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085B1 -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085B1
KR100856085B1 KR1020070013583A KR20070013583A KR100856085B1 KR 100856085 B1 KR100856085 B1 KR 100856085B1 KR 1020070013583 A KR1020070013583 A KR 1020070013583A KR 20070013583 A KR20070013583 A KR 20070013583A KR 100856085 B1 KR100856085 B1 KR 100856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e
data rate
data
block
y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훈
서승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70013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085B1/ko
Priority to US11/859,251 priority patent/US795728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블록 데이터 전송 시 채널 상황에 따라 정확한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랜 망에서의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및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최적의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여 데이터 전송 시 반영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블록 전송 시 잘못된 전송률 선택으로 인한 데이터 전송의 성능 저하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무선랜, 데이터 전송률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Estimating Optimized Transmission Bit Rat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최적의 전송률 추정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최적의 전송률 추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최적의 전송률 추정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최적의 전송률 추정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블록 데이터 전송 시 채널 상황에 따라 정확한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 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1 규격을 적용한 무선랜 시스템의 물리 계층은 서로 다른 변조와 코딩 방식을 사용해서 다양한 전송률(Transmission Bit Rate)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IEEE 802.11a는 6 내지 54Mbps 사이에 8개의 전송률을 지원하고, IEEE 802.11b는 1 내지 11Mbps 사이에 4개의 전송률을 지원하며, IEEE 802.11g는 1 내지 54Mbps 사이에 12개의 전송률을 지원한다. 여기에서, 전송률은 각각의 비트 에러 특성을 갖기 때문에, 주어진 채널 조건에서 보통 한 개의 최적 전송률을 갖으며, 보통 낮은 전송률일수록 더 센 비트 에러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동 통신망 운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채널 상황을 반영한 최적의 전송률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하여 수율(Throughput)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채널 상황을 반영하여 전송률을 추정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는데, 전송률을 추정할 때 채널 상황을 부정확하게 측정하거나 채널 상황의 빠른 변화로 인해 최적이 아닌 전송률을 선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최적의 전송률 보다 빠른 전송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도는 데이터 전송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최적의 전송률 보다 낮은 전송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도는 데이터 전송의 성공률을 높이긴 하지만 채널을 불필요하게 오랜 시간 점유하여 효율성을 낮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잘못된 전송률 선택의 부작용은 IEEE 802.11e에 정의된 블록 전송 확인 신호(Block Acknowledgement, BA)를 적용하였을 때 더욱 많이 발생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블록 전송 확인 신호는 동일한 블록으로 구분된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MAC Protocol Data Unit, MPDU)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면 그에 대해 하나의 블록 전송 확인 신호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매 데이터 프레임마다 전송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비해 대역폭 낭비를 줄일 수 있지만, 전송 확인 신호를 전송하기 이전에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한번에 전송하기 때문에 동일한 블록으로 구분된 해당 데이터 프레임 각각에는 동일한 전송률이 적용된다.
따라서, 블록 전송 확인 신호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률을 잘못 높이는 경우, 복수 프레임의 전송 실패를 초래하고, 전송률을 잘못 낮추는 경우,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 이상의 오랜 시간 동안 채널 대역폭을 낭비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할 때, 망의 채널 상태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여 데이터 전송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망의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할 때, 블록 데이터 내의 복수 프레임 중 일부의 프레임에만 변경된 데이터 전송률을 적용하여 망의 채널 상태에 따라 데이터 전송률을 점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률 상태에 따라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랜 망에서의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및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최적의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여 데이터 전송 시 반영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기재하고 있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은 무선랜 시스템과의 무선 통신 수행이 가능한 휴대폰, 셀룰러폰, PDA 및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개인 PC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AP(Access Point)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최적의 전송률 추정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는 자신에게 적용되는 전송률 상태에 따라 망의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이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할 때,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 각각이 동일한 전송률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 각각이 전송률 i 또는 전송률 i+1 중 어느 하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무선랜 망의 채널 환경이 변경됨에 따라 자신에게 적용된 데이터 전송률 상태를 고려하여 도 1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순차적(전송률 i -> 전송률 i, i+1 -> 전송률 i+1 or 전송률 i+1 -> 전송률 i, i+1 -> 전송률 i)으로 데이터 전송률 상태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률 상태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 각각에 동일한 전송률 i만을 적용하거나 또는 전송률 i+1만을 적용하는 단일 전송률 상태와 동일한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 각각에 전송률 i와 전송률 i+1을 혼합하여 적용하는 복합 전송률 상태로 구분된다.
