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394B1 - 십자형 마우스 장치 - Google Patents

십자형 마우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394B1
KR100857394B1 KR1020070021826A KR20070021826A KR100857394B1 KR 100857394 B1 KR100857394 B1 KR 100857394B1 KR 1020070021826 A KR1020070021826 A KR 1020070021826A KR 20070021826 A KR20070021826 A KR 20070021826A KR 100857394 B1 KR100857394 B1 KR 100857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bar
sensing member
movement
axi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현
Original Assignee
유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현 filed Critical 유종현
Priority to KR102007002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394B1/ko
Priority to PCT/KR2008/001200 priority patent/WO2008108561A1/en
Priority to CN200880013365A priority patent/CN10168120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키보드 자판 위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양손 중 어느 손가락 하나 만으로도 마우스 조작이 용이하여 팔과 어깨의 위치 이동 없이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컴퓨터 키보드와 마우스를 번갈아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개구부와, 상기 일측 개구부와 상호 일직선으로 수평하게 타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바(Bar)의 이동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감지수단을 포함한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를 지지하고 X축 방향으로 뻗어 상기 감지부재를 X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X축 바(Bar)와; 상기 X축 바와 직교하고 상기 감지부재의 일측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감지부재의 타측 개구부로 돌출하고, 일단에 손가락 삽입홈이 포함된 Y축 바(Ba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마우스를 제공한다.
감지부재, X축 바(Bar), Y축 바(Bar), 손가락 삽입홈, 피 이동감지수단, 피 이동감지바(Bar), 회전수단, 전환 스위치

Description

십자형 마우스 장치{CRUCIFORM MOUS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투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로 Y축 바 일단을 상하로 압력을 가해 버튼을 작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환스위치 사용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컴퓨터의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컴퓨터용 마우스는 볼마우스, 광마우스 등이 있는데 모두 평평한 면 위에 마우스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마우스를 이동시킴으로써 화면상의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면 접촉형의 마우스는 반드시 마우스를 올려놓을 평평한 면 즉, 마우스 패드를 필 요로 한다.
비록 자이로를 이용한 3차원 마우스의 경우 마우스 패드가 필요 없으나, 볼 마우스, 광마우스와 자이로 마우스 등은 공통으로 컴퓨터 키보드와 마우스를 번갈아 가면서 작업을 하려면 팔과 어깨를 움직여 키보드와 마우스 사이를 왕복운동을 하여야 하며 화면상의 마우스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손, 손목 그리고 팔꿈치까지 움직여야 한다.
즉, 종래의 컴퓨터용 마우스는 평평한 면이 필요하고 마우스의 위치 이동시 손목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손목이 꺾여 이에 따라 무리가 가서 아프게 한다.
또한 키보드와 거리를 두고 마우스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오가게 되므로 어깨에 무리가 가고 거리가 떨어져 있어 효율성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종래 마우스는 마우스와 마우스버튼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한쪽 팔, 손과 손가락만을 이용해야 하고 다른 한쪽으로 번갈아 사용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X축 바(Bar)와 감지부재와 Y축 바(Bar)가 구비된 마우스 장치에서, Y축 바(Bar) 일단에 손가락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홈을 구비함으로써 손가락을 전, 후, 좌, 우로 움직여 컴퓨터 화면상의 마우스의 커서를 이동하게 하고, 상기 Y축 바(Bar) 일단을 상, 하로 압력을 가해 상기 감지부재 내측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버튼 중에서 상, 하 압력시 각기 다른 버튼을 누를 수 있어, 양쪽 손의 손가락 중 하나의 손가락으로 종래의 마우스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전환스위치 조작을 통해 X축 바(Bar)와 Y축 바(Bar)의 이동감지를 컴퓨터가 X축 바(Bar)의 이동을 Y축 좌표로, Y축 바(Bar)의 이동을 X축 좌표로, 반대로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키보드 측면의 위쪽 또는 옆쪽에 설치 가능토록 함에 따라 Y축 바(Bar)의 일단이 언제나 키보드 표면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마우스 패드 없이 키보드를 사용하다 손과 손가락의 짧은 이동만으로 바로 마우스를 사용하여 쓸 수 있어 어깨 및 팔에 무리를 주지 않는 컴퓨터 마우스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십자형 마우스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와, 상기 일측 개구부와 상호 일직선으로 수평 하게 타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바의 이동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감지수단을 포함한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를 상면으로 지지하고 X축 방향으로 뻗어 상기 감지부재를 X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X축 바와; 상기 X축 바와 직교하고 상기 감지부재의 일측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감지부재의 타측 개구부로 돌출하는 Y축 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 기서 바는 영문 Bar의 한글 표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투시 사시도이다.
