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208B1 - 도어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208B1
KR100848208B1 KR1020070023015A KR20070023015A KR100848208B1 KR 100848208 B1 KR100848208 B1 KR 100848208B1 KR 1020070023015 A KR1020070023015 A KR 1020070023015A KR 20070023015 A KR20070023015 A KR 20070023015A KR 100848208 B1 KR100848208 B1 KR 100848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magnetic
forc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휘
박관석
Original Assignee
박주휘
박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휘, 박관석 filed Critical 박주휘
Priority to KR1020070023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바닥면을 차폐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눌림압력 및 자기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닫으면 자동으로 바닥면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서 외부먼지를 차단한 도어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화유리도어의 경우 문틀용 자성체의 설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도어 하단에 설치되며, 문틀용 자성체의 자기력에 영향을 받아 척력이 작동되어 유동하는 나사선 형태의 자성체 및 문틀 눌림의 인력으로 유동하는 나사산(Screw) 형태의 래치(Latch)와; 상기 도어용 자성체 척력 및 눌림 압력의 유동에 상응하여 슬라이딩 유동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유동에 상응하여 좌우로 유동하는 도어용 로드와; 상기 도어용 로드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도어용 로드의 좌우 유동을 호 운동으로 전환하는 운동 전달체와; 상기 운동 전달체로부터 힘을 전달 받아 상하로 슬라이딩 유동하여 도어와 바닥면의 틈새를 상,하로 개폐하는 유동체와; 상기 도어용 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운동 전달체가 호 운동을 하도록 고정체와 운동 전달체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체 결합 힌지와; 상기 운동 전달체의 호 운동에 따라 유동체가 상하 운동을 하도록 운동 전달체와 개폐장치 유동체 사이에 결합되는 유동체 결합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강화, 유리, 도어, 자성체, 힌지

Description

도어 차폐장치{A Door Intercepting Unit}
도 1a는 일반적인 강화유리 구성도.
도 1b는 일반적인 강화유리 도어의 하부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c는 일반적인 강화유리 도어의 철판에 삽입되는 사각형태의 각 파이프 구성도.
도 1d는 일반적인 도어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닥판 차폐장치를 도어에 설치하기전 도어 회동수단의 구성상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 파이프의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플로어 힌지암 확대 단면도.
도 3a은 강화유리 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가압 링크를 이용한 도어 오픈시 작동 상태도.
도 3b은 일반 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가압 링크를 이용한 도어 오픈시 작동 상태도.
도 4a는 강화유리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적용한 상태에서 차폐장치가 작동한 후 상태도.
도 4b는 일반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적용한 상태 에서 차폐장치가 작동한 후 상태도.
도 4c는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가압 링크에 있어서 도어 폐쇄시 작동 상태도.
도 4d는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가압 링크에 적용되는 힌지 및 로프 구성도.
도 4e는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가압 링크에 적용되는 힌지 및 로프 구성 실시예도.
도 5는 도 3의 A-A 라인을 기점으로 우측을 바라본 단면도.
도 6는 도 5에서 차폐장치를 동작시킨 단면도.
도 7a는 노말상태의 자성체 고정상태로서 접면이 도어의 끝단면과 근접된 상태도.
도 7b는 노말상태의 래치 고정상태로서 접면이 도어의 끝단면과 근접된 상태도.
도 7c는 자성체를 일정길이만큼 이동시켜 도어의 끝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게 유도한 상태도.
도 7d는 래치를 일정길이만큼 이동시켜 도어의 끝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게 유도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어용 링크와 운동 전달체를 확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도어용 링크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운동 전달체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a는 강화유리 도어에 있어서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적용한 상태로서 도어가 오픈되었을때 작동상태도.
도 11b는 일반 도어에 있어서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적용한 상태로서 도어가 오픈되었을때 작동상태도.
도 12a는 강화유리 도어에 있어서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에 있어서 도어 폐쇄시 작동 상태도.
도 12b는 일반 도어에 있어서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에 있어서 도어 폐쇄시 작동 상태도.
도 12c는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에 적용되는 힌지 및 로프의 상세도.
도 12d는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에 적용되는 힌지 및 로프의 실시예도.
도 13은 도 3의 B-B를 기점으로 우측을 바라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 가압링크에 있어서 운동 전달체 부위의 수직 단면도.
도 14는 도 3의 B-B를 기점으로 우측으로 바라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에 있어서 운동 전달체 부위의 수직 단면도.
도 15a는 강화유리 도어에 있어서 바닥판 차폐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실시예로서 도어의 바닥면을 차폐하기 전 상태도.
도 15b는 일반 도어에 있어서 바닥판 차폐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실시예로서 도어의 바닥면을 차폐하기 전 상태도.
