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824B1 -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824B1
KR100857824B1 KR1020070054952A KR20070054952A KR100857824B1 KR 100857824 B1 KR100857824 B1 KR 100857824B1 KR 1020070054952 A KR1020070054952 A KR 1020070054952A KR 20070054952 A KR20070054952 A KR 20070054952A KR 100857824 B1 KR100857824 B1 KR 100857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ra
mobile platform
state
mobile
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우
김영찬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을 단말기의 부트업(Boot-Up) 시간에 미리 수행하여, 그로 인해 얻어진 리소스가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있는 동안 계속 유지될 수 있게 한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RRA) 실행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은, 단말기 부팅 시 제조사 플랫폼이 램 상주 모드로 모바일 플랫폼을 구동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RRA)을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는 제2단계와; 해당 RRA가 초기 작업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프로세스 수행에 필요한 리소스를 램 영역에 미리 상주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램 상주 모드로 실행된 RRA의 실제 실행이 요구된 경우, 상기 제조사 플랫폼이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UI(유저 인터페이스) 구동을 요청하는 제4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를 실행시켜, 해당 RRA가 정상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5단계; 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제 실행시 작업 수행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Description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Execution of Mobile Platform Based Ram Residence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에 의한 RRA 상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의 각 상태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을 단말기의 부트업(Boot-Up) 시간에 미리 수행하고, 그로 인해 얻어진 리소스가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있는 동안 계속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 션의 실제 실행 시 빠른 작업 수행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 단말기의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는 기능을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기능의 수행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자칫 어플리케이션 전체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비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를 빈번히 액세스하는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이나, 대용량의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이 길어 어플리케이션 전체의 성능을 떨어뜨린다.
특히, 이와 같이 단말기의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그 작업 수행 속도의 저하는 사용자의 체감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의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는 기능을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작업 수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을 단말기의 부트업(Boot-Up) 시간에 미리 수행하고, 그로 인해 얻어진 리소스가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있는 동안 계속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 의 실제 실행 시 빠른 작업 수행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램 상주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상태를 다양하게 관리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실행시키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어플리케이션의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실제 실행되기 전에 미리 리소스를 점유하도록 하기 위해, 단말기 부팅 시 제조사 플랫폼이 램 상주 모드로 모바일 플랫폼을 구동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 램 상주 모드에서 동작하는 RRA(Ram Residence Application;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켜 해당 RRA가 초기 작업을 수행하여 리소스를 점유하도록 하고, 초기 작업 수행이 완료되면 해당 RRA를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램 상주 모드로 실행되기 전의 상기 RRA를 RRA None 상태로 관리하는 제2-1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고 해당 RRA를 RRA Transient 상태로 관리하는 제2-2단계; 해당 RRA가 초기 작업을 수행하여 리소스를 점유하는 제2-3단계; 및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RRA를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는 제2-4단계;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RA는 초기 작업 수행 시 LCD 업데이트는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RRA Ready 상태의 RRA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은 상기 제2단계 이후, RRA의 실제 실행이 요구되면, 상기 제조사 플랫폼이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UI(유저 인터페이스) 구동을 요청하는 제3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를 실행시켜, 상기 RRA Ready 상태의 RRA를 RRA FG(Foreground) 상태로 관리하는 제4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4단계 이후, 제조사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RRA FG 상태의 RRA 종료가 요청되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 실행을 종료시켜 해당 RRA를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는 제5단계는, 종료키 이벤트 발생 시, 제조사 플랫폼이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FG 상태의 RRA 종료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 실행을 종료시키는 단계와; 해당 RRA가 리소스 점유 상태를 유지하면서 RRA UI 실행만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를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4단계 이후, RRA FG 상태의 RRA 완전 종료가 요구되 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의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켜 상기 RRA를 RRA None 상태로 관리하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None 상태로 관리하는 제5단계는, 상기 RRA FG 상태의 RRA가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완전 종료를 요구하는 제5-1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RRA UI 실행을 종료시키는 제5-2단계와; 해당 RRA가 RRA UI 실행을 종료하는 제5-3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의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키는 제5-4단계와; 해당 RRA가 리소스 점유 상태를 해제하는 제5-5단계와; 해당 RRA를 