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500B1 -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500B1
KR100853500B1 KR1020070033451A KR20070033451A KR100853500B1 KR 100853500 B1 KR100853500 B1 KR 100853500B1 KR 1020070033451 A KR1020070033451 A KR 1020070033451A KR 20070033451 A KR20070033451 A KR 20070033451A KR 100853500 B1 KR100853500 B1 KR 100853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r
weeds
germination inhibitor
management method
herbi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김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8783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535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일 filed Critical 김동일
Priority to KR102007003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잡초 발생 초기에 발아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초제 혼합액을 처리하여 장기간 제초효과를 유지함으로써 연중 3회의 화학적 방제만으로도 연중 지속적인 제초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최적화된 아미노산액비 시비 및 잔디 깎기를 실시하여 최소한의 처리와 비용으로도 연중 쾌적한 상태의 잔디를 유지할 수 있는 종합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은, (a) 잔디의 신엽은 발생되지 않고 겨울을 지낸 다년생 잡초와 동계잡초의 신엽이 발생된 시기에 비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1차 제초단계와; (b) 하계잡초의 신엽이 발생되는 시기에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2차 제초단계와; (c) 장마철 이후 8월 1일∼9월 10일 사이에 여름철에 발생된 잡초를 제거하고 일년생 잡초의 종자생성을 억제하며 이후 발생하는 동계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3차 제초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력 제초가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3회의 화학적 방제만으로도 연중 지속적인 제초효과를 얻을 수 있고, 연중 3회의 잔디 깎기에 의해서도 우수한 생육 촉진 및 분얼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탁월한 관리비용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난지형잔디, 종합관리방법, 제초제, 아미노산 액비, 화학적 방제

Description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wn grass}
도 1은 발생시기에 따른 잡초 분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잡초 발생 초기에 발아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초제 혼합액을 처리하여 장기간 제초효과를 유지함으로써 연중 3회의 화학적 방제만으로도 연중 지속적인 제초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최적화된 아미노산액비 시비 및 잔디 깎기를 실시하여 최소한의 처리와 비용으로도 연중 쾌적한 상태의 잔디를 유지할 수 있는 종합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잔디는 난지형과 한지형으로 크게 분류된다. 난지형에는 들잔디, 야지, 금잔디, 건희, 중지, 비단잔디가 포함된 한국잔디류(Korean lawn grass 또는 Zoysia grass)와 건우, 티프웨이 419가 포함된 버뮤다그래스(Bermuda grass) 등이 있으며, 한지형에는 켄터키블루그래스(Kentucky blue grass), 벤트 그라스(Bent grass), 훼스큐 그라스(Fescue grass), 라이 그라스(Rye grass), 위핑 러브 그라스(Weeping love grass) 등이 있다. 이들 중 난지형잔디는 재생력이 강하고, 답압에 강하고, 병충해가 적으며 공해에도 잘 견디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국내에서 가장 넓게 사용되고 있다.
잔디는 인간에게 조경으로서의 효과, 휴양, 운동, 분진발생방지, 기온조절, 소음제거, 공기정화기능, 지표면 보호기능 등과 같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유용한 식물자원으로서 시비, 잔디 깎기, 병해충 방제 및 제초 등의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잔디의 지속적,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농업에서의 종합관리를 이에 적용하였다. 종합관리는 198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환경보전형농업 및 지속적 농업을 위하여 병해충종합관리(IPM; integrated pest management), 그리고 더욱 포괄적인 작물종합관리(ICM; integrated crop management), 농업생태계 설계와 관리(Agroecosystem design & management), 더 나아가 다원적자원 방법관리(Multiple resource system management)라는 신개념으로 모색되어왔다. 이러한 종합적 관리방법은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농업 생산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병해충 및 잡초 등과 같은 유해 요소의 발생 양태를 자료화하고, 이를 토대로 발생 예측 및 방제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농업 생산력을 향상시키고, 농약을 발생 초기에 처리하여 높은 예방, 치료효과 및 무분별한 남용을 막아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잔디와 잡초의 생리적 차이를 오랜 기간 연 구한 결과를 토대로 가장 최적화되고 체계화된 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을 제공한다.
