 40 and the panel 30 are coupled can be accommodated.

이에 대해 좀 더 부연하면, 완충프레임(51)은 패널(30)로 가해지는 충격, 예를 들어 단말기(10)를 떨어뜨림으로써 패널(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완충프레임(51)은 충격에 대해 완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buffer frame 51 serves to cushion the impact applied to the panel 30, for example, by dropping the terminal 10. Therefore, the buffer frame 51 is preferably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that can be buffered against impact.

본 실시예의 경우, 패널(30)이 사각형상을 가지므로, 완충프레임(51) 역시 이에 대응하는 사각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패널(30)이 사각형상이 아니라면 이에 대응하도록 완충프레임(51)이 적절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anel 30 has a rectangular shape, the buffer frame 51 also has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hereto. However, if the panel 30 is not rectangular, the buffer frame 51 may have another shape appropriately.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완충프레임(51)의 측부에는 완충프레임(51)이 프레임지지부(52) 내에 수용되면서 결합될 때 프레임지지부(52)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홀(미도시)에 삽입되는 다수의 가이드핀(미도시)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핀과 가이드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완충프레임(51)은 프레임지지부(52) 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가이드핀과 가이드홀은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side of the buffer frame 51 i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guide 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frame support 52 when the buffer frame 51 is received and coupled in the frame support 52. Guide pins (not shown) are formed to protrude. By the interaction of the guide pin and the guide hole, the buffer frame 51 can be easily coupled in the frame support 52. Of course, the guide pin and the guide hole may be excluded in configuration.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완충프레임(51)은 연성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성형 후,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적용하여 다른 부품들과 조립되는 과정에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즉, 완충프레임(51)은 상대적으로 약한 연성재료이기 때문에 열이나 혹은 외력 등에 의해 굽어지거나 뒤틀리기 쉬울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ock absorbing frame 51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shape may be change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with other components after the molding by applying to the display module 20. That is, since the buffer frame 51 is a relatively weak soft material, it may be easily bent or twisted by heat or external force.

만약 완충프레임(51)이 변형되면 패널(30) 및 백라이트 유닛(40)과의 결합이 쉽지 않을 수밖에 없으며, 강제적으로 조립한다 하더라도 조립 공차가 많이 발생하여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고, 나아가 패널(30) 및 백라이트 유 닛(40)의 기능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If the shock absorbing frame 51 is deformed, the panel 30 and the backlight unit 40 cannot be easily combined, and even though the assembly is forcibly assembled, a large number of assembly tolerances occur, which inevitably degrade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There is a fear that the functions of the 30 and the backlight unit 40 are lost.

따라서 패널(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연성재료로 완충프레임(51)을 제조하기는 하되, 제조된 완충프레임(51)의 형상이나 외형이 임의로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대비책이 필요하다. 이는 프레임지지부(52)가 담당한다.Therefore, while the shock absorbing frame 51 is manufactured with a soft material to cushion the impact applied to the panel 30,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ountermeasure so that the shape or appearance of the manufactured shock absorbing frame 51 is not arbitrarily deformed. This is the frame support 52.

프레임지지부(52)는 완충프레임(51)의 외곽을 감싸 지지하여 완충프레임(51)이 임의로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프레임지지부(52)는 완충프레임(51) 보다는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support part 52 surrounds and suppor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ock absorbing frame 51 to prevent the shock absorbing frame 51 from being arbitrarily deformed. Therefore, the frame support 52 is preferably made of a relatively strong materi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US) sheet than the buffer frame (51).

다만, 두께가 두꺼운 스테인리스 스틸 판을 사용하여 프레임지지부(52)를 제조하게 되면 원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의 두께가 증가되기 때문에 단말기(10)의 슬림화(slim)에 부합하기 어렵고, 그만큼 비용 손실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두께가 얇은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을 이용하여 프레임지지부(52)를 제조하기는 하되, 강도면에서는 종래보다 월등히 높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However, if the frame support portion 52 is manufactured using a thick stainless steel plate, the desired strength can be maintained, bu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display module 20 is increased to meet the slimming of the terminal 10. Since it is difficult to do so and may cause a cost loss, the frame support part 52 is manufactured by using a thin stainless steel (SUS) sheet, but in terms of strength, the frame support part 52 can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display modul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ructural strength for 20).