감지부재(100)에는 추후에 설명할 바의 이동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감지 수단을 내측에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재의 일측에 개구부(101)와 상기 일측 개구부(101)와 상호 일직선으로 마주보는 타측에 개구부(102)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부재(100)에 Y축 바(300)의 일부가 내재 되도록 한다.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기 Y축 바(300)의 일단(301)에 손가락 삽입홈(302)을 구비하여 삽입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Y축 바(300)가 전후인 Y방향과 좌우인 X축 방향으로 이동 및 상하로의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한다.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X축 바(200)의 상면(201)으로 상기 Y축 바(300)의 일부가 내재한 상기 감지부재(100)를 지지하여 상기 Y축 바(300)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감지부재(100)를 X축 방향으로 안내 한다.
그러므로 상기 Y축 바(Bar)의 일단(301)을 전후로 움직이면, 상기 감지부재(100)에 내재한 상기 이동감지수단이 상기 Y축 바(300)의 Y축 이동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Y축 바의 일단(301)을 좌우로 움직이면, 상기 감지부재(100) 자체가 상기 X축 바의 상면(201) 위에서 좌우로 이동하지만, 상기 감지부재(100)에 내재한 상기 이동감지수단이 X축 바가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로 X축 방향 이동을 감지할 수 있어, 상기 Y축 바의 일단(301)을 전후, 좌우로 움직여서 X축과 Y축 좌표를 산출하여 컴퓨터 모니터상의 커서를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Y축 일단(301)의 손가락 삽입홈(302)에는 오른손에 속한 손가락뿐만 아니라 왼손에 속한 손가락도 삽입하여 상기 Y축 바(300)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마우스를 한 곳에 고정시켜도 양손으로 번갈아 사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로 Y축 바 일단을 상하로 압력을 가해 버튼을 작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바(300)를 전후로 움직이면, 감지부재(100)에 구비되고, 상기 Y축 바(300)와 밀착한 제1 회전체(111)를 시계 반대방향 및 시계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제1 회전체(111)와 연결된 제1 피 감지 회전판(112)의 회전이 상 기 감지부재(100) 내측에 구비된 제1 이동감지수단(115, 116)에 감지 되어 컴퓨터 모니터상 Y축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Y축 바(300)를 좌우로 움직여 상기 감지부재(100) 구비되고, 상기 X축 바 상면(201)에 밀착한 제2 회전체(113)를 시계 반대방향 및 시계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제2 회전체(113)와 연결된 제2 피 감지 회전판(114)의 회전이 상기 감지부재(100) 내측에 구비된 제2 이동감지수단(117, 118)에 감지 되어 컴퓨터상 X축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동감지수단(115, 116)과 제2 이동감지수단(117, 118)은 발광수단(115, 117)과 수광수단(116, 118)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발광수단(115, 117)에서 나온 빛이 제1 피 감지 회전판(112)과 제2 피 감지 회전판(114)에 의해 단속되어 수광수단(116, 118)에 전달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는 Y축 바(300)가 전후 좌우로 움직임이 각각 상기 제1 회전체(111)과 제2 회전체(113)로 전달되고, 다시 각각 제1 피 감지 회전판(112)과 제2 피 감지 회전판(114)으로 두 번에 걸쳐 전달됨에 따라 감지 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감지부재(100)의 좁은 공간에 하나 이상의 이동감지수단 (115, 116, 117, 118) 이외 하나 이상의 버튼, 상기 회전체(111, 113) 및 상기 피 감지 회전판(112, 114)를 설치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Y축 바(300)의 일측에 일직선으로 제1 피 이동감지 수단(310)을 구비하고, 상기 Y축 바(300)를 감지부재(100)의 일측 개구부(101)에 삽입하여 타측 개구부(102)에 돌출하게 하여, 상기 Y축 바(300) 일부가 상기 감지부재(100)에 내재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 피 이동감지수단(310)은 빛을 반사가 가능한 소재로도 가능하나, 일 실시 예에서는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구비된 다수의 구멍(310)으로 구현한다.