RRA None 상태로 관리하는 제5-6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RRA 완전 종료를 요구하는 제5-1단계는, 램 영역에 올려진 리소스에 오류가 발생하여 복구가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4단계 이후, 제조사 플랫폼으로부터 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상태를 RRA BG(Background) 상태로 천이시키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BG(Background) 상태로 천이시키는 제5단계 이후, 제조사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RRA BG 상태의 RRA 종료가 요청될 경우,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 실행을 종료시켜 해당 RRA를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RA BG 상태의 RRA 완전 종료가 요구되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의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켜 상기 RRA를 RRA None 상태로 관리하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6단계는, 상기 RRA BG 상태의 RRA가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완전 종료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RRA UI 실행을 종료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의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대기화면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제2단계 이후, 제조사 플랫폼이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상기 대기화면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된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3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제4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기화면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RRA인 경우,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RRA Ready 상태에 있는 해당 RRA의 UI를 실행시키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단계 이후, 모바일 플랫폼 상에 RRA Ready 상태의 RRA만 존재하면,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제조사 플랫폼으로 모바일 플랫폼의 상태 천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사 플랫폼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의 상태를 BG(Background)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실제 실행되기 전에 미리 리소스를 점유하도록 하기 위해, 단말기 부팅 시 제조사 플랫폼이 램 상주 모드로 모바일 플랫폼을 구동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 램 상주 모드에서 동작하는 RRA(Ram Residence Application)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는 제2단계와; 해당 RRA가 초기 작업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프로세스 수행에 필요한 리소스를 램 영역에 미리 상주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램 상주 모드로 실행된 RRA의 실제 실행이 요구된 경우, 상기 제조사 플랫폼이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UI(유저 인터페이스) 구동을 요청하는 제4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를 실행시켜, 해당 RRA가 정상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리소스를 상주시키는 제3단계에서, 상기 RRA는 LCD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램 상주 모드로 실행된 RRA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모바일 플랫폼은 해당 RRA로 이벤트를 전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는 제2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각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헤더 정보를 읽어, RRA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이에 따라 해당 RRA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RRA가 복수개인 경우, RRA의 설치 순서에 근거하여 각 RRA를 순차적으로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RA가 정상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5단계 이후, 종료키 이벤트 발생 시 제조사 플랫폼이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FG 상태의 RRA 종료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 실행을 종료시키는 단계와; 해당 RRA가 리소스 점유 상태를 유지하면서 RRA UI 실행만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RRA가 정상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5단계 이후, 상기 RRA가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완전 종료를 요구하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RRA UI의 실행을 종료시킨 후, RRA의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키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RA의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키는 제6단계 이후, 상기 리소스 점유가 해제된 RRA의 실행이 요구된 경우,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RRA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는 단계와; 해당 RRA가 초기 작업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프로세스 수행에 필요한 리소스를 램 영역에 상주시키는 단계와;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RRA UI를 실행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에 의한 RRA 상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RRA(Ram Residence Application)란 무선 인터넷 환경을 지원하는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 램 상주 모드로 동작하 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램 상주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실제 실행 전 단말기 부트 업 시간에 미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이하, 초기 작업이라 함)을 수행함으로써 리소스를 점유하여 램 영역에 상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RRA는 그 실행 상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A None, RRA Transient, RRA Ready, RRA FG(Foreground), RRA BG(Background)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관리된다.
RRA는 실행되기 전 즉, 실행중이 아닌 상태에서 RRA None 상태로 관리되며, 단말기 부트 업 시 램 상주 모드로 실행되어 초기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RRA Transient 상태로, 초기 작업이 완료되어 리소스를 점유하면 RRA Ready 상태로 관리된다.
RRA Transient 상태는 RRA가 시간이 걸리는 초기 작업을 수행중인 상태로서, RRA는 시간이 걸리는 초기 작업을 수행하되, LCD 업데이트는 수행하지 않으며, 알람의 설정 및 수신은 가능하나 그 외 이벤트는 불가능한 상태이다.
RRA Ready 상태는 초기 작업 수행을 완료한 상태로,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정상적인 프로세스로 실행된 것이 아니라, 단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빈번히 액세스하는 DB 데이터라던가,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얻어지는 디코딩 이미지 등의 리소스가 초기 작업을 통해 메모리(램 영역)에 로드된 상태를 말한다. RRA Ready 상태인 RRA에게 모바일 플랫폼은 이벤트를 전달하지 않는다.