한편, 백라이트 유닛(40)은, 패널(30)과 함께 메인 몰드프레임(50)에 결합되어 패널(30)로 소정의 빛을 투사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cklight unit 40 is coupled to the main mold frame 50 together with the panel 30 serves to project a predetermined light to the panel 30.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40)은, 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41)과, 도광판(4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시트(42)와, 도광판(41)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확산시트(43,44)와, 패널(30)과 확산시트(44) 사이에서 접착되는 차광테이 프(45)와, 후술할 프레임지지부(52)의 배면에 결합되며 패널(30)의 일측에 결합된 FPC(30a, Flexible Printed Circuit)이 연결되고 구동용 LSI(Large Scale Integration)를 포함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연성인쇄회로기판, 미도시)와, 도광판(41)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미도시)가 구비된 LED장착FPCB(46)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 the backlight unit 40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41, a reflective sheet 42 disposed below the light guide plate 41, and a pair disposed above the light guide plate 41. The diffusion sheets 43 and 44, the light shielding tape 45 bonded between the panel 30 and the diffusion sheet 44, and one side of the panel 30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support 5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connected to the FPC (30a, Flexible Printed Circuit), including a large scale integration (LSI) for driving, and light guide plate 41. LED mounting FPCB 46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diode (LED).

도면에서 보면, 도광판(41)이 거의 사각형의 판상체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광판(41)은 확산시트(43,44)를 향한 상면은 평평하고 그 하면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figure, the light guide plate 41 is shown 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like body. However, the light guide plate 4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upper surface toward the diffusion sheets 43 and 44 is flat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becomes narrowe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반사시트(42)는 도광판(41)의 면적과 거의 동일하게 배치되어 도광판(41)의 하부로 빛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누출된 빛을 다시 반사시켜 도광판(41)을 통해서 패널(30) 측으로 인도하는 역할은 한다. 이러한 반사시트(42)의 일면, 즉 도광판(41)을 향한 면은 거울과 같은 경면을 이룬다.Reflective sheet 42 is dispos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rea of the light guide plate 41 to prevent light from leak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41 as well as to reflect the leaked light again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41. Role).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sheet 42,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light guide plate 41 forms a mirror-like mirror surface.

확산시트(43,44)는 도광판(41)에서 발생한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확산시트(43,44)의 표면에 아무런 무늬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확산시트(43,44)의 표면에는 빛을 좀 더 많이 확산시키기 위한 미세한 도트(dot) 패턴이 연속적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The diffusion sheets 43 and 44 serve to diffus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41. Although no pattern is shown on the surfaces of the diffusion sheets 43 and 44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diffusion sheets 43 and 44 has a plurality of fine dot patterns continuously to diffuse more light. Can be formed.

또한 빛의 확산으로 인해 빛이 균일해지지만, 그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밝기의 저하를 막기 위해 빛의 집중효과를 발휘하는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 시트(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확산시트(43,44)가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의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 의 경우에는 하부 확산시트(43)의 하부로 디퓨져(47, diffuser)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디퓨져(47)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lthough light is uniform due to light diffusion, a prism sheet (not shown) having a prism pattern that exerts a light focusing effect may be used to prevent a decrease in brightness caused by side effects.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diffusion sheets 43 and 44 are us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thereof.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iffuser 47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lower diffusion sheet 43, but the diffuser 47 is not necessarily provided.

