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979B1 -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 Google Patents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979B1
KR100847979B1 KR1020077001620A KR20077001620A KR100847979B1 KR 100847979 B1 KR100847979 B1 KR 100847979B1 KR 1020077001620 A KR1020077001620 A KR 1020077001620A KR 20077001620 A KR20077001620 A KR 20077001620A KR 100847979 B1 KR100847979 B1 KR 100847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ignant tumor
tissue
malignant
tissues
bartroxo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2023A (ko
Inventor
히로부미 센가
용링 완
리슈이 창
Original Assignee
토비시 파마슈티칼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비시 파마슈티칼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토비시 파마슈티칼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7700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9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2Serine endopeptidases (3.4.2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 악성종양 국소 침윤을 억제할 수 있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및,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캡슐모양조직을 형성하고 또는 그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악성종양조직 캡슐화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A Preparation Comprising Batroxobin for Inhibiting Local Invasion of Malignant Tumor}
본 발명은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및 악성종양조직 캡슐화제에 관한 것이다.
근년, 악성종양의 치료는 외과적 수술, 방사선치료 혹은 화학요법의 진보에 의해, 원발암(原發癌, primary carcinoma)의 제거에 대한 성공율이 향상하고, 확실히 진보하고 있다. 그러나, 조기의 악성종양이라도 악성종양세포가 인접 조직·장기에 국소 침윤하여, 산재하고 있는 것은 자주 볼 수 있다. 이 경우, 원발소 (primary focus)의 악성종양조직을 외과적으로 제거해도, 잔존하고 있는 침윤 악성종양세포에 의해 악성종양이 재발하여, 결과적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피침윤 장기가 중요한 장기인 경우는, 침윤 악성종양세포를 정상조직과 함께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악성종양의 재발율이 높고, 사망률도 높아진다. 또한, 중요 장기에 악성종양이 발생한 경우에, 국소 침윤을 회피하기 위해 정상조직을 포함하는 광범위의 조직을 적출하면, 중요 장기의 기능이 상실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흑색종(melanoma), 폐암, 간암 및 췌장암 등의 악성도가 높은 종양은 조기 발견이 어렵고, 종양 진단시에는 광범위하게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이 인정되 어, 수술치료를 받을 수 없는 케이스가 매우 많다.
이러한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에 대해서, 방사선 치료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현재, 임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등의 화학요법제는, 그 대부분이 악성종양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약효를 발휘하는 것이지만, 동시에 정상세포도 타겟으로 하므로, 부작용이 강하고, 임상상의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새로운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가 바람직하고 있다.
여기서, 악성종양의 진행 단계와 국소 침윤과는 하기의 관계에 있다고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다.
(1) 악성종양의 조기 단계에서는, 세포 분열에 의한 악성종양세포의 증식이 일어나, 종양이 성장한다. 이것은, 이형성(dysplasia)으로서 관찰된다. 이 단계에 있어서,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증식 악성종양세포는 국소적으로 존재하고 있어, 주위의 정상조직과는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많은 경우,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캡슐모양조직(capsule-like tissue)이 형성된다.
캡슐모양조직은, 악성종양조직과 정상조직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형성하는 결합조직이며, 악성종양조직과 정상조직의 사이를 구분하여, 마치 악성종양조직을 캡슐로 포위하는 것처럼 보이는 조직이다. 캡슐모양조직으로 둘러싸인 악성종양은 외과적 수술에 의한 적출이 지극히 용이하고, 또한, 악성종양세포의 적출 실패도 적기 때문에, 적출 후의 악성종양의 재발은 대부분 없다.
(2) 그러나, 악성종양이 진행하면 캡슐모양조직이 소실하여, 악성종양조직으 로부터 인접하는 주위의 정상조직·기관에의 국소 침윤이 일어나, 악성종양의 광범위의 확산이 일어난다. 이 단계가 되면, 외과적 적출에 의한 치료는 곤란해진다.