RRA Ready 상태를 관리하는 이유는 RRA가 사용자에 의한 종료 키 이벤트 발생에 의해 종료될 수 있기 때문이며, 본 발명의 모바일 플랫폼은 램 상주 모드로 실행되어 있는 경우와, 해당 RRA가 실제 실행된 후 사용자에 의해 종료 키가 선택된 경우를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여 다음 구동시에 구동 시간을 단축시킨다.
한편, RRA Ready 상태에 있는 RRA는 실제 실행이 요청되면 UI를 실행하여 RRA FG(Foreground) 상태로 천이된다. RRA FG 상태에서 RRA는 모든 이벤트의 수신 및 설정이 가능하며, LCD 업데이트 및 키보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RRA FG 상태에 있는 RRA는 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에 의해 RRA BG(Background)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RRA BG 상태에서도 해당 RRA는 실제 실행중이며, 다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FG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 RRA BG 상태로 관리된다. 즉, RRA BG 상태에서도 RRA는 모든 이벤트의 수신 및 설정이 가능하며, LCD 업데이트 및 키보드 이벤트의 수신은 불가능하다.
한편, FG 상태 또는 BG 상태로 실행중인 RRA는 Ready 상태로 종료되거나, 완전 종료될 수 있다.
Ready 상태로의 종료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종료 키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램 영역에 올려진 리소스는 유지하면서 UI 실행만을 종료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한 램 영역에 올려진 리소스가 유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일반적인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RRA Ready 상태로 종료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RRA 구동 중 램 영역을 점유하고 있는 리소스에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여 복구가 불가능하게 된 경우 등에 불가피하게 리소스를 초기화하고 RRA를 종료해야 하는 경우, RRA가 모바일 플랫폼으로 완전 종료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완전 종료란, RRA 구동 중 획득한 모든 리소스를 해제하고, RRA를 완전히 메모리에서 언로드하는 종료를 의미하며, RRA가 모바일 플랫폼으로 완전 종료 즉, RRA 언로드를 요구하면 해당 RRA는 리소스 점유를 해제하여 완전 종료되며, 이와 같이 완전 종료된 RRA는 RRA None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RRA의 상태를 다양하게 관리하며, RRA의 상태에 따라 타이머나 네트워크 등 이벤트 수신 여부가 결정된다.
다음,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의 각 상태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함수들은 모바일 플랫폼 중 WIPI 플랫폼을 기준으로 한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본 발명의 서비스가 적용되는 단말기의 제조사 플랫폼(OEM)에서는 단말기 부트업(Boot-up)시 "OEMH_pltStartEx"를 실행시켜 모바일 플랫폼을 구동시키되 램 상주 모드로 구동시킨다(S10).
램 상주 모드로 모바일 플랫폼을 구동시키는 것은, 일반적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절차에 의해 모바일 플랫폼을 구동시키는 것과 다르므로, "OEMH_pltStartEx()"와 같이 기존 모바일 플랫폼 구동을 위한 함수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파라미터로 램 상주 모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달하여야 한다.
// 램 상주 모드로 플랫폼 구동
OEMH_pltStartEx(1,"WAM",NULL,1,"RRA")
이에 따라 모바일 플랫폼에서는 램 상주 모드로 RRA를 실행시킨다(S11). RRA가 구동되면 초기에 RRA Transient 상태로 설정되며, 다음과 같이 "startClet()"이 호출된다.
startClet(3,char **argv)
argv[0] : <APP ID>
argv[1] : "WAM"
argv[2]: "RAMRESIDENCE"
상기와 같은 파라미터가 전달되면 RRA는 시간이 걸리는 초기 작업을 수행하여 이후 FG 상태에서 사용될 DB 데이터를 액세스해 놓거나, 이미지 데이터 등을 미리 디코딩해 둔다(S12). 이 때, LCD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으며, 이후 RRA는 Ready 상태가 되고 실제 실행될 때까지 포커스(focus)를 받을 수 없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대기화면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단말기를 부트업할 경우, 제조사 플랫폼은 우선 램 상주 모드로 모바일 플랫폼을 구동시키고, 그 이후에 다음과 같이 "OEMH_pltExecuteApp()" 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M_Int32 ret;
// RRA 모드로 플랫폼 구동
ret = OEMH_pltStartEx(1, "WAM", NULL, 1, "RRA")
// Agent 실행
if (ret == M_E_INVALID) {
OEMH_pltStartEx(1, "WAM", NULL, 2, "AGENT", <state>);
} else {
OEMH_pltExecuteApp(1, "WAM", NULL, 2, "AGENT", <state>);
OEMH_pltProcessEvent();
}
즉, 대기화면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시, 단말기 부팅 후 바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우선 램 상주 모드로 모바일 플랫폼을 구동시키고, 그 이후에 모바일 플랫폼으로 대기화면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된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여,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만약, 대기화면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RRA인 경우 모바일 플랫폼은 RRA Ready 상태에 있는 해당 RRA의 UI를 실행시킨다.