도 16a는 강화유리 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닥판 차폐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실시예로서 도어의 바닥면을 차폐한 후 상태도.
도 16b는 일반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닥판 차폐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실시예로서 도어의 바닥면을 차폐한 후 상태도.
도 17a는 쌍문 강화유리를 갖는 도어 구성도.
도 17b은 일반 쌍문도어를 예시한 도면.
도 18a은 쌍문 강화유리 도어에 차폐장치를 설치한 예시도.
도 18b는 일반 쌍문 도어 및 자동센서 도어 상태도.
도 19a는 쌍문 강화유리에 차폐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복동식 링크를 사용한 실시예도.
도 19b는 일반 도어 또는 자동센서도어에 차폐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복동식 링크를 사용한 실시예도.
도 20a는 쌍문 강화유리에 차폐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단동식 링크를 사용한 실시예도.
도 20b는 일반 도어 또는 자동센서도어에 차폐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단동식 링크를 사용한 실시예도.
도 21은 본 발명의 래치를 누름가압 시키는 누름가압장치 구성도.
도 22a는 본 발명의 바닥면 차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어의 하단을 차폐하기전 상태도.
도 22b는 본 발명의 바닥면 차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어를 하단을 차폐한 후 상태도.
도 22c는 본 발명의 차폐수단의 실시예 구성도.
도 23a는 본 발명의 바닥면 차폐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스프링과 삼각형태의 상하패널을 이용한 구성도.
도 23b는 본 발명의 바닥면 차폐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스프링과 사다리꼴 형태의 상하패널을 이용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강화유리
10a: 일반도어
10b: 경첩
20: 보호용 철판
30: 힌지축
40: 오링
50: 플로어 힌지 암
100: 문틀
110: 문틀용 자성체
120: 도어용 자성체
120a: 래치
130: 케이스
140: 도어용 로드
150: 탄발 스프링
160: 고정체
170: 운동 전달체
180: 유동체
190: 고정체용 힌지
200: 유동체용 힌지
210: 로프
220: 스토퍼
300: 작동편
400: 스프링
500a, 500b: 패널
600a, 600b: 공간부
700: 누름장치
710: 인장 스프링
본 발명은 강화유리 도어 및 일반도어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 도어의 바닥면을 차폐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자기력 또는 눌림 래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폐수단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여 도어를 닫으면 자동으로 바닥면을 차단하므로서 외부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도어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 건물이나 대형 건물 등에서는 내부가 들여다 보이면서도 많이 이용자가 편리하게 출입할 수 있는 강화유리 도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강화유리 도어 상,하 일부분에는 보편적으로 사각패널 형태로 제조되며, 일측에 힌지축을 연결하고 도어의 테두리면이 바닥면과 부딪치면서 파손되지 않도록 소폭의 틈새를 유지한 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면 일반도어는 일축이 문틀과 경첩으로 결속되어 경첩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강화유리 도어가 소폭의 틈새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나 먼지, 소음 등이 상기 틈새를 통해 그대로 실내에 유입되어 실내공기를 변화시키거나 오염시키게 된다.
강화유리 도어의 각 파이프에 접합된 플로어 힌지 하부의 암부분 때문에 강화유리 도어와 바닥과의 틈새를 막는 차폐장치를 설치할 수가 없었으며, 따라서, 강화유리 도어는 건물 외부와 내부를 직접 통하는 곳이기 때문에 실내와 실외의 공기가 강화유리 도어의 하단측 공간틈으로 차단이 안되고 자유로이 이동되어 냉난방 효과를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소음과 먼지도 차단이 안되어 국민보건 위생상 문제점이 많았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도어의 바닥면에 차폐장치를 설치하되 도어를 닫으면 차단되고 도어를 열면 오픈되는 차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문틀 또는 도어의 하부에 끼움 결합된 형태로 장착되며, 자성체의 N극 또는 S극을 이용하여 외부로 척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하되 스프링을 하단에 결합한 누름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척력을 제공하는 압력 전달수단과; 사각패널 형태로서 상기 문틀 또는 도어의 상대측 도어 하단에 장착되며, 압력 전달수단의 자기력 또는 누름장치의 누름압력에 따라서 바닥면의 틈새를 개폐하는 바닥면 차폐수단과; 상기 압력 전달수단에 대응되는 높이의 바닥면 차폐수단에 결합되며, 자성체 또는 래치의 형태로 이루어져, 압력 전달수단을 구성하는 자성체 또는 누름장치의 작동에 따라서 연동되어 좌우로 유동하면서 바닥면 차폐수단을 상하로 유동시켜 개폐시키는 힘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바닥면 차폐수단은, 나사산 형태의 자성체를 이용하여 외부 자기력에 따른 척력에 의하여 직선 왕복힘을 전달하는 자기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력 전달수단은, 상기 문틀용 자성체의 설치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문틀용 자성체의 자기력에 영향을 받아 인력 또는 척력이 작동되어 유동하는 도어용 자성체와; 상기 도어용 