차광테이프(45)는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 외의 부분으로 빛이 새지 못하도록 차광하는 역할을 한다. 즉, 차광테이프(45)는 패널(30)과 확산시트(44) 사이에 마련되되, 패널(30)과 확산시트(44)의 둘레 영역에서 그 양면이 패널(30)과 확산시트(44)에 각각 접착되어 확산시트(44)를 통해 확산된 빛이 패널(30)을 통해 직진하지 못하고 패널(30)의 판면 방향 외측으로 분산되면서 패널(30)을 통해 빛이 새는 이른 바, 빛샘 방지의 역할을 담당한다.The light shielding tape 45 serves to shield light from leaking to portions outside the image display area of the panel 30. That is, the light shielding tape 45 is provided between the panel 30 and the diffusion sheet 44, and both surfaces of the panel 30 and the diffusion sheet 44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panel 30 and the diffusion sheet 44 are provided. The light diffused through each of the diffusion sheets 44 and diffused through the panel 30 does not go straight through the panel 30 but is dispersed outward in the plate direction of the panel 30 so that light leaks through the panel 30. Play a role.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광테이프(미도시)는 4면이 닫힌 사각의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확산시트(44)의 열팽창 시 그에 맞게 차광테이프가 열팽창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확산시트(44)가 부분적으로 굴곡지면서 우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는 상호 접착되는 차광테이프(45)와 확산시트(44) 간의 열팽창률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간과함으로써 발생된 현상이며, 특히 이러한 현상은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슬림화(slim)에 따른 확산시트(44) 및 차광테이프(45)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더더욱 심화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ventional light-shielding tape (not shown) has a closed loop (closed loop) shape of the four sides closed, the light-shielding tape is not thermally expanded accordingly when the diffusion sheet 44 is thermally expanded. As a result, the diffusion sheet 44 partially bent and a crying phenomenon occurred. This is a phenomenon caused by overlooking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the light-shielding tape 45 and the diffusion sheet 44 which are bond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this phenomenon is the diffusion sheet 44 according to the slimming of the display module 20 And the thickness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is known to deepen even more.

따라서 차광테이프(45)의 재질적인 변경을 통해 즉, 열팽창률이 확산시트(44)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차광테이프(45)를 제작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이 적용될 경우에는 차광테이프(45)의 재질적인 변경에 따른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상 많은 로스(loss) 발생이 예상되므로 쉽게 적용하기는 곤란하다.Therefor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shielding tape 45 through the material change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that is,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diffusion sheet 44 may be considered. Not only does the cost increase due to the material change of the tape 45 but also a lot of loss (lo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expected to be difficult to apply easily.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이 간단하고도 단순한 방법을 적용하여 확산시트(44)의 열팽창에 기초한 차광테이프(45)의 열팽창률을 기구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확산시트(44)가 부분적으로 굴곡지면서 우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ffusion sheet 44 is partially partially applied by conventionally compensating the thermal expansion rate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based on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44 by applying a simple and simple method as follows. It is bending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ryin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광테이프(45)는 종래와는 달리, 확산시트(44)의 열팽창을 보상하기 위해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개방 루프(open loop) 형상을 갖는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ight shielding tape 45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open loop shape in which at least one side is open to compensate for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44, unlike the conventional art. .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차광테이프(45)에는 확산시트(44)의 열팽창을 기구적으로 보상하는 테이프 삭제구간(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 삭제구간(A)을 인해 본 실시예의 차광테이프(45)는 마치 'ㄷ'자 형상의 테이프가 마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있는 형태를 가진다.In other words, the light-shielding tape 45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tape erasing section A for mechanically compensating for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44. Due to the tape erasing section A, the light shielding tape 45 of this embodiment has a form in which a '-' shaped tape faces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보통 광학적인 특성을 부여하는 확산시트(44)의 열팽창률이 차광테이프(45)의 열팽창률보다 높기 때문에, 만약 확산시트(44)가 열팽창하기 위해 변형될 때 차광테이프(45)가 확산시트(44)의 열팽창을 보상하지 못하고 확산시트(44)가 열팽창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경우라면 결과적으로 확산시트(44)가 부분적으로 굴곡지면서 우는 현상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Since the thermal expansion rate of the diffusion sheet 44 which usually imparts optical properties is higher than that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when the diffusion sheet 44 is deformed to thermally expand, the light shielding tape 45 is deformed. If the expansion sheet 44 is not compensated for and the diffusion sheet 44 is not limited to thermal expansion, the diffusion sheet 44 may be partially bent, resulting in a crying phenomenon.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차광테이프(45)에 확산시트(44)의 열팽창을 기구적으로 보상하는 테이프 삭제구간(A)을 마련하는 경우라면, 테이프 삭제구간(A) 영역에서 확산시트(44)의 열팽창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확산시트(44)에 우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tape erasing section A is provided on the light shielding tape 45 to mechanically compensate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44, the diffusion sheet (A) in the region of the tape erasing section A is provided. By freeing the thermal expansion of 4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ying phenomenon from occurring in the diffusion sheet 44.

