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286B1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5286B1 KR100855286B1 KR1020070012720A KR20070012720A KR100855286B1 KR 100855286 B1 KR100855286 B1 KR 100855286B1 KR 1020070012720 A KR1020070012720 A KR 1020070012720A KR 20070012720 A KR20070012720 A KR 20070012720A KR 100855286 B1 KR100855286 B1 KR 1008552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humidification
- water
- filter
- cas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10000001736 Capillarie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09 allerge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8125 Nicot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50 Cl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60 Reticul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72 allerg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794 allergic hypersensi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937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2 cl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을 위한 가동되는 송풍기를 통해 가습모듈에 배치된 가습필터의 물을 자연증발시키기 때문에, 송풍기를 공용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필터에 공급된 물이 자연 증발되어 상기 가습필터에 곰팡이 등의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spontaneously evaporates the water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disposed in the humidification module through a blower operated for air cleaning, the blower can be used in common,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naturally evaporated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mol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고,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ure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고,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습모듈의 사시도이고,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shown in Figure 2,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된 가습모듈의 측단면도이고,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cut along the cutting line A-A shown in Figure 4,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절단선 B-B를 따라 절단된 가습모듈의 정단면도이고, 6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cut along the cutting line B-B shown in FIG. 4,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가습모듈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umidification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습모듈의 사시도이고,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shown in FIG.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절단선 C-C를 따라 절단된 가습모듈의 단면도이고,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cut along the cutting line C-C shown in FIG.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절단선 D-D를 따라 절단된 가습모듈의 단면도이고,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cut along the cutting line D-D shown in FIG. 8,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가습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ication modul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절단선 E-E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E-E shown in FIG. 11.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필터모듈 22 : 프리필터20: filter module 22: pre-filter
23 : 플라즈마필터 24 : 항균필터23: plasma filter 24: antibacterial filter
25 : 알레르겐필터 26 : 헤파필터25: allergen filter 26: hepa filter
27 : 탈취필터 30 : 송풍기27: deodorizing filter 30: blower
32 : 모터 34 : 원심팬32: motor 34: centrifugal fan
36 : 팬하우징 40 : 가습모듈36: fan housing 40: humidification module
42 : 가습필터 44 : 물탱크42: humidification filter 44: water tank
46 : 하우징 48 : 모세관부재46
50 : 케이스 52 : 프론트케이스50: case 52: front case
54 : 리어케이스 56 : 오리피스케이스54: rear case 56: orifice case
58 : 데코케이스 60 : 조작부58: decor case 60: control panel
65 : 전장부65: Battlefield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가습모듈이 탈착가능하게 배치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leaner in which a humidification module is detachably disposed.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가 배치되고, 상 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필터모듈을 배치시키며, 상기 필터모듈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 등을 집진 또는 여과시킨다. 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provided with a blower for flowing air therein, and a filter module is disposed on an air passage of the air flowing by the blower, and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flowing by the filter module is collected or filtered. .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송풍기에 의해 공기를 유동시킬 뿐, 건조한 실내공간을 가습하는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only the air flows by the blower, the function is not provided to humidify the dry indoor space.
본 발명은 가습모듈이 배치되어 실내 공기의 습도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er in which a humidification module is disposed to control humidity of indoor air.
또한 본 발명은 송풍기의 토출 유로 상에 가습모듈을 배치시켜 공기청정을 위한 송풍기와 가습을 위한 송풍기를 공용화시킨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air purifier in which a humidifier module is disposed on a discharge flow path of a blower and a blower for air cleaning and a blower for humidification are shared.
또한 본 발명은 송풍기의 토출 유로 상에 가습모듈을 배치시켜 상기 송풍기의 토출 공기에 의해 물이 자연증발되게 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air purifier in which a humidification module is disposed on a discharge flow path of a blower so that water is naturally evaporated by the discharge air of the blower.
본 발명은 내부에 송풍기가 배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물탱크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을 공급받는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 blower disposed therein, a humidification module detachably disposed on the case, wherein the humidification module includes a housing detachable from the case, a water tank disposed in the housing, It is disposed, and provides an air cleaner including a humidification filter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ater tank by capillary action.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습모듈이 삽입되는 설치슬릿과, 상기 설치슬릿을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송풍기의 토출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습필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ase may include an installation slit into which the humidification module is inserted, and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to open and close the installation slit. The humidification module may be disposed at a discharge side of the blow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may be fixed to the housing.