자성체의 외주연을 감싼 형태로 결합하며, 도어용 자성체의 유동에 상응하여 슬라이딩 유동되는 나선형태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래치는 나사산 형태로 이루어지고 동시에 나선 형태의 케이스에 장착되며, 자성체 역시 나사산 형태로 이루어지고 나선 형태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케이스를 중심으로 좌우 길이를 조절토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힘 전달수단은, 자기력 전달수단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유동에 상응하여 좌우로 유동하는 도어용 로드와; 상기 도 어용 로드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스토퍼에 의해 힘이 축적되어 외부 자기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케이스를 원래 상태로 이동시키는 탄발 스프링과; 상기 도어용 로드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도어용 로드의 좌우 유동을 상하 유동으로 전환하는 운동 전달체와; 상기 운동 전달체가 좌우 유동의 힘을 전달받아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 결합수단은 로프와 힌지핀의 구성하되, 힌지핀의 일측에는 힌지핀의 직경보다 1.5배 이상 큰 구멍의 장공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힌지 결합수단은 사선(단동식 링크), 역사선(단동식 링크), 겹 역사선(복동식 링크) 형태이고; 상기 도어용 로드의 움지임에 따라 운동 전달체가 호 운동을 하도록 하는 고정체와 운동 전달체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체 결합 힌지와; 상기 운동 전달체의 호 운동에 따라 상하 운동을 하도록 하는 운동 전달체와 개폐수단(유동체) 사이에 결합되는 개폐수단(유동체) 결합힌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문틀 또는 도어의 하부에 끼움 결합된 형태로 장착되며, 자성체 또는 스프링을 결합한 누름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척력을 제공하는 압력 전달수단과; 사각패널 형태로서 상기 문틀 또는 도어의 상대측 도어 하단에 장착되며, 압력 전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바닥면의 틈새를 개폐하는 바닥면 차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 차폐수단은, 상하 1개조의 패널이 결합된 형태로서 결합부 중앙에 마름모꼴 홈과 원통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마름모꼴 홈에는 마름모꼴 작동편이 위치하고, 원통홈에는 원통형 작동편이 위치하며; 상기 마름모꼴 작동편은 수직하게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스프링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강화유리 도어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일반적인 강화유리 도어의 하부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1c는 일반적인 강화유리 도어의 철판에 삽입되는 사각형태의 각 파이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강화유리(10)의 상부와 하부면에 보호용 철판(20)이 결합되고, 상기 보호용 철판(20)에는 플로어 힌지축(30)과 플로어 힌지 암(50)과 사각형태의 각 파이프(60)가 설치되어 상기 플로어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플로어 힌지 암(50)이 회동됨으로서 도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미설명부호 40은 기밀유지용 오링이다. 또한, 도 1d는 경첩이 형성되고 손잡이를 회동하여 문을 열고닫는 일반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닥판 차폐장치를 도어에 설치하기전 도어 회동수단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각형태의 각 파이프의 단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플로어 힌지암 확대 단면도로서, 각 파이프(60)의 일단을 기역자 형태로 절단하고, 힌지축 결합부(50b)와 각 파이프 결합부(50a)로 이루어지는 기역자 형태의 플로어 힌지 암(50)을 절단면을 통해 각 파이프(60)속에 접속후 힌지축 연결부(50b)로 힌지축(30)과 결합시켜 상기 기역자 형태의 플로어 힌지 암(50)이 힌지(30)축에 슬라이딩되면서 회전 지지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플로어 힌지암(50)의 힌지축 연결부(50b)와 각 파이프 하부면으로부터 사각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 공간에 바닥판 차폐장치를 설치토록 한다.
즉, 강화유리도어에 있어서 종래에는 플로어 힌지 암이 각 파이프 하부에 일정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바닥판 차폐장치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지 못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플로어 힌지암을 각 파이프와 결합시키게 되면 바닥판 차폐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그리고, 플로어 힌지암(50)에 있어서 파이프 결합부(50b) 일측에는 피스 결합용 홈(50c)을 형성하며, 상기 피스 결합용 홈(50c)에는 나선형 피스(50d)가 결합되는바, 상기와 같이 나선형 피스(50d)를 설정하는 이유는 플로어 힌지 암(5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바닥면에 설치되는 힌지축(30)과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나선형 피스(50d)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게 되면 플로어 힌지 암(50)이 미세하게 좌우로 움직이게 되며 따라서 바닥면에 이미 설치된 힌지축(30) 에 맞추기 용이하여 도어 설치 작업시 매우 편리한 것이다. 또한, 일반도어에서도 하단에 강화유리도어 공간만큼 공간을 만들어 차폐장치를 설치한다.