또한, 모바일 플랫폼 상에 RRA Ready 상태의 RRA만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플랫폼은 상기 제조사 플랫폼으로 다음과 같이 "OEMH_sysEvent()"를 통해 모바일 플랫폼의 상태 천이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조사 플랫폼은 "MH_pltEvent()"을 통해 모바일 플랫폼의 상태를 BG(Background) 상태로 천이시킨다.
M_Int32 OEMH_sysEvent(MH_sysEvent cmd, void* param1, void* param2)
{
if (cmd == MH_PLAT_STATE_BACKG) {
MH_PltStateReason reason;
reason = MH_PLTSTATE_REASON_UNKNOWN;
MH_pltEvent(MH_BACKG_EVENT, (void*)&reason);
// OEMH_pltProcessEvent() 호출하면 안됨
} else if (c m d == MH_PLAT_STATE_FOREG) {
MH_pltEvent(MH_FOREG_EVENT, NULL);
// OEMH_pltProcessEvent() 호출하면 안됨
}
return 0;
}
한편, Ready 상태로 진입한 RRA의 실제 실행이 요구되면, 제조사 플랫폼은 "OEMH_pltExecuteApp()"을 이용해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UI 구동을 요청한다(S20).
이 때, 모바일 플랫폼은 해당 RRA를 실제 구동 상태(F/G)로 만들기 위해 일반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같이 "MC_knlExecute()"나 "OEMC_knlExecuteEx()" 함수로 해당 RRA를 구동시킨다(S21).
Ready 상태에서 구동이 되면, RRA의 "startClet()"이 호출되며, 이때에는 Transient 상태에서와 같이 "WAM", "RESIDENCE" 파라미터가 전달되지 않고, "MC_knlExecute()", "OEMC_knlExecuteEx()", "OEMH_pltExecuteApp()"에서 주어진 파라미터가 정상적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실제 실행된 RRA의 상태는 FG가 되며, "MC_knlExit()"나 "MC_knlKillProcess()"로 종료되기 전까지 일반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FG, BG 상태를 오고가며 구동 상태가 된다.
즉, 제조사 플랫폼이 모바일 플랫폼으로 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한 경우(S30), 모바일 플랫폼은 "OEMC_knlSetProgramState("BG")"를 이용하여 FG 상태의 RRA를 BG 상태로 천이시키며(S31), 이후 상기 타 어플리케이션의 종료가 요청되면(S40), 다시 "OEMC_knlSetProgramState("FG")"를 통해 BG 상태의 RRA가 FG 상태로 천이된다(S41).
한편, 사용자가 RRA 실제 실행 중 종료 키를 푸쉬한 경우, 제조사 플랫폼은 모바일 플랫폼으로 종료 키 이벤트 발생에 의한 RRA 종료를 요청하며(S50), 모바일 플랫폼은 RRA UI의 실행만을 종료시켜 RRA Ready 상태로 종료되도록 한다(S51).
Ready 상태로의 종료란, 전역 변수, 힙 등 RRA가 실행 중에 획득한 모든 리소스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태만 Ready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의미하며, 코드 영역도 유지된다. 즉, 이 상태로 종료하면 정상적으로 "destroyClet()"까지 불리지만, 그 이후에 RRA 상태가 None이 되는 것이 아니라, Ready 상태로 유지되며, 실행 중 획득한 모른 리소스가 유지된다.
FG, BG 상태로 구동 중인 RRA를 Ready 상태로 종료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MC_knlExit()" 또는 "OEMC_knlkillProcess()" 함수 호출만 하면 된다.