상기 복합 전송률 상태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할 때, 데이터 블록 내 모든 데이터 프레임에 전송률 i만을 적용하거나 또는 전송률 i+1만을 적용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전송 실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블록 내 일부 데이터 프레임에는 전송률 i를 적용하고 나머지 데이터 프레임에는 전송률 i+1을 적용하여 무선랜 망의 채널 환경에 따라 데이터 전송률을 점차적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단말기는 무선랜 시스템과의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AP 중 어느 하나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최적의 전송률 추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률 상태가 복합 전송률 상태(전송률 i와 i+1을 혼합하여 데이터 프레임에 적용)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기는 무선랜 망에서 데이터 블록이 전송됨에 따라 기 설정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제 1 블록 수율(U*) 및 현재 데이터 전송률 보다 한 단계 높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제 2 블록 수율(U+)을 산출한다(S101).
Figure 112007012144980-pat00001
여기에서,
Figure 112007012144980-pat00002
는 전송률 i의 비트 레이트,
Figure 112007012144980-pat00003
는 전송률 j의 비트 레이트,
Figure 112007012144980-pat00004
는 전송률 i로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성공 확률,
Figure 112007012144980-pat00005
는 전송률 j로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성공 확률,
Figure 112007012144980-pat00006
는 블록 내에서 전송률 i로 전송된 유효 데이터의 총 바이트 수,
Figure 112007012144980-pat00007
는 블록 내에서 전송률 j로 전송된 유효 데이터의 총 바이트 수,
Figure 112007012144980-pat00008
는 블록 전송과 그에 대한 전송 확인 신호 수신에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성공 확률은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7012144980-pat00009
여기에서,
Figure 112007012144980-pat00010
는 블록 내에서 전송률 i를 이용하여 전송에 성공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이며,
Figure 112007012144980-pat00011
는 블록 내에서 전송률 i를 이용하여 전송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한다.
이어서, 단말기는 단계 S101에서 산출된 제 1 블록 수율(U*)과 제 2 블록 수율(U+)을 비교하여 제 1 블록 수율(U*)이 제 2 블록 수율(U+)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한다(도 1의
Figure 112007012144980-pat00012
)(S103).
단계 S103의 확인 결과, 제 1 블록 수율(U*)이 제 2 블록 수율(U+) 보다 작은 경우, 단말기는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를 1 증가시키고(도 2의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 "1" 증가)(S105), 이를 기 설정된 성공기준횟수(Sth)와 비교한다(S107).
단계 S107의 결과,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1 증가된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가 기 설정된 성공기준횟수 이상인 경우, 단말기는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높이고, 이를 데이터 전송 시 반영한다(S109). 즉, 최적의 데이터 전송률은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높인 값이 되는 것이다.
한편, 단계 S103의 확인 결과, 제 1 블록 수율(U*)이 제 2 블록 수율(U+) 보다 작지 않은 경우, 단말기는 전송률 추정 절차를 종료한다.
다른 한편, 단계 S107의 결과,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가 기 설정된 성공기준횟수 이상이 아닌 경우, 단말기는 단계 S101 이후의 절차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최적의 전송률 추정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률 상태가 복합 전송률 상태(전송률 i와 i+1를 혼합하여 데이터 프레임에 적용)인 경우와 단일 전송률 상태(전송률 i 또는 i+1 중 어느 하나만을 데이터 프레임에 적용)이고 현재의 데이터 전송률을 낮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기는 무선랜 망에서 데이터 블록이 전송됨에 따라 기 설정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제 1 블록 수율(U*) 및 현재 데이터 전송률 보다 한 단계 낮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제 3 블록 수율(U-)을 산출한다(S201).
여기에서, 데이터 전송률 상태가 단일 전송률 상태이고, 현재의 데이터 전송률을 낮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단말기는 제 3 블록 수율(U-)을 산출할 때, 현재 데이터 전송률 보다 한 단계 낮은 데이터 전송률의 전송 성공 확률을 1로 가정한다.