도 3a는 강화유리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적용한 상태에서 차폐장치가 작동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은 일반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적용한 상태에서 차폐장치가 작동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a는 강화유리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적용한 상태에서 차폐장치가 작동한 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일반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단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적용한 상태에서 차폐장치가 작동한 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단동식 복합 가압링크에 적용되는 힌지가 힌지핀 직경보다 1.5배 이상 길이방향으로 큰 직경의 장공으로된 힌지 및 로프가 일체로 결합된 구성도이고, 도 4d는 힌지에 원형의 장공을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4e는 힌지 양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큰 장공을 형성한 실시예이다.
도 5는 도 3의 A-A라인에서 우측을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도 3의 B-B라인에서 우측을 바라본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로어 힌지 상부와 플로어 힌지 암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되며, 자성체를 이용하여 외부 자기력에 따른 척력에 의하여 직선왕복힘을 전달하는 자기력 전달수단과, 상기 자기력 전달 수단의 힘을 이용하여 바닥면의 틈새를 개폐하는 바닥면 개폐수단과, 상기 자기력 전달수단과 바닥면 개폐수단을 힌지로 연결하여 상기 자기력 전달수단의 힘을 바닥면 개폐수단에 전달하는 힘 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기력 전달수단은 보호용 철판(20)에 삽입되는 도어용 자성체(120)와, 케이스(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힘 전달수단은 스프링(150)과, 도어용 로드(140)와, 고정체(160)와, 운동 전달체(170)와, 고정체용 힌지(190)와, 유동체용 힌지(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 개폐수단은 유동체(180)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어용 나사산(Screw) 형태의 자성체(120)에 대향하여 문틀 또는 다른 도어에는 문틀용 자성체(110)를 삽입하여 상기 문틀용 자성체(110)로부터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서 도어용 자성체(120)가 유동되도록 한다.
강화유리 도어에 있어 상기 문틀용 자성체(110)는 길이방향으로 같은 N,N극 또는 S,S극이 접면되도록 내부에 고정하며, 이에 따라 N극, S극의 자기력선이 분포되도록 한다. 일반도어에 있어서는 나사산(Screw) 형태의 래치가 누름가압 되도록 설치한다.
이에 상응하는 위치의 도어 내부에 도어용 나사산(Screw) 형태의 자성체(120) 또는 나사산(Screw) 형태의 래치를 설치하는바, 상기 자성체 역시 도어의 접면되도록 내부에 고정한다.
본 발명의 강화유리 도어 실시예에서는 문틀용 자성체(110)는 N극이 외부면에 배치되도록 하고, 도어용 자성체 역시 N극이 외부면에 배치되도록 하여, 도어를 닫을시 상기 문틀용 자성체(110)와 도어용 자성체(120)가 접면되면서 상호 반발력에 의해서 도어용 나사산(Screw) 형태의 자성체(120)가 후방으로 전진토록 구성하였고, 일반도어에 있어서는 문틀에 의하여 나사산(Screw) 형태의 래치가 눌림 가압되면서 후방으로 전진토록 구성하였다.
물론, 상기에서 도어용 나사산(Screw) 형태의 자성체(120)가 움직이는 이유는, 문틀용 자성체(110)가 일지점에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용 나사산 형태의 자성체(120)는 슬라이딩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이며, 상기에서 문틀용 자상체(110)의 N극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면, 도어용 나사산 형태의 자성체 역시 동일 높이에 같은 극인 N극이 위치하도록 하여 도어를 닫아 2개의 나사산 형태의 자성체(110, 120)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면 상호 반발력에 의하여 도어용 나사산(Screw) 형태의 자성체(120)가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문턱이 없는 일반 도어에 있어서는, 문틀에 도 21과 같이 누름장치(700)가 있어 문에 나사산 형태의 래치(120a)가 누름 가압되어 슬라이딩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누름장치(700)에는 인장스프링(710)이 설치되어 있어 도어를 열면 누름장치(700)의 작용으로 바닥면이 오픈되고 도어를 닫으면 누름장치(700)의 작용으로 바닥이 차폐된다.
상기 도어용 자성체(120)는 케이스(130)에 고정되어 있는바, 상기 케이스(130)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고, 도어용 자성체(120)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케이스(130) 내주연에 일정한 지점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원하는 지점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용 자성체(120)는 케이스(130)에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도어용 자성체(12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케이스(130)가 좌, 우로 움직이게 된다.
