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300B1 -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 Google Patents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300B1
KR100848300B1 KR1020027014549A KR20027014549A KR100848300B1 KR 100848300 B1 KR100848300 B1 KR 100848300B1 KR 1020027014549 A KR1020027014549 A KR 1020027014549A KR 20027014549 A KR20027014549 A KR 20027014549A KR 100848300 B1 KR100848300 B1 KR 10084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accharide
optical isomers
ester derivative
cellulose
chromatogra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240A (ko
Inventor
오카모토요시오
야마모토치요
구보타다카테루
Original Assignee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27014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30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specific interaction not covered by one or more of groups B01D15/265 - B01D15/36
    • B01D15/3833Chiral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82Porous sorbents
    • B01J20/285Porous sorbents based on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9Chiral ph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7/00Separation of optically-activ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54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족기로 대표되는 큰 UV 흡수가 없고, 또한 높은 부제 식별능력, 특히 수계 이동상에서 높은 부제 식별능력을 가지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를 제공한다. 즉, 방향족기를 가지지 않는 다당의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이다.
방향족기, UV 흡수, 부제 식별능력,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

Description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SEPARATING AGENT FOR OPTICAL ISOMER}
본 발명은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특히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약품, 식품, 농약, 향료 등의 분석에 있어서, 폭넓은 키랄 화합물을, 높은 분리계수로써 광학 분할할 수 있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유기 화합물에는 비점, 융점, 용해도와 같은 물리적 성질, 화학적 성질이 완전히 동일하지만, 생물의 생체에 미치는 생리활성에 차이가 보이는 광학 이성체가 존재한다. 이것은 생물을 구성하는 단백질이나 당질 자신이 대부분의 경우, 한쪽의 광학 이성체로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다른쪽의 광학 이성체에 대한 작용의 방식에 차이가 생겨서, 생리 활성차가 나타난다고 고려되고 있다. 특히 의약품 분야에 있어서는, 광학 이성체간에서 약효, 독성의 점에서 현저한 차이가 보이는 경우가 때때로 있다. 그 때문에, 후생성은 의약품 제조지침에 있어서, 「당해 약물이 라세미체인 경우에는, 각각의 이성체에 관하여, 흡수, 분포, 대사, 배설동태를 검토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재하고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광학 이성체간에서는, 물리적, 화학적 성질은 완전히 동일하므로, 통상의 분리수단으로는 분리·분석을 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폭넓 은 종류의 광학 이성체를 대상으로 하여, 간편하면서 정밀도 좋은 분리·분석기술의 연구가 정력적으로 행하여져 왔다.
그리고 이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분석수법으로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한 광학 분할법, 특히 HPLC용 키랄칼럼에 의한 광학 분할방법(키랄 고정상법)이 진보하여, 널리 보급되었다. 여기서 말하는 키랄칼럼이란 부제 식별제 그 자체, 또는 부제 식별제를 적당한 담체상에 담지시킨 키랄 고정상을 충전제로 한 칼럼이다.
부제 식별제로서는, 예를 들면 광학 활성 폴리메타크릴산 트리페닐메틸(일본 특개소 57-150432호 공보 참조),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유도체(Y.0kamoto, M.Kawashima and K.Hatada,J.Am.Chem.Soc.,106,5337,1984), 단백인 오보무코이드(일본 특개소 63-307829호 공보)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수많은 이들 HPLC용 키랄 고정상 중에서도,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유도체를 실리카겔상에 담지시킨 키랄 고정상은, 매우 폭넓은 화합물에 대하여, 높은 부제 식별능력을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HPLC용 키랄 고정상과 의사 이동상법을 조합시킨 공업 규모에서의 광학 활성체 액체 크로마토 분취법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고(Pharm Tech Japan,12,43(1996)), 단지 베이스라인을 분리할 뿐아니라, 크로마토 분취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분취목적 화합물에 대해서 더욱 잘 분리하는, 즉 보다 큰 분리계수(
Figure 112002035612227-pct00001
)값을 가진 키랄 고정상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HPLC용 키랄 고정상은, 수계 이동상인 역상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케이스가 많기 때문에, 유기 용제계 이동상, 수계 이동상의 빈번한 교환은, 번잡하여 분석기기의 관리유지상 부적합하다. 또 이동상의 혼입에 의한 오조작에도 결부되기쉬워, 가능하면 어느쪽의 이동상계,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계의 이동상계에서의 분석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환경문제에 관련하여, 이동상으로서 배출하는 유기용제를 극력 줄이려고 하는 동향이 있다.
