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304B1 -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304B1
KR100851304B1 KR1020070013446A KR20070013446A KR100851304B1 KR 100851304 B1 KR100851304 B1 KR 100851304B1 KR 1020070013446 A KR1020070013446 A KR 1020070013446A KR 20070013446 A KR20070013446 A KR 20070013446A KR 100851304 B1 KR100851304 B1 KR 100851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event
unconfirmed
task bar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유미
이혜원
임덕신
전희경
임경애
신영선
김효영
전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응용 프로그램 선택 시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표시하고,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 표시하는 과정과, 미확인 이벤트 발생 시 실행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는 과정과,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요구 시 또는 주기적으로 지속적인 미확인 이벤트들을 통보함으로써, 사용자가 간과하기 쉬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작업표시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기능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70013446
통신 단말기, 이벤트, 창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WINDOW OF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2에서 미확인 이벤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2에서 아이콘 실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2에서 표시되는 창 최소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도 2에서 신규 응용 프로그램 실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도 2에서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 종료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창 표시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창 표시 시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확인 이벤트 발생 시 창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능 이외에 다양한 메시지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들 중에 가장 대표적인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이다. 현재의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 이외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추가되는 복합 단말기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 등이 탑재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부재중 또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 등에서 착신되는 호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미확인된 이벤트가 있음을 안내하기 위한 창을 표시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미확인 이벤트가 발생된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면, 상기 통신 단말기는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모든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특정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 상기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표시 중인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을 종료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재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미확인 이벤트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되어 통신 단말기의 사용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서 모든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할 수 있는 창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서 미확인 이벤트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창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은, 응용 프로그램 선택 시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 표시하는 과정과, 미확인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실행창을 상기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는 과정과,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은, 기능 수행 시 상기 수행되는 기능을 창으로 표시하고, 상기 수행되는 기능의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 표시하는 과정과, 다른 기능 선택 시 상기 표시되는 창을 상기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다른 기능을 다른 창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에서, "이벤트"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및 착신에 관련되는 이벤트 및 사용자에 의해 통신 단말기에 설정되는 이벤트들을 의미한다. 즉 이러한 이벤트로는 호, 메시지 등에 관련되는 이벤트, 예컨대 발신호, 착신호, 부재중 착신호, 수신 메시지, 발신 메시지 등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알람 이벤 트, 예컨대 모닝콜, 알람, 할 일, 스케쥴 등이 있다. "미확인 이벤트"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이벤트 중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한 이벤트 또는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이벤트 중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한 이벤트들을 의미한다. "확인 이벤트"라는 용어는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사용자가 확인하는 이벤트 또는 미확인 이벤트 중 사용자가 확인한 이벤트 등을 의미한다. "미확인 이벤트 리스트"라는 용어는 미확인된 이벤트들을 표시하기 위해 미확인 이벤트들이 등록되는 리스트를 의미한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에 부가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즉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으로는 달력, 시계, 계산기, 메모장, 카메라, MP3 등이 있다. "아이콘(icon)"이라는 용어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이벤트의 특성을 함축하고 있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즉 각각의 아이콘들은 각기 다른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작업표시줄"이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 영역으로서, 미확인 이벤트에 해당하는 아이콘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아이콘 등이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 표시하고, 사용자 요구 시 또는 주기적으로 지속적인 미확인 이벤트들을 통보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 단말기는 창을 표시하는 중에 다른 창을 표시하기 위한 요구 발생 시, 표시 중인 창을 최소화하고 다른 창을 표시한다. 그리고 창 또는 다른 창은 미확인 이벤트의 발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창 또는 통신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실행창이다. 또한 통신 단말기는 창을 통신 단말기 화면의 전체 영역에 표시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을 표시하는 중 미확인 이벤트 발생 시, 통신 단말기는 표시 중인 안내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고 최근 발생된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을 표시한다.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표시하는 중 미확인 이벤트 발생 시, 통신 단말기는 표시 중인 실행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고 최근 발생된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을 표시한다.
한편,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을 표시하는 중 작업표시줄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통신 단말기는 표시 중인 안내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고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창을 작업표시줄로부터 최대화한다. 이 때 선택된 아이콘이 미확인 이벤트의 아이콘이면, 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을 표시한다. 그리고 선택된 아이콘이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이면, 통신 단말기는 안내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작업표시줄로부터 최대화한다.