한편,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RRA는 경우에 따라 완전 종료되어 리소스 점유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즉, RRA UI 구동으로 RRA가 실제 실행된 상태에서(S60, S61), 램 영역에 올려진 리소스에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여 복구가 불가능하게 된 경우 불가피하게 리소스를 초기화하고 RRA를 종료해야 한다면, RRA는 모바일 플랫폼으로 완전 종료 즉, RRA 언로드를 요청할 수 있고(S70), 이에 따라 모바일 플랫폼이 RRA 리소스 점유 상태를 해제시키는 명령을 전달하면(S71), RRA는 구동 중에 획득한 모든 리소스를 해제하고, RRA를 완전히 메모리에서 언로드(Unload)하여(S72) RRA None 상태가 된다.
FG, BG 상태로 구동 중인 RRA를 완전 종료 상태로 종료시키기 위해 "OEMC_knlSetSystemOperation()" 함수로 "UNLOADONEXIT" 옵션을 TRUE로 설정하고, "MC_knlExit()"를 통해 종료할 수 있다.
즉, RRA는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언로드를 요구한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종료 함수를 이용하여 우선 RRA UI 구동을 중단하여 일시적으로 RRA Ready 상태가 되며, 언로드 요구에 대응하여 모바일 플랫폼이 RRA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키면 RRA None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을 순차적으로 다시 한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 부트 업 시(S110) 램 상주 모드로 RRA를 실행시키며(S120), 이에 따라 해당 RRA는 초기 작업을 수행하고 리소스를 점유한다(S130).
이후, 해당 RRA의 실제 실행이 요구되면(S140), 해당 RRA는 RRA UI를 실행시켜 정상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150). 실제 실행 상태에서 RRA는 FG 상태와 BG 상태를 가질 수 있다.
FG 상태 또는 BG 상태에 있는 RRA는 사용자의 종료키 입력 등에 의한 일반적인 종료가 요구되면(S160), RRA UI만을 종료하고 램 영역에 올려진 리소스는 유지시키며(S170), RRA의 완전 종료가 요구될 경우(S180), RRA UI를 종료함과 아울러 리소스 점유 상태를 해제한다(S180).
이와 같이 RRA의 완전 종료가 이루어지면, 이후 단말기가 재부팅될 때 다시 램 상주 모드로 RRA가 실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말기가 재부팅되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RRA의 실제 실행이 요구되면 RRA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킨 후 실제 실행 과정을 수행하고, 이후 일반적인 종료 요청시에는 Ready 상태로 종료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RRA None 상태(리소스 점유 해제 상태)에 있는 RRA의 실제 실행이 요구되는 경우, 모바일 플랫폼은 해당 RRA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켜 해당 RRA가 초기 작업을 통해 리소스를 램 영역에 올려놓도록 한 후 RRA UI를 실행시켜, 이후 해당 RRA가 램 상주 모드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RRA None 상태에 있는 RRA의 실제 실행 요구 시,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실행시키고, 동작 과정에서 점유된 리소스를 유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나, RRA의 경우 모든 경우에서 램 상주 모드로 1차 실행시키고, 2차적으로 UI를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와 같이 특정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RRA로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헤더에 RRA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위피 어플리케이션 바이너리를 생성하기 위한 바이너리 메이커를 이용하는 경우, “RAMRESIDENCE”와 같은 파라미터를 User Defined Attribute에 추가하면 된다.