또한, 상기 물탱크에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을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하는 모세관부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습모듈을 지지하는 가이드리브가 더 형성되며, 상기 송풍기에서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습필터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tank is further disposed capillary member for supply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by the capillary phenomenon, the case is further formed with a guide rib for supporting the humidification module, discharged from the blower At least some of the air may pass through the humidification filter and be discharged out of the cas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송풍기가 배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고,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을 공급받는 가습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purifier includes a case having a blower disposed therein, and a humidification module detachably disposed at the case, wherein the humidification module is detached from the case and stores a water tank. And a humidifying filter disposed in the water tank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tank by capillary action.
여기서 상기 가습필터는 상기 물탱크에 고정되거나, 상기 물탱크에 안착될 수 있다. Here, the humidification filter may be fixed to the water tank, or may be seated on the water tank.
또한, 상기 물탱크는 상기 가습필터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면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에는 상기 가습필터와 접촉되는 면에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탱크 내부의 물을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하는 모세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의 하측에는 상기 가습필터가 안착되고,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이 유동되는 물공급관이 더 형성되고, 상기 모세관부재는 상기 물공급관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tank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edge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the water tank has a capillary member for supply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by capillary action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umidification filter The water tank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pipe in which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seated, a water flow in the water tank flows, and the capillary member may be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pip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하겠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500)는 흡입구(12) 및 토출구(14)가 형성된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12)에서 상기 토출구(14)로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을 여과하는 필터모듈(20)과,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12) 및 상기 토출구(14)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30)와, 상기 케이스(50)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14)로 유동되는 공기 중으로 습기를 공급하는 가습모듈(4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air clean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케이스(50)는 상기 흡입구(12)가 배치되는 프론트케이스(52)와, 상기 토출구(14)가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52)과 결합되는 리어케이스(54)와, 상기 프론트케이스(52) 및 상기 리어케이스(5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12)에서 흡입된 공기를 모아 상기 송풍기(30)로 안내하는 오리피스케이스(56)와, 상기 프론트케이스(52)를 감싸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52)와 결합되는 데코커버(58)와, 상기 프론트케이스(52)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2)와 연결되게 개구부(13)가 형성된 프론트패널(53)과, 상기 프론트패널(53)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13)를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5)를 포함한다. The
여기서 상기 케이스(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프론 트커버(15)와 상기 프론트패널(53) 사이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개구부(13)를 거쳐 상기 오리피스케이스(56)의 전면으로 유동되고, 상기 오리피스케이스(56)의 오리피스(57)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기(30)로 유동되며, 상기 송풍기(30)는 상기 오리피스케이스(56) 및 상기 리어케이스(54) 사이에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토출구(14)로 토출시킨다. Here, looking at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필터모듈(2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스(21)와, 상기 필터케이스(21)의 후면 테두리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케이스(52)와 상기 필터케이스(21) 사이의 유격을 밀폐시키는 밀봉부재(21a)와, 상기 필터케이스(21)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리필터(22)와, 상기 프리필터(22)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플라즈마필터(23)와, 상기 플라즈마필터(23)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항균필터(24)와, 상기 항균필터(24)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알레르겐필터(25)와, 상기 알레르겐필터(25)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헤파필터(26)와, 상기 헤파필터(26)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탈취필터(27)를 포함한다. The
상기 프리필터(22)는 맨 앞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비교적 큰 먼지를 걸러내는 작용을 하는 것과 더불어 항균작용과 구리 항곰팡이 처리를 수행한다. The