또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표시하는 중 작업표시줄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통신 단말기는 표시 중인 실행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고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창을 작업표시줄로부터 최대화한다. 이 때 선택된 아이콘이 미확인 이벤트의 아이콘이면, 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을 표시한다. 그리고 선택된 아이콘이 표시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이면, 통신 단말기는 표시 중인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한 다음, 동일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을 작업표시줄로부터 최대화한다.
한편,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 또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표시하는 중 창을 최소화하기 위한 요구 발생 시, 통신 단말기는 표시 중인 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고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작업표시줄로부터 최대화한다.
한편,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 또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표시하는 중 작업표시줄에 해당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는 신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요구 발생 시, 통신 단말기는 표시 중인 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고 신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표시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는 신규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 표시한다.
한편,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 또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표시하는 중 창을 종료하기 위한 요구 발생 시, 통신 단말기는 표시 중인 창을 종료하고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작업표시줄로부터 최대화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는 해당 아이콘을 작업표시줄로부터 제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리스트를 표시하는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는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카메라부(150), 영상 처리부(160), 표시부(170) 및 키 입력부(18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2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창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는 통신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것이 가능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각 항목들의 이벤트 및 그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을 저장한다.
제어부(130)는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발생시키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부(15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 센서라 가정하며,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센서와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160)는 카메라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60)는 카메라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7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6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영상 처리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부(170)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18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미확인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211), 미확인 이벤트를 처리한다(213). 이 때 미확인 이벤트는 미확인 이벤트 발생 시 표시할 이벤트로 설정된 이벤트가 수신되었으나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설정된 기능을 설정된 시간에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수행되는 미확인 이벤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최근 발생된 미확인 이벤트를 저장부(120)에 저장한 다음(311), 미확인 이벤트를 분석한다(313). 이 때 제어부(130)는 미확인 이벤트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작업표시줄에 해당 이벤트 아이콘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15). 이 후 해당 이벤트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30)는 해당 이벤트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 표시하고, 해당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수를 표시한다(317). 이 때 작업표시줄에는 항상 표시되도록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아이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아이콘 등이 표시되고 있다.
또는 작업표시줄에 해당 이벤트 아이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30)는 해당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수를 변경한다(319). 즉 제어부(130)는 해당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수를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표시 중인 창, 즉 미확인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부터 표시되고 있는 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한다(321). 이 때 표시 중인 창은 이전에 발생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안내창,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후 제어 부(130)는 최근 발생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안내창을 표시한다(323).
다음으로, 최근 발생한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325),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부(170) 상에 표시한다(327). 이 때 제어부(130)는 작업표시줄에서 해당하는 이벤트의 미확인 이벤트 수를 변경한다(329). 즉 제어부(130)는 해당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해당 이벤트의 이전의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331). 이 때 이전의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작업표시줄로부터 해당 이벤트 아이콘을 제거한다(333). 이 후 제어부(130)는 작업표시줄로부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을 최대화한 다음(335), 도 2로 리턴한다.
한편, 통신 단말기(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미확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표시줄의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221), 선택된 아이콘을 실행한다(223). 이 때 선택된 아이콘은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해당하는 아이콘일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서 수행되는 아이콘 실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아이콘이 이벤트 아이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411). 이 때 선택된 아이콘이 이벤트 아이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표시 중인 창, 즉 아이콘이 선택되기 전부터 표시되고 있는 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한다(413). 이 때 표시 중인 창은 이전에 발생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안내창,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30)는 최근 발생한 미확인 이벤 트를 포함하는 미확인 이벤트 리스트를 나타내는 안내창을 표시한다(415). 또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안내창과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의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100) 화면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되는 미확인 이벤트 리스트로부터 특정 미확인 이벤트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417),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부(170) 상에 표시한다(419). 이 때 제어부(130)는 작업표시줄에서 해당하는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수를 변경한다(421). 즉 제어부(130)는 해당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표시되는 이벤트 이외에 해당 이벤트의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423). 이 때 이전의 미확인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작업표시줄로부터 해당 이벤트 아이콘을 제거한다(425). 이 후 제어부(130)는 작업표시줄로부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을 최대화한 다음(427), 도 2로 리턴한다.
