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926B1 - 냉장고용 포켓조립체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포켓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926B1
KR100850926B1 KR1020070032338A KR20070032338A KR100850926B1 KR 100850926 B1 KR100850926 B1 KR 100850926B1 KR 1020070032338 A KR1020070032338 A KR 1020070032338A KR 20070032338 A KR20070032338 A KR 20070032338A KR 100850926 B1 KR100850926 B1 KR 10085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refrigerator
wall
adjusting bel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70032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포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도어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수직비드 사이에 설치되고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포켓, 상기 포켓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포켓의 전후방 폭을 조절하게 되는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포켓의 내벽에 배치되는 조절띠, 상기 조절띠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포켓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조절띠의 타단을 선택적으로 결속하기 위해 상기 포켓의 내벽 타측에 설치되는 결속부재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용 포켓구조를 통해 수납되는 식품에 따라 포켓의 전후방 폭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식품을 간편하고 안정하게 수납할 수 있어 수납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포켓, 결속부재, 조절띠, 폭조절, 냉장고, 도어

Description

냉장고용 포켓조립체{POCKET ASSEMBLY FOR REFRIGERATORS}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용 포켓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포켓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결속부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2의 수직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포켓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포켓 110 : 개구부
120 : 가이드돌기
200, 200' : 조절장치 210 : 조절띠
211 : 돌기 220 : 고정부재
221 : 고정홈 222 : 가이드홈
230 : 결속부재 231 : 몸체
231a : 삽입홈 231b : 가이드홈
232 : 레버 232a : 후크
233 : 제1 스프링 234 : 버튼
234a : 가압돌기 235 : 제2 스프링
236 : 제3 스프링
본 발명은 냉장고용 포켓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가 큰 캔이나 음료수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냉장고용 포켓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각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장고 내의 공기를 냉각시킴에 따라 내부에 저장된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여 변질되지 않고 장시간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과 냉동실로 분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의 후면에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계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의 이면에는 자주 사용하는 식품을 보다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은 도어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수직비드 내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은 포켓을 통해 식품을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으며, 더불어 내장고의 수납공간을 보다 크게 확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포켓은 포켓에 수납할 수 있는 식품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식품의 크기가 포켓의 폭보다 클 경우에는 포켓 내에 수납하지 못하고 선반에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부피가 큰 식품을 포켓에 무리하게 수납할 경우 포켓의 전면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20217호로 "냉장고의 도어포켓"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냉장고의 도어포켓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도어(10)의 내면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비드(3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측으로는 고정홀(32)이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각 도어포켓(80) 설치위치에 대응되도록 횡방향의 가이드홈(34)이 각각 형성된 한쌍의 수직비드(30)와, 상기 가이드홈(34)에 양측단부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움결합되는 직사각형 판상의 받침부(50)와, 상기 수직비드(30)에 형성된 고정홀(3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걸림턱(44)을 구비한 고정부재(42)가 양단부에 결합되는 가요성밴드(4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의 도어포켓을 통해 포켓보다 부피가 큰 식품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어 수납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장고의 도어포켓은 식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가요 성밴드(40)를 오래 사용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인장되면서 식품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에 따라 냉장실 도어의 개폐시 식품이 덜거덕거리거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정시간 경과후 인장된 가요성밴드(40)를 교환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에 따른 유지비용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도어포켓에 수납되는 식품의 부피에 따라 포켓의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수납의 효율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용 포켓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용 포켓조립체는,
냉장고 도어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수직비드 사이에 설치되고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포켓, 상기 포켓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포켓의 전후방 폭을 조절하게 되는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포켓의 내벽에 배치되는 조절띠, 상기 조절띠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포켓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조절띠의 타단을 선택적으로 결속하기 위해 상기 포켓의 내벽 타측에 설치되는 결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또한, 냉장고 도어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수직비드 사이에 설치되고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포켓, 상기 포켓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포켓의 전후방 폭을 조절하게 되는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포켓의 내벽에 배치되는 조절띠, 상기 조절띠의 양측 단부를 선택적으로 각각 결속하기 위해 상기 포켓의 내벽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결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포켓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띠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일측 선단에 상기 조절띠의 표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후크가 구비된 레버, 상기 후크 반대쪽 레버와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가 조절띠의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레버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버튼, 상기 버튼의 가압돌기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띠의 내측면에는 상기 레버의 후크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의 일면은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켓의 일측면과 조절띠는 제3 스프링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포켓의 내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양측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슬라이드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띠의 중앙에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밴드, 스프링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내면에는 조절띠의 표면을 가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과 냉동실로 분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미도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어의 내면에는 자주 사용하는 식품을 보다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포켓(100)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100)은 도어의 내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수직비드(미도시) 내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포켓(100)의 정면 중앙에는 상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상기 포켓(100)의 폭을 확장할 수 있는 조절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100)의 내벽 양측 단부에는 "ㄱ"자 형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20)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120)를 통해 후술되는 고정부재(220) 및 결속부재(230)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100)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외측으로 확장됨에 따라 상기 포켓(100) 내부에 수납되는 식품의 크기에 따라 포켓(100)의 전후방 폭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조절장치(200)는 포켓(100)의 내벽에 배치되는 조절띠(210)와, 상기 조절띠(210)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20)와, 상기 조절띠(210)의 타단을 결속하는 결속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띠(210)는 상기 포켓(100)의 개구부(110)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포켓(100)의 전후방 폭을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포켓(100)의 내벽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후면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돌기(211)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211)의 적어도 일면 이상은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 보았을때 돌기(211)의 우측면은 경사지게 형성하고 좌측면은 수직면으로 형성한다.