역상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키랄 고정상은 상술의 단백질을 부제 식별제로 한타입, 또 가장 폭넓은 라세미체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는 다당 유도체를 부제 식별제로 한 타입 등이 개발, 시판되고 있고, 또한 두드러진 분할특성을 가진 부제 식별제가 요망되고 있다.
또 최근에는 캐피러리 전기 영동(CE)분야에서의 광학 이성체 분리, 또는 HPLC보다도 간편한 분리조작으로 광학 이성체 분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광학 이성체 분리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키랄 TLC)가 높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금까지 HPLC용 키랄 고정상으로 개발 시판되어 왔던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유도체계키랄 고정상은, 아세테이트 유도체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방향족 유도체이다. 이 이유는 다당 유도체의 치환기와 용질간의 부제 식별에 있어서 π-π전자간의 상호 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고려되어 왔기 때문인데(유기합성 화학 협회지, 54, 344(1996), 일본 특개소 60-142930호 공보), 방향족기와 같은 큰 UV 흡수기를 가지는 치환기를 가진 부제 식별제는, 예를 들면 상술과 같은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법, 또는 이동상에 부제 식별제를 첨가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 캐피러리 전기 영동의 일종인 미셀 동전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UV 검출기에 있어서 백그라운드(박층 또는 이동상에 상당)에 방향족기로 대표되는 큰 UV 흡수가 있으면, 목적물의 UV 흡수가 상대적으로 작아져 검출 불가능으로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키랄 CE 분야, 키랄 TLC 분야에 대응하기 위해서, 높은 부제 식별능력을 가지고, 또한 UV 흡수가 작은 다당 유도체계의 부제 식별제가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방향족기로 대표되는 큰 UV 흡수가 없고, 또한 높은 부제 식별능력, 특히 수계 이동상에서 높은 부제 식별능력을 가지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방향족기를 가지지 않는 다당의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이다.
다당의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는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헥실카르복실레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펜틸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아다만틸카르복실레이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족기를 가지지 않는 다당의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키랄 고정상을 가지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광학 이성체를 분리하는 방법, 또는 방향족기를 가지지 않는 다당의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를 광학 이성체 분리제로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향족기를 가지지 않는 다당의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는, 다당과, 그 수산기와 반응하여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지는 지방족 환상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다당으로서는, 합성 다당, 천연 다당 및 천연물 변성 다당의 어느 것을 불문하고, 광학 활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결합양식의 규칙성이 높은 것이다. 예시하면 β-1,4-글루칸(셀룰로오스),
Figure 112002035612227-pct00002
-l,4-글루칸(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Figure 112002035612227-pct00003
-1,6-글루칸(덱스트란), β-1,6-글루칸(부스츠란), β-1,3-글루칸(예를 들면 카드란, 시조피란 등),
Figure 112002035612227-pct00004
-l,3-글루칸, β-1,2-글루칸(Crown Gall 다당), β-1,4-갈락탄, β-1,4-만난,
Figure 112002035612227-pct00005
-1, 6-만난, β-1,2-프락탄(이눌린), β-2,6-프락탄(레반), β-1,4-크실란, β-1,3-크실란, β-1,4-키토산,
Figure 112002035612227-pct00006
