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284B1 -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284B1
KR100850284B1 KR1020070080845A KR20070080845A KR100850284B1 KR 100850284 B1 KR100850284 B1 KR 100850284B1 KR 1020070080845 A KR1020070080845 A KR 1020070080845A KR 20070080845 A KR20070080845 A KR 20070080845A KR 100850284 B1 KR100850284 B1 KR 10085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discharge
inlet
hol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균희
Original Assignee
고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균희 filed Critical 고균희
Priority to KR102007008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284B1/ko
Priority to PCT/KR2008/004651 priority patent/WO200902283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발생부의 임펠러에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어 토출되는 펌프유닛의 내부에서 유체에 혼입된 이물질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유체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펌프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으로 유입된 유체를 원심력에 의해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분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펌프, 펌프유닛, 모터, 유체, 와류, 임펠러, 이물질 제거장치

Description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A pump that this material exclusion device is equiped}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발생부에 연결된 임펠러에 의해 유체가 유입되고 토출되는 펌프유닛의 내부에서 유체에 혼입된 이물질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유체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에 의해 유체를 유입하여 토출시키는 펌프 유닛으로 구성되어 일방향으로 유체를 강제로 공급하는 것으로, 주로 공업용이나 농업용 및 식수용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식수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수돗물을 정수장에서 보내오는 과정에서 배관 내의 부식 등으로 인해 이물질이 섞이게 되고 이 상태로 펌프를 통하여 일반 가정 등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수돗물의 음용을 기피하여 수돗물을 끊여 먹거나 별도의 정수기를 통해 정수처리 하여 음용하는 한편, 수돗물을 음용수로 이용하지 않고, 대신에 지하수나 시판하는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수로 대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수돗물 대용으로 지하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지하에 관을 밖은 후 이 관에 펌프를 연결하여 지하수를 공급받으므로, 지하수에 장시간 노출되어 있는 매설관의 노화 등에 의해 부식이 발생하게 되어 이 부식물들이 지하수와 함께 펌프를 통하여 가정으로 공급되게 되거나, 지하의 모래나 흙 등이 혼입되어 음용수로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별도의 정수기를 설치하여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지하수에 혼입되는 니물질을 별도의 여과장치에 의해 여과하여 음용하기 좋은 여과수를 제공받고 있다.
그러나, 수돗물과 지하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기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정수기 자체의 여과필터를 수시로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필터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필터에 이물질 및 각종세균들이 서식하게 되어 오염된 처리수를 음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업용이나 농업용으로 공급되는 용수 역시 이물질이 포함된 용수를 사용함으로써, 각종 기계장치의 고장이나, 토양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펌프를 통과하여 공급될 때 펌프유닛에서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되, 이 펌프유닛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3차에 걸쳐 분리시킴으로써 깨끗한 유체만을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유입되는 유체가 원심력을 가지도록 회전할 수 있게 안내구를 구비하여 이 안내구의 안내에 따라 유체가 이동되게 되어 더욱 강한 원심력으로 와류를 발생시켜 이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펌프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으로 유입된 유체를 원심력에 의해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분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펌프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의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유입관에 유입 분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펌프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에는 상기 동력발생부의 임펠러가 체결되는 체결공으로 유입된 유체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임펠러 분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펌프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의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관에 유체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토출 분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펌프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의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 분리시키는 유입 분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 분리부에서 1차 이물질을 분리한 후 임펠러에 의해 토출관으로 이동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2차 분리시키는 임펠러 분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 분리부에서 2차 이물질이 분리된 후 토출단계에서 이물질을 3차 분리시키는 토출 분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 분리부는 유입관의 외측으로 제1분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제1분리실과 유입관이 연통되도록 유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과 배출공을 분리시키는 제1격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 분리부는 토출관의 외측에 제2분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제2분리실과 토출관이 연통되게 유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배출공을 분리시키는 제2격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 분리부와 상기 임펠러 분리부에서 유체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통공에 의해 각각 연계되는 제1수집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토출 분리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통공에 의해 연계되는 제2수집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수집실과 제2수집실은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집실 또는 제2수집실에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에는 고정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관 및 토출관에 각각 형성된 유입공과 배출공은 서로 대응 방향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은 유입공보다 후방에 위치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격판은 상기 유입관과 토출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일측은 상기 배출공의 전방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유입공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과 토출관의 각각 유입공과 배출공의 전면부에는 안내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집실의 내측면에는 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는 유입 분리부와 임펠러 분리부와 토출 분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펌프를 통과하여 공 급될 때 펌프 유닛에서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되, 이 펌프유닛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3차에 걸쳐 분리시킴으로써, 깨끗한 유체만을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입되는 유체가 원심력을 가지도록 회전할 수 있게 안내구를 구비하여 이 안내구의 안내에 따라 유체가 이동되게 되어 더욱 강한 원심력으로 와류를 발생시켜 