이러한 테이프 삭제구간(A)은 차광테이프(45)의 장변에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도광판(41)의 측면 중앙 영역에 형성된 후크부(41a, 도 3 참조)와 대응되는 위치의 차광테이프(45)의 장변에 형성될 수 있다.The tape erasing section A may be formed at the long side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and in particular, the light shielding tape 4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ortion 41a (see FIG. 3) formed at the central reg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41. It may be formed on the long side of).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테이프 삭제구간(A)은 차광테이프(45)의 양측 장변에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확산시트(44)의 열팽창 시 장변으로의 열팽창이 단변으로의 열팽창보다 많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tape erasing section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pairs symmetrically on both long sides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This is for compensating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44 because the thermal expansion to the long side is more than the thermal expansion to the short side.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차광테이프(45)의 양측 단변에 테이프 삭제구간(A)을 형성해도 좋고, 혹은 장변과 단변 모두에 형성해도 무방하다.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hereto, the tape erasing section A may be formed on both short sides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or may be formed on both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뿐만 아니라 테이프 삭제구간(A)이 반드시 도광판(41)의 측면 중앙 영역에 형성된 후크부(41a, 도 3 참조)와 대응되는 위치의 차광테이프(45)의 장변에 형성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결국, 본 실시예의 차광테이프(45)는 그 형상에 무관하게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개방 루프(open loop) 형상이면 그것으로 충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tape erasing section A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on the long side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ortion 41a (see FIG. 3) formed at the side center region of the light guide plate 41. As a result, the light shielding tape 45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ufficient as long as it has an open loop shape in which at least one side is open regardless of its shap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ㄷ'자 형상의 2개의 테이프를 각기 패널(30)과 확산시트(44) 사이에 배치하여 패널(30)과 확산시트(44)를 상호간 접착시켜야 한다면 공정상 불편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wo tapes having a 'c' shape must be disposed between the panel 30 and the diffusion sheet 44 to bond the panel 30 and the diffusion sheet 44 to each other. This can be inconvenient in the process.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차광테이프(45)의 보호를 위해 차광테이프(45)의 양면에 마련된 보호필름(P/T)을 공정에서 제거할 때 차광테이프(45)에 테이프 삭제구간(A)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테이프 삭제구간(A)의 경계 영역에 절취선(A1)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rotective film P / T provided on both surfaces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is removed in the process to protect the light shielding tape 45, the tape erasing section A is formed on the light shielding tape 45. The perforation line A1 is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of the tape erasing section A so that it can be naturally formed.

이러한 절취선(A1)으로 인해, 예컨대 차광테이프(45)의 일면을 확산시트(44)에 접착시킨 후, 도 4와 같이 차광테이프(45)의 타면에 형성된 보호필름(P/T)을 제거하면 보호필름(P/T)의 제거 시 절취선(A1)이 뜯기면서 도 5와 같이 차광테이프(45)에 테이프 삭제구간(A)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cut line A1, for example, when one surface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is adhered to the diffusion sheet 44, the protective film P / 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is removed as shown in FIG. When the protective film P / T is removed, the cutting line A1 is torn off, and thus the tape deleting section A may be naturally formed on the light shielding tape 45 as shown in FIG. 5.

이러한 구성에 의해, LED가 발광하여 LED의 빛이 도광판(41)으로 입사된 후, 도광판(41)의 판면을 따라 진행하면, 반사 및 산란에 의해 빛의 일부는 도광판(41) 상부에 있는 확산시트(43,44)로 향하고, 나머지는 도광판(41)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시트(42)로 향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LED emits light and the light of the LED is incident on the light guide plate 41, and then proceeds along the plat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41, part of the light is diffus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ght guide plate 41 by reflection and scattering. The sheets 43 and 44 are directed to the sheets, and the others are directed to the reflective sheets 42 positioned below the light guide plate 41.