이어서, 단말기는 단계 S201에서 산출된 제 1 블록 수율(U*)과 제 3 블록 수율(U-)을 비교하여 제 1 블록 수율(U*)이 제 3 블록 수율(U-)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한다(S203).
이때,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률 상태가 복합 전송률 상태인 경우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도 1의
Figure 112007063648020-pat00032
이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률 상태가 단일 전송률 상태이고 현재의 데이터 전송률을 낮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도 1의
Figure 112007063648020-pat00014
이다.
단계 S203의 확인 결과, 제 1 블록 수율(U*)이 제 3 블록 수율(U-) 보다 작은 경우, 단말기는 데이터 전송 실패 횟수를 1 증가시키고(도 3의 데이터 전송 실패 횟수 "1" 증가)(S205), 이를 기 설정된 실패기준횟수(Fth)와 비교한다(S207).
단계 S207의 결과, 데이터 전송 실패 횟수(1 증가된 데이터 전송 실패 횟수)가 기 설정된 실패기준횟수 이상인 경우, 단말기는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추고, 이를 데이터 전송 시 반영한다(S209). 즉, 최적의 데이터 전송률은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춘 값이 되는 것이다.
한편, 단계 S203의 확인 결과, 제 1 블록 수율(U*)이 제 3 블록 수율(U-) 보 다 작지 않은 경우, 단말기는 전송률 추정 절차를 종료한다.
다른 한편, 단계 S207의 결과, 데이터 전송 실패 횟수가 기 설정된 실패기준횟수 이상이 아닌 경우, 단말기는 단계 S201 이후의 절차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최적의 전송률 추정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률 상태가 단일 전송률 상태(전송률 i 또는 i+1 중 어느 하나만을 데이터 프레임에 적용)이고, 현재의 데이터 전송률을 높일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기는 특정 데이터 블록 내에서 전송이 성공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m)와 전송이 실패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n)의 차를 산출한다(S301).
이어서, 단말기는 단계 S301에서 산출된 값을 기 설정된 임계치(Mth)와 비교하여 전송이 성공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m)와 전송이 실패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n)의 차가 임계치(Mth) 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확인한다(도 1의
Figure 112007012144980-pat00015
)(S303).
단계 S303의 확인 결과, 전송이 성공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m)와 전송이 실패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n)의 차가 임계치(Mth)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단말기는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를 1 증가시키고(도 4의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 "1" 증가)(S305), 이를 기 설정된 성공기준횟수(Sth)와 비교한다(S307).
단계 S307의 결과,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1 증가된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가 기 설정된 성공기준횟수 이상인 경우, 단말기는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높이고, 이를 데이터 전송 시 반영한다(S309). 즉, 최적의 데이터 전송률은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높인 값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데이터 블록이 4개의 데이터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임계치(Mth)가 2라고 가정할 경우, 단말기는 블록 내의 모든 데이터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전송되거나(m=4, n=0), 3개의 데이터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전송되면(m=3, n=1), 한 단계 높은 데이터 전송률이 현재 데이터 전송률 보다 낫다고 판단한다.
한편, 단계 S303의 결과, 전송이 성공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와 전송이 실패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의 차가 임계치(Mth) 보다 작으면, 단말기는 현재의 데이터 전송률을 유지하고(S311), 전송률 추정 절차를 종료한다.