제1 이동감지수단(115,116)은 제1 피 이동감지수단(310)을 통해 Y축 방향 이동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감지부재 내측에 발광수단(115)와 수광수단(116)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감지수단인 발광수단(115)와 수광수단(116) 사이에 상기 Y축 바의 제1 피 이동 감지수단(310)을 삽입하여 전, 후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한다.
즉, 상기 Y축 바(300)를 전, 후로 움직이면, 상기 발광수단(115)이 발산한 빛이 상기 제1 피 이동감지수단(310)인 다수의 구멍(310)을 통해 단속되어 상기 수광수단(116)으로 전달되므로 빛을 펄스 신호로 바꾼다.
X축 바(200)의 상면(201)에 제2 피 이동감지수단(210)이 포함된 피 이동감지 바(220)를 결합한 철(凸) 형태 X축 바(230)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재(100)에는 Y축 방향으로 구비된 일측 개구부(101)와 타측 개구부(102)의 연결선상과 직교방향인 X축 방향으로 다른 일측 측면(103)과 하면(104)과 다른 타측 측면(105)에 이르는 요(凹) 형태의 개구부(103, 104, 105)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부재의 요(凹) 형태 개구부(103, 104, 105)에 상기 철(凸) 형태 X축 바(230)의 피 이동감지 바(220)를 삽입한다.
상기 제2 피 이동감지수단(210)도 상기 제1 피 이동감지수단(310)과 마찬가지로 직선상에 빛의 반사가 가능한 소재로도 가능하나, 일 실시 예에서는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구비된 다수의 구멍으로 구현 한다.
상기 피 이동감지 바(220)를 상기 감지부재(100)의 요(凹)형태의 개구부(103, 104, 105)에 삽입하여 상기 피 이동감지 바(220)가 제2 이동감지수단인 발광수단(117)와 수광수단(118) 사이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제1 이동감지수단(115, 116)과 마찬가지로 제2 이동감지수단(117, 118)도 발광수단(117)와 수광수단(118)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철(凸)형태 X축 바의 제2 피이동 감지수단(210)도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구비된 다수의 구멍을 구현하여 상기 발광수단(117)에서 발산한 빛이 다수의 구멍(210)을 통해 단속되어 상기 수광수단(118)로 전달, X축 방향을 감지를 가능토록 한다.
그렇게 하여, 상기 X축 바(200) 상면으로 지지 받는 상기 감지부재(100) 와 상기 Y축 바(300)의 위치 이동이 직접 상기 제1 이동감지수단(115, 116)과 제2 이동감지수단(117, 118)에 전달하도록 하여 이동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수단(115,117)는 발광 다이오드(LED), 레이저 다이오드(LED) 등으로, 상기 수광수단(116,118)는 광 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s), 광센서, 레이저센서 등으로 구현 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100) 하나이상의 탄성수단(121)를 결합하고 상기 감지부재의 일측 개구부(101)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탄성수단(121)의 지지를 받는 회전수단(122, 123)를 구비하여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Y축 바(300)을 지지하고 전, 후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Y축 바의 상, 하 압력을 지지하게 한다.
도 3에서는 상기 일측 개구부(101)의 상단 우측의 탄성수단(121)이 상단 회전수단(122)을 지지 및 결합만 일 예로 표현하였으나, 나머지 일측 개구부(101) 상단 좌측과 하단 양측과 타측 개구부(102)의 4군데도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수단( 121)과 회전수단(122 )과 같이 구현한다.
즉, 일측 개구부(101)와 타측 개구부(102) 상단과 하단의 좌우 끝쪽의 각각 하나씩 8개의 탄성수단이 상기 감지부재에 결합하고, 상기 일측 개구부(101)의 상단 회전수단(122) 및 하단 회전수단(123)과, 타측 개구부(102)의 상단 회전수단과 하단 회전수단를 상기 8개의 탄성수단이 지지한다.