즉, 조절띠(210)의 중앙을 개구부(110)를 통해 수납되는 식품보다 크게 확장시킨 상태에서 식품을 포켓(100)에 삽입한 다음, 조절띠(210)의 타단을 후술되는 결속부재(230) 내부에 밀어 넣는다.
그러면, 조절띠(210)의 돌기(211)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후술되는 레버(232)의 후크(232a)가 가이드되면서 결속부재(230) 내부에 조절띠(210)가 삽입된다.
이후, 조절띠(210)가 식품을 안정되게 지지하게 되면, 돌기(211)의 수직면에 후크(232a)가 걸림되면서 조절띠(2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식품을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결속부재(230)와 대향하는 조절띠(21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정면에는 고정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21)의 상하부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20)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가이드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220)의 고정홈(221)에 상기 조절띠(210)를 끼움 다음, 상기 가이드홈(222)을 상기 가이드돌기(120)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움 결합함으로써 조절띠(210)의 일단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20)의 내측면에는 가압돌기(22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압돌기(223)를 통해 조절띠(2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속부재(230)는 상기 조절띠(210)의 타단을 선택적으로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100)의 타측 내벽에 설치되는 몸체(231)와, 상기 몸체(23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띠(210)의 타단을 결속하는 레버(232)와, 상기 레버(232)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233)과, 상기 레버(232)의 결속상태를 해제하는 버튼(234)과, 상기 버튼(234)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235)과, 상기 몸체(231)의 내면 및 상기 조절띠(210)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3 스프링(236)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231)는 상기 조절띠(210)의 타단을 길이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정면에는 상기 조절띠(21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삽입 홈(231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31a)의 상하부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20)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가이드홈(231b)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232)는 상기 조절띠(210)의 타단을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231)의 삽입홈(231a)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며, 일측 선단(도 3에서 보았을때 후방쪽 선단)에는 상기 조절띠(210)의 후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211)에 걸림되도록 후크(232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프링(233)은 상기 레버(232)의 후크(232a)쪽 후면과 몸체(231)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232)의 후크(232a)가 상기 돌기(211)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버튼(234)은 상기 레버(232)의 후크(232a)가 조절띠(210)의 돌기(21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232)의 후크(232a) 반대쪽 타단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버(232) 내측과 몸체(231)의 삽입홈(231a) 사이에 설치되되, 상부는 상기 몸체(231)의 상면을 통해 돌출되고, 상기 상부 아래쪽에는 레버(232)의 후크(232a) 반대쪽 타단을 점차적으로 가압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가압돌기(234a)가 형성되며, 끝단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제2 스프링(235)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버튼(234)의 상부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돌기(234a)의 경사면이 상기 레버(232)의 타단을 점차적으로 가압하여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레버(232)의 선단에 형성된 후크(232a)가 돌기(211)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조절띠(21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띠(210)를 몸체(231) 내에서 소정길이만큼 배출시키면, 배출되는 길이에 의해 조절띠(210)의 중앙이 상기 개구부(110)의 외측으로 만곡하게 확장되며, 상기 버튼(234)을 가압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제1 및 제2 스프링(233)(2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버튼(234) 및 레버(232)가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조절띠(210)의 타단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식품의 크기에 따라 조절띠(210)의 길이를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확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띠(210)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제3 스프링(236)을 통해 포켓(100)의 일측면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3 스프링(236)의 탄성력을 통해 조절띠(210)를 상기 포켓(100)의 일측면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레버(232)의 후크(232a)가 조절띠(210)의 돌기(211)에서 분리되더라도 포켓(100)에 수납되는 식품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용 포켓조립체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속부재(230)의 버튼(234)을 하측방향으로 가압하여 레버(232)의 후크(232a)를 조절띠(210)의 돌기(211)에서 분리시킨 다음, 조절띠(210)의 중앙을 포켓(100)의 개구부(110) 외측으로 돌출시켜 포켓의 폭을 확장시킨다.
그런 다음, 확장된 조절띠(210)의 내부에 큰 부피를 가지는 식품을 삽입한 다음, 조절띠(210)의 타단을 결속부재(230) 내부에 밀어 넣는다.
그러면, 조절띠(210)의 돌기(211)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레버(232)의 후크(232a)가 가이드되면서 결속부재(230) 내부로 조절띠(210)가 삽입된다.