도 7a는 노말상태의 자성체 고정상태로서 접면이 도어의 끝단면과 근접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7b는 노말상태의 래치 고정상태로서 접면이 도어의 끝단면과 근접된 상태이며, 도 7c는 자성체를 일정길이만큼 이동시켜 도어의 끝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게 유도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7d는 래치를 일정길이만큼 이동시켜 도어의 끝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게 유도한 상태이다.
즉, 도 7b는 래치가 문틀쪽 외부로 많이 돌출된 상태이고, 도 7d래치가 문틀쪽 외부로 적게 돌출된 상태이다.
나사산 형태의 자성체 또는 나사산 형태의 래치(120a)의 깊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바, 만약에 자성 또는 눌림이 너무 강하면 드라이버 등으로 도어용 자성체(120) 또는 래치(120a)를 회동시켜 케이스(130) 내부로 더 깊이 진입하도록 하여 적당한 반발력을 갖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나사산에 의해 길이를 조정하므로 별도로 조작을 가하지 않은 이상 일지점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결국 도어용 자성체(120) 및 래치의 유동에 상응하여 고정체(160)의 내부를 케이스(130)가 유동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30)는 자성체(120) 및 래치(120a)를 결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각통 형태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30)의 후단에는 도어용 로드(140)를 접속하여 케이스(130) 이동과 상응하여 도어용 로드(140)가 움직이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130)와 도어용 로드(140)는 그 움직임이 동일하므로 일체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도어용 로드(140)의 외주연에는 탄발 스프링(150)이 설치되는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발 스프링(150)의 후단부에는 스토퍼(220)가 배치되어 있어, 상기 탄발 스프링(150)은 스토퍼(220)에 의해서 움직임이 제한되며, 외부 자력에 의해서 케이스(130)가 움직이게 되면 케이스(130)의 움직임에 따라서 압축되면서 에너지를 저장하고, 이어 케이스(130)에 가해지는 힘이 소실되면 상기 스프링력에 의해서 케이스(130)는 원상태로 이동한다.
상기 도어용 로드(140)의 후단에는 운동 전달체(170)가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도어용 로드(140)의 좌우 움직임을 상하 움직임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용 로드(140)는 돌기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용 로드(140)와 결합되는 운동 전달체(170)가 상하로 유동시에 상기 돌기부(141)가 결합홀(171)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도어용 로드(140)와 운동 전달체(170)가 상호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운동 전달체(170)는 사각통 형태로서 도어용 로드(14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유동하게 되며, 특히 도어용 로드(140)가 좌우로 움직일때 상하로 움직인다.
상기와 같이 도어용 로드(140)의 움직임을 상하 움직임으로 바꾸기 위해서 고정체 결합 힌지(190)와 유동체 결합 힌지(200)를 활용하는바, 고정체 결합 힌지(190)는 일측은 고정체(160)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운동 전달체의 바에 접속되며 전체 결합모양은 사선방향으로 결합되는 형식을 띄고 도어용 로드(140)가 전진하여 운동 전달체(170)가 전진하게 되면 동시에 운동 전달체(170)가 일정한 각도로 상하운동을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힌지의 구성요소중 고정체(160)에 접속된 부분을 중심으로 운동 전달체(170)가 동작하게 되므로 호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체 결합 힌지(190)는 사선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접속되어 도어용 로드(140)의 움직임에 따라 운동 전달체(170)가 전진하면서 동시에 하강토록 한다.
또한, 유동체(180)와 운동 전달체(170) 사이에는 유동체 결합 힌지(200)가 접속되는바, 상기 유동체 결합 힌지(200)는 운동 전달체(170)와 유동체(180)의 바 (181)사이를 역사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운동 전달체(170)의 유동 힘을 유동체(180)에 전달함으로서 유동체(180)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한다.
즉, 힌지 구성요소중 유동체(180)에 접속된 부분을 중심으로 운동 전달체(170)가 호 운동을 해야 하는데, 상기 운동 전달체(170)가 전진시 유동체(18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체 결합 힌지(200)의 유동체(180) 접속 부분에는 힌지 바(pin) 직경보다 1.5배 큰 구멍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어 유동체(180)가 곧바로 하강하지 않고 운동 전달체(170)가 일정길이 진행한 후에 바닥면으로 이동한다.
즉, 운동 전달체(170)의 초기 이동시에는 장공(210)이 힌지(200)의 움직임을 흡수하게 되어 유동체(180)가 움직이지 않고, 이후 장공(210)의 끝부분에 도달하게 되면 힌지(200)가 유동체(180)와 접면하면서 힘이 유동체(180)에 미치게 되므로 상기 유동체(180)가 바닥면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힌지(200)의 실제 배치각도는 약 45도로 정렬되나, 실제로 유동체를 누르는 각도는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이동된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어, 45도에서 직 각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아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이후 최종으로 유동체(180)를 누르는 시점에서는 직각에 가깝게 되어 유동체(180)를 하강시키는 작용이 쉽게 일어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유동체(180)의 들어올림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로프(210)를 힌지(200) 핀(pin)에 더 설치하고 있는바, 일단은 고정체(160)를 통과하여 운동 전달체(170)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개 부분은 유동체 결합 힌지(200)의 핀 장공(210)에 설치된다.