상기의 악성종양의 진행단계와 국소 침윤과의 관계에 감안하여, 캡슐모양조직의 형성을 촉진하는 것에 의한 악성종양 치료법의 개발이 임상상 유용하다는 생각이 시사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에만 주목한 악성종양 주위의 캡슐모양조직 형성화의 연구 및 그 형성 촉진약제의 개발은 행하여지지 않았었다(예를 들면, Clin. Expl. Metastasis 7:277-282, 1989를 참조). 이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은, 악성종양 전이과정의 일부이며, 악성종양의 전이를 억제하는 약제이면 국소 침윤도 억제할 수 있다고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들어, 국소 침윤과정을 포함하지 않는 종양전이의 경로가, 많은 악성종양에서 발견되었다{예를 들면, BMC Medicine, 2(9):1-8, 2004를 참조}. 예를 들면, 국소 침윤은 볼 수 없지만 전이를 일으키는 악성종양의 존재를 임상적으로 확인한 보고가 있다(예를 들면, Virchows Arch. Pathol. Anat. 390:121-126, 1981및 Surgery Today 25: 369-372, 1995를 참조). 또한,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억제에는 유효하기는 하지만 전이에는 효과가 없고, 오히려 전이를 촉진하는 약제가 있는 것도 보고되고 있다(예를 들면, Breast Cancer Res. Treat. 40:209-223, 1996을 참조).반대로, 악성종양의 전이는 억제하지만 국소 침윤은 억제하지 않는 약제의 in vivo 실험의 보고도 있다(예를 들면, Clinical & Experimental Metastasis 19:95-105, 2002를 참조). 이러한 보고는,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과정은 전이 과정 중에 넣지 않고, 국소침윤과 전이와는 별개의 다른 과정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인 것을 시사하고 있다.
상기의 관점과는 별도로, 악성종양과 응고선용계(coagulation and fibrinolysis system)와의 밀접한 관계가, 수많은 기초연구 및 임상연구에 의해 시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악성종양환자에서는, 혈장 피브리노겐의 증가, 혈액점도의 증가 및 혈액 유동학(rheology)의 이상 등의 응고선용계의 이상에 의해 미소 순환장해를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혈장 피브리노겐의 증가 또는 악성종양세포가 스스로 피브리노겐을 분비하는 것에 의해, 악성종양조직의 세포외 매트릭스에 피브리노겐 또는 피브린의 침착이 발생하여, 이것이 세포외 매트릭스의 일원으로서 악성종양세포의 증식, 침윤 및 전이에 촉진적인 작용을 이루고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예를 들면, Cancer Research 60: 2033-2039, 2000, Ann NY Acad. Sci. 936: 406-425, 2001 및 Blood 96:3302-3309, 2000을 참조).
이러한 악성종양과 응고선용계와의 관계에 주목하여, Bothrops atrox moojeni의 독액에 유래하는 트롬빈유사 세린프로테아제인 바트록소빈이, 다른 트롬빈유사 세린프로테아제인 안크로드(Ancrod)와 같이, 악성종양의 증식 및 전이를 억제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Eur. J. Cancer 16:919-923, 1980을 참조). 그러나, 이 보고에서는, 악성종양 증식의 억제효과의 지표로서 종양중량을 채용하고, 악성종양 전이의 지표로서 전이선장기에서의 전이소(metastatic foci)의 수를 채용하고 있고,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에 대해서는 전혀 평가를 하고 있지 않다.