도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Y축 바(300)가 탄성수단(121)의 지지를 받는 회전수단(122, 123) 사이에 있어서, 손가락의 힘에 의해 Y축 바의 상하 압력이 가능하므로, 상기 감지부재의 내측 일면에 하나 이상의 버튼(131, 132)을 구비하여 상기 Y축 바(300)의 일단(301)을 상방으로 압력을 가해(1P) 하나 이상의 버튼중 제1 버튼(131)과 접촉하고 상기 Y축 바(300)의 일단(301)을 하방으로 압력을 가해(2P) 하나 이상의 버튼중 제2 버튼(132)과 접촉하여 상기 제1 버튼(131)과 제2버튼(132)이 각기 다른 소정의 신호를 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종래의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버튼과 왼쪽 클릭버튼의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전환스위치 사용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재(100)에서 감지한 X축 바의 이동을 Y축 방향으로, 상기 감지부재(100)에서 감지한 Y축 바의 이동을 X축 방향으로 전환하여 인식하게 하는 전환 스위치(400)를 더 포함는데 전환스위치의 위치는 감지부재(100), X 축 바(200), Y축 바(300)의 일면에 설치 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컴퓨터 키보드(500)의 위쪽에서 사용(1C)시, 상기 X축 바(200)는 X축 방향이고, 상기 Y축 바(300)는 Y축 방향으로 놓여져 있으나, 상기 컴퓨터 키보드(500) 옆쪽에서 사용(2C)시에는 상기 X축 바(200)는 Y축 방향으로, 상기 Y축 바(300)는 X축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즉,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상기 컴퓨터 키보드(500) 또는 노트북의 측면에서 사용(2C) 할 경우에는 상기 전환스위치(400)를 조작하여 상기 X축 바(200)의 이동을 Y축 방향으로, 상기 Y축 바(300)의 이동을 X축 방향으로 전환하여 신호를 컴퓨터에게 보내도록 한다.
상기 전환 스위치(400)는 버튼식 스위치, 개폐식 스위치, 회전식 스위치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식 스위치를 상기 감지부재(100) 상면에 결합하고 스위치를 사람의 얼굴로 형상화하여 형상물의 위치 변화를 통해 X축 및 Y축 방향의 인식 전환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컴퓨터 키보드(500) 위쪽 사용시(1C), 전환 스위치 내부에 X축 바의 이동감지 송신선(401)과 컴퓨터의 X축 좌표 수신선(402)이 접속되어 있고, Y축 바의 이동감지 송신선(411)과 컴퓨터의 Y축 좌표 수신선(412)이 접속되어 X축 바의 이동이 컴퓨터 상에서는 X축 좌표로 인식되고, Y축 바의 이동이 컴퓨터상 Y축 좌표로 인식되나,
상기 컴퓨터 키보드(500)의 측면에서 사용시(2C), 전환 스위치(400)를 반시계방향으로 45도 돌려서 전환 스위치 내부에 X축 바의 이동감지 송신선(401)과 컴퓨터의 Y축 좌표 수신선(412)이 접속하게 되고, Y축 바의 이동감지 송신선(411)과 컴퓨터의 X축 좌표 수신선(402)이 접속하게 되어 X축 바의 이동이 컴퓨터 상에서는 Y축 좌표로 인식되고, Y축 바의 이동이 컴퓨터상 X축 좌표로 전환하여 인식하게 되므로, 상기 컴퓨터 키보드(500) 주변의 어느 위치에서 사용하더라도 X축과 Y축의 혼동 없이 사용할 수 있게한다.
이외 Y축 바 일단(301)을 구부릴 수 있게 구비하여 손가락 삽입홈(302)의 삽입방향을 자유롭게 이용토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닥과 거리를 두고 있는 Y축 바를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움직여 컴퓨터 마우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평평한 면이 필요 없어 손에 들고 다른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Y축 바 일단에 손가락 삽입홈을 구비하여 양쪽 손의 손가락중 하나의 손가락으로 컴퓨터 모니터상 커서의 이동 및 두개의 컴퓨터 마우스 클릭 버튼을 조작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환스위치 조작을 통해 컴퓨터 키보드의 어느 위치에서든 Y축 바가 컴퓨터 키보드 위에 놓여져 조작 할 수 있어 팔과 어깨의 움직임 없이 컴퓨터 키보드와 병행사용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X축 바와 Y축 바에 각각 피 이동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X축 바와 Y축 바의 이동량을 감지부재 내의 이동 감지수단이 직접 검출하는 방식으로, 감지능력 저하 방지 및 적은 부품 수로 구성하여 좁은 공간에서 설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컴퓨터 마우스에 있어서, 일측에 개구부와 상기 일측 개구부와 상호 일직선으로 수평하게 타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이동감지수단을 구비한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를 상면으로 지지하고 X축 방향으로 뻗어 상기 감지부재를 X축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기 상면에 피 이동감지수단이 포함된 피 이동감지 바를 결합한 X축 바와;
    상기 X축 바와 직교하고 상기 감지부재의 일측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감지부재의 타측 개구부로 돌출하며, 일측에 일직선으로 피 이동감지수단을 구비하는 Y축 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마우스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Y축 바는 상기 Y축 바의 일단에 손가락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마우스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X축 바는 철(凸)형태 X축 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마우스 장치.