상기 로프(210)는 스프링(150)이 에너지를 흡수하고 있다가 외부 자기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탄발력에 의해서 유동체(180)를 원상태로 복구되는 작용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성체(120)와 래치가 유동되면 유동체(180)를 당김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가 외부 자기력이 공급되지 않아 유동체(180)가 원상 복귀될때 상부 방향으로 끌어올리는 힘을 부가하여 유동체(180)가 원할하게 위로 상승되도록 하므로서 차폐가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고정체 결합용 힌지(190)와 유동체 결합용 힌지(200)가 각각 구성되는 단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들을 결합한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1a는 강화유리 도어에 있어서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적용한 상태로서 도어가 오픈되었을때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 일반 도어에 있어서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적용한 상태로서 도어가 오픈되었을때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며, 도 12a, 도 12b, 도 19a, 도 19b는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를 적용한 상태에서 도어가 폐쇄되었을때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c는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에 적용되는 힌지 및 로프의 상세도이고, 도 12d는 복동식 복합 가압링크에 적용되는 힌지 및 로프의 실시예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고, 원형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3은 단동식 복합 가압 링크를 적용시 운동 전달체와 유동체의 수직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복동식 복합 가압 링크를 적용시 운동전달체와 유동체의 수직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복동식 복합 가압 링크는, 고정체 결합용 힌지(190)와 유동체 결합용 힌지(200)의 일측을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토록 하여 운동 전달체(170)에 걸쳐진 부분이 동일한 지점에 묶이게 된다.
이때의 동작은 단동식 복합 가압링크 구조와 동일하게 일어나는바, 도어용 로드(140)가 유동하게 되면 고정체 결합용 힌지(190)의 작용으로 운동 전달체(170)가 전진하면서 동시에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또한 유동체 결합용 힌지(200)의 작용으로 유동체(180)가 아래로 하강하여 결국 도어(10)를 차폐하게 되며, 노말상태로 복원시 로프(210)의 작용으로 유동체가 쉽게 상부로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도 15a는 강화유리 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닥판 차폐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실시예로서 도어의 바닥면을 차폐하기 전 상태도이고, 도 15b는 일반 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닥판 차폐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실시예로서 도어의 바닥면을 차폐하기 전 상태도이며, 도 16a는 강화유리 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닥판 차폐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실시예로서 도어의 바닥면을 차폐한 후 상태도이고, 도 16b는 일반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닥판 차폐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실시예로서 도어의 바닥면을 차폐한 후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와, 래치와, 케이스와, 탄발 스프링과, 도어용 로드와, 운동 전달체와, 유동체를 포함하고, 힌지 결합수단으로서 일측이 운동 전달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유동체에 설치된 역사선 방향의 힌지를 구비하며, 운동전달부의 일측과 유동체의 힌지 접속부 및 고정체 일단의 힌지핀을 통해 로프가 설치되어 바닥판을 상부로 유동시 쉽게 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의 동작특징은 전술한 구성과는 다르게 자성체에 척력이 가해될 경우 운동 전달부가 호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좌우 직선 운동만을 하며, 상기 힌지에 의해서 직선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바꾸어 주어 유동체를 하강시키는 것으로 동작이 마무리 된다.
이후, 자성체에 척력 또는 래치와 눌림 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력에 의해서 운동 전달체가 원래 자리로 후퇴하게 되며, 이때 운동 전달체가 후퇴하면서 힌지에 의해서 유동체가 위로 상승할 때 로프가 상부로 당겨줌으로서 유동체가 쉽게 위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은 자성체(120)와 운동 전달체(170) 및 유동체(180)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여 문을 닫는 순간 도어의 하단이 차폐되도록 하고, 도어를 열면 도어가 하단이 개방되도록 하여 도어를 닫았을 때에는 외부 먼지가 차단되도록 하고, 도어를 열었을 때에는 차폐장치가 상부로 상승하도록 한다.
도 17a는 일반적인 쌍문 강화유리를 갖는 도어이고, 도 17b은 일반 쌍문도어 를 예시한 것이며, 도 18a은 상기 쌍문 강화유리(도 18b는 일반 쌍문 도어 및 자동센서 도어임)에 차폐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유동체(180)와 운동 전달체(170) 사이에 힌지를 설치한 구조이고, 도 19a는 쌍문 강화유리(도 19b는 일반도어 또는 자동센서도어)에 차폐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복동식 링크를 사용한 실시예이며, 도 20a는 쌍문 강화유리(도 20b는 일반도어 또는 자동센서도어)에 차폐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단동식 링크를 사용한 실시예이다.