이 경우, 모바일 플랫폼은 제조사 플랫폼에 의해 램 상주 모드로 구동되면, 각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헤더 정보를 읽어, RRA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해당 RRA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킨다. 만약, RRA가 복수개인 경우, RRA의 설치 순서 등의 특정 기준에 근거하여 각 RRA를 순차적으로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에 의하면, DB 데이터를 빈번히 액세스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대용량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등 단말기의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는 기능을 자주 사용하는 작업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단말기 부트업(Boot-Up) 시간에 미리 램 영역에 해당 리소스를 올려두기 때문에 실제 실행시 작업 수행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있는 동안 미리 얻어진 리소스가 계속 유지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가 요청된 경우에도 리소스 점유 상태를 유지시키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이 여러번 실행과 종료를 반복하더라도 짧은 시간 내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도 극대화되고 어플리케이션의 활용도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램 상주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상태를 None, Transient, Ready, FG, BG 등으로 다양하게 관리하기 때문에 RRA의 효율적인 실행 및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7)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실제 실행되기 전에 미리 리소스를 점유하도록 하기 위해, 단말기 부팅 시 제조사 플랫폼이 램 상주 모드로 모바일 플랫폼을 구동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 램 상주 모드에서 동작하는 RRA(Ram Residence Application;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켜 해당 RRA가 초기 작업을 수행하여 리소스를 점유하도록 하고, 초기 작업 수행이 완료되면 해당 RRA를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램 상주 모드로 실행되기 전의 RRA를 RRA None 상태로 관리하는 제2-1단계;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RRA None 상태의 상기 RRA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고 해당 RRA를 RRA Transient 상태로 관리하는 제2-2단계;
    RRA Transient 상태의 해당 RRA가 초기 작업을 수행하여 리소스를 점유하는 제2-3단계;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RRA Transient 상태에 있는 해당 RRA를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는 제2-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3단계에서,
    RRA Transient 상태에 있는 상기 RRA는 초기 작업으로서 실제 실행 시 사용될 DB 데이터의 액세스 또는 데이터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3단계에서,
    RRA Transient 상태에 있는 상기 RRA는 초기 작업 수행 시 LCD 업데이트는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RA Ready 상태는,
    해당 RRA가 이벤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RRA Ready 상태에 있는 상기 RRA의 실제 실행이 요구된 경우, 상기 제조사 플랫폼이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UI(유저 인터페이스) 구동을 요청하는 제3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를 실행시켜, 상기 RRA Ready 상태의 RRA를 RRA FG(Foreground) 상태로 관리하는 제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제조사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RRA FG 상태의 RRA 종료가 요청되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 실행을 종료시켜 RRA FG(Foreground) 상태에 있는 해당 RRA를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종료키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조사 플랫폼이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FG 상태의 RRA 종료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 실행을 종료시키는 단계와;
    해당 RRA가 리소스 점유 상태를 유지하면서 RRA UI 실행만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RRA FG(Foreground) 상태에 있는 상기 RRA를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RRA FG 상태의 RRA 완전 종료가 요구되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의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켜 RRA FG(Foreground) 상태에 있는 상기 RRA를 RRA None 상태로 관리하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RRA FG 상태의 RRA가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완전 종료를 요구하는 제5-1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RRA UI 실행을 종료시키는 제5-2단계와;
    RRA FG(Foreground) 상태에 있는 해당 RRA가 RRA UI 실행을 종료하는 제5-3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RRA FG(Foreground) 상태에 있는 상기 RRA의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키는 제5-4단계와;
    해당 RRA가 리소스 점유 상태를 해제하는 제5-5단계와;
    RRA FG(Foreground) 상태에 있는 해당 RRA를 RRA None 상태로 관리하는 제5-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1단계에서,
    RRA FG(Foreground) 상태에 있는 상기 RRA는 램 영역에 올려진 리소스에 오류가 발생하여 복구가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완전 종료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제조사 플랫폼으로부터 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RRA FG(Foreground) 상태에 있는 상기 RRA를 RRA BG(Background) 상태로 천이시키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제조사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RRA BG 상태의 RRA 종료가 요청되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 실행을 종료시켜 해당 RRA를 RRA Ready 상태로 관리하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RRA BG 상태의 RRA 완전 종료가 요구되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의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켜 RRA BG(Background) 상태에 있는 상기 RRA를 RRA None 상태로 관리하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RRA BG 상태의 RRA가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완전 종료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RRA UI 실행을 종료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RRA BG(Background) 상태에 있는 상기 RRA의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제조사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타 어플리케이션의 종료가 요청되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RRA BG(Background) 상태에 있는 상기 RRA를 RRA FG(Foreground) 상태로 천이시키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대기화면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제조사 플랫폼이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상기 대기화면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된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3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제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RRA인 경우,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RRA Ready 상태에 있는 해당 RRA의 UI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1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모바일 플랫폼 상에 RRA Ready 상태의 RRA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제조사 플랫폼으로 모바일 플랫폼의 상태 천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사 플랫폼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의 상태를 BG(Background)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2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실제 실행되기 전에 미리 리소스를 점유하도록 하기 위해, 단말기 부팅 시 제조사 플랫폼이 램 상주 모드로 모바일 플랫폼을 구동시키 는 제1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 램 상주 모드에서 동작하는 RRA(Ram Residence Application)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는 제2단계와;