-1,4-N-아세틸키토산(키틴), 풀란, 아가로스, 알긴산 등이고, 아밀로오스를 함유하는 전분도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는, 고순도의 다당을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β-1,4-크실란, β-1,4-키토산, 키틴, β-1,4-만난, 이눌린, 카드란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이들 다당의 수평균 중합도(1분자 중에 포함되는 피라노스 또는 프라노스환의 평균수)는 5이상,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이고, 특별히 상한은 없지만, 1000이하인 것이 취급의 용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당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지는 지방족 환상 화합물로서는, 방향족기로 대표되는 큰 UV 흡수를 가지지 않는 지방족 환상구조를 가지는 산 하라이드 등의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은데, 다당 유도체 골격이나 치환기를 규칙바르게 배열시키는 효과를 갖게하기 위해서는, 3원환보다도 큰, 보다 바람직하게는 5원환보다도 큰 지방족 환상 화합물 또는 다리 걸친 구조를 가지는 지방족 환상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족기로 대표되는 큰 UV 흡수를 가지지 않는, 다당의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1글루코스 유닛당 0.1개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을 가지는 다당의 에스테르 유도체, 특히 다당의 시클로알킬카르복실레이트이다. 구체적으로는 시클로헥실카르복실레이트, 시클로펜틸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시클로아다만틸펜틸카르복실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방향족기를 가지지않는 다당의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는, 하기에 기재하는 담체에 담지시키는 방법, 다당 유도체 자신을 파쇄 또는 구상 입자화하는 방법의 어느 방법에 의해서도 목적으로 하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로 할 수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담지란 담체상에 다당 유도체가 고정화되어 있는 것으로, 그 고정화방법은 다당 유도체와 담체간의 물리적인 흡착, 담체간의 화학결합, 다당 유도체끼리의 화학결합, 제 3성분의 화학결합, 다당 유도체에의 광조사, 래디컬반응등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담체란, 다공질 유기담체 또는 다공질 무기담체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공질 무기담체이다. 다공질 유기담체로서 적당한 것은,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물질이고, 다공질 무기담체로서 적당한 것은, 실리카,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글라스, 카올린, 산화티탄, 규산염,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등이다. 특히 바람직한 담체는 실리카겔이고, 실리카겔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1㎛~1O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0㎛이고, 평균입경은, 바람직하게는 10Å~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Å~50000Å이다. 실리카겔의 표면은 잔존 시라놀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 표면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혀 표면처리가 실시되고 있지않아도 문제없다.
담체상에의 다당의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의 담지량은, 담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특히 5~6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 다당의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를 파쇄 또는 구상 입자화하는 방법은 종래 알려진 공지의 방법으로 좋다. 얻어진 파쇄상 또는 구상의 다당 유도체는, 그대로 또는 분급하여, 입도를 일치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캐피러리 전기 영동 등의 크로마토그래피용 키랄 고정상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역상계 조건하, 특히 물,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등) 또는 아세토니트릴의 단독, 또는 이것들로부터 선택되는 복수의 액체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이동상으로 하는 역상계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키랄 고정상,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용 고정상, 미셀 동전 크로마토그래 피법, 캐피러리-일렉트로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의 캐피러리 전기영동의 영동액에 첨가되고, 또는 캐피러리내에 충전되는 부제 식별제, 의사 이동상방식 등의 연속식 액체 크로마토 분취용 고정상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상계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이동상에는, pH 조정제(예를 들면, 인산 등)나, 과염소산나트륨, 6-플루오르화 인산칼륨 등을 첨가한 것도 포함된다.
발명의 이점
본 발명에 의해, 수계 이동상을 이용하는 역상 조건하에서의 HPLC용 키랄 고정상으로서, 또는 키랄 CE분야, 키랄 TLC분야 등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높은 부제 식별능력을 가지고, 또한 UV흡수가 작은 다당 유도체계 부제 식별제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예에 있어서의 유지계수(k'), 분리계수(
Figure 112002035612227-pct00007
)는 아래식으로 정의된다.
