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234B1 - 생물고정 전자침 - Google Patents

생물고정 전자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234B1
KR100857234B1 KR1020070069722A KR20070069722A KR100857234B1 KR 100857234 B1 KR100857234 B1 KR 100857234B1 KR 1020070069722 A KR1020070069722 A KR 1020070069722A KR 20070069722 A KR20070069722 A KR 20070069722A KR 100857234 B1 KR100857234 B1 KR 100857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needle
fixed
cap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049A (ko
Inventor
배헌민
김대현
한석중
윤성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06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23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5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7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4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hand por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고정 전자침에 관한 것으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하는 라이터나 가스레인지 등에 부착되어 있는 전자침을 사용하여 생물에 순간적인 전류를 흐르게 하여 생물체를 고정시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생물체 내부의 상세한 기관을 관찰하는데 매우 용이하고 그것의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생물고정 전자침은, 생물 고정 전자침에 있어서, 선단 및 후단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홈(12)이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캡(13)(14)과; 상기 제 1캡(13)의 밖으로 돌출된 전자침(1)을 지지하는 지지캡(11)이 상기 제 1캡(13) 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선단 내부에 설치된 세라믹스 절연체(2)와; 상기 케이스(10)의 후단 내부에 형성된 레일가이드(5)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세라믹스 절연체(2)와 상기 레일가이드(5)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충격에 의해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켜 전선을 통해 상기 전자침(1)으로 전달하는 압전소자(4)와; 상기 제 2 캡(14)의 내부에 형성된 돌편(8)에 끼워져 고정된 스프링(7)과; 상기 스프링(7)의 일 측과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제 2 캡(14)의 체결 시 상기 레일가이드(5)를 따라 움직이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4)의 상부에 충격을 가해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압전타봉(6); 및 상기 압전타봉(6)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홈(12)을 따라 상기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움직이는 보턴(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침, 적조생물, 고정, 관찰, 압전소자, 루골액(lugol solution)