잔디를 관리함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잡초로서, 잡초에는 약 70여종이 있으며, 광엽잡초와 화본과잡초 또는 일년생잡초와 다년생잡초로 분류하거나 발생시기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잡초를 발생시기에 따라 분류할 경우 도 1과 같이 춘·동계잡초, 하계잡초, 동계잡초로 분류하기도 하며, 또는 춘·동계잡초를 동계잡초에 포함시켜 크게 동계잡초와 하계잡초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계잡초"는 "하계잡초"와 대별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잡초는 잔디와 영양분 경합을 하여 잔디의 생육을 저하시키고, 잔디의 조경으로서의 효과를 비롯한 여러 유용한 기능도 떨어뜨린다. 따라서 잔디의 유지와 관리에는 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많은 경제적 비용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잡초 방제법으로는 인력에 의한 제초 및 기계적 예초를 포함하는 경종적 방제법과 화학농약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뿌리까지 직접 제거할 수 있는 인력 제초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 방법은 장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른 경제적 비용도 높아진다. 또한, 제초시 잡초의 종자가 퍼져 장기간 제초효과를 얻을 수 없다.
과거에 사용되었던 유기인계 농약들은 대부분 독성이 강하고, 잔류기간이 길어 인축 독성, 토양 잔류, 환경 오염 등의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화학 농약은 대부분 대상 병해충 및 잡초에만 독성을 나타내는 선택성을 갖고 있어 생태계 독성이 낮거나 없으며, 오히려 최근에는 농약의 생분해 및 광분해를 막기 위한 제형 개발이 요구될 정도로 잔류 기간이 짧아 잔류에 의한 토양 오염 및 독성이 낮아졌다.
화학적 방제에 관련된 기술로는 국내 특허공보 제0154424호에 벤타 존(bentazone)과 메코프롭(mecoprop)을 혼합, 살포하여 쇠치기풀을 방제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고, 국내 특허공보 제10-0199294호에는 잔디밭에 비선택성 제초제인 글리포세이트(glyphosate)를 처리함에 있어 지표면과 수직으로 살포하여 잔디의 약해를 줄이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또, 국내 특허공보 제10-0413011호에는 프라자설푸론(flazasulfuron)과 메코프롭(mecoprop)을 혼합 살포하여 약해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잔디에 발생하는 잡초의 일시적인 방제법으로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으며, 잡초 발생시마다 매번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국내 특허공보 제10-0240302호와 일본 특허공보 제2002-305972호에서는 재배 포장, 적용시기, 화학농약, 시비, 토양조건 등과 같은 잔디 관리의 제반사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각 실시 대상의 기후, 토양, 일조량, 배수조건 등을 포함하는 기초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선행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난지형잔디를 관리함에 있어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연중 종합관리방법을 적용하여, 체계적인 잔디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적절한 시기를 선택하여 잡초를 고사시키는 비선택적 및 선택적 제초제와 함께 발아억제제를 혼합 살포함으로써 연중 3회의 처리만으로도, 그리고 최소한의 화학 농약의 사용으로도 연중 지속적인 제초효과가 유 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시기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제초제 혼합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잡초의 일시적 방제가 아닌 연중 체계적인 계획에 의한 제초제 살포, 아미노산 액비시비 및 잔디 깎기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잔디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더 잘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은,
(a) 잔디의 신엽은 발생되지 않고 겨울을 지낸 다년생 잡초와 동계잡초의 신엽이 발생된 시기에 비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1차 제초단계와;
(b) 하계잡초의 신엽이 발생되는 시기에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2차 제초단계와;
(c) 장마철이후 8월 1일∼9월 10일 사이에 여름철에 발생된 잡초를 제거하고 일년생 잡초의 종자생성을 억제하며 이후 발생하는 동계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3차 제초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난지형잔디 연중 종합관리방법은 잡초 종류 및 발생시기에 따라 1년을 3단계로 나누어, 잡초의 발생 초기에 비선택성 또는 선택성 제초제로 출현한 잡초를 고사시키고 아울러 잡초 종자 발아억제제를 혼용함으로써 제초제의 사용량과 제초 횟수를 줄이면서도 연중 내내 잡초가 없는 상태로 잔디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관리방법이다. 이하 각 단계별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차 제초단계