또한, 악성종양의 전이와 응고선용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피브리노겐 결손 마우스를 이용한 실험모델에 있어서, 악성종양 전이는 피브리노겐 및 피브린에 의존하지만, 악성종양의 증식 및 국소 침윤은 피브리노겐에 의존하고 있지 않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예를 들면, Blood 96:3302-3309, 2000을 참조). 그러나, 바트록소빈과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고 있지 않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은,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약제, 및 악성종양조직 주변에 캡슐모양조직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캡슐모양조직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약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인비보(in vivo)에 있어서의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에 대해 예의 연구를 실시한바, 바트록소빈이 악성종양 국소 침윤을 억제할 수 있는 것, 및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캡슐모양조직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그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및
(2)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성종양조직 캡슐화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및 악성종양조직 캡슐화제는, 바트록소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트록소빈은, Bothrops atrox moojeni의 독액에 유래하는 트롬빈유사 세린프로테아제이다. 바트록소빈은, 피브리노겐으로부터 피브리노펩티드 A (fibrinopeptide A)만을 유리하고, Des A 피브린(피브린 I라고도 한다)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Thromb. Haemost. 36:9-13, 1976 및 Thromb. Diath. Haemorrh. 45 Suppl:63-68, 1971을 참조). 또한, 바트록소빈의 일차 구조는 이미 결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J. Biol. Chem. 262(7):3132-3135, 1987을 참조}.
바트록소빈은, 트롬빈과 같이 세린프로테아제이다. 그러나, 바트록소빈은, 피브리노겐으로부터 피브리노펩티드 A만을 유리하여 Des A 피브린을 생성하는데 비하여, 트롬빈은 피브리노겐으로부터 피브리노펩티드 A 및 피브리노펩티드 B를 유리하여 피브린을 생성하는 점에서 트롬빈과는 상이하다. 또한, 바트록소빈은 피브리노겐 이외의 혈액응고인자에 작용하지 않지만, 트롬빈은 다른 혈액응고인자에 작용하는 점에서도 상이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바트록소빈은 천연물이라도 좋고, 유전자 재조합제라도 좋다.
바트록소빈은, 그 자체 공지물질이며,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고 소화57-10718호 공보(일본특허 제1118129호) 기재의 방법에 따라 조제 가능하다. 또는, 시장(도비시약품공업주식회사 및 그 자회사인 Beijing Tobishi Pharmaceutical Co., Ltd., Beijing, China제)에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악성종양이다. 악성종양은 발생모(母)조직에 의해 상피성의 악성종양과 비상피성의 악성종양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비상피성의 악성종양은 또한 간엽계 조직(mesenchymal tissue) 유래의 악성종양, 신경조직 유래의 악성종양 및 미분화 세포의 악성종양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하에, 각 악성종양의 구체적인 예를 예시한다.
상피성의 악성종양
선암(Adenocarcinoma)(선상피 유래의 암종이며, 위, 장, 췌장, 기관, 폐, 유선, 난소, 자궁, 전립선 등, 몸의 각 곳에 발생하는 것으로, 사람의 암의 70∼80%를 차지한다고 추측된다),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중층편평상피 유래, 예를 들면 표피, 입술, 혀, 인두, 식도, 항문, 외음, 자궁경부 등의 상피조직에 발생하는 암, 비소세포폐암으로 분류되는 폐편평상피암), 기저세포암(basal cell carcinoma)(피부 및 부속기의 기저세포 유래), 이행상피암(transitional cell carcinoma)(이행상피 유래, 예를 들면 방광암), 간세포암(간실질세포 유래),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신상피유래), 담관암(cholangiocarcinoma)(담관 유래), 융모암(choriocarcinoma)(태반상피 유래)
비상피성의 악성종양
간엽계 조직유래의 악성종양
섬유육종(결합조직 및 섬유조직 유래), 지방육종(결합조직 및 지방조직 유래), 연골육종(결합조직 및 연골조직 유래), 골육종(결합조직 및 골조직 유래), 혈관육종(혈관 유래), 림프관 육종(림프관 유래), 골수성 백혈병(조혈세포 유래), 단구성 백혈병(조혈세포 유래), 악성 림프종(림프조직 유래), 림프성 백혈병(림프조직 유래), 형질세포종(다발성 골수종)(림프조직 유래), 호지킨세포(Hodgkin's cell)(림프조직 유래), 평활근 육종(평활근 유래), 횡문근 육종(횡문근 유래)
신경조직 유래의 악성종양
신경아종(Neuroblastoma)(신경아 유래), 수아세포종(medulloblastoma)(수아세포 유래), 악성성상교세포종(malignant astrocytoma)(성상교세포 유래), 망막아종(retinoblastoma)(망막아세포 유래), 교아세포종(glioblastoma)(교아세포 유래), 악성신경초종(malignant neurilenoma)(슈완세포(Schwann cells) 유래), 흑색종(melanoma)(신경외배엽 유래)
미분화 세포의 악성종양
악성기형종(malignant teratoma)(전능세포 유래), 신아종(nephroblastoma) (신아세포 유래), 간아종(hepatoblastoma)(간아세포 유래), 혼합종양(복수종류의 세포유래)
본 발명의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및 악성종양조직 캡슐화제는, 이러한 악성종양 중에서, 상피성의 악성종양, 및 비상피성의 악성종양인 신경조직 유래의 악성종양, 특히 흑색종 및 폐암에 대해서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이란, 종양세포가 피막을 파괴하여, 주위의 지방조직이나 다른 결합조직으로 침윤하는 것을 말하고, 광범 침윤(원발소로부터 연속적으로 다른 장기로 침윤하는 것)과는 구별된다.