Description

생물고정 전자침{ELECTRICAL MEEDLE FOR FIXATION OF AN ARGANISM}
본 발명은 생물고정 전자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구나 손쉽게 사용하는 라이터나 가스레인지 등에 부착되어 있는 전자침을 사용하여 생물에 순간적인 전류를 흐르게 하여 생물체를 고정시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생물고정 전자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에 의한 관찰 과정에서 생물고정은 생물체가 살아있는 상태로 세포나 조직을 보존하기 위한 과정이나 아직까지 어떠한 고정방법도 변형 없이 살아있는 상태를 완전히 보존할 수는 없다. 흔히 사용되는 침지고정법(immersion fixation)은 혈관을 통해 고정액을 관류하는 관류 고정법에 비해 살아 있을 때보다 더 많은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불완전한 고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공물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채취한 조직을 신속하게 고정액에 담그지 못하여 발생하는 세포 자가용해(autolysis)현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험의 결과 혹은 병리적 손상의 결과인 세포괴사(necrosis)와 부적절한 고정의 결과로 생긴 세포의 손상을 식별하기는 매우 어렵다. 특히 고정을 위하여 채취한 조직편이 너무 큰 경우나 고정 시간이 부적절한 경우 미세조직의 관찰을 위해 적절히 고정이 된(optimally fixed) 부분을 일단 포매된 블록(bloc)에서 찾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우므로 오버픽시에이션(overfixation) 혹은 언더픽시에이션(underfixation)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초기 고정이 잘못되었을 때 가장 흔히 나타나는 것은 미토콘드리아의 크리스타(crista)와 세포간질(matrix)의 변성이다. 잘못된 완충액의 선택 혹은 적절치 못한 고정액의 pH등으로 완충력이 부적절한 경우 세표질의 유출 및 세포 내로의 수분의 침투 등으로 인하여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비정상적으로 변할 수 있고, 세포나 세포소기관의 팽창, 세포간극의 팽창 등의 인공물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시에는 조직에 따라 고정액의 조성, 사용하고자 하는 완충액의 종류와 삼투압(osmotic strength), 첨가제 등을 조절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고정 상태를 찾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국립수산진흥원, 수산연구소 및 어촌지도소에서는 적조로 인한 어업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정기적인 적조예찰과 감시를 하고 있다. 그러므로 바다 색깔이 이상하거나 적조피해가 발생하면 가장 빨리 현재의 상황을 통보하여야 적조발생방지 및 발생한 적조로 인한 양식물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 때 적조가 발생한 해역의 해수 1리터를 채집하여 상온에서 신속히 수산연구소 또는 국립수산진흥원으로 이송한다. 단 24시간 이내에 도달이 불가 시에는 고정액(Lugol solution 등)으로 고정한다. 루골액이란 요오드, 요오드화칼륨, 글리세린, 물 따위의 혼합액을 말하며 프랑스의 의사 루골(J.G.A.)이 처음으로 사용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적조생물 Cochlodininum polykrikoides 등의 움직이는 생물시료를 현미경으 로 관찰하기 위해 고정하는 용액으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한 루골액 사용 시에는 루골액의 제조 후 유효 기간 내에 사용해야 하고 루골액 사용을 위한 기타 피펫 등을 따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 루골액에서 나는 냄새, 보관, 운반 및 사용의 불편함, 특히 일반 어업 종사자들의 사용상의 불편함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루골액에 염색된 생물체는 그 내부의 상세한 부분 관찰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독성이 강하여 사용 후 처리에 있어 환경오염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전자침을 이용하여 관찰용 및 시험용 적조생물 등의 생물에 순간적인 전기를 흘러서 순간적으로 기절 또는 살상시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 및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고정법에 의한 생물체의 변형우려가 없는 생물고정 전자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어업종사자들에게 본 발명품을 보급하여 사용케 함으로써 어업종사자들의 접근 및 사용이 어려운 루골액과 같은 전문시약 사용에 따른 경제적 비용 및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하는 생물고정 전자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생물체의 고유색이 유지됨으로써 내부의 상세한 기관 관찰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는 생물고정 전자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전자침을 적조생물 고정 및 관찰용으로 유관연구, 지도기관에 적극보급, 활용토록 하여 적조생물에 의한 경제적 피해 예방에 기여토록 하는 생물고정 전자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개인 포켓용으로 만들어져 볼펜처럼 간편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생물 분류, 고정, 관찰할 수 있는 생물고정 전자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생물 고정 전자침에 있어서, 선단 및 후단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홈(12)이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캡(13)(14)과; 상기 제 1캡(13)의 밖으로 돌출된 전자침(1)을 지지하는 지지캡(11)이 상기 제 1캡(13) 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선단 내부에 설치된 세라믹스 절연체(2)와; 상기 케이스(10)의 후단 내부에 형성된 레일가이드(5)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세라믹스 절연체(2)와 상기 레일가이드(5)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충격에 의해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켜 전선을 통해 상기 전자침(1)으로 전달하는 압전소자(4)와; 상기 제 2 캡(14)의 내부에 형성된 돌편(8)에 끼워져 고정된 스프링(7)과; 상기 스프링(7)의 일 측과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제 2 캡(14)의 체결 시 상기 레일가이드(5)를 따라 움직이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4)의 상부에 충격을 가해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압전타봉(6); 및 상기 압전타봉(6)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홈(12)을 따라 상기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움직이는 보턴(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홈(12)은"ㄱ"자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홈(12)은 "┛"자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침(1)이 형성된 생물 고정 전자침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자침(1)을 보호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상기 생물 고정 전자침을 주머니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클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제 2캡(14)은 상기 생물 고정 전자침을 주머니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클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생물고정 전자침에 의하면,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한 볼펜 형태의 전자침을 사용하여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켜 생물체를 기절 또는 치사시킴으로써, 생물체의 변형우려가 없고 생물체의 원래 색상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내부의 상세한 기관 관찰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생물고정 전자침이 개인 포켓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볼펜처럼 보관 및 사용이 편이하고 반영구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생물고정 전자침이 종래 기술에 의한 루골액 사용을 대체함으로써 루골액 사용에 의한 경제적 부담 절감 및 환경오염방지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생물고정 전자침을 적조생물 현장조사 시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고 정확하게 시료를 관찰하여 정확한 종의 구별을 통한 정확한 적조생물 예보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조생물 피해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저감해야 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유관기관 담당자 및 어업종사자들에게 본 발명에 의한 생물고정 전자침을 보급함으로써 적조피해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인 포켓용으로 만들어져 볼펜처럼 간편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생물 분류, 고정,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라이터나 가스레인지 등에 부착된 전자침을 볼펜과 같은 케이스(10)에 장착시켜 케이스(10)상부의 스프링(7)을 당겨 잡고 있는 보턴(9)을 눌러 압전타봉(6)이 압전소자(4) 상부에 충격을 가하는 형식으로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생물고정 전자침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생물고정 전자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침(1), 세라믹스 절연체(2), 전선(3), 압전소자(4), 레일가이드(5), 압전타봉(6), 스프링(7), 돌편(8), 보턴(9), 케이스(10), 지지캡(11), 홈(12), 제 1 캡(Cap)(13), 제 2 캡(14) 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생물고정 전자침의 더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10)는 선단 및 후단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홈(12)이 형성되어있는데, 상기 케이스(10)의 선단에 체결된 제 1캡(13)를 열고, 세라믹스 절연체(2)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캡(11)에 전자침(1)을 내삽하여 세라믹스 절연체(2)의 하부를 잡아 준다.
또한, 상기 세라믹스 절연체(2)를 상기 케이스(10)의 선단 내부에 내삽하고, 상기 세라믹스 절연체(2)의 상부에 전선(3)과 압전소자(4)를 순서대로 끼워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0)의 후단에 체결된 제 2캡(14)을 열고, 상기 케이스(10)의 후단 내부에 압전타봉(6)을 레일가이드(5)에 맞추어 끼워 상기 압전타봉(6)이 상기 레일가이드(5)를 따라 쉽게 움직이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압전타봉(6)은 스프링(7)이 잡아주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7)은 돌편(8)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7)은 보턴(9)으로서 움직이도록 하며, 상기 보턴(9)은 상기 케이스(10) 일측에 파여진 홈(12)을 따라 이동시킬 수가 있으며, 상기 보턴(9)는 홈(12)의 상부에 꺽어져 파여진 홈에 넣어 고정할 수 가 있어 이 보턴(9)을 눌러 스프링(7)의 힘으로 튀어져 나가 압전타봉(6)이 압전소자(4) 상부에 충격을 가해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생물고정 전자침은, 상기 케이스(10)의 홈(12)의 상부에 꺽어져 파여진 홈에 상기 보턴(9)을 넣어서 고정한 후 상기 보턴(9)을 누르게 되면, 상기 보턴(9)이 상기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홈(12)을 따라 튀어져 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보턴(9)과 일체로 구성된 상기 압전타봉(6)이 상기 압전소자(4) 상부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압전소자(4)에서 상기 전자침(1)으로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전자침(1)으로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켜 생물체를 기절 또는 치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침(1)으로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켜 생물체를 기절 또는 치사시킬 경우, 생물체의 원래의 색상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내부의 상세한 기관 관찰이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환경을 오염 시킬 문제는 전혀 없는 친환경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생물고정 전자침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생물고정 전자침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전자침 2 : 세라믹스 절연체
3 : 전선 4 : 압전소자
5 : 레일가이드 6 : 압전타봉
7 : 스프링 8 : 돌편
9 : 보턴 10 : 케이스
11 : 지지캡 12 : 홈
13 : 제 1 캡(Cap) 14 : 제 2 캡