이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C-C선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D-D선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펌프(100)는 동력발생부(102)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발생부(102)에 의해 회전되어 유체를 유입시켜 일방향으로 공급되도록 동작을 하는 임펠러(104)가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104)가 체결되게 하여 상기 동력발생부(102)에 고정되되, 상기 임펠러(104)가 안착 고정되는 체결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104)의 회전력에 의해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관(112)이 구비되고,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토출관(116)이 형성된 펌프유닛(11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102)는 임펠러(104)에 직접 동력이 전달되도록 동력발생부(102)를 연결할 수도 있고, 별도로 벨트나 체인 등과 같은 동력 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임펠러(104)로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112)과 토출관(116)은 상기 펌프유닛(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104)가 유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공(114)과 서로 연계되도록 유로(1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112)에는 외부에서 상기 임펠러(104)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유입 분리부(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 분리부(120)는 유입관(112)과 임펠러(104)가 체결되는 체결공(114)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유입관(112)의 외측 둘레에 제1분리실(122)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관(112)에는 상기 제1분리실(122)과 연통되게 배출공(123)과 유입공(124)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112)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123)과 유입공(124)을 서로 분리시키는 제1격판(125)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배출공(123)과 유입공(124)은 서로 대응되게 반대 방향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123)은 유입공(124)의 후방부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격판(125)은 유체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부가 상기 유입공(124)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하고, 타측부는 상기 배출공(123)의 후방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공(123)과 유입공(124)을 서로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관(112)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배출공(123)을 통하여 상 기 제1분리실(122)로 공급되고, 상기 제1분리실(122)로 공급된 유체는 원심회전을 하게 되어 이물질이 분리되며, 이물질이 분리된 유체는 다시 상기 유입공(124)을 통하여 임펠러(10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공(123)의 출구에는 배출되는 유체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방향이 개방된 안내구(123a)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입공(124)의 입구에는 와류를 형성하며 선회하는 유체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선회하는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안내구(124a)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분리실(122)의 내주면에는 유체가 공급되어 원활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경사면(12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분리실(122)의 외측부에는 상기 제1분리실(122)에서 선회하면서 분리된 이물질이 수집되는 제1수집실(126)이 형성되되, 상기 제1분리실(122)과 제1수집실(126)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통공(126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집실(126)은 상기 임펠러(104)가 체결되는 체결공(114)의 외측부에 위치되게 연장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1수집부(126)에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구(127)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7)에는 고정구(128)가 체결되어 이 고정구(128)에 의해 배출구(127)가 개폐되어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104)의 체결공(114)에는 유입 분리부(120)에서 1차 이물질이 분리된 유체를 2차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임펠러 분리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 분리부(130)는 상기 체결공(114)의 내측과 상기 제1수 집실(126)과 서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통공(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104)에 의해 유체가 유입되어 토출관(116)으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유체가 체결공(114) 상에서 회전을 하면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상기 통공(132)을 통하여 제1수집실(126)로 보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토출관(116)에는 상기 임펠러(104)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전단계에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잔류 이물질을 분리하는 토출 분리부(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 분리부(140)는 돌출된 토출관(116)을 연장 성형하여 이 연장 형성된 토출관(116)의 외측에 설치되되, 토출관(116)의 외측 둘레부에는 제2분리실(142)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관(116)에는 상기 제2분리실(142)과 연계되도록 배출공(143)과 유입공(144)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관(116)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143)과 유입공(144)을 서로 분리시키는 제2격판(145)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배출공(143)과 유입공(144)은 서로 대응되게 반대 방향에 형성하되, 상기 배출공(143)은 유입공(144)의 후방부에 위치되게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격판(145)은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기준으로 하여 일측부가 상기 배출공(143)의 후방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타측부는 상기 유입공(144)의 전방부에 위치되도록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143)의 출구에는 배출되는 유체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방향이 개방된 안내구(143a)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입공(144)의 입구에는 와류를 형성하며 선회하는 유체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선회하는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안내구(144a)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분리실(142)의 외측부에는 상기 제2분리실(142)에서 선회하면서 분리된 이물질이 수집되는 제2수집실(146)이 형성되되, 상기 제2분리실(142)과 제2수집실(146)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통공(146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집부(146)에 수집된 이물질을 제1수집부(126)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공(146b)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집부(146)에 수집된 이물질을 상기 제1수집부(126)로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2수집부(146)에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배출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입 분리부(120)와 토출 분리부(140)의 배출공(123)(143)과 유입공(124)(144)에는 와류를 형성하며 선회하는 유체가 사방으로 분산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선회하며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역할을 하는 안내판(123b)(124b)(143b)(144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발생부(102)에 의해 임펠러(104)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 임펠러(104)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어 외부의 유체가 상기 유입관(112)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112)으로 유입된 유체는 1차로 유입 분리부(120)에서 유체에 혼입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되게 된다.