또는 작업표시줄로부터 선택된 아이콘이 이벤트 아이콘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표시 중인 창, 즉 아이콘이 선택되기 전부터 표시되고 있는 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한다(429). 이 때 표시 중인 창은 이전에 발생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안내창,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30)는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을 최대화한 다음(431), 도 2로 리턴한다. 이 때, 선택된 아이콘이 수행 중인 기능에 해당하는 아이콘인 경우, 표시 중인 창과 최대화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은 동일하다.
한편, 통신 단말기(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작업표시줄의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표시 중인 창을 최소화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130)가 이를 감지하고(231), 표시 중인 창을 최소화한다(233). 이 때 표시 중인 창은 이전에 발생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안내창,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5는 도 2에서 수행되는 표시되는 창 최소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표시 중인 창, 즉 최소화하고자 하는 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한다(511). 이 때 표시 중인 창은 이전에 발생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안내창,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안내창과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의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100) 화면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30)는 작업표시줄로부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을 최대화한 다음(513), 도 2로 리턴한다. 이 때 표시 중인 창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인 경우, 표시 중인 창과 최대화되는 창은 동일하다.
한편, 통신 단말기(100)에서 표시 중인 창을 최소화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신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24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신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243). 이 때 신규 응용 프로그램은 해당 아이콘이 작업표시줄에 존재하지 않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표시 중인 창, 즉 신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하는 요구가 발생하기 전부터 표시되고 있는 창을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한다(611). 이 때 표시 중인 창은 이전에 발생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안내창,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 표시한다(613).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을 표시한다(615).
한편, 통신 단말기(100)에서 신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표시되는 창을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251), 표시되는 창을 종료한다(253). 이 때 표시 중인 창은 이전에 발생된 미확인 이벤트에 대한 안내창,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표시되는 창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11). 이 때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도 2로 리턴한다.
또는 표시되는 창이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작업표시줄로부터 해당 아이콘을 제거한다(713). 그리고 제어부(130)는 표시 중인 창을 종료한다(715). 즉 제어부(130)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서 제거하고, 표시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실행창을 제거한다. 이 후 제어부(130)는 작업표시줄로부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을 최대화한 다음(335), 도 2로 리턴한다.
한편, 통신 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창을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아닌 다른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130)는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261).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창 표시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요구의 발생이 감지될 때까지, 제어부(130)는 이전의 절차들을 반복한다(211 내지 261).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창 표시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도 8a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8b는 미확인 이벤트 발생 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8c는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작업표시줄(800)에 음악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아이콘(801)이 표시되고, 화면(805)의 일정 영역에 음악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807)이 표시된다. 이 때 미확인 이벤트 발생 시, 표시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807)이 작업표시줄(800)로 최소화된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표시줄(800)에 해당 이벤트의 아이콘(809)이 표시되고, 화면(805)의 일정 영역에 미확인 이벤트 안내창(811)이 표시된다. 또한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요구나 미확인 이벤트 안내창(811)을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지 않고,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803), 예컨대 달력 또는 시계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작업표시줄(800)로부터 선택되면, 표시 중인 미확인 이벤트 안내창(811)이 작업표시줄(800)로 최소화된다. 이 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805)의 일정 영역에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813)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창 표시 시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구성 예를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도 9a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9b 및 도 9c는 사용자에 의해 미확인 이벤트의 해당 아이콘 선택 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d는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작업표시줄(900)에 음악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아이콘(901)이 표시되고, 화면(907)의 일정 영역에 음악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909)이 표시된다. 이 때 작업표시줄(900)로부터 미확인 이벤트에 해당하는 아이콘(903)이 선택되면, 표시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909)이 작업표시줄로 최소화된다. 그리고 화면(907)의 일정 영역에 미확인 이벤트 안내창(911)이 표시된다. 이 때 미확인 이벤트 안내창(911)의 일부 영역(915)에는 미확인 이벤트의 각각의 종류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이 나열된다. 그리고 미확인 이벤트 안내창(911)의 다른 영역(913)에는 실질적인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 정보가 표시되며, 미확인 이벤트 안내창(911)을 최소화하기 위한 키(917)가 더 표시된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확인 이벤트 안내창(911)의 일부 영역(913)으로부터 다른 종류의 미확인 이벤트를 확인하고자 하는 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미확인 이벤트 안내창(911)이 표시된다. 게다가 미확인 이벤트 안내창(911)을 최소화하기 위한 키(917) 입력이 발생하거나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905), 예컨대 달력 또는 시계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작업표시줄(800)로부터 선택되면, 표시 중인 미확인 이벤트 안내창(911)이 작업표시줄로 최소화된다. 이 후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805)의 일정 영역에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창(919)이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은, 사용자 요구 시 또는 주기적으로 지속적인 미확인 이벤트들을 통보함으로써, 사용자가 간과하기 쉬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작업표시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기능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5)