악성종양조직의 캡슐화란,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캡슐모양조직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캡슐모양조직이란, 악성종양조직과 정상조직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형성하는 결합조직이며, 악성종양조직과 정상조직과의 사이를 차단하여, 마치 악성종양조직을 캡슐로 포위하는 것처럼 보이는 조직을 말한다.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캡슐모양조직을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악성종양의 외과적 치료시에는 적출범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수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캡슐화에 의해 악성종양 조직의 완전 적출이 용이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남겨진 잔존 침윤 악성종양세포에 의한 종양재발의 예방을 할 수 있다. 또한, 중요 장기에 악성종양이 발생한 경우에서도, 본 발명에 의하면,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캡슐모양조직을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최소범위에서의 악성종양조직 적출이 가능하게 되므로, 중요 장기의 기능 상실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바트록소빈이 갖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작용과 악성종양조직 캡슐화 작용과의 인과관계에 대해서, 악성종양조직의 캡슐화가 인정받지 못해도 국소 침윤이 억제된 예(하기 실시예 참조)가 있기 때문에, 악성종양조직의 캡슐화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의 필수요건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악성종양조직의 캡슐화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에 대해서 적어도 촉진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및 악성종양조직 캡슐화제는, 바트록소빈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고, 그 외의 활성물질과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그 외의 활성물질로서는, 플루오로라우실(Fluorouracil)과 같은 대사길항제, 아드리아마이신과 같은 항종양 항생물질제제, 다카르바진(dacarbazine)과 같은 알킬화제, 파크리탁셀(Paclitaxel)과 같은 식물 유래의 제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및 악성종양조직 캡슐화제의 제형으로서는, 일국제제(Japanese Pharmacopoeia) 총칙에 있는 제형을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직접 체내에 적용하는 주사제(현탁제, 유제를 포함한다); 연고제{유지성 연고, 유제성 연고(크림), 수용성 연고 등을 포함한다}, 흡입제, 액제(점안제, 점비제 등을 포함한다), 좌제(suppository), 첩부제(patch), 파프제(poultice), 로션제 등의 외용제; 또는, 정제(당코팅, 필름코팅, 젤라틴코팅을 포함한다), 액제, 캅셀제, 과립제, 산제(powder)(세립을 포함한다), 환제(pill), 시럽제, 트로치제 (troche) 등의 내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일국제제 총칙 등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및 악성종양조직 캡슐화제는, 제형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고체형상 혹은 액체형상의 담체 또는 개입 치료기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고체형상 혹은 액체형상의 담체로서는, 용제, 안정화제, 보존제, 용해보조제, 유화제, 현탁화제, 완충제, 등장화제, 착색제, 기제, 증점제, 부형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코팅제, 교미제 (corrigent)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물 및 유당, 백당, 과당, 포도당, 만니톨, 소르비톨 등의 당·당 알코올류, 결정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 프로필셀룰로오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카멜로스, 카멜로스칼슘, 카멜로스나트륨,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초산 프탈산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및 그 관련 유도체, 옥수수 전분, 소맥전분, 쌀전분, 감자전분, 덱스트린, 알파화 전분, 부분 알파화 전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나트륨, 시클로덱스트린, 풀루란 등의 전분 및 그 관련 유도체, 한천, 알긴산나트륨, 아라비아고무, 젤라틴, 콜라겐, 쉘락, 트라가칸트, 잔탄검 등의 천연고분자(해초류, 식물점질물, 단백질 등),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합성 고분자, 올리브유, 카카오지, 카나우바 왁스, 우지(beef tallow), 경화유, 대두유, 참기름, 동백유, 파라핀, 유동파라핀, 황밀납, 백색 바셀린, 야자유,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등의 유지류,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구연산트리에틸, 트리아세틴,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하드패트(hard fat),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등의 지방산 및 그 유도체, 글리세린, 스테아릴알코올, 세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마크로골(macrogol) 등의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 산화아연, 인산수소칼슘, 침강 탄산칼슘, 합성 규산알루미늄, 무수규산, 카올린, 건조 수산화알루미늄 겔, 합성 히드로탈사이트, 산화티탄, 탈크, 벤토나이트,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칼륨, 차몰식자산 비스무스(bismuth subgallate), 차살리실산 비스무스, 유산칼슘, 중탄산나트륨 등의 무기성 물질 및 금속염 화합물,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린산 폴리옥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팔미틴산 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 소르비탄, 폴리솔베이트,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로마크로골 등의 계면활성 물질, 색소,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개입 치료기재로서는 스텐트(stent), 인공혈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및 악성종양조직 캡슐화제의 투여량은, 통상, 환자의 체중, 질환의 성질 및 상태에 의존하여 변화하지만, 예를 들면, 성인에게 하루 1회 투여하는 경우, 바트록소빈으로서 1∼20바트록소빈 단위 (Batroxobin Unit, 약칭하여 BU)이다.
바트록소빈 단위는, 바트록소빈의 효소 활성량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37℃에서, 표준 사람 구연산 첨가 혈장 0.3㎖에 바트록소빈용액 0.1㎖을 가할 때, 19.0±0.2초에서 응고하는 활성량을 2BU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및 악성종양조직 캡슐화제의 투여방법으로서는, 바트록소빈을 적절히 희석하여, 점적 정맥내 투여, 정맥내 투여, 동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또는 국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트록소빈의 마우스, 래트, 토끼 및 개에 대한 급성 독성{LD50(BU/kg)}은 이하의 표 1과 같다. 급성 독성시험은, Pharmacometrics(Oyoyakuri) 25:339- 346,198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바트록소빈의 정맥내 투여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 1 바트록소빈의 급성 독성(i.v.)