상기 플라즈마필터(23)는 인가된 전류를 (-), (+)로 대전시켜 큰 입자상 오염물 제거 및 진드기 사체나, 꽃가루, 담배연기, 곰팡이균 등을 집진시킨다. The
상기 항균필터(24)는 광촉매 항균필터로,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오물이나 냄새분자, 그리고 상기 프리필터(22)에 이어 2차적인 항균 기능을 하고, 알레르기 입자나 곰팡이균도 제거하게 된다.The
상기 알레르겐필터(25)는 알레르기(Allergy)를 일으키는 알레르겐을 흡착하여 분해하는 필터이다.The
상기 헤파필터(26)는 에어(air)필터로, 공기중의 미세먼지는 물론, 분진, 진드기 사체, 꽃가루, 담배연기(입자), 부유곰팡이균, 동물털 등과 같은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The HEPA
상기 탈취필터(27)는 상기 헤파필터(156)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종합 탈취필터로, 공기중의 담배연기(냄새), 생활악취, 음식쓰레기 냄새, 화장실 악취 등과 같은 다양한 냄새를 제거하는 카본필터의 일종이다. The
여기서 상기 필터모듈(20)은 상기 프론트패널(53) 및 상기 프론트케이스(5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57)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 및 집진한다. Here, the
상기 송풍기(30)는 모터(32)와, 상기 모터(32)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심팬(34)과, 상기 원심팬(34)에 의해 가압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14) 측으로 안내하는 팬하우징(36)을 포함한다. The
상기 모터(32)는 상기 오리피스케이스(56)에 고정되고, 상기 팬하우징(36)은 상기 오리피스케이스(56) 및 상기 리어케이스(54)와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팬하우징(36)은 상기 오리피스(57)와 연통되고, 상기 오리피스케이스(56)의 배면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리어케이스(54)가 상기 팬하우징(36)의 배면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원심팬(34)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14)로 안내한다. The
한편, 상기 프론트케이스(52)의 상부에는 조작버튼 등이 배치되어 사용자로 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60)가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케이스(56)에는 상기 조작부(60)의 신호 및 실내 환경에 따라 공기청정기(100)의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전장부(65)가 배치된다. Meanwhile, an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습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된 가습모듈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절단선 B-B를 따라 절단된 가습모듈의 정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cut along the cutting line AA shown in Figure 4, Figure 6 is cut along the cutting line BB shown in FIG. Section view of a humidified module.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가습모듈(40)은 상기 케이스(50)에 착탈되고, 상기 리어케이스(54)와 상기 오리피스케이스(5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기(30)를 통해 토출된 공기와 접촉되며, 상기 토출공기에 습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상기 토출공기를 가습한다. 2 to 6, the
여기서 상기 리어케이스(54)에는 상기 가습모듈(40)이 삽입되기 위한 설치슬릿(59)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케이스(54)에는 상기 설치슬릿(59)을 개폐하는 개폐커버(49)가 배치된다. Here, the
여기서 상기 개폐커버(49)는 상기 리어케이스(54)에 힌지(59a) 회전되게 배치되고,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회전됨으로서 상기 설치슬릿(59)을 폐쇄시킨다. Here, the opening and closing
또한, 개방 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개폐커버(49)를 힌지회전시켜 상기 설치슬릿(59)을 개방시킨 후 상기 가습모듈(40)을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삽입할 수 있고, 상기 개폐커버(49)는 상기 설치슬릿(59)을 차폐하도록 탄성지지되어 상기 리어케이스(54)의 배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송풍기(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설치슬릿(59)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when opening, the user hinge-rotates the opening /
또한, 상기 리어케이스(54)에는 상기 가습모듈(40)의 착탈방향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가습모듈(40)을 지지하는 가이드리브(54a)가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가습모듈(40)은 상기 송풍기(30)에서 토출된 공기가 관통되는 가습필터(42)와, 상기 가습필터(42)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44)와, 상기 가습필터(42) 및 상기 물탱크(44)를 지지하는 하우징(46)을 포함한다. The
상기 가습필터(42)는 다공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물을 흡습하고, 상기 토출공기가 관통되어 상기 토출구(14) 측으로 유동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격자구조 또는 허니콤구조로 형성시킨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기(30)에서 토출된 공기가 모두 상기 가습필터(42)를 거쳐 토출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송풍기(30)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만 거쳐 토출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In this embodiment, all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상기 하우징(46)은 상기 가습필터(42)가 고정되어 지지되고, 상기 물탱크(44)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리브(54a)에 지지된다. The
상기 물탱크(44)는 상측에 주입구(44a)가 형성되어 물이 주입되고, 하측에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가습필터(42)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홀(4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홀(44b)에는 미세한 모세관을 형성하는 모세관부재(48)가 배치되어 소정량의 물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가습필터(42)에 공급되게 한다. The
상기 모세관부재(48)는 상기 물탱크(44)에 저장된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가습필터(42)에 공급하고, 상기 가습필터(42)는 상기 모세관현상에 의해 공급된 물에 의해 적셔진다. Th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가습모듈의 작동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humi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먼저, 사용자는 물탱크(44)에 물을 채우고, 상기 가습모듈(40)을 상기 설치슬릿(59)을 통해 삽입하며, 상기 가습모듈(40)은 상기 리어케이스(54)에 형성된 가이드리브(54a)에 지지되면서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된다. First, the user fills the