바람직한 처리 시기는 3월 1일∼20일로서, 잔디의 신엽은 아직 발생되지 않고 겨울을 지낸 다년생 잡초와 저온에서 발아생육하는 잡초, 즉 동계잡초의 신엽이 발생된 시기를 1차 제초시기로 선택하여, 비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한다. 이 시기에 엽면을 통해 흡수되어 뿌리로 이행, 식물체 전체를 고사시키는 비선택성 제초제를 처리하면 신엽 발생 유무에 따라 비선택성 제초제임에도 불구하고 잡초에만 선택적으로 제초 활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렇게 잡초가 고사된 잔디밭에 종자 발아억제제를 함께 처리하여 장기간 제초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선택성 제초제로는 글루포시네이트(gluforsinate), 설포세이트(sulfosate), 파라쿠아트(paraquat),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아자훼니딘(azafenidin), 피라플루펜에틸(pyraflufen-ethyl)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선택성 제초제로서 글리포세이트(glyphosate)가 사용될 수 있다. 발아억제제로는 (스톰프, 펜타곤(팬디수화제, 펜디메탈린입상수화제), 데브리놀(데브리놀플러스, 뉴데브리놀, 동부파미드, 영일파미드, 이비엠플사이트, 파미놀 : 파미드수화제), 새그린(벤프루라린유제), 그린스타(벤프루라린, 이속사벤수화제), 해솜잔디키퍼(옥사지크로메폰액상수화제), 론파(벤설라이드유제), 카이저(디클로베닐, 이마자퀸입제), 해도지(옥사디아존, 펜디유제), 디멘존(디치오피르유제, 수화제), 써프란(오리자린액상수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리자린(oryzalin)이 사용될 수 있다. 비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가장 바람직한 혼합액은 물 20ℓ당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30.75∼369㎖ 및 오리자린(oryzalin) 4∼16㎖를 유효성분 함량으로 포함하도록 희석시켜 만든다. 처리는 일반적으로 고압 분무기로 분무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2차 제초단계
하계잡초의 신엽이 발생되는 시기에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한다. 바람직한 처리 시기는 5월 10일∼30일로서, 새롭게 발생하기 시작하는 하계잡초의 어린잎에, 잔디에는 해가 없으며 일년생 및 다년생 광엽잡초, 화본과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를 혼용 처리함으로써 제초활성을 높이고 장기간 제초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다. 선택성 제초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벤타존(bentazone), 엠씨피에이(MCPA; methylchlorophenoxy acetic acid), 프라자설푸론(flazasulfuron), 실록산(siloxane) 등이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발아억제제는 상기 1차 제초단계와 동일하다.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가장 바람직한 혼합액은 물 20ℓ당 벤타존(bentazone) 19.38∼103.54㎖, 엠씨피에이(MCPA; methylchlorophenoxy acetic acid) 2.88∼15.36㎖, 프라자설푸론(flazasulfuron) 0.1∼2g, 실록산(siloxane) 1.5∼6㎖ 및 오리자린(oryzalin) 4∼16㎖를 유효성분 함량으로 포함하도록 희석시켜 만든다. 처리는 일반적으로 고압 분무기로 분무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3차 제초단계
장마철이후 8월 1일∼9월 10일 사이에 여름철에 발생된 잡초를 제거하고 일년생 잡초의 종자생성을 억제하며 이후 발생하는 동계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8월 10일∼30일 중에 처리시기를 선택한다. 제초제 및 발아억제제는 상기 2차 제초단계와 동일하며, 가장 바람직한 혼합액도 동일하다.
일반적인 잔디 관리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잔디 관리방법에서도 시비 및 잔디 깎기 등 당업자에게 자명한 통상적인 관리단계가 공지의 목적에 따라 공지의 방법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로, 상기 제초처리 단계와 연관되어 가장 바람직한 시비방법 및 잔디 깎기를 본 발명의 연중 종합관리방법에 포함시켜 제공한다. 그러나 시비 및 잔디 깎기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미노산 액비 시비
본 발명의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에서는 다른 시비방법도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액비를 시비한다. 그 이유는 본 출원인의 선출 원 발명인 특허출원 10-2006-0075593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아미노산 액비가 일반적인 시비효과 외에도 토양 내 잔류하는 화학농약의 미생물학적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잔류농약을 제거하는 효과까지 있기 때문이다.