상기 도 18a, 도 18b, 도 19a, 도 19b, 도 20a, 도 20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틀과 도어 사이의 척력에 의해서만 동작되는 것이 아니라, 도어와 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자성체에 의해서 상호 척력작용에 의해 양 도어의 바닥 차폐판이 모두 동작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도어의 하부는 플로어 힌지암이 각 파이프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확보되는 공간에 바닥면 차폐장치가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양 도어에 차폐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도어를 닫는 순간 양 도어의 자상체에 척력이 작용하게 되어 양 도어와 지면 사이를 유동체(180)가 차단하게 되고, 도어를 열면 탄발 스프링(150)이 작용하여 노말 상태가 되어 유동체(180)가 상승하여 지면과 도어 사이를 오픈시키게 된다.
나머지 동작은 일개의 문틀과 도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동작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바닥면 차폐수단의 다른 형태를 예시하고 있는바, 상하부 패널(500a, 500b)로 이루어지는 1개조의 패널과 작동편(300)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500a, 500b)의 중앙에는 마름모꼴 형태의 홈(600a)과 원통홈(600b)이 순차적으로 연속 형성되며, 상기 마름모꼴 형태의 홈(600a)과 원통홈(600b)에 결합되는 마름모꼴 작동편(300a) 및 원통형 작동편(300b)을 결합하며, 마름모꼴 작동편(300a) 상하 일측 경사면 각각에는 가이드 홈(310)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310)에 스프링(400)이 상대적으로 안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가이드 홈(310) 대응위치의 상하부 패널(500a.500b)의 경사 하부 위치에 수직 형성된 스프링 장착홈(h)에 탄력있게 삽입된 구성이다.
상기 바닥면 차폐수단은 외부 가압장치 또는 자성체의 작용으로 작동편이 사이드 방향으로 유동하면 마름모꼴 작동편(300b)의 홈(310)을 따라 이동하여 압축되면서 패널(500a, 500b)을 위아래로 밀어 올리게 되어 바닥이 차폐되고, 또한 도어를 열면 외부 가압장치 또는 자성체의 작용이 없어지므로 원상복귀되어 스프링(400)의 작용력이 없어지면서 바닥면 차폐수단이 위로 상승하고 이에 따라 도어를 쉽게 열 수 있도록 한다.
도 23a는 본 발명의 바닥면 차폐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스프링과 삼각형태의 상하패널을 이용한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400)과 삼각홈이 형성된 상부패널(500a)과 삼각 돌출부가 형성된 하부패널(500b)로 이루어지며, 스프링(400)에 의해 상하부 패널(500a, 500b)이 결합된 형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외부 가압장치 또는 자성체의 작용으로 하부패널이 유동하며, 이에 따라 삼각 돌출부가 삼각홈에 삽입되거나 빗변을 따라 움직이면서 바닥판이 수직하게 상하로 유동된다.
또한, 도 23b는 본 발명의 바닥면 차폐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스프링(400)과 사다리꼴 형태의 상하패널(500a, 500b)을 이용한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400)과 사다리꼴 홈이 형성된 상부패널과 사다리꼴 돌출부가 형성된 하부패널로 이루어지며, 스프링에 의해 상하부 패널이 결합된 형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외부 가압장치 또는 자성체의 작용으로 하부 패널이 유동하며, 이에 따라 사다리꼴 돌출부가 사다리꼴 내부홈으로 삽입되거나 빗변을 따라 움직이면서 바닥판이 수직하게 상하로 유동된다.
즉, 도 23a, 23b는 마름모꼴 작동편이 없더라도 바닥판의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문틀과 도어 사이나, 도어 및 도어 사이에 자성체를 결합하고, 또한 힌지 및 로프를 설치하여 지면과 바닥면 사이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를 닫을때 하부가 차폐되고 도어를 열때 차폐가 해제되도록 하여 문을 닫았을때 확실한 밀폐가 가능하여 먼지의 침입을 방지함은 물론 냉난방시 열이 외부와 교환되는 것을 막고, 또한 도어를 개방시에는 자연스럽게 차폐장치가 상승하므로 차폐장치가 바닥면에 끌리는 것을 막아 수명이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절취된 각 파이프와 플로어 힌지암이 결속하여 작동되는 강화유리 또는 플로어 힌지암 설치가 안되어 있는 일반도어 및 감지기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도어에도 적용하여 바닥 차폐기능을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며, 또한 단일 도어나 양문 도어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문틀 또는 도어의 하부에 끼움 결합된 형태로 장착되며, 자성체 또는 스프링을 결합한 누름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척력을 제공하는 압력 전달수단과;
    사각패널 형태로서 상기 문틀 또는 도어의 상대측 도어 하단에 장착되며, 압력 전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바닥면의 틈새를 개폐하는 바닥면 차폐수단을 포함하는 도어 차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차폐수단은, 상하 1개조의 패널(500a,500b)이 결합된 형태로서 결합부 중앙에 마름모꼴 홈(600a)과 원통홈(600b)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차폐수단;
    상기 마름모꼴 홈(600a)에는 마름모꼴 작동편(300a)이 위치하고, 원통홈(600b)에는 원통형 작동편(300b)이 위치하게 구비된 작동편(300)으로 구성하되, 상기 마름모꼴 작동편(300a)의 상하 일측 경사면 각각에 가이드 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310) 대응 위치의 상하부 패널(500a,500b)에는 수직하게 스프링 장착홈(h)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스프링(40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차폐장치.