유지계수;
Figure 112002035612227-pct00008
분리 계수;
Figure 112002035612227-pct00009
이 때, 데드타임은, 아세토니트릴의 용출시간을 데드타임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헥실카르복실레이트) 담지형 충전제 및 충전칼럼의 제작
①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헥실 카르복실레이트)(a)의 합성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15ml에 진공건조를 행한 염화리튬 1.5g을 용해시켜서, DMAc/LiCl 용액을 조제하였다.
질소 분위기하, 셀룰로오스 1.0g에 상기의 DMAc/LiCl 용액 15ml 및 피리딘 15ml을 첨가 후, 100℃의 유욕에 담그고, 24시간의 교반을 하였다. 이것에 시클로헥실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C6H11COCl)4.8g (34mmol, 1.8당량)을 첨가하고, 100℃하에서 16시간의 반응을 하였다. 200ml의 메탄올 중에 적하, 재침전시키고, 원심분리에 의해 목적의 에스테르 유도체를 얻었다(2.8g, 93%). 표 1에 얻어진 에스테르 유도체(a)의 원소 분석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2035612227-pct00010

②셀룰로오스 트리스 (시클로헥실카르복실레이트)가 담지된 충전제의 제작
①에서 얻어진 에스테르 유도체 0.75g을 1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THF)에 용 해시키고, 이 에스테르 유도체의 THF용액을 아미노프로필실란 처리를 실시한 실리카겔 3.0g (입경 7㎛, 미세 구멍 직경 1000Å)에 균일하게 뿌린 후, 용제를 유거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헥실카르복실레이트)가 담지된 충전제를 제작하였다.
③ 셀룰로오스 트리스 (시클로헥실카르복실레이트) 담지 충전제를 이용한 충전칼럼의 제작
②에서 제작한 담지형 충전제를 φ0.46cm×L 25cm의 스테인레스제 칼럼에 슬러리 충전법에 의해 가압, 충전을 행하여 광학 이성체 분리칼럼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담지형 충전제 및 충전칼럼의 제작
①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의 합성
질소 분위기하, 셀룰로오스 1.0g에 무수아세트산 40ml을 첨가하고, 100℃하에서 30시간의 반응을 하였다. 반응 후, 실온까지 방냉하고, 500ml의 메탄올에 주입함으로써,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를 석출시켰다. 글라스 필터로 여과 취출을 행하고, 메탄올로 잘 세정한 후, 60℃, 5시간의 진공건조에 의해서 목적의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를 얻었다(1.69g, 수율 95%).
②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가 담지된 충전제의 제작
①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1.0g을 10ml의 염화 메틸렌에 용해시키고, 이것을 아미노프로필실란 처리를 실시한 실리카겔 3.0g (입경 7㎛, 미세 구멍 직경 100OÅ)에 균일하게 뿌린 후, 용제를 유거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가 담지된 충전제를 제작하였다.
③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담지 충전제를 이용한 충전칼럼의 제작
②에서 제작된 담지형 충전제를 φ0.46cm ×L 25cm의 스테인레스제 칼럼에 슬러리 충전법에 의해 가압, 충전을 행하고, 비교용의 광학 이성체 분리 칼럼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셀룰로오스 트리벤조에이트 담지형 충전제 및 충전칼럼의 제작
① 셀룰로오스 트리벤조에이트의 합성
질소 분위기하, 셀룰로오스 1.0g에 피리딘 40ml을 첨가하고, 여기에 염화 벤조일 6.5g을 첨가하고, 100℃하에서 30시간의 반응을 하였다. 반응 후, 실온까지 방냉하고, 500ml의 메탄올에 주입함으로써, 셀룰로오스 트리벤조에이트를 석출시켰다. 글라스 필터로 여과 취출을 행하고, 메탄올로 잘 세정한 후, 60℃, 5시간의 진공건조에 의해서 목적의 셀룰로오스 트리벤조에이트를 얻었다(2.49g, 수율 85%).