동물종 LD50치(BU/kg)
마우스(ddy계) 192∼210
래트(Wistar계) 105∼110
토끼(NW계) >300
개(잡종) 190∼208
도 1은, 바트록소빈을 투여하지 않은 B16-BL6 흑색종 암을 갖는 마우스의 고형암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바트록소빈을 투여한 B16-BL6 흑색종 암을 갖는 마우스의 고형암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바트록소빈을 투여하지 않은 LA795 폐암을 갖는 마우스의 고형암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바트록소빈을 투여한 LA795 폐암을 갖는 마우스의 고형암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흑색종의 국소 침윤에 대한 바트록소빈의 억제 효과
C57BL/6j 마우스(Animal Institute of Academy of Medical Sciences, Beijing, China)로 계대한 국소 침윤성이 높은 마우스 유래 B16-BL6 악성 흑색종세포(고형암세포, Academy of Chinese Medical Sciences, Beijing, China)를 생리식 염수중에 현탁하여, 농도 5×106/㎖의 흑색종세포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흑색종세포 현탁액 0.2㎖를, 7주령(체중 18∼20g)의 수컷 C57BL/6j 마우스의 오른쪽 등부분 피하에 접종하여, 담암(tumor-bearing) 마우스모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담암 마우스모델을 무작위로 대조군(5마리)과 바트록소빈군(10마리)으로 나누어 투약을 실시하였다. 바트록소빈군에서는 종양세포 접종 후 4일부터 20일까지 격일 1회 40BU/kg 바트록소빈을 복강내 주사하였다. 대조군에서는 바트록소빈 대신에 같은 체적량의 생리식염수(2㎖/kg)를 복강내 주사하였다. 실험 종료후(종양접종후 20일)에 고형암의 종양조직, 주위의 피부 및 근육을 포함하는 조직표본을 채취하여, 포르말린 고정 후에 파라핀 매립하여, 헤마톡시린·에오신 염색표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표본을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에 대한 바트록소빈의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1) 현미경에 의한 관찰
도 1에 대조군의 현미경상(배율×200배)을 나타낸다. 도 2에 바트록소빈군의 현미경상(배율×100배)을 나타낸다{위쪽 도면 : 종양조직 주위의 캡슐화상, 아래쪽 도면 : 종양조직 주위의 캡슐화상(다른 마우스)}.
대조군에서는, 흑색종 세포(T)와 주위의 피부 또는 근육(M)이 밀접하게 접착하고, 흑색종 조직과 근육이 거의 분리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있었다(도 1). 이것은 캡슐모양조직이 형성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바트록소빈군에서는, 흑색종 세포(T)와 근육(M)과의 사이에 캡슐모양 조직(결합조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캡슐모양조직의 존재 때문에, 흑색종 세포(T)의 침윤은 제한되어, 피하 결합조직 및 옆구리복근에의 국소 침윤은 거의 볼 수 없었다(도 2, 위쪽 도면 및 아래쪽 도면). 또한, 바트록소빈군에서는, 캡슐모양조직이 존재하기 때문에, 흑색종 조직과 주위의 피부 및 근육과의 밀접한 접착이 일어나지 않고, 종양조직을 피부 및 근육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통째로 적출할 수 있었다.
