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585B1 -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585B1
KR100857585B1 KR1020060119287A KR20060119287A KR100857585B1 KR 100857585 B1 KR100857585 B1 KR 100857585B1 KR 1020060119287 A KR1020060119287 A KR 1020060119287A KR 20060119287 A KR20060119287 A KR 20060119287A KR 100857585 B1 KR100857585 B1 KR 100857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representative
media
con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8829A (ko
Inventor
성동수
이건배
이현우
현동환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19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585B1/ko
Publication of KR20080048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의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기들을 단말 그룹별로 묶고 단말 그룹별 대표 단말을 채택하여 이를 통해 그룹간 미디어를 전송함으로써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수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되는 전체 네트워크 대역폭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교환되는 미디어정보 중 영상, 음성, 데이터별로 각각 대표되는 대표 단말을 선별 채택하여 보다 세밀하게 미어어정보가 교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대표 단말에 지나치게 과중되는 시스템 부하를 방지하여 비교적 큰 미디어 교환에도 원활히 전체 시스템이 수행될 수 있는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기 간에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말기 간에 미디어 교환을 위해 호제어를 수행하는 회의 서버가 구비되며, 상기 회의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기 중 일정 갯수가 나누어져 단말 그룹들을 형성하되 각 단말 그룹 내의 단말기 간에는 각각 일대일로 연결되어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고, 각 단말 그룹에는 단말 그룹 간에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표 단말이 구비되어 대표 단말 각각 일대일로 연결되어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단말 그룹이 이루어지는 단말기 갯수 및 단말 그룹의 갯수는 단말기의 능력 및 단말기 간의 지역 유사도를 통해 결정된다.
단말기, 다자간 회의, 분산식 회의, 대표 단말, 회의 서버

Description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MULTIPATH DIVERSIFIED CONFERENCING SYSTEM HAVING MULTIPLE REPRESENTATIVE TERMINAL}
도 1은 종래 집중식 회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멀티캐스트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다수의 단말을 가지는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영상대표 단말을 통한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음성대표 단말을 통한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대표 단말을 통한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10a : 대표 단말
10aa : 영상대표 단말 10ab : 음성대표 단말
10ac : 데이터대표 단말 20 : 회의 서버
30 : 단말 그룹
본 발명은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의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기들을 단말 그룹별로 묶고 단말 그룹별 대표 단말을 채택하여 이를 통해 그룹간 미디어를 전송함으로써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수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되는 전체 네트워크 대역폭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교환되는 미디어정보 중 영상, 음성, 데이터별로 각각 대표되는 대표 단말을 선별 채택하여 보다 세밀하게 미어어정보가 교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대표 단말에 지나치게 과중되는 시스템 부하를 방지하여 비교적 큰 미디어 교환에도 원활히 전체 시스템이 수행될 수 있는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 시스템은 크게 중앙 집중식과 분산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기존의 회의 시스템은 주로 중앙 집중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집중식 회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종래 멀티캐스트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다수의 단말을 가지는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집중식 회의는 회의 제어를 위한 호설정 신호가 회의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회의 중에 사용되는 각종 미디어의 교환 역시 회의 서버를 통하여 믹싱되어 다른 회의 참가자들에게 전달된다.
이 방식의 장점은 회의 서버가 회의 설정과 관리의 주요한 역할을 감당하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고 회의 참가자 시스템의 부하가 적다는 점이다. 반면 회의 서버로 모든 기능이 집중되므로 회의 서버의 부하가 크다는 점이 단점이다. 또한 회의 서버가 미디어의 믹싱 기능을 담당하는데 참가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그 부하가 커져서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버의 용량에 따라 회의 참가자수가 제한된다.
이에 반해 분산식 회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의 참가자들의 호제어는 중앙 집중식과 마찬가지로 회의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회의 참가자들의 미디어의 교환은 회의 서버를 통하지 않고 회의 참가자 간에 직접 교환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회의 서버는 회의 참가자들이 회의에 합류할 때 다른 회의 참가자들에 대한 미디어 연결 정보를 제공하여 회의 참가자들이 다른 참가자들과 미디어 교환 연결을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회의 서버의 부하는 믹싱의 기능이 제외되므로 상당히 가벼워진다. 반면 회의 참가자들은 자신의 시스템에서 직접 미디어 교환을 하여야 하므로 앞선 중앙 집중식에 비하여 시스템에 부하가 커진다.