여기서 상기 가습모듈(4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리어케이스(54)에 설치된 개폐커버(49)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설치슬릿(59)을 폐쇄한다. In this case, when the insertion of the
한편, 상기 물탱크(44)에 저장된 물은 상기 물공급홀(44b)에 배치된 모세관부재(48)를 통해 상기 가습필터(42)로 이동된다. Meanwhile, the water stored in the
여기서 상기 모세관부재(48)는 미세한 관으로 형성된 바, 상기 물탱크(44)에 저장된 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가습필터(42)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모세관부재(48)와 접촉한 상기 가습필터(42)로만 소정량씩 이동된다. Here, the
또한, 상기 가습필터(42)에 젖셔진 물의 양이 충분하면, 상기 가습필터(42)에 공급된 물에 의해 형성된 수막에 의해 상기 모세관부재(48)의 다공성 관이 막히게 되고, 이 경우, 상기 물탱크(44)에서 상기 가습필터(42)로 이동되는 물의 흐름은 정지된다. In addition, if the amount of water wetted to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물탱크(44)의 물을 공급할 때, 별도의 액추에이 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세관현상 및 수막 현상에의해 소정량의 물을 상기 가습필터(42)에 공급할 수 있다. As such, the present embodiment may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 the
한편, 상기 공기청정기(100)는 상기 가습모듈(40)의 설치여부와 무관하게 작동할 수 있는 바, 상기 가습모듈(40)은 상기 공기청정기(100)의 작동 중 또는 정지 시 어느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공기청정기(100)의 공기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송풍기(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모듈(20)을 통과하면서 집진/탈취/항균/여과되며, 상기 필터모듈(20)을 통과한 공기는 오리피스케이스(56)의 오리피스(57)를 통해 상기 송풍기(30)로 유동된다. Looking at the air flow of the
이후, 상기 송풍기(30)에 유동된 공기는 원심팬(34)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토출되고, 상기 팬하우징(36)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가습모듈(40) 측으로 토출된다. Thereafter, the air flowing in the
그리고 가습모듈(40) 측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가습필터(42)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습필터(42)에 적셔진 물을 증발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토출공기의 습도를 증가시킨다. The air discharged to the
여기서 상기 가습필터(42)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송풍기(3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공기청정기(100)의 송풍기(30)는 공기청정을 위한 공기의 유동과, 가습을 위한 공기의 유동을 위해 공용으로 사용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송풍기(30)의 송풍량을 조절함으로서 가습을 위한 공기 유동을 세기를 함께 조정할 수 있다. He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또한, 상기 가습모듈(40)은 공기청정기(100)의 토출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습성능이 월등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습필터(42)에 적셔진 물이 자연 증발에 의해 공기중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가습필터(42)에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가습모듈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습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절단선 C-C를 따라 절단된 가습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절단선 D-D를 따라 절단된 가습모듈의 단면도이다.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umidification modul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shown in FIG. 7, and FIG. 9 is a cut line CC shown in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 humidification module,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cut along the cutting line DD of FIG. 8.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케이스(50)의 측방향에서 가습모듈(140)이 탈착되게 배치된다. 7 to 10, in this embodiment, the
그래서 상기 리어케이스(54)의 측부에 상기 설치슬릿(59)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슬릿(59)을 개폐하는 상기 개폐커버(49) 역시 상기 리어케이스(54)의 측부에 배치된다. Thus, the installation slit 59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모듈(140)은 공기청정기(100)의 측방향에서 착탈되게 배치되어 공기청정기(100)가 벽에 밀접해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케이스(50)의 측부로 가습모듈(140)을 탈착할 수 있다. Thus, the
한편, 상기 가습모듈(140)은 상기 일 실시예와 달리 하우징의 역할을 물탱크(144)가 겸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가습모듈(140)은 가습필터(142)와, 상기 가습필터(142)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습필터(142)가 고정되는 물탱크(144)와, 상기 물탱크(144)의 물을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가습필터(142)에 공급하는 모세관부재(148)를 포함한다. That is,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144)는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습필터(142)가 내측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물탱크(144)는 상기 가습필터(142)가 고정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여기서 상기 물탱크(144)는 리어케이스(54)에 형성된 가이드리브(154a)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스(50) 내측으로 안내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145)이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물탱크(144)와 상기 가습필터(142)가 접촉하는 상기 물탱크(144)의 내측벽(144a)에는 상기 모세관부재(148)가 배치되고, 상기 모세관부재(148)를 통해 상기 가습필터(142)에 물이 공급된다. In addition,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above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가습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절단선 E-E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ication modul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E-E of FIG.