반사시트(42)로 향한 빛은 반사시트(42)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도광판(41)을 통해 확산시트(43,44)로 이동된다. 확산시트(43,44)로 확산된 빛은 확산시트(43,44)를 거치면서 균일하게 확산된 후, 패널(30)로 입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패널(30)에 형성된 화상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Light directed to the reflective sheet 42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sheet 42 and then moved back to the diffusion sheets 43 and 44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41. Light diffused through the diffusion sheets 43 and 44 is uniformly diffused through the diffusion sheets 43 and 44 and then incident to the panel 30. Accordingly, the user can see the image formed on the panel 30.

이 때, 패널(30)과 확산시트(44) 사이에는 차광테이프(45)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확산시트(44)를 통해 확산된 빛이 패널(30)을 통해 직진하지 못하고 패널(30)의 판면 방향 외측으로 분산되면서 패널(30)을 통해 빛이 새는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확산시트(44)가 열팽창 하더라도 차광테이프(45)에 확산시트(44)의 열팽창을 기구적으로 보상하는 테이프 삭제구간(A)을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삭제구간(A) 영역에서 확산시트(44)의 열팽창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확산시트(44)에 우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light shielding tape 45 is provided between the panel 30 and the diffusion sheet 44, the light diffused through the diffusion sheet 44 does not go straight through the panel 30 and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panel 30 is maintained. Light leakage through the panel 30 is prevented while being distributed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since the tape erasing section A is provided on the light shielding tape 45 to mechanically compensate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44 even when the diffusion sheet 44 thermally expands, the diffusion sheet ( By freeing the thermal expansion of 4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ying phenomenon from occurring in the diffusion sheet 44.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시트(43,44)의 열팽창에 기초한 차광테 이프(45)의 열팽창률을 기구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확산시트(43,44)가 부분적으로 굴곡지면서 우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iffusion sheets 43 and 44 partially bend as in the prior art by mechanically compensating the thermal expansion rate of the light shielding tape 45 based on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s 43 and 44. The cry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과 관련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을 하지 않거나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면 설명하도록 한다.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6,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not be described, or part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CD 패널(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화상이 형성되면서 표시되는 화상 표시영역(P1)과 화상 표시영역(P1)의 외곽에 형성되는 노이즈 영역(P2)으로 구분된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LCD panel 30 is divided into an image display area P1 that is displayed while an actual image is formed and a noise area P2 that is formed outside the image display area P1.

노이즈 영역(P2)은 다시 흑색 처리된 블랙 매트릭스 구간(B, back matrix)과 흑색 처리되지 않은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 transparent glass)으로 나뉜다.The noise region P2 is further divided into a black matrix section B (back matrix) that is black and a transparent glass section (T) that is not black.

블랙 매트릭스 구간(B)은 화상 표시영역(P1)에 표시되는 화상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다. 즉, 블랙 매트릭스 구간(B)을 흑색으로 처리하게 되면, 화상 표시영역(P1)을 통하는 빛만 이미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Contrast Ratio가 높은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창가 쪽에 TV를 놓고 대낮에 TV를 본다고 가정할 경우, 창에 두꺼운 블랙 커튼을 친다면 훨씬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인데, 이때의 블랙 커튼의 역할을 블랙 매트릭스 구간(B)이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The black matrix section B is provided to increase the sharpness of the image displayed in the image display area P1. That is, when the black matrix section B is processed to black, onl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image display area P1 forms an image, thereby obtaining a clear image having a high contrast ratio. If you put a TV on the side of the window and watch TV in the daytime, you can see a much clearer picture if you put a thick black curtain on the window, and the black matrix section (B) performs the role of black curtain at this time.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은 대면적 원기판으로부터 다수의 단위기판을 절단할 때에 원기판 대비 다수의 단위기판에 대한 생산 수율을 고려하여 그 사이즈가 결정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근자에 들어서는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이 점차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The size of the transparent glass section 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duction yield of the plurality of unit substrates compared to the original substrate when cutting the plurality of unit substrates from the large area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glass section T is gradual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본 실시예에서 차광테이프(45)는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 외의 부분으로 빛이 새지 못하도록 차광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차광테이프(45)는 상면의 일 영역이 패널(30) 및 서브 몰드프레임(60)의 하면에 접착되고, 하면의 일 영역은 메인 몰드프레임(50) 및 확산시트(44)의 상면에 접착되며, 그 위치에서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에 인접된 위치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light shielding tape 45 serves to block light from leaking to a portion other than the image display area P1 of the panel 30. To this end, on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tape 45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nel 30 and the sub mold frame 60, and on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tape 4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mold frame 50 and the diffusion sheet 44. It is bonded, and serve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light leakag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mage display area P1 of the panel 30 at that position.