KR1020070023015A 2007-03-08 2007-03-08 도어 차폐장치 KR100848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015A KR100848208B1 (ko) 2007-03-08 2007-03-08 도어 차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015A KR100848208B1 (ko) 2007-03-08 2007-03-08 도어 차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208B1 true KR100848208B1 (ko) 2008-07-24

Family

ID=3982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015A KR100848208B1 (ko) 2007-03-08 2007-03-08 도어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2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272B1 (ko) 2010-09-10 2012-06-25 주식회사 대현상공 시스템 창문
EP2402545A3 (de) * 2010-06-30 2014-01-08 GEZE GmbH Türanlage
KR20150054101A (ko) * 2013-11-11 2015-05-20 지엘테크(주) 도어 차폐장치
JP2017025547A (ja) * 2015-07-21 2017-02-02 株式会社ベスト 扉用シャッ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04Y1 (ko) * 2002-10-18 2003-01-30 박주휘 출입문의 바닥 및 문틀 틈새 차폐장치
KR200357487Y1 (ko) * 2004-04-14 2004-07-30 박주휘 강화유리 도어 차폐장치
KR20060020721A (ko) * 2006-02-17 2006-03-06 반재훈 틈새차단 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04Y1 (ko) * 2002-10-18 2003-01-30 박주휘 출입문의 바닥 및 문틀 틈새 차폐장치
KR200357487Y1 (ko) * 2004-04-14 2004-07-30 박주휘 강화유리 도어 차폐장치
KR20060020721A (ko) * 2006-02-17 2006-03-06 반재훈 틈새차단 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2545A3 (de) * 2010-06-30 2014-01-08 GEZE GmbH Türanlage
KR101159272B1 (ko) 2010-09-10 2012-06-25 주식회사 대현상공 시스템 창문
KR20150054101A (ko) * 2013-11-11 2015-05-20 지엘테크(주) 도어 차폐장치
KR101588239B1 (ko) * 2013-11-11 2016-01-25 지엘테크(주) 도어 차폐장치
JP2017025547A (ja) * 2015-07-21 2017-02-02 株式会社ベスト 扉用シャッ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208B1 (ko) 도어 차폐장치
US20090025296A1 (en) Sliding door and window operating system
GB2518281A (en) Closure Arranged to Travel the length of an Aperture
KR101778283B1 (ko) 미닫이 창호의 틈새 방지부재
CN1936250B (zh) 门体关闭装置
KR101067878B1 (ko) 문틈 차단장치
KR200450976Y1 (ko)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창문
KR200357487Y1 (ko) 강화유리 도어 차폐장치
KR200389361Y1 (ko) 롤식 방충망
CN201535103U (zh) 用于立转式防淹防护门的手自动闭锁机构
KR200465862Y1 (ko) 문 자동잠금장치
CN105735800A (zh) 3d多功能平开悬开滑撑
EP2386709B1 (en) Window with damper
CN109372341B (zh) 一种通风亭百叶窗远程关闭的电控锁及方法
US20160060941A1 (en) Coaxially Extending Arm for Door Closing Operator
CN207905667U (zh) 带缓冲的自闭合小型格栅门
KR101079275B1 (ko) 도어의 틈새 밀폐장치
CN108678616A (zh) 一种内开内倒窗结构
KR102148215B1 (ko) 갤러리 창호의 개폐작동시 비상멈춤장치
CN210888602U (zh) 一种具有自锁功能的门窗装置
KR102215732B1 (ko) 복수개의 창호가 연동되는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작동시 비상멈춤장치
CA3039757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KR101588239B1 (ko) 도어 차폐장치
CN211549402U (zh) 一种带折叠门的阳光房
CN201896504U (zh) 开窗器联动多点锁自动开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