다른 한편, 단계 S307의 결과,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가 기 설정된 성공기준횟수 이상이 아닌 경우, 단말기는 단계 S301 이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블록 전송 시 망의 채널 환경에 따라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하기 이전에 블록 내의 일부 프레임에 대해서만 전송률을 변경하기 때문에, 잘못된 전송률 선택으로 인한 데이터 전송의 성능 저하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복수의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성공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채널 측정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802.11e 표준을 변경하기 않고도 802.11e 표준을 적용하는 단말기 상에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 구현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무선랜 시스템에서 블록 데이터 전송 시 현재 채널 상태에 따라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랜 망에서 현재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수율 및 현재 데이터 전송률보다 한 단계 높거나 낮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수율을 비교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고, 상기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데이터 전송률을 최적의 전송률로 하여 데이터 전송 시 반영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률 상태가 복합 전송률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단계는,
    무선랜 망에서 데이터 블록이 전송됨에 따라 기 설정된 조건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제 1 블록 수율(U*) 및 상기 현재 데이터 전송률 보다 한 단계 높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제 2 블록 수율(U+)을 산출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 블록 수율(U*)과 상기 제 2 블록 수율(U+)을 비교하여 제 1 블록 수율(U*)이 제 2 블록 수율(U+) 보다 작으면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를 1 증가시키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 1-2 단계에서 1 증가된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를 기 설정된 성공기준횟수(Sth)와 비교하여 상기 1 증가된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가 기 설정된 성공기준횟수(Sth) 이상이면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3 단계에서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단계의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데이터 전송률은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높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3. 무선랜 시스템에서 블록 데이터 전송 시 현재 채널 상태에 따라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랜 망에서 현재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수율 및 현재 데이터 전송률보다 한 단계 높거나 낮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수율을 비교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고, 상기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데이터 전송률을 최적의 전송률로 하여 데이터 전송 시 반영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률 상태가 복합 전송률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단계는,
    무선랜 망에서 데이터 블록이 전송됨에 따라 기 설정된 조건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제 1 블록 수율(U*) 및 상기 현재 데이터 전송률 보다 한 단계 낮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제 3 블록 수율(U-)을 산출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 블록 수율(U*)과 상기 제 3 블록 수율(U-)을 비교하여 제 1 블록 수율(U*)이 제 3 블록 수율(U-) 보다 작으면 데이터 전송 실패 횟수를 1 증가시키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1-2단계에서 1 증가된 데이터 전송 실패 횟수를 기 설정된 실패기준횟수(Fth)와 비교하여 상기 1 증가된 데이터 전송 실패 횟수가 기 설정된 실패기준횟수(Fth) 이상이면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3 단계에서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단계의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데이터 전송률은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4. 무선랜 시스템에서 블록 데이터 전송 시 현재 채널 상태에 따라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랜 망에서 현재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수율 및 현재 데이터 전송률보다 한 단계 높거나 낮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수율을 비교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고, 상기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데이터 전송률을 최적의 전송률로 하여 데이터 전송 시 반영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률 상태가 단일 전송률 상태이고, 현재의 데이터 전송률을 낮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계는,
    무선랜 망에서 데이터 블록이 전송됨에 따라 기 설정된 조건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제 1 블록 수율(U*) 및 상기 현재 데이터 전송률 보다 한 단계 낮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제 3 블록 수율(U-)을 산출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 블록 수율(U*)과 상기 제 3 블록 수율(U-)을 비교하여 제 1 블록 수율(U*)이 제 3 블록 수율(U-) 보다 작으면 데이터 전송 실패 횟수를 1 증가시키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2 단계에서 1 증가된 데이터 전송 실패 횟수를 기 설정된 실패기준횟수(Fth)와 비교하여 상기 1 증가된 데이터 전송 실패 횟수가 기 설정된 실패기준횟수(Fth) 이상이면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1-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3 단계에서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단계의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데이터 전송률은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Figure 112007012144980-pat00016
    이며,
    상기
    Figure 112007012144980-pat00017
    는 전송률 i의 비트 레이트, 상기
    Figure 112007012144980-pat00018
    는 전송률 j의 비트 레이트, 상기
    Figure 112007012144980-pat00019
    는 전송률 i로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성공 확률, 상기
    Figure 112007012144980-pat00020
    는 전송률 j로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성공 확률, 상기
    Figure 112007012144980-pat00021
    는 블록 내에서 전송률 i로 전송된 유효 데이터의 총 바이트 수, 상기
    Figure 112007012144980-pat00022
    는 블록 내에서 전송률 j로 전송된 유효 데이터의 총 바이트 수, 상기
    Figure 112007012144980-pat00023
    는 블록 전송과 그에 대한 전송 확인 신호 수신에 걸리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112007012144980-pat00024
    Figure 112007012144980-pat00025
    이며,
    상기
    Figure 112007012144980-pat00026
    는 블록 내에서 전송률 i를 이용하여 전송에 성공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이며, 상기
    Figure 112007012144980-pat00027