메인 몰드프레임(50)의 하부에는 전술한 반사시트(42)가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는 홈부(50a)가 더 형성되어 있다. 홈부(50a)에는 반사시트(42)의 둘레면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데, 홈부(50a)에 반사시트(42)가 삽입되고 나면 반사시트(42)의 하면과 메인 몰드프레임(50)의 하면은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반사시트(42)는 접착제나 테이프(42a)에 의해 메인 몰드프레임(50)에 접착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main mold frame 50 is further formed with a groove 50a into which the aforementioned reflective sheet 42 is partially inserte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lective sheet 42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groove 50a. After the reflective sheet 4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50a, the lower surface of the reflective sheet 4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mold frame 50 are One surface can be formed. The reflective sheet 42 may be attached to the main mold frame 50 by an adhesive or a tape 42a.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 몰드프레임(50) 외에 서브 몰드프레임(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서브 몰드프레임(60)은 패널(30)의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의 크기에 기초하여 메인 몰드프레임(50)과 패널(3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해당 위치에서 패널(30) 측으로의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ub mold frame 60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the main mold frame 50. The sub mold frame 6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main mold frame 50 and the panel 30 based on the size of the transparent glass section T of the panel 30 and moves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ward the panel 30. It act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light leakage.

다시 말해,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메인 몰드프레임(50)의 크기가 일률적으로 규격화된 것이 전부였기 때문에,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의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30) 즉, 전체적인 사이즈(SIZE)나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에 한 종류의 메인 몰드프레임(50)을 적용하기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만약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의 크기가 좁은 경우라면 패널(30)과 메인 몰드프레임(50) 사이의 간격이 많 이 발생되어 빛샘 발생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in the prior art, since the size of the main mold frame 50 was uniformly standardized, the panel 30 having different sizes of the transparent glass section T, that is, the overall size SIZE, was use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apply one kind of main mold frame 50 to panels having different sizes. Therefore, if the size of the transparent glass section (T) is narrow, the gap between the panel 30 and the main mold frame 50 is generated a lot of light leakage has a disadvantage.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즈나 그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 모두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메인 몰드프레임(50)의 내측에 서브 몰드프레임(60)을 더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브 몰드프레임(60)을 마련하는 경우, 서브 몰드프레임(60)의 간단한 교체만으로도 사이즈나 그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 모두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ub mold frame 60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main mold frame 50 to be commonly applied to all panels having different sizes or sizes thereof, thereby preventing light leakage from occurring. It is. When the sub-molded frame 6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b-molded frame 60 can be commonly applied to all panels having different sizes or sizes even by simple replacement of the sub-molded frame 60.