(2) 국소 침윤의 정량적 평가
흑색종 세포의 국소 침윤을, 옆구리복근층에의 국소 침윤의 유무(국소 침윤 있음 : 양성)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흑색종 조직 주위의 캡슐모양조직의 유무(캡슐모양조직 있음 : 양성)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피하 이식한 B16-BL6 흑색종의 국소 침윤에 대한 바트록소빈의 억제 효과
처리군 옆구리복근층에 있어서의 국소 침윤 [양성수/총수(%)] 캡슐모양조직 [양성수/총수(%)]
대조군 3/5(60%) 1/5(20%)
바트록소빈군 0/10(0%)* 9/10(90%)*
* : P<0.05, 대조군과의 비교
표 2로부터, 대조군과 바트록소빈군과의 사이에, 국소 침윤억제 및 캡슐모양조직 형성에 관해서 의미있는 차이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바트록소빈은, 흑색종의 국소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 및 흑색종 조직의 주위에 캡슐모양조직을 형성시키고 또는 그 형성을 촉진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실시예 2] 폐암의 국소 침윤에 대한 바트록소빈의 억제 효과
수컷 T739 마우스(Animal Institute of Academy of Medical Sciences, Beijing, China)로 계대한 국소 침윤성이 높은 마우스 유래 LA795 폐선암 세포(고형암세포, Academy of Chinese Medical Sciences, Beijing, China)를 생리식염수중에 현탁하여, 농도 5×106/㎖의 폐암 세포현탁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폐암세포 현탁액 0.2㎖를, 7주령(체중 18∼20g) 수컷 T739 마우스의 오른쪽 등부분 피하에 접종하여, 폐암 담암 마우스모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폐암 담암 마우스모델을 무작위로 대조군(18마리)과 바트록소빈군(18마리)으로 나누어, 투약을 실시하였다. 바트록소빈군에서는 종양세포 접종 후 2일부터 18일까지 격일 1회 40BU/kg바트록소빈을 근육내 주사하였다. 대조군에서는 바트록소빈 대신에 같은 체적량의 생리식염수(2㎖/kg)를 근육내 주사하였다. 실험종료후(종양 접종 후 19일)에 고형암의 종양조직, 주위의 피부 및 근육을 포함하는 조직표본을 채취하여, 포르말린 고정 후에 파라핀 매립하여, 헤마톡시린·에오신 염색표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표본을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에 대한 바트록소빈의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1) 현미경에 의한 관찰
도 3에 대조군의 현미경상(배율×200배)을 나타낸다. 도 4에 바트록소빈군의 현미경상(배율×100배)을 나타낸다{위쪽 도면 : 암조직 주위의 캡슐화상, 아래쪽 도면 : 암조직 주위의 캡슐화상(다른 마우스)}.