    는 블록 내에서 전송률 i를 이용하여 전송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률 상태가 단일 전송률 상태이고, 현재의 데이터 전송률을 낮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 3 블록 수율(U-)을 산출할 때, 상기 현재 데이터 전송률 보다 한 단계 낮은 데이터 전송률의 전송 성공 확률을 1로 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8. 무선랜 시스템에서 블록 데이터 전송 시 현재 채널 상태에 따라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랜 망에서 현재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수율 및 현재 데이터 전송률보다 한 단계 높거나 낮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수율을 비교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고, 상기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데이터 전송률을 최적의 전송률로 하여 데이터 전송 시 반영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률 상태가 단일 전송률 상태이고, 현재의 데이터 전송률을 높일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계는,
    특정 데이터 블록 내에서 전송이 성공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m)와 전송이 실패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n)의 차를 산출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1 단계에서 산출된 값을 기 설정된 임계치(Mth)와 비교하여 상기 전송이 성공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m)와 전송이 실패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n)의 차가 상기 임계치(Mth) 보다 크거나 같으면,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를 1 증가시키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2 단계에서 1 증가된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를 기 설정된 성공기준횟수(Sth)와 비교하여 상기 1 증가된 데이터 전송 성공 횟수가 기 설정된 성공기준횟수(Sth) 이상이면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3 단계에서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단계의 가장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갖는 전송률은 현재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높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9. 삭제
KR1020070013583A 2007-02-09 2007-02-09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KR100856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583A KR100856085B1 (ko) 2007-02-09 2007-02-09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US11/859,251 US7957286B2 (en) 2007-02-09 2007-09-21 Method for estimating optimized transmission bit rat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583A KR100856085B1 (ko) 2007-02-09 2007-02-09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085B1 true KR100856085B1 (ko) 2008-09-02

Family

ID=3968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583A KR100856085B1 (ko) 2007-02-09 2007-02-09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57286B2 (ko)
KR (1) KR100856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814B1 (ko) * 2007-11-30 2014-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망에서 비트 레이트 가변 제어 방법
US8323481B2 (en) * 2009-02-12 2012-12-04 Red Leaf Resources, Inc. Carbon management and sequestration from encapsulated control infrastructures
US8520728B2 (en) 2010-09-23 2013-08-27 Intel Corporation Adaptive data transmission rate control for a wireless display device
US9451489B2 (en) 2013-11-07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TE uplink throughput estim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477A (ko) * 2004-01-15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 스테이션 간에 통신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5596A1 (en) * 2005-03-23 2006-09-28 Intel Corporation Network aware cross-layer protocol methods and apparatus
US7426395B2 (en) * 2005-03-31 2008-09-1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select data rates for a wireless system
US20060285494A1 (en) * 2005-06-17 2006-12-21 Intel Corporation Dynamic link speed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477A (ko) * 2004-01-15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 스테이션 간에 통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92815A1 (en) 2008-08-14
US7957286B2 (en) 201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2096B2 (en) Communicating data between an access point and multiple wireless devices over a link
ES2351541T3 (es) Métodos para medir la interferencia en estaciones inalámbricas.
US20070054690A1 (en) Adaptive power control mechanism in wlan
EP2332045B1 (en) Method&apparatus for minimizing packet transmission loss in a wireless network
US20060209763A1 (en) Multi-mode link adaptation
JP5146739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50027131A (ko) 전송 레이트 결정 방법 및 전송 레이트 결정 시스템
WO2004075589A1 (ja) 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517638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チャネル相関を使用した自動データ速度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4182512A1 (en) Offloading communication from a cellular network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O2015089169A1 (en) Adapting basic service set basic rate set for 802.11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JP2008512024A (ja) 無線網におけるリンク適応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60037363A1 (en)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bursty-interference environment
KR100856085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JP2012533929A (ja) 無線システムのリンクバジェットを改善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EP3420656B1 (en) Link adaptation on a license assisted access carrier
CN101517994A (zh) 用于确定通信系统的服务质量的方法和装置
US10952086B2 (en) Fast rate adaptation for WLAN devices
EP1460790A2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JP2008512025A (ja) 無線網におけるエラー識別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956819B1 (ko) 패킷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는 방법
EP2677796B1 (en)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method,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device, and program
WO2015168110A1 (en) Bursty-interference-aware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conditional metric
KR2012005651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EP1868405B1 (en) Method for optimizing recep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exchanges in synchronous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and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