② 셀룰로오스 트리벤조에이트가 담지된 충전제의 제작
①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 트리벤조에이트 1.Og을 10ml의 염화 메틸렌에 용해시키고, 이것을 아미노프로필실란 처리를 실시한 실리카겔 3.0g(입경 7㎛, 미세 구멍 직경 100OÅ)에 균일하게 뿌린 후, 용제를 유거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 트리벤조에이트가 담지된 충전제를 제작하였다.
③ 셀룰로오스 트리벤조에이트 담지 충전제를 이용한 충전칼럼의 제작
②에서 제작된 담지형 충전제를 Φ0.46cm ×L 25cm의 스테인레스제 칼럼에 슬러리 충전법에 의해 가압, 충전을 행하고, 비교용의 광학 이성체 분리 칼럼을 제작하였다.
응용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작된 광학 이성체 분리 칼럼을 이용하여, 하기 조건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라세미체 1 및 2의 부제 식별능력의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조건>
이동상 실시예 1: H20/MeOH=2/8(v/v),
비교예 1 및 2: MeOH
유속 0.5ml/min,
온도 25℃
Figure 112002035612227-pct00011
Figure 112002035612227-pct00012
실시예 2: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펜틸카르복실레이트)담지형 충전제의 제조법 및 충전칼럼의 제작법.
①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펜틸카르복실레이트)(d)의 합성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15ml에 진공건조를 행한 염화리튬 1.5g을 용해시키고 DMAc/LiCl 용액을 조제하였다.
질소 분위기하, 셀룰로오스 1.0g에 상기의 DMAc/LiCl 용액 15ml 및 피리딘 15ml을 첨가 후, 100℃의 탕욕에 담그고, 24시간의 교반을 하였다. 이것에 시클 로펜틸카르복실산 클로리드 4.4g(33mmol, 1.8당량)를 첨가하여 100℃하에서 16시간의 반응을 하였다. 반응도프를 200ml의 MeOH 중에 주입하여, 재침전시키고, 원심분리에 의해서 목적의 에스테르 유도체를 얻었다(2.5g, 90%). 표 3에 얻어진 (d)의 원소 분석치를 나타낸다.
②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펜틸카르복실레이트)가 담지된 충전제의 제작
①에서 얻어진 에스테르 유도체 1.0g을 1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THF)에 용해시켰다. 아미노프로필실란 처리를 실시한 실리카겔, 3.0g(입경 7㎛, 미세 구멍직경 100OÅ)에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유도체의 THF 용액을 균일하게 뿌린 후, 용제를 유거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펜틸카르복실레이트)가 담지된 충전제를 제작하였다.
③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펜틸카르복실레이트) 담지 충전제를 이용한 충전칼럼의 제작법
②에서 제작된 담지형 충전제를 φ0.46cm ×L 25cm의 스테인레스제 칼럼에 슬러리 충전법에 의해 가압, 충전을 행하여 광학 이성체 분리 칼럼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셀룰로오스 트리스(1-아다만틸카르복실레이트) 담지형 충전제의 제조법 및 충전칼럼의 제작법.
① 셀룰로오스 트리스(1-아다만틸카르복실레이트)(e)의 합성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15ml에 진공건조를 행한 염화리튬 1.5g을 용해시켜서 DMAc/LiCl 용액을 조제하였다.
질소 분위기하, 셀룰로오스 1.0g에 상기의 DMAc/LiCl 용액 15ml 및 피리딘 15ml을 첨가 후, 100℃의 탕욕에 담그고, 24시간의 교반을 하였다. 이것에 1-아다만틸 카르복실산 클로리드 9.2g(46mmol, 2.5당량)을 첨가하여 100℃하에서, 48시간의 반응을 하였다. 반응도프를 200ml의 MeOH 중에 주입하여, 재침전시키고, 원심분리에 의해서 목적의 에스테르유도체를 얻었다(3.2g, 80%). 표 3에 얻어진 (e)의 원소 분석치를 나타낸다.