이 때, 서브 몰드프레임(60)을 단순히 메인 몰드프레임(50)의 내측에 마련하는 경우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사이즈가 커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몰드프레임(50)의 측벽을 강제로 후퇴시켜 공간부(S)를 만들고, 이 공간부(S)에 서브 몰드프레임(60)을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저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메인 몰드프레임(50)의 원래의 측벽 두께는 도 6에서 공간부(S)만큼을 더한 두께인 셈이다.At this time, when the sub-molded frame 60 is simply provided inside the main mold frame 50, the overall size of the display module 20 may be increased, and thus, in this embodiment, the sidewall of the main mold frame 50 is forced. By retreating, the space S is made, and the sub mold frame 60 is disposed in the space S to prevent the size of the display module 20 from increasing. Therefore, the original sidewall thickness of the main mold frame 50 is substantially the thickness of the sum of the spaces S in FIG. 6.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광판(41)의 판면을 따라 진행하거나 혹은 도광판(41)의 날개부(41b)로부터의 빛은 부품들 간의 결합 영역을 경유하여 새 나갈 수 있지만, 빛샘의 경로 내에 차광테이프(45)와 서브 몰드프레임(6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에 인접된 위치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되어 선명한 화상 형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although the light travels along the plat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41 or the light from the wing portion 41b of the light guide plate 41 can leak out through the coupling region between the parts, the light shielding tape ( 45 and the sub-molded frame 60 are disposed, so that light leakage occur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mage display area P1 of the panel 30 as in the prior art, thereby preventing the image from being disturbed. .

물론, 본 실시예의 구조에서도 어느 정도의 빛샘 현상은 이루어질 수 있지만, 비록 빛샘 현상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에 인접된 위치가 아닌 영역, 즉 도 6의 점선으로 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패 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과는 거리가 먼 서브 몰드프레임(60)과 메인 몰드프레임(50) 사이의 영역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보다는 선명한 화상 형성을 구현하기에 충분한 것이다.Of course, some light leakage phenomenon can be achieved even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although light leakage occurs, the area other than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image display area P1 of the panel 30, i.e., FIG. The image is formed more clearly than in the prior art because it is formed in the area between the sub mold frame 60 and the main mold frame 50, which is far from the image display area P1 of the panel 30, as in the dotted arrow direction. Is enough to implement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폴더부의 내부에만 적용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 모듈을 폴더부의 외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을 하나 더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프레임지지부의 저판부를 개방시킨 후, 그 반대편에 보조 패널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양방향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도광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시트 대신 그 위치에 확산시트를 배치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isplay module is applied only to the inside of the folder portion, but the display module may be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folder portion. In this case, one more display module may be used, or the auxiliary panel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after opening the bottom plate of the frame suppor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se a light guide plate capable of emitting light in both directions, and instead of the reflective sheet, the diffusion sheet should be disposed at that position.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를 PCS폰 및 PDA 등의 전화기로 한정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나 캠코더, 계산기 등에도 그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erminal is limited to a telephone such as a PCS phone and a PDA, but the area can be extended to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 calculator, etc. to which a display module can be appli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된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to which a display modul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modul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광테이프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eeling a protective film from the light shielding tape shown in FIG. 3.

도 5는 도 4에서 보호필름이 박리된 차광테이프의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of a light shielding tape having a protective film peeled from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단말기 20 : 디스플레이 모듈10: terminal 20: display module