Claims (6)

  1. 생물 고정 전자침에 있어서,
    선단 및 후단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홈(12)이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캡(13)(14)과;
    상기 제 1캡(13)의 밖으로 돌출된 전자침(1)을 지지하는 지지캡(11)이 상기 제 1캡(13) 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선단 내부에 설치된 세라믹스 절연체(2)와;
    상기 케이스(10)의 후단 내부에 형성된 레일가이드(5)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세라믹스 절연체(2)와 상기 레일가이드(5)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충격에 의해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켜 전선을 통해 상기 전자침(1)으로 전달하는 압전소자(4)와;
    상기 제 2 캡(14)의 내부에 형성된 돌편(8)에 끼워져 고정된 스프링(7)과;
    상기 스프링(7)의 일 측과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제 2 캡(14)의 체결 시 상기 레일가이드(5)를 따라 움직이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4)의 상부에 충격을 가해 순간적인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압전타봉(6); 및
    상기 압전타봉(6)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홈(12)을 따라 상기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움직이는 보턴(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고정 전자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홈(12)은:
    "ㄱ"자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고정 전자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홈(12)은:
    "┛"자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고정 전자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침(1)이 형성된 생물 고정 전자침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자침(1)을 보호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고정 전자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생물 고정 전자침을 주머니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클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고정 전자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제 2캡(14)은:
    상기 생물 고정 전자침을 주머니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클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고정 전자침.
KR1020070069722A 2007-07-11 2007-07-11 생물고정 전자침 KR100857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722A KR100857234B1 (ko) 2007-07-11 2007-07-11 생물고정 전자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722A KR100857234B1 (ko) 2007-07-11 2007-07-11 생물고정 전자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049A KR20080045049A (ko) 2008-05-22
KR100857234B1 true KR100857234B1 (ko) 2008-09-08