전술한 집중식 회의 방식은 서버의 작업량 증가로 인한 데이터의 손실과 네 트워크의 부하로 인한 데이터의 지연 전송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실시간 데이터의 QoS에 영향을 주게 되어 멀티미디어 성능이 저하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호제어는 중앙 집중식을 유지하더라도 실시간 전송이 필요한 미디어(오디오와 비디오)의 교환 방식은 분산식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분산 회의에서 참가자 수에 따른 미디어 교환을 위한 연결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참가자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미디어 교환을 위한 대역폭은 더욱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회의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네트워크 전체의 대역폭도 매우 높게 되며, 개별 참가자 시스템의 입장에서도 미디어 교환을 위한 부하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어 송수신에 멀티캐스트(multicast)를 이용하는 멀티캐스트 분산식 회의가 제안되었다.
멀티캐스트를 갖는 분산식 회의는 미디어의 교환을 위하여 멀티캐스팅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다. 멀티-유니캐스트(multi-unicast)의 특성을 갖는 기존 분산식 회의의 단점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회의 참여자가 늘어나면 유니캐스트(unicast)의 연결 수가 너무 많아져서 네트워크 트래픽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트래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디어 정보를 멀티캐스팅 방법으로 상호 교환하도록 한다.
멀티캐스트 분산식 회의에서 호제어는 중앙 집중식으로 회의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미디어의 교환은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회의 참가자 간에 직접 교환이 이루어지므로 분산식의 단점이 트래픽 문제를 해결하지만 회의 참가자는 멀티캐스 트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멀티캐스트 분산식 회의는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야 한다는 제한 사항이 있어 채택하기 어려움에 따라 일반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채택하여야 하나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미디어를 위한 연결수(멀티유니캐스트를 위한 연결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도 4에서 도시된 예와 같은 경우 회의에 참가하고 있는 시스템은 각각 다른 8개의 시스템과 일대일 연결을 통하여 미디어를 교환하게 되어 각각의 시스템에 있어 미디어 교환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과도하게 발생시킴에 따라 과중한 부하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의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기들을 단말 그룹별로 묶고 단말 그룹별 대표 단말을 채택하여 이를 통해 그룹간 미디어를 전송함으로써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수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되는 전체 네트워크 대역폭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교환되는 미디어정보 중 영상, 음성, 데이터별로 각각 대표되는 대표 단말을 선별 채택하여 보다 세밀하게 미어어정보가 교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대표 단말에 지나치게 과중되는 시스템 부하를 방지하여 비교적 큰 미디어 교환에도 원활히 전체 시스템이 수행될 수 있는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기 간에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말기 간에 미디어 교환을 위해 호제어를 수행하는 회의 서버가 구비되며, 상기 회의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기 중 일정 갯수가 나누어져 단말 그룹들을 형성하되 각 단말 그룹 내의 단말기 간에는 각각 일대일로 연결되어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고, 각 단말 그룹에는 단말 그룹 간에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표 단말이 구비되어 대표 단말 각각 일대일로 연결되어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단말 그룹이 이루어지는 단말기 갯수 및 단말 그룹의 갯수는 단말기의 능력 및 단말기 간의 지역 유사도를 통해 결정된다.
아울러 상기 각 단말 그룹에는 다수의 대표 단말을 채택하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교환되는 미디어 정보 중 영상정보,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정보별로 영상대표 단말, 음성대표 단말 또는 데이터대표 단말을 선별하여 각 단말 그룹간에 영상정보는 영상대표 단말을 통하여, 음성정보는 음성대표 단말을 통하여, 데이터정보는 데이터대표 단말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식 회의시템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산식 회의시스템은 회의에 참가하여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단말기(10)와, 상기 다수의 단말기 간에 미디어 교 환이 이루어지도록 호제어를 수행하는 회의 서버(20)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단말기(10)는 종래 다수의 단말기(10)간에 분산식 회의 방식으로 이루어져 각각 일대일 연결에 의해 미디어 교환이 수행되지 않고, 다수의 단말기(10) 중 일정 단말기들을 집단별로 묶어 여러 개의 단말 그룹(30)을 마련하고, 단말 그룹(30) 내에서는 종래 분산식 회의 방식과 같이 단말기 각각을 일대일 연결하여 미디어 교환이 수행되도록 구성하고 단말 그룹(30)간 미디어 교환은 단말 그룹(30)별로 하나의 대표 단말(10a)을 선정하여 이 대표 단말(10a) 간에 수행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단말기(10)는 다자간 회의에 참여하여 타 단말기(10)들과 미디어 교환을 수행하는데, 상기 단말기(10)에는 타 단말기(10)와 미디어 교환을 위한 제반 장치들이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회의 서버(20)는 다자간 회의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각 단말기(10) 간의 호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호제어라 함은 특정 단말기(10)로부터 회의 참여를 위한 세션(Session) 요청을 전송받아 설정에 따라 인증절차를 거쳐 인증에 성공하면 세션 요청 단말기(10)와 회의 서버(20)간에 양방향 세션을 설정하고, 세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타 단말기(10)들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타 단말기(10)들에 회의참가를 요청하여 타 단말기(10)들과 양방향 세션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물론 이러한 일련의 프로세서 중에는 각 단말기(10)의 단말능력 정보인 미디어 교환 중개 가능여부, 모든 나머지 단말기까지의 홉 수 합계 또는 모든 나머지 단말기까지의 전달시간 합계, 메모리 용량 및 CPU 성능정보 등을 전송받는 과정 또한 포함된다.