아미노산 액비는, 바람직하게는 연중 3회 시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제초처리가 끝난 후 4월 10일∼30일 사이에 아미노산 액비를 1차 시비하고, 상기 2차 제초처리가 끝난 후 6월 10일∼30일 사이에 2차 시비하며, 상기 3차 제초처리가 끝난 후 10월 1일∼20일 사이에 3차 시비한다. 1차 및 2차 시비에서는 신엽이 발생하는 잔디의 생육과 활력을 증진시키고 3차 시비에서는 월동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시비시기를 효과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연중 3회의 시비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또 화학농약의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토양을 회복시키는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미노산 액비로 (주)바이오넬에서 생산되는 복합 아미노산 제제인 아미노플러스를 400∼500배로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잔디 깎기
잔디 관리에서 필요에 따라 잔디 깎기를 시행하는 것은 당해 분야에서는 자명한 사항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초 및 시비단계와 연관시켜 연중 3회의 가장 바람직한 잔디 깎기 시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미노산 액비의 1차 시비가 끝난 후 4월 20일∼5월 20일 사이에 1차 잔디 깎기를 하고; 상기 아미노산 액비의 2차 시비가 끝난 후 7월 20일∼8월 10일 사이에 2차 잔디 깎기를 하며; 상기 3차 제초가 끝난 후 9월 1일∼9월 20일 사이에 3차 잔디 깎기를 한다. 적정시기의 잔디 깎기로 난지형잔디의 무성한 지상부를 관리해 줌으로써 연중 잡초 방제, 분얼 촉진 및 통풍이 좋아져 병해를 방제하는 효과 등을 볼 수 있다. 통상적인 잔디 관리에서 잔디 깎기가 일반적으로 연중 4회 이상 실시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종합적인 관리방법에 따라 연중 3회의 잔디 깎기만으로도 1년 내내 잔디를 보기 좋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학 농약 및 아미노산액비의 바람직한 조성, 함량, 권고량 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농약은 권고량의 2배량에서 약해가 없어야 농약으로서 등록되므로 조건에 따라 2배량을 처리할 수 있다는 사실은 당해 기술분야 종사자들에게는 통상적인 지식이다. 따라서 각각의 실제 사용량은 잔디밭의 제반사항 및 혼용에 의한 약해 가능성으로 인하여 권고량의 0.2∼2배까지 약량을 조절하여 처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26211610-pat00001
상기 제초제 혼합액 제조시 필요에 따라 살서제, 살충제, 살균제, 살선충제, 살비제 및 보조제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
1차 제초제 살포시 혼합 용액 20ℓ당 근사미액제TM(glyphosate 41%, 동부한농) 150㎖, 써프란액상수화제TM(oryzalin 40%, 한국삼공) 20㎖를 물에 희석하여 제조하였고, 2, 3차 제초제 살포시 혼합 용액은, 20ℓ당 밧사그란엠60TM(bentazone 31% + MCPA (methylchlorophenoxy acetic acid) 4.6%, 한국바스프) 100㎖, 파란들수화제TM(flazasulfuron 10%, 동부한농) 2g, 실루엣TM(siloxane 30%, 동부한농) 10㎖, 써프란액상수화제TM(oryzalin 40%, 한국삼공) 20㎖를 물에 희석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들 제초제 혼합 용액은 1톤 트럭에 장착된 고압 분무기를 사용하여 1㎡당 0.2ℓ씩 살포했다. 이외에 아미노산 액비시비는 (주)바이오넬에서 생산된 아미노플러스TM를 물에 500배 희석하여 1㎡당 0.5ℓ씩 처리하고, 잔디 깎기는 기계 예초기에 의해 실시하였다.
실시예에 의한 관리 비용은 다음 표 2에 상세히 명시하였다.