Family

ID=3966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722A KR100857234B1 (ko) 2007-07-11 2007-07-11 생물고정 전자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2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7634A (ja) * 1995-03-30 1996-12-13 Nikon Corp カンチレ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加熱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加熱・形状計測装置
JPH11299496A (ja) 1998-04-24 1999-11-02 Hitachi Ltd 卵母細胞用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計測装置
KR200293269Y1 (ko) 2002-07-12 2002-10-30 주식회사 아이이아이 미생물 활성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7634A (ja) * 1995-03-30 1996-12-13 Nikon Corp カンチレ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加熱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加熱・形状計測装置
JPH11299496A (ja) 1998-04-24 1999-11-02 Hitachi Ltd 卵母細胞用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計測装置
KR200293269Y1 (ko) 2002-07-12 2002-10-30 주식회사 아이이아이 미생물 활성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049A (ko)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cas et al. Bridging microscopes: 3D correlative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complex biological structures
Schockaert et al. Global diversity of free living flatworms (Platyhelminthes,“Turbellaria”) in freshwater
Tyler The early worm: origins and relationships of the lower flatworms
Brenneis et al. Embryonic neurogenesis in Pseudopallene sp.(Arthropoda, Pycnogonida) includes two subsequent phases with similarities to different arthropod groups
Xu et al. Reconsideration of the systematics of Peniculida (Protista, Ciliophora) based on SSU rRNA gene sequences and new morphological features of Marituja and Disematostoma
Gomaa et 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iversification of Asian endemic Difflugia tuberspinifera (Amoebozoa, Arcellinida): a case of fast morphological evolution in protists?
KR100857234B1 (ko) 생물고정 전자침
Martin Evaluating a novel technique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of anuran tadpoles using coded wire tags
Beaver et al. Standardizing a non-lethal method for characterizing the reproductive status and larval development of freshwater mussels (Bivalvia: Unionida)
Qian et al. In situ measurement of recruitment, mortality, growth, and fecundity of Capitella sp.(Annelida: Polychaeta)
Ocaña et al. First record of the black coral Antipathella wollastoni (Anthozoa: Antipatharia) outside of Macaronesian waters
Tamm Novel structures associated with presumed photoreceptors in the aboral sense organ of ctenophores
Koplovitz et al. Being green in the Red Sea-the photosymbiotic ascidian Diplosoma simile (Ascidiacea: Didemnidae) in the Gulf of Aqaba
Pandey et al. Evaluation of genotoxicity of profenofos to freshwater fish Channa punctatus (Bloch) using the micronucleus assay
Janes et al. Octocoral taxonomy laboratory manual
Riemann et al. Body musculature of Beauchampiella eudactylota (Gosse, 1886)(Rotifera: Euchlanidae) with additional new data on its trophi and overall morphology
Ciche et al. General methods to investigate microbial symbioses
Omland Interpretation of phylogenetic trees
Brodersen et al. Holocene temperature and environmental reconstruction from lake sediments in the Søndre Strømfjord region, southern West Greenland
Men et al.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y of female internal reproductive system among nine species in the genus Tipula (Diptera: Tipulidae)
Yasunaga Review of the plant bug genus Dortus Distant, 1910, with a unique taxonomic character observed for the subfamily Deraeocorinae (Hemiptera: Heteroptera: Miridae)
Douglas et al. Composition of the North American wood frog (Rana sylvatica) skin microbiome and seasonal variation in community structure
Alberti et al. Fine Structure of the Rhagidial-Organs of the Prostigmatid mite Rhagidia halophila (Laboulbène, 1851)(Actinotrichida, Rhagidiidae)
Janvier A cold look at odd vertebrate phylogenies
Foissner et al. The Apertospathulidae, a new family of haptorid ciliates (Protozoa, Ciliopho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