상기 미디어 교환 중개 가능여부는 회의에 참가한 단말들이 기본적으로 미디어 교환을 중개할 수 있는 컴퓨팅 능력과 네트워크 전달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로, 미디어 교환 중개를 수행하는 대표 단말(10a)을 결정하는데 이용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펜티엄급 개인용 컴퓨터 수준의 컴퓨팅 능력과 10Mbps이상의 네트워크 접속능력을 가질 경우, 미디어 교환 중개가 가능한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 그룹(30)은 다수의 단말기(10) 중 일정 단위(일반적으로 같은 지역의 사용자)로 회의 참가자들을 집단으로 묶게 되는데, 이는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수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되는 전체 네트워크 대역폭을 크게 줄이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 그룹(30)의 갯수 및 각 단말 그룹(30) 내 사용자의 수는 집단화를 위하여 단말기(10)의 단말능력 정보 및 사용자그룹의 지역 유사도를 고려한다.
만일 3개의 일대일 연결이 회의시스템 성능에 최적이라면 어느 특정 단말기(10)를 중심으로 다른 두 개의 단말기(10)를 채택하여 한 그룹으로 집단화한다.
집단에 소속된 단말 그룹(30) 내 단말기(10) 각각은 구성된 집단 내에서만 일대일 연결을 갖는 분산 방식을 취한다. 집단 밖으로의 연결은 각 단말 그룹(30) 내에 대표 단말(10a)을 선정하여 대표 단말(10a)들 간에 이루어진다.
즉 어느 하나의 단말 그룹(30)에서 대표 단말(10a)은 다른 단말 그룹(30)의 대표 단말(10a)들과 일대일 연결을 갖는다.
이때 단말 그룹(30)의 크기는 가변적으로 하나 집단의 크기가 너무 작아 집단의 수가 너무 많아지면 집단화를 통한 이득이 그만큼 감소하므로 회의의 규모에 따라 판단되어야 할 것이며, 가장 기본적인 척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단말기(10)의 단말능력 정보와 소속된 네트워크의 대역폭, 단말기(10)가 접속하는 네트워크 등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단말 그룹(30)의 대표 단말(10a)은 단말 그룹 내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정보를 다른 단말 그룹(30)의 대표 단말(10a)들에게 이를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영상대표 단말을 통한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음성대표 단말을 통한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대표 단말을 통한 분산식 회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각 단말 그룹(30)별로 대표 단말(10a)을 채택하여 이를 통해 단말 그룹(30)간에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되, 상기 각 단말 그룹(30)에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교환되는 미디어 정보 중 영상정보,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정보별로 영상대표 단말(10aa), 음성대표 단말(10ab) 또는 데이터대표 단말(10ac)을 선별 채택되어 각 단말 그룹(10)간 영상정보는 영상대표 단 말(10aa)을 통하여, 음성정보는 음성대표 단말(10ab)을 통하여, 데이터정보는 데이터대표 단말(10ac)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만일 어느 하나의 단말 그룹(30)에 단말기(10)가 2개로 이루어진다면, 어느 하나의 단말기(10)가 영상대표 단말(10aa) 및 음성대표 단말(10ab)로 채택되어 그 기능을 하면 될 것이다.
물론 교환되는 미디어 정보 중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만이 교환될 경우 각 단말 그룹(30)에는 영상대표 단말(10aa) 및 음성대표 단말(10ab)만을 선별 채택하면 될 것이다.
이는 일정 수 이상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분산식 회의에서 각 단말 그룹(30)의 대표 단말(10a)이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데이터정보를 전부 중계한다면 단말 그룹(30) 내의 다른 단말기(10)에 비하여 더 많은 시스템 부하를 받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대표 단말(10a)에게 집중될 수 있는 시스템 부하를 미디어 별로 분산 담당케 함으로써, 특정 단말기에 집중되는 부하를 단말 그룹(30) 내의 단말기(10) 각각에 분산시킬 필요가 있어 본 실시 예와 같이 구성할 경우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게 된다.