    해당 RRA가 초기 작업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프로세스 수행에 필요한 리소스를 램 영역에 미리 상주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램 상주 모드로 실행된 RRA의 실제 실행이 요구된 경우, 상기 제조사 플랫폼이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UI(유저 인터페이스) 구동을 요청하는 제4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를 실행시켜, 해당 RRA가 정상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RRA는 LCD 업데이트는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 제4단계 이전에,
    상기 램 상주 모드로 실행된 RRA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해당 RRA로 이벤트를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각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헤더 정보를 읽어, RRA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해당 RRA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RRA가 복수개인 경우, RRA의 설치 순서에 근거하여 각 RRA를 순차적으로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이후,
    종료키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조사 플랫폼이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FG 상태의 RRA 종료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RRA UI 실행을 종료시키는 단계와;
    해당 RRA가 리소스 점유 상태를 유지하면서 RRA UI 실행만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26.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RRA가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 RRA 완전 종료를 요구하면, 상기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RRA UI의 실행을 종료시킨 후, RRA의 리소스 점유를 해제시키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 이후,
    상기 리소스 점유가 해제된 RRA의 실행이 요구된 경우,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RRA를 램 상주 모드로 실행시키는 단계와;
    해당 RRA가 초기 작업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프로세스 수행에 필요한 리소스를 램 영역에 상주시키는 단계와;
    모바일 플랫폼이 해당 RRA UI를 실행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 방법.
KR1020070054952A 2007-06-05 2007-06-05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방법 KR100857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52A KR100857824B1 (ko) 2007-06-05 2007-06-05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52A KR100857824B1 (ko) 2007-06-05 2007-06-05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824B1 true KR100857824B1 (ko) 2008-09-10

Family

ID=4002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952A KR100857824B1 (ko) 2007-06-05 2007-06-05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8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349B1 (ko) * 2009-11-19 2011-10-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웹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및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WO2014146457A1 (en) * 2013-03-18 2014-09-25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window task
US9588782B2 (en) 2013-03-18 2017-03-0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window task
KR20200114233A (ko) 2019-03-28 2020-10-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이용 패턴을 신경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다음 어플리케이션을 예측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655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의 프로그램 실행 방법
KR20070040015A (ko) * 2005-10-11 2007-04-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부팅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655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의 프로그램 실행 방법
KR20070040015A (ko) * 2005-10-11 2007-04-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부팅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349B1 (ko) * 2009-11-19 2011-10-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웹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및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WO2014146457A1 (en) * 2013-03-18 2014-09-25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window task
US9588782B2 (en) 2013-03-18 2017-03-0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window task
KR20200114233A (ko) 2019-03-28 2020-10-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이용 패턴을 신경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다음 어플리케이션을 예측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42744B (zh) 检测终端开机异常问题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JP4740238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を再起動するときに、アプリケーション状態の履歴情報を使用する方法、ソフトウェア、および装置
US8448187B2 (en) Conflict resolution apparatus
US10514930B2 (en) Setting a startup parameter and controlling startup of a mainboard
US9304788B2 (en) Electronic device, configurable component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age method thereof
WO2010001555A1 (ja) 実行順序決定装置、実行順序決定プログラム、実行順序決定回路及び情報処理装置
EP27010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pplication program
US20120278796A1 (en) Automatically installing device drivers
RU2211482C2 (ru)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программных оболочек
JP2011103093A (ja) 高速で起動するコンピュータ
KR100857824B1 (ko)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방법
CN113282351A (zh) 一种交换机启动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00108578A (ko) 컴퓨팅 장치 셧다운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N113268275B (zh) 一种基于微内核的硬件设备驱动系统及其驱动方法
CN113626095A (zh) 配置中心的切换方法、切换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722888B (zh) 一种操作执行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TWI476693B (zh) 在電子裝置之多個作業系統間進行資訊交換之方法
KR101118111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
JPWO2011158367A1 (ja) 実行中のプログラムの更新技術
JP2005092708A (ja) 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及び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673930B (zh) 虚拟机迁移方法、虚拟化设备、存储介质及装置
US7562209B2 (en) Supporting different instruction set architectures during run time
KR101420026B1 (ko) 부팅 프로세스 중에 파일들을 로딩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N117950738B (zh) 显卡的自动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3961301B2 (ja) デジタル機器、タスク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