30 : 패널 40 : 백라이트 유닛30 panel 40 backlight unit

41 : 도광판 42 : 반사시트41: light guide plate 42: reflective sheet

43,44 : 확산시트 45 : 차광테이프43,44: Diffusion sheet 45: Light shielding tape

46 : LED장착FPCB 50 : 메인 몰드프레임46: LED mounting FPCB 50: main mold frame

60 : 서브 몰드프레임60: sub mold frame

Claims (11)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 및A panel on which an image is formed; And 상기 패널의 배후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포함하며,A back light unit disposed behind the panel to project light onto the panel;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The backlight unit, 도광판;Light guide plate;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 측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A reflection sheet disposed under the light guide plate to reflect light toward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향해 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시트; 및At least one diffusion sheet disposed on the light guide plate to diffuse light toward the panel; And 상기 패널과 상기 확산시트 사이에서 접착되어 상기 패널을 통해 빛이 새는 것을 방지시키되 상기 확산시트의 열팽창을 보상하기 위해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개방 루프(open loop) 형상을 갖는 차광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And a light shielding tape bonded between the panel and the diffusion sheet to prevent light leaking through the panel, but having an open loop shape having at least one open loop to compensate for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Display modu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광테이프에는 상기 확산시트의 열팽창을 기구적으로 보상하는 테이프 삭제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And the tape erasing section is formed on the light blocking tape to mechanically compensate for thermal expansion of the diffusion shee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테이프 삭제구간은 상기 차광테이프의 장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And the tape erasing section is formed at a long side of the light shielding tap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테이프 삭제구간은 상기 차광테이프의 양측 장변에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The tape erasing section is a displa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air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light-shielding tap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테이프 삭제구간은 상기 도광판의 측면 중앙 영역에 형성된 후크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차광테이프의 장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And the tape erasing section is formed at a long side of the light shielding tap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hook portion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차광테이프의 양면에 마련된 보호필름의 제거 시 상기 테이프 삭제구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프 삭제구간의 경계 영역에는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And a perforation line is formed at a boundary area of the tape erasing section so that the tape erasing section is formed when the protective film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shielding tape are remov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널은,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표시영역과, 상기 화상 표시영역의 외곽 에 형성되되 흑색 처리된 블랙 매트릭스 구간(back matrix)과 흑색 처리되지 않은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ransparent glass)으로 구분된 노이즈 영역을 구비하며,The panel includes an image display area in which an image is formed, and noise divided into a black matrix back matrix and an untransparent transparent glass section, which are formed outside of the image display area and are black. Has an area, 상기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메인 몰드프레임; 및A main mold frame supporting the panel and the backlight unit; And 상기 패널의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과 상기 패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해당 위치에서 상기 패널 측으로의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는 서브 몰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And a sub-molded fram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main mold frame and the panel based on the size of the transparent glass section of the panel and preventing light leakage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the panel. modul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차광테이프는 상기 패널의 화상 표시영역에 인접된 위치에서의 빛샘 발생을 저지시킬 수 있도록, 양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패널, 상기 확산시트,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 및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The light-shielding tape partially adheres to the panel, the diffusion sheet, the main mold frame, and the sub mold frame so that at least one area on both sides of the light blocking tape prevents light leakage from occurring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mage display area of the panel. Displa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차광테이프는, 상면의 일 영역이 상기 패널 및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의 하면에 접착되고, 하면의 일 영역은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 및 상기 확산시트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The light blocking tape of claim 1, wherein an area of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tape is bonded to a lower surface of the panel and the sub mold frame, and an area of a lower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tape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mold frame and the diffusion shee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은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의 측벽을 강제로 후퇴시켜 형성된 공간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And the sub mold frame is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forcibly retracting a side wall of the main mold frame. 제1항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A terminal having the display module of claim 1.
KR1020080042831A 2008-05-08 2008-05-08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859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831A KR100859121B1 (en) 2008-05-08 2008-05-08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831A KR100859121B1 (en) 2008-05-08 2008-05-08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121B1 true KR100859121B1 (en) 2008-09-18

Family

ID=4002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831A KR100859121B1 (en) 2008-05-08 2008-05-08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1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760B1 (en) 2011-12-21 2018-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ulding backlight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997A (en) * 2000-11-25 2002-05-31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Panel mounting unit structure of cell test apparatus
KR20020056704A (en) * 2000-12-29 2002-07-10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Liquid crystal display
KR20070022433A (en) * 2005-08-22 2007-02-27 (주)네오디스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997A (en) * 2000-11-25 2002-05-31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Panel mounting unit structure of cell test apparatus
KR20020056704A (en) * 2000-12-29 2002-07-10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Liquid crystal display
KR20070022433A (en) * 2005-08-22 2007-02-27 (주)네오디스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760B1 (en) 2011-12-21 2018-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ulding backlight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9823A (en)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704741B1 (en) Illumination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JP4575486B2 (en) Display device
JP2008111984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8005891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127868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272327B1 (en) Display device for magnifying display area
JP2007148048A (e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apparatus
KR10094033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20070052082A (en)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10183494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device
WO2019149082A1 (en) Backlight module,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10115735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53669B1 (en)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US20070115268A1 (en) Display with window assembly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KR20100025407A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20100127446A (en)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859121B1 (en)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JP2009069335A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8019668B (en) Backlight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0915007B1 (en)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703616B1 (en)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 frame of display module
KR10102987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768036B1 (en) Bending apparatu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KR100995057B1 (en) 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