한편, 회의 참가자가 처음 회의에 합류할 때 주고받는 참가자 단말기(10)들 간의 능력 교환 정보를 기초로 대표 단말(10a)이 될 수 있는 단말기(10)를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회의 참가자의 단말기(10) 능력이 대표 단말(10a)로 동작하기에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에는 대표 단말(10a)이 되지 못하도록 막음으로써, 회의 시스템의 전 체 성능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술기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의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기들을 단말 그룹별로 묶고 단말 그룹별 대표 단말을 채택하여 이를 통해 그룹간 미디어를 전송함으로써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수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되는 전체 네트워크 대역폭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대표 단말에 지나치게 과중되는 시스템 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교환되는 미디어정보 중 영상, 음성, 데이터별로 각각 대표되는 대표 단말을 선별 채택하여 보다 세밀하게 미어어정보가 교환되도록 하여 비교적 큰 미디어 교환에도 원활히 전체 시스템이 수행될 수 있다.

Claims (3)

  1. 다수의 단말기 간에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말기 간에 미디어 교환을 위해 호제어를 수행하는 회의 서버가 구비되며, 상기 회의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기 중 일정 갯수가 나누어져 단말 그룹들을 형성하되 각 단말 그룹 내의 단말기 간에는 각각 일대일로 연결되어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고, 각 단말 그룹에는 단말 그룹 간에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표 단말이 구비되어 대표 단말 각각 일대일로 연결되어 미디어 교환이 이루어지되,
    상기 하나의 단말 그룹이 이루어지는 단말기 갯수 및 단말 그룹의 갯수는 단말기의 능력 및 단말기 간의 지역 유사도를 통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 그룹에는 다수의 대표 단말을 채택하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교환되는 미디어 정보 중 영상정보, 음성정보 또는 데이터정보별로 영상대표 단말, 음성대표 단말 또는 데이터대표 단말을 선별하여 각 단말 그룹간에 영상정보는 영상대표 단말을 통하여, 음성정보는 음성대표 단말을 통하여, 데이터정보는 데이터대표 단말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
  3. 삭제
KR1020060119287A 2006-11-29 2006-11-29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 KR100857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287A KR100857585B1 (ko) 2006-11-29 2006-11-29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287A KR100857585B1 (ko) 2006-11-29 2006-11-29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829A KR20080048829A (ko) 2008-06-03
KR100857585B1 true KR100857585B1 (ko) 2008-09-09

Family

ID=3980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287A KR100857585B1 (ko) 2006-11-29 2006-11-29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0651B (zh) * 2012-06-12 2014-09-17 苏州科达科技股份有限公司 跨网络视频会议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3881A (ko) * 1995-05-10 1996-12-23 김광호 다중 그룹 화상회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6051624A1 (ja) 2004-11-10 2006-05-18 Fujitsu Limited コンテンツ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60058835A (ko) * 2004-11-26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3881A (ko) * 1995-05-10 1996-12-23 김광호 다중 그룹 화상회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6051624A1 (ja) 2004-11-10 2006-05-18 Fujitsu Limited コンテンツ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60058835A (ko) * 2004-11-26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829A (ko) 2008-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9925B1 (en) Conferencing system
EP17346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ast management of user interface in a network access device
EP20769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multicast groups
JP5849323B2 (ja) 遠隔会議用のマルチメディアストリームの効率的な伝送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1459816A (zh) 一种多点双流会议中控制辅流令牌的方法、系统及设备
WO20101202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media conferencing
US8621003B2 (en) Enhanced application-layer multicast for peer-to-peer conferencing
CN101160790A (zh) 一种多方通信业务的连接建立方法、系统及连接控制单元
CN102077508B (zh) 在多节点间通过网络对数据进行接收和转发的组播通信方法及装置
US201602122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audio conferencing
WO2004098125A1 (fr) Systeme de conference multimedia distribue fonde sur web ip
US9264662B2 (en) Chat preauthorization
CN102957729B (zh) 一种多媒体会议音视频传输方法及设备
CN101626546B (zh) 一种无线视频会议中实现数据广播的方法及系统
WO2012046358A1 (ja) 経路構築装置及び経路構築方法
US7120147B2 (en) Reservation proxy function supporting filtering of multicast traffic in packet-based communication systems
KR100857585B1 (ko) 다수의 대표 단말을 가지는 다자간 분산식 회의시스템
US7009970B2 (en) Methods for managing bandwidth in a packet-based communication system incorporating a reservation proxy function
CN101309163B (zh) Pim sm协议支持组播流量自动平滑的方法及设备
CN108156413A (zh) 视频会议的传输方法及装置、mcu
US20140176666A1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evice for managing media stream in video conferencing
KR100622020B1 (ko)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시스템의 제어방법
JP3457202B2 (ja) 多地点会議装置
CN115550326B (zh) 一种利用虚拟会议实现多方会议级联的方法及系统
KR20000038699A (ko) 송수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의 전송범위 제어를 통한 대역폭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