② 셀룰로오스 트리스(1-아다만틸카르복실레이트)가 담지된 충전제의 제작
①에서 얻어진 에스테르 유도체 1.0g을 1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THF)에 용해시켰다. 아미노프로필실란 처리를 실시한 실리카겔 3.0g(입경 7㎛, 미세 구멍 직경 100OÅ)에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유도체의 THF용액을 균일하게 뿌린 후, 용제를 유거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 트리스(1-아다만틸카르복실레이트)가 담지된 충전제를 제작하였다.
③ 셀룰로오스 트리스(1-아다만틸카르복실레이트) 담지 충전제를 이용한 충전칼럼의 제작법
②에서 제작된 담지형 충전제를 φ0.46cm ×L 25cm의 스테인레스제 칼럼에 슬러리 충전법에 의해 가압, 충전을 행하여 광학 이성체 분리칼럼을 제작하였다.
Figure 112002035612227-pct00013

응용예 2 및 3
실시예 2 및 3에서 제작된 광학 이성체 분리칼럼을 이용하여, 응용예 1과 마찬가지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응용예 1에 사용한 라세미체 1 및 2의 부제 식별능력의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2035612227-pct00014
분석조건:H20/MeOH=2/8(v/v), 유속 0.4ml/min, 온도 25℃

Claims (13)

  1. 방향족기를 가지지 않는 다당의 5원 이상의 다리걸친 구조를 가지는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2. 제 1항에 있어서, 다당의 5원 이상의 다리걸친 구조를 가지는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가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크로마토그래피용 키랄 고정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5. 제 4항에 있어서, 크로마토그래피용 키랄 고정상이, 역상계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키랄 고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6. 제 5항에 있어서, 역상계 조건이, 물, 알코올 또는 아세토니트릴의 단독, 또는 이것들로부터 선택되는 복수의 액체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이동상으로 하는 조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7. 삭제
  8. 삭제
  9. 제 4항에 있어서, 크로마토그래피용 키랄 고정상이 연속식 액체 크로마토 분취용 고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다당의 5원 이상의 다리걸친 구조를 가지는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가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아다만틸카르복실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12. 방향족기를 가지지 않는 다당의 5원 이상의 다리걸친 구조를 가지는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유도체를 포함하는 키랄 고정상을 가지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광학 이성체를 분리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다당의 5원 이상의 다리걸친 구조를 가지는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유도체가 셀룰로오스 트리스(시클로아다만틸카르복실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7014549A 2001-03-07 2002-03-07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KR10084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4549A KR100848300B1 (ko) 2001-03-07 2002-03-07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63001 2001-03-07
KR1020027014549A KR100848300B1 (ko) 2001-03-07 2002-03-07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240A KR20020095240A (ko) 2002-12-20
KR100848300B1 true KR100848300B1 (ko) 2008-07-24

Family

ID=3900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549A KR100848300B1 (ko) 2001-03-07 2002-03-07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3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2444A (en) * 1984-04-02 1993-03-0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Separating with an agent comprising an aliphatic ester of a polysacchari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2444A (en) * 1984-04-02 1993-03-0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Separating with an agent comprising an aliphatic ester of a polysacchar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240A (ko) 200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5549A1 (en) Separating agent for enantiomeric isomers
US5354852A (en) Polysaccharide derivativ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separating agent
US20090008329A1 (en) Separating agent for enantiomeric isomers
EP1721664A1 (en) Separating agent for optical isomer
JP4294028B2 (ja) 光学異性体用分離剤
US7740758B2 (en) Separating agent including polysaccharide derivative having a polycyclic structure
KR100848300B1 (ko) 광학 이성체용 분리제
US6736967B2 (en) Separating agent for enantiomeric isomers
JP2001163806A (ja) 光学異性体分離剤
JP4340264B2 (ja) 光学異性体用分離剤
CN1520336B (zh) 新型光学异构体分离用分离剂及其制备方法
US20040045896A1 (en) Separatory agent for optical isomer
US20060081522A1 (en) Separating agent for optical iso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