Figure 112007026211610-pat00002
상기 실시예는 2006년 1년 동안 대전국립현충원 소재 10,000㎡의 잔디밭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료에 의해 산출된 것이며 1㎡당 재료비 223원, 노무비 531.4원 및 경비 49.71원으로 총 804.11원의 경비가 소요되었으며, 연중 육안상 잡초가 없는 상태로 유지되었다. 또한 상기 농약의 혼합 살포에 의한 잔디의 어떠한 약해도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예 1
다음의 표 3은 비교예로서 일반관리시 연간 소요되는 관리비용을 한국토지공사 조경설계기준을 토대로 산출한 것으로 1㎡당 재료비 80.5원, 노무비 2,262.62원 및 경비 10.16원으로 총 2,353.27원의 관리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인력 제초 후 새로운 잡초의 출현을 방제하기 위해 잡초 발아억제제를 추가적으로 처리한다면 관리비용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Figure 112007026211610-pat00003
본 발명의 종합관리방법을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와 일반적인 공법으로 관리한 비교예 1의 경우를 연간 총 관리비 면에서 비교하여 다음의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26211610-pat00004
본 발명은 잔디와 잡초의 생리적 차이 및 영양분 경합 등의 조건을 장기간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잡초 발생 초기에 적합한 비선택성 제초제 및 선택성 제초제를 선택, 사용하여 잡초를 고사시키고, 잡초 종자 발아억제제를 혼용함으로써 장기간 제초효과를 유지하는 연중 잔디 관리방법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인력 제초가 전혀 필요치 않으며, 연중 3회의 화학적 방제만으로도 1년 내내 잡초가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종래의 무계획적 관리에 의한 무분별한 제초제 남용을 막아 환경 보존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연중 3회의 잔디 깎기만으로도 좋은 외관을 유지하고 아울러 우수한 생육 촉진 및 분얼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일반관리 방법 대비 66% 정도의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까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방법은, 잔디 포장에 대한 기초자료 조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잔디밭에도 즉시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8)

  1. (a) 잔디의 신엽은 발생되지 않고 겨울을 지낸 다년생 잡초와 동계잡초의 신엽이 발생된 시기에 비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1차 제초단계와;
    (b) 하계잡초의 신엽이 발생되는 시기에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2차 제초단계와;
    (c) 장마철이후 8월 1일∼9월 10일 사이에 여름철에 발생된 잡초를 제거하고 일년생 잡초의 종자생성을 억제하며 이후 발생하는 동계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3차 제초단계;를 포함하는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중 3회의 아미노산 액비 시비를 더 포함하는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연중 3회의 잔디 깎기를 더 포함하는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택성 제초제는 글리포세이트(glyphosate)이며, 상기 발아억제제는 오리자린(oryzalin)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성 제초제는 벤타존(bentazone); 엠씨피에이(MCPA; methylchlorophenoxy acetic acid); 프라자설푸론(flazasulfuron); 실록산(siloxa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택성 제초제 및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은 물 20ℓ당 유효성분의 함량을 기준으로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30.75∼369㎖; 오리자린(oryzalin) 4∼16㎖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은 물 20ℓ당 유효성분의 함량을 기준으로 벤타존(bentazone) 19.38∼103.54㎖; 엠씨피에이(MCPA; methylchlorophenoxy acetic acid) 2.88∼15.36㎖; 프라자설푸론(flazasulfuron) 0.1∼2g; 실록산(siloxane) 1.5∼6㎖; 오리자린(oryzalin) 4∼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7. (a) 3월 1일∼20일 사이에 비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1차 제초단계와;
    (b) 4월 10일∼30일 사이에 아미노산 액비를 1차 시비하는 단계와;
    (c) 상기 아미노산 액비 시비가 끝난 후 5월 1일∼5월 20일 사이에 1차 잔디 깎기를 하는 단계와;
    (d) 상기 잔디 깎기가 끝난 후 5월 10일∼30일 사이에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2차 제초단계와;
    (e) 6월 10일∼30일 사이에 아미노산 액비를 2차 시비하는 단계와;
    (f) 7월 20일∼8월 10일 사이에 2차 잔디 깎기를 하는 단계와;
    (g) 상기 잔디 깎기가 끝난 후 8월 10일∼30일 사이에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을 처리하는 3차 제초단계와;
    (h) 상기 3차 제초가 끝난 후 9월 1일∼9월 20일 사이에 3차 잔디 깎기를 하는 단계와;
    (i) 상기 3차 잔디 깎기가 끝난 후 10월 1일∼20일 사이에 아미노산 액비를 3차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선택성 제초제 및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은 물 20ℓ당 유효성분의 함량을 기준으로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30.75∼369㎖; 오리자린(oryzalin) 4∼16㎖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성 제초제와 발아억제제의 혼합액은 물 20ℓ당 유효성분의 함량을 기준으로 벤타존(bentazone) 19.38∼103.54㎖; 엠씨피에이(MCPA; methylchlorophenoxy acetic acid) 2.88∼15.36㎖; 프라자설푸론(flazasulfuron) 0.1∼2g; 실록산(siloxane) 1.5∼6㎖; 오리자린(oryzalin) 4∼16㎖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KR1020070033451A 2007-04-04 2007-04-04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KR100853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451A KR100853500B1 (ko) 2007-04-04 2007-04-04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451A KR100853500B1 (ko) 2007-04-04 2007-04-04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500B1 true KR100853500B1 (ko) 2008-08-22