즉, 상기 유입관(112)으로 유입된 유체는 제1격판(125)의 안내에 의해 배출공(123)을 통하여 상기 제1분리실(122)의 내부로 와류를 형성하며 배출되는데, 이 배출공(123)의 입구에 설치된 안내구(123a)에 의해 와류가 더 강하게 형성되게 되고 상기 배출공(123)으로 배출된 유체는 상기 제1분리실(122)의 내주면에 부딪히며 일방향으로 선회한 후 상기 유입공(124)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공(124)의 입구에 설치된 안내구(124a)에 의해 유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분리실(122)에서 경사면(122a)과 부딪치면서 선회할 때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등은 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통공(126a)을 통하여 상기 제1수집실(126)로 수집되게 되고, 1차 정화된 유체만 상기 유입공(124)으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공(124)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격판(125)의 안내에 따라 유입관(112)의 유로(118)를 통해 상기 임펠러(104)로 이동되어 2차로 임펠러 분리부(130)에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하게 된다.
즉, 상기 임펠러(104)로 이동된 유체는 임펠러(104)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체결공(114) 내주면에서 선회를 하면서 상기 토출관(116)으로 이동할 때 유체가 상 기 토출관(116)으로 이동하기 전에 체결공(114)에서 선회하는 과정에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등이 원심력에 의해 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수집실(126)로 수집되게 되고, 2차 정화된 유체만 상기 임펠러(104)의 회전력에 의해 유로(118)을 통해 토출관(116)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104)에 의해 토출관(116)으로 이동되는 유체는 3차로 상기 토출 분리부(140)에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토출관(116)으로 이동된 유체는 제2격판(145)의 안내에 의해 배출공(143)을 통하여 상기 제2분리실(142)의 내부로 와류를 형성하며 배출되는데, 이 배출공(143)의 입구에 설치된 안내구(143a)에 의해 와류가 더 강하게 형성되게 되고 상기 배출공(143)으로 배출된 유체는 상기 제2분리실(142)의 내주면에 부딪히며 일방향으로 선회한 후 상기 유입공(144)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공(144)의 입구에 설치된 안내구(144a)에 의해 유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분리실(142)에서 내주면과 부딪치면서 선회할 때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등은 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통공(146a)을 통하여 상기 제2수집부(146)로 수집되게 되고, 3차 정화된 유체만 상기 유입공(144)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완전히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관(116)을 통하여 배출된 유체는 식수용, 공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수집실(146)에 수집된 이물질은 상기 연결공(146b)을 통하여 제1수집실(126)로 이동되게 되고, 상기 제1수집부(126)에 모여진 이물질은 상기 배출구(12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104)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를 3차에 걸쳐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완전히 분리 제거함으로써, 깨끗하게 정화된 유체만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발생부의 임펠러에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어 토출되는 펌프유닛의 내부에서 유체에 혼입된 이물질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유체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D-D선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펌프 101 : 동력발생부
104 : 임펠러 110 : 펌프유닛
112 : 유입관 114 : 체결공
116 : 토출관 118 : 유로
120 : 유입 분리부 122, 142 : 제1,2분리실
123, 143 : 배출공 124, 144 : 유입공
125, 145 : 제1,2격판 126, 146 : 제1,2수집실
126a, 132, 146a : 통공 127 : 배출구
130 : 임펠러 분리부 140 : 토출 분리부

Claims (17)

  1. 삭제
  2. 펌프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의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유입관에 유입 분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3. 펌프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에는 상기 동력발생부의 임펠러가 체결되는 체결공으로 유입된 유체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임펠러 분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4. 펌프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의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관에 유체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토출 분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5. 