본 실시예는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144)에 상기 가습필터(142)가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가습필터(142)의 하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145)이 더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그래서 상기 물공급관(145)은 상기 물탱크(144)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물을 공급받고, 상기 모세관부재(148)는 상기 물공급관(145)에 배치된다. Thus, the
여기서 상기 물공급관(145)은 상기 가습필터(14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습필터(142)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서, 상기 가습필터(142)가 상기 물탱크(144)에 고정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또한, 상기 송풍기(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바, 상기 가습필터(142)의 하측에 공급된 물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가습필터(142)의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됨으로서, 상기 가습필터(142)의 전 부분에 물이 신속히 확산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flowing by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above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더불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may be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공기청정을 위한 가동되는 송풍기를 통해 가습모듈에 배치된 가습필터의 물을 자연증발시키기 때문에, 송풍기를 공용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필터에 공급된 물이 자연 증발되어 상기 가습필터에 곰팡이 등의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spontaneously evaporates the water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disposed in the humidification module through a blower operated for air cleaning, the blower can be used in common,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naturally evaporated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mold.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에 배치된 설치슬릿을 통해 가습모듈이 착탈되기 배치되어, 공기청정 중에도 가습모듈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o be detachable through the installation slit disposed in the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even during the air cleaning humidific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은 가습모듈의 가습필터가 송풍기의 토출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된 토출공기에 의해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송풍기의 원심팬 속도를 조절하여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양 및 풍속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umidification filter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blower and supplies water to the air by the discharge air generated in the blower, the humidifying air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by adjusting the centrifugal fan speed of the blower. The amount and wind speed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본 발명은 가습모듈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모세관현상을 통해 가습필터에 소정량씩 자동 공급되기 때문에,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동력을 소모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umidification module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by a predetermined amount through the capillary phenomenon, the humidification module does not need a separate device that consumes power to suppl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have.
또한 본 발명은 가습필터가 물탱크에 안착 또는 고정되기 때문에, 가습필터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seated or fixed in the water tank,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humidification filter.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2720A KR100855286B1 (en) | 2007-02-07 | 2007-02-07 | Ai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2720A KR100855286B1 (en) | 2007-02-07 | 2007-02-07 | Air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3902A KR20080073902A (en) | 2008-08-12 |
KR100855286B1 true KR100855286B1 (en) | 2008-09-01 |
Family
ID=3988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2720A KR100855286B1 (en) | 2007-02-07 | 2007-02-07 | Air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528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2832B1 (en) * | 2008-11-19 | 2009-12-21 | 황춘섭 | Diecasting on deep narrow pattern with polyimid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4442A (en) * | 1997-03-22 | 1998-11-05 | 김창수 | Air Purifying Humidifier |
KR20030027362A (en) * | 2001-09-28 | 2003-04-07 | 주식회사 에어피아 | Air cleaner |
KR200431451Y1 (en) * | 2006-09-05 | 2006-11-23 | 김복실 | Natural convection type Humidify-kit |
-
2007
- 2007-02-07 KR KR1020070012720A patent/KR10085528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4442A (en) * | 1997-03-22 | 1998-11-05 | 김창수 | Air Purifying Humidifier |
KR100492825B1 (en) * | 1997-03-22 | 2005-08-17 | 김창수 | The air filtering humidifier |
KR20030027362A (en) * | 2001-09-28 | 2003-04-07 | 주식회사 에어피아 | Air cleaner |
KR200431451Y1 (en) * | 2006-09-05 | 2006-11-23 | 김복실 | Natural convection type Humidify-k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3902A (en) | 2008-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6852B1 (en) | Air refining device and ion generator used for the device | |
KR100708358B1 (en) | Blow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
JP5520901B2 (en) | Air cleaner | |
CA2271916A1 (en) | A dev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door air | |
JP2018044762A (en) | Humidification air cleaner | |
JP2009068802A (en) | Humidity controller | |
KR101817092B1 (en) | Air cleaner | |
US10190786B2 (en) | Humidifying air cleaner | |
KR101240123B1 (en) | Air washer | |
JP6116698B2 (en) | Air conditioner | |
KR20190001334A (en) | Humidification air purifier that can perform both one of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 | |
KR20130107535A (en) | Humidifier | |
KR100855286B1 (en) | Air cleaner | |
KR100823632B1 (en) | Air cleaner | |
JP2007007151A (en) | Air cleaner | |
KR100835967B1 (en) | Air cleaner | |
CN211400111U (en) | Air dehumidifying device with air purifying function | |
JP4935874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JP4752862B2 (en) | Air cleaner | |
JP2016016340A (en) | Air cleaner | |
KR100558273B1 (en) | Natural humidification system and naturally humidifying air cleaner having the same | |
KR101631221B1 (en) | Air cleaner having partition wall unit | |
KR200341638Y1 (en) | Natural humidification system, and Humidifying air cleaner | |
KR100512621B1 (en) | Air cleaner | |
KR100575315B1 (en) | Air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