  1. 응용 프로그램 선택 시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 표시하는 과정과,
    미확인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실행창을 상기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는 과정과,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아이콘이 상기 작업표시줄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아이콘을 상기 작업표시줄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수를 상기 작업표시줄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아이콘이 상기 작업표시줄에 존재하면, 상기 작업표시줄에서 상기 미확인 카운트 수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창에서 상기 미확인 이벤트 선택 시 상기 선택된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고, 상기 작업표시줄에서 상기 미확인 카운트 수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창 표시 중 상기 작업표시줄에서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실행창을 상기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는 과정과,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창에서 상기 미확인 이벤트 선택 시 상기 선택된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고, 상기 작업표시줄에서 상기 미확인 카운트 수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창은 상기 미확인 이벤트를 리스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창 또는 안내창은 상기 통신 단말기 화면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10. 기능 수행 시 상기 수행되는 기능을 창으로 표시하고, 상기 수행되는 기능의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 표시하는 과정과,
    다른 기능 선택 시 상기 표시되는 창을 상기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다른 기능을 다른 창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화 과정은,
    미확인 이벤트 발생 시 수행되며,
    상기 다른 창은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안내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표시줄에 상기 다른 기능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화 과정은,
    상기 작업표시줄에서 상기 다른 기능의 아이콘 선택 시 수행되며,
    상기 다른 창 표시 과정은,
    상기 다른 창을 상기 작업표시줄로부터 최대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창의 최소화 요구 시 상기 표시되는 창을 상기 작업표시줄로 최소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다른 기능의 아이콘을 상기 작업표시줄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되는 기능의 종료 요구 시 상기 표시되는 창을 종료하고, 상기 수행되는 기능의 아이콘을 상기 작업표시줄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능의 아이콘 표시 과정은,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아이콘이 상기 작업표시줄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아이콘을 상기 작업표시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18. 삭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창은 상기 미확인 이벤트를 리스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미확인 카운트 수를 상기 작업표시줄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미확인 이벤트의 아이콘이 상기 작업표시줄에 존재하면, 상기 작업표시줄에서 상기 미확인 카운트 수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창에서 상기 미확인 이벤트 선택 시 상기 선택된 미확인 이벤트를 표시하고, 상기 작업표시줄에서 상기 미확인 카운트 수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23. 삭제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통신 단말기 화면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25. 삭제
KR1020070013446A 2007-02-08 2007-02-08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KR100851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446A KR100851304B1 (ko) 2007-02-08 2007-02-08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446A KR100851304B1 (ko) 2007-02-08 2007-02-08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304B1 true KR100851304B1 (ko) 2008-08-08

Family

ID=3988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446A KR100851304B1 (ko) 2007-02-08 2007-02-08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3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002A (ko) 2003-04-23 200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20050018145A (ko) 2003-08-13 2005-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작업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002A (ko) 2003-04-23 200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20050018145A (ko) 2003-08-13 2005-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작업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0356B2 (en) Method of displaying call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apted to display call information
KR1006894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 설정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EP1887816B1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fter SIM card withdrawal
KR101873056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001086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238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timer control operation
KR20060105441A (ko)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15006520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panding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US100640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telephone number in a terminal
CN109800097B (zh) 通知消息提醒方法、存储介质和移动终端
KR100851304B1 (ko) 통신 단말기의 창 표시 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CN103384293A (zh) 分体式终端间应用协同的方法及分体式终端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1467885B1 (ko) 터치스크린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277151B1 (ko) 통신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처리 방법
KR1006811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1007501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입력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방법
KR100640348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KR100689409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표시부에 데이터 표시방법
KR10153430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80018332A (ko) 통신 단말기의 정보 리스트 표시 방법
KR101394262B1 (ko)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
KR2006010902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