펌프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의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 분리시키는 유입 분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 분리부에서 1차 이물질을 분리한 후 임펠러에 의해 토출관으로 이동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2차 분리시키는 임펠러 분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 분리부에서 2차 이물질이 분리된 후 토출단계에서 이물질을 3차 분리시키는 토출 분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분리부는 유입관의 외측으로 제1분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제1분리실과 유입관이 연통되도록 유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과 배출공을 분리시키는 제1격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분리부는 토출관의 외측에 제2분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제2분리실과 토출관이 연통되게 유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배출공을 분리시키는 제2격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분리부와 상기 임펠러 분리부에서 유체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통공에 의해 각각 연계되는 제1수집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분리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통공에 의해 연계되는 제2수집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집실은 제1수집실과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집실 또는 제2수집실에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고정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 및 토출관에 각각 형성된 유입공과 배출공은 서로 대응 방향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은 유입공보다 후방에 위치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격판은 상기 유입관과 토출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일측은 상기 배 출공의 전방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유입공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토출관의 각각 유입공과 배출공의 전면부에는 안내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집실의 내측면에는 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17. 펌프유닛으로 이루어진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으로 유입된 유체를 원심력에 의해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분리부가 구비되되, 상기 분리부는 유입 분리부와 임펠러 분리부와 토출 분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KR1020070080845A 2007-08-10 2007-08-10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KR100850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45A KR100850284B1 (ko) 2007-08-10 2007-08-10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PCT/KR2008/004651 WO2009022830A1 (en) 2007-08-10 2008-08-09 Pump having an alien substance remov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45A KR100850284B1 (ko) 2007-08-10 2007-08-10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284B1 true KR100850284B1 (ko) 2008-08-04

Family

ID=3988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845A KR100850284B1 (ko) 2007-08-10 2007-08-10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878B1 (ko) * 2021-04-28 2022-04-15 (주)대아펌프 입형 충압펌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2536A (ko) * 1989-12-15 1991-08-08 야마다 기쿠오 액체용 가스제거펌프
KR970070858A (ko) * 1996-04-25 1997-11-07 구자홍 냉동싸이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447505B1 (ko) 2001-12-29 2004-09-07 김재영 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2536A (ko) * 1989-12-15 1991-08-08 야마다 기쿠오 액체용 가스제거펌프
KR970070858A (ko) * 1996-04-25 1997-11-07 구자홍 냉동싸이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447505B1 (ko) 2001-12-29 2004-09-07 김재영 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878B1 (ko) * 2021-04-28 2022-04-15 (주)대아펌프 입형 충압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19513U (zh) 城市生活污水全自动水力滤污器
US200501395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US200701873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CN107583356B (zh) 一种废水预处理设备
CN206837644U (zh) 一种新型污水处理装置
KR100850279B1 (ko)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KR101047148B1 (ko) 물 정화장치
KR100850284B1 (ko)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펌프
CN209155198U (zh) 一种污水处理沉淀池
CN212477882U (zh) 一种高效城市河道清洁装置
CN206985888U (zh) 一种多重污水处理设备
CN109304055A (zh) 一种环保的工程污水处理用杂质清除装置
CN210340564U (zh) 一种城市污水过滤筒
KR101390567B1 (ko) 하수 고액분리 집수정
CN208829447U (zh) 一种环境保护污水处理装置
KR100730319B1 (ko) 청수장치
CN216092467U (zh) 一种具有反冲洗功能的污水处理系统
CN206692522U (zh) 一种用于河道湖泊的污水处理系统
CN213114682U (zh) 一种用于桥梁地基铺设的抽滤机构
CN217202383U (zh) 一种用于离心萃取机的本级回流废水处理装置
CN216377696U (zh) 一种水污染治理用过滤装置
CN215327364U (zh) 一种处理效率高的污水处理装置
CN211546154U (zh) 一种工程管理用的施工生活区用水回收再利用装置
CN211283956U (zh) 一种一体化净水装置
CN110280064A (zh) 一种镀锌厂用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