이후, 조절띠(210)가 식품을 안정되게 지지하게 되면, 돌기(211)의 수직면에 후크(232a)가 걸림되면서 조절띠(2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식품을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포켓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부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전술한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장치(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0)의 양측 포켓(100) 내벽에 전술된 결속부재(230)를 설치하여 상기 조절띠(210)의 양측 단부를 선택적으로 각각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결속부재(230)를 통해 조절띠(210)의 양측 단부를 선택적으로 결속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조절띠(2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하나의 결속부재가 파손 또는 훼손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결속부재를 통해 조절띠(2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조절띠의 다른 실시예로서, 조절띠(210)의 중앙을 분리하고 그 사이를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밴드(미도시)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포켓(100)에 수납 되는 식품을 상기 조절띠(210)를 통해 지지함과 동시에 고무밴드를 통해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밴드 대신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용 포켓조립체를 통해 수납되는 식품에 따라 포켓의 전후방 폭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식품을 간편하고 안정하게 수납할 수 있어 수납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냉장고 도어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수직비드 사이에 설치되고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포켓,
    상기 포켓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포켓의 전후방 폭을 조절하게 되는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포켓의 내벽에 배치되는 조절띠,
    상기 조절띠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포켓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조절띠의 타단을 선택적으로 결속하기 위해 상기 포켓의 내벽 타측에 설치되는 결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포켓조립체.
  2. 냉장고 도어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수직비드 사이에 설치되고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포켓,
    상기 포켓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포켓의 전후방 폭을 조절하게 되는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포켓의 내벽에 배치되는 조절띠,
    상기 조절띠의 양측 단부를 선택적으로 각각 결속하기 위해 상기 포켓의 내벽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결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포켓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포켓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띠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일측 선단에 상기 조절띠의 표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후크가 구비된 레버,
    상기 후크 반대쪽 레버와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가 조절띠의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레버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버튼,
    상기 버튼의 가압돌기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포켓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띠의 내측면에는 상기 레버의 후크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포켓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일면은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포켓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일측면과 조절띠는 제3 스프링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포켓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포켓의 내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양측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슬라이드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포켓조립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띠의 중앙에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밴드, 스프링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포켓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내면에는 조절띠의 표면을 가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포켓조립체.
KR1020070032338A 2007-04-02 2007-04-02 냉장고용 포켓조립체 KR10085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338A KR100850926B1 (ko) 2007-04-02 2007-04-02 냉장고용 포켓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338A KR100850926B1 (ko) 2007-04-02 2007-04-02 냉장고용 포켓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926B1 true KR100850926B1 (ko) 2008-08-08

Family

ID=3988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338A KR100850926B1 (ko) 2007-04-02 2007-04-02 냉장고용 포켓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069A (ko) 2021-01-27 2023-01-25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타플루프로스트의 정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6751A (ja) * 1995-02-20 1996-09-03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の扉
KR19990056263A (ko) * 1997-12-29 1999-07-15 전주범 부분가변폭의 냉장고의 도어포켓
KR19990027985U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냉장고의 음료가드
KR19990035518U (ko) * 1998-02-02 1999-09-15 윤종용 냉장고의 도어포켓용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6751A (ja) * 1995-02-20 1996-09-03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の扉
KR19990027985U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냉장고의 음료가드
KR19990056263A (ko) * 1997-12-29 1999-07-15 전주범 부분가변폭의 냉장고의 도어포켓
KR19990035518U (ko) * 1998-02-02 1999-09-15 윤종용 냉장고의 도어포켓용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069A (ko) 2021-01-27 2023-01-25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타플루프로스트의 정제 방법
KR20230129019A (ko) 2021-01-27 2023-09-05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타플루프로스트의 정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5204B2 (en) Refrigerator
US8801124B2 (en)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KR101641263B1 (ko) 냉장고
US8277005B2 (en) Refrigerator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RU2384286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телескопическим выдвижным механизмом
US20080203739A1 (en) Mixed type refrigerator with unit to keep doors closed
US9072378B2 (en) Adjustable drawer divider
KR101918059B1 (ko) 드로어 밀폐유지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8651600B2 (en) Shelf and refrigerator with the same
US20130119846A1 (en) Refrigerator
KR20160100221A (ko) 냉장고
KR20130114963A (ko) 세미 오토 클로징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622229B1 (ko) 냉장고
US20060192469A1 (en) Slide guide for pushing/drawing box into/out of refrigerator
JP2010249491A (ja) 冷蔵庫
KR20090114265A (ko) 탈취유닛을 구비한 냉장고
KR20090106935A (ko) 드로어커버를 구비한 냉장고
US20140319989A1 (en) Refrigerator having door opening unit
US20090026162A1 (en) Can receiv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850926B1 (ko) 냉장고용 포켓조립체
US8162422B2 (en) Refrigerator
KR20090006373A (ko) 냉장고의 선반고정구조
JP7247284B2 (ja) 冷蔵庫
KR20090066778A (ko) 냉장고용 선반
KR20090066712A (ko) 냉장고용 포켓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