Family

ID=3987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451A KR100853500B1 (ko) 2007-04-04 2007-04-04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5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595B1 (ko) * 2010-12-27 2011-10-05 산천초목조경(주) 제초제 조성물
KR101696200B1 (ko) * 2015-07-06 2017-01-23 윤여덕 잔디 생육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잡초 방제방법
CN109566667A (zh) * 2018-12-20 2019-04-05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生物技术研究所 一种促芽剂及其制备方法和在除草上的应用
KR20220112388A (ko) 2021-02-04 2022-08-11 김동일 보행자도로, 공원, 광장 등에서의 바닥포장의 연중 제초관리방법
KR20220112385A (ko) 2021-02-04 2022-08-11 김동일 난지형 잔디의 친환경적 연중 종합관리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858A (ja) * 1995-12-26 1997-07-08 Tosuko Kk 芝草の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858A (ja) * 1995-12-26 1997-07-08 Tosuko Kk 芝草の管理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595B1 (ko) * 2010-12-27 2011-10-05 산천초목조경(주) 제초제 조성물
KR101696200B1 (ko) * 2015-07-06 2017-01-23 윤여덕 잔디 생육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잡초 방제방법
CN109566667A (zh) * 2018-12-20 2019-04-05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生物技术研究所 一种促芽剂及其制备方法和在除草上的应用
CN109566667B (zh) * 2018-12-20 2020-01-10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生物技术研究所 一种促芽剂及其制备方法和在除草上的应用
KR20220112388A (ko) 2021-02-04 2022-08-11 김동일 보행자도로, 공원, 광장 등에서의 바닥포장의 연중 제초관리방법
KR20220112385A (ko) 2021-02-04 2022-08-11 김동일 난지형 잔디의 친환경적 연중 종합관리방법
KR102464178B1 (ko) * 2021-02-04 2022-11-09 김동일 난지형 잔디의 친환경적 연중 종합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ed et al. 2019 Flue-Cured Tobacco Production Guide
Vincelli et al. Chemical Control of Turfgrass Diseases 2014
Qasem Herbicides applications: problems and considerations
US20190320660A1 (en) Protein compositions for plant treatment
KR100853500B1 (ko) 난지형잔디의 연중 종합관리방법
Varlamoff et al. Georgia homeowner survey of landscape management practices
Hoshovsky Element stewardship abstract for Ulex europaeus
JP2008067695A (ja) 緑化管理方法
KR102464178B1 (ko) 난지형 잔디의 친환경적 연중 종합관리방법
Haywood Influence of herbicides and improvement cutting, fertilization, and prescribed fire on planted longleaf pine development
Prematilake Weed management in tea-recent developments
US11766042B1 (en) Organic contact herbicide and method of use thereof
Reed et al. Flue-cured tobacco production guide, 2012
Wiese et al. Experimental research informs control of Mexican petunia (Ruellia simplex) in natural areas and home-gardens.
Sukmana Alang-alang land in Indonesia: problems and prospects
White et al. Herbaceous weed control in conifer plantations with hexazinone and nitrogen formulations
Dumroese et al. National Proceedings: Forest and Conservation Nursery Associations--2004
Sellers et al. Weed Management in Pastures and Rangeland--2020: SS-AGR-08/WG006, rev. 02/2020
Siabusu Efficacy and residual effects of Topramezone and Dicamba herbicide on weed control in selected crops.
Jones Improving Production Practices of Alabama Christmas Trees
Khadduri Using essential oils to control moss and liverwort in containers
Gathala et al. Guidelines for dry seeded aman rice (DSR) in Bangladesh
Ezell et al. Pre-and postemergent applications of imazaquin for herbaceous weed control in eastern cottonwood plantations: second year results
Natarajan et al. Weed management by non chemical and chemical methods in greengram
Peabody et al. Blackberry control with systemic herbic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25

Effective date: 201112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000216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25

Effective date: 201112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