  4.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감지부재에 구비된 일측 개구부와 타측 개구부의 연결선상과 직교방향인 다른 일측 측면과 하면과 다른 타측 측면에 이르는 요(凹)형태의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부재의 요(凹)형태의 개구부에 상기 철(凸)형태 X축 바의 피 이동감지 바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마우스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에서 감지한 상기 X축 바의 이동을 Y축 방향으로, 상기 감지부재에서 감지한 상기 Y축 바의 이동을 X축 방향으로 인식하게 하는 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마우스 장치.
KR1020070021826A 2007-03-06 2007-03-06 십자형 마우스 장치 KR10085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826A KR100857394B1 (ko) 2007-03-06 2007-03-06 십자형 마우스 장치
PCT/KR2008/001200 WO2008108561A1 (en) 2007-03-06 2008-03-03 Cruciform mouse apparatus
CN200880013365A CN101681205A (zh) 2007-03-06 2008-03-03 十字形鼠标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826A KR100857394B1 (ko) 2007-03-06 2007-03-06 십자형 마우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394B1 true KR100857394B1 (ko) 2008-09-05

Family

ID=3973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826A KR100857394B1 (ko) 2007-03-06 2007-03-06 십자형 마우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57394B1 (ko)
CN (1) CN101681205A (ko)
WO (1) WO200810856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4577A (ja) * 1992-12-08 1996-07-30 Yutaka Uchida フラットマウス
KR19990002789A (ko) * 1997-06-23 1999-01-15 구자홍 절대좌표형 마우스장치
KR200210291Y1 (ko) * 2000-08-04 2001-01-15 허연 안테나형 마우스
KR100463757B1 (ko) 2002-07-30 2004-12-29 비엔비넷(주) 수동 자유도를 갖는 2자유도 햅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2304B2 (ja) * 1998-01-27 2007-12-19 株式会社ワコム 座標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4577A (ja) * 1992-12-08 1996-07-30 Yutaka Uchida フラットマウス
KR19990002789A (ko) * 1997-06-23 1999-01-15 구자홍 절대좌표형 마우스장치
KR200210291Y1 (ko) * 2000-08-04 2001-01-15 허연 안테나형 마우스
KR100463757B1 (ko) 2002-07-30 2004-12-29 비엔비넷(주) 수동 자유도를 갖는 2자유도 햅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1205A (zh) 2010-03-24
WO2008108561B1 (en) 2008-10-30
WO2008108561A1 (en)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6481A (en) Multidimensional hybrid mouse for computers
US7081883B2 (en) Low-profile multi-channel input device
US4988981A (en) Computer data entry and manip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30142065A1 (en) Ring pointer device with inertial sensors
US20050219355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US6184869B1 (en) Computer input device having multiple multi-dimensional detection devices
WO200402132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ybrid pointing device with a data processing system
US7825898B2 (en) Inertial sensing input apparatus
WO1995000897A1 (en) Cursor control device
CN111587414B (zh) 多功能触控笔
CN101122836A (zh) 运动感知装置
US6307535B1 (en) Pointing device for use in a computer system
KR100857394B1 (ko) 십자형 마우스 장치
US73567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s to a communication or computing device
KR20040020262A (ko) 펜 타입의 다기능 마우스 입력장치
US20140218295A1 (en) Computer mouse having a capacitive trigger layer
KR100545307B1 (ko) 공간 광마우스 장치
KR200370864Y1 (ko) 마우스 포인터의 제어장치
EP1775656A1 (en) Inertial sensing input apparatus
KR200369111Y1 (ko) 상하좌우 스크롤링이 가능한 마우스
KR100349757B1 (ko) 컴퓨터용 입력장치
KR100243867B1 (ko) 무선 마우스
JP3213245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用カーソル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0274062Y1 (ko) 마우스
KR20060028221A (ko) 마우스 포인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