대조군에서는, 폐암세포(T)와 주위의 근육(M)이 밀접하게 섞여, 폐암 고형암 조직과 근육이 거의 분리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있었다(도 3). 이것은 캡슐모양조직이 형성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바트록소빈군에서는, 폐암세포(T)와 근육(M)과의 사이에 캡슐모양조직(결합조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캡슐모양조직의 존재 때문에, 폐암세포(T)의 침윤은 제한되어, 피하결합조직 및 옆구리복근에의 국소 침윤은 거의 볼 수 없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위쪽 도면의 오른쪽 위에 있는 것은 폐암 고형암세포(T)이며, 캡슐모양조직을 사이에 두고 사진의 한가운데에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조직은 근육조직(M)이다. 도 4의 아래쪽 도면의 위에서 절반이 폐암 고형암조직(T)이며, 아래쪽은 근육조직(M)이다. 그 암조직과 근육조직의 사이에 캡슐모양조직을 볼 수 있다. 또한, 바트록소빈군에서는, 캡슐모양조직이 존재하기 때문에, 암조직과 주위의 피부 및 근육과의 밀접한 접착이 일어나지 않고, 암조직을 피부 및 근육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통째로 적출할 수 있었다.
(2) 국소 침윤의 정량적 평가
폐암세포의 국소 침윤을, 옆구리 복근층에의 국소 침윤의 유무(국소 침윤 있음 : 양성)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폐암조직 주위의 캡슐모양조직의 유무(캡슐모양조직 있음 : 양성)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피하 이식한 LA795 폐암의 국소 침윤에 대한 바트록소빈의 억제 효과
처리군 옆구리복근층에 있어서의 국소 침윤 [양성수/총수(%)] 캡슐모양조직 [양성수/총수(%)]
대조군 14/18(77.8%) 4/18(22.2%)
바트록소빈군 6/18(33.3%)* 10/18(55.6%)*
* : P<0.05, 대조군과의 비교
표 3으로부터, 대조군과 바트록소빈군과의 사이에, 국소 침윤억제 및 캡슐모양조직 형성에 관해서 의미있는 차이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바트록소빈은, 폐암의 국소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 및 흑색종 조직의 주위에 캡슐모양조직을 형성시키고 또는 그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악성종양의 국소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 및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캡슐모양조직을 형성시키고 또는 그 형성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악성종양의 외과적 치료시에는 국소 침윤의 억제에 의해 적출범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수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캡슐모양조직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악성종양조직의 완전 적출에 공헌할 수 있고, 종래의 불완전한 적출을 원인으로 하는 잔존 침윤 악성종양세포에 의한 종양재발의 예방에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조사 치료시에는 방사선조사 범위를 줄일 수 있으므로 피폭선량을 감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및 악성종양조직 캡슐화제로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4)

  1.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트록소빈이 천연물 또는 유전자 재조합제인,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성종양이 상피성 악성종양인,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성종양이 비상피성 악성종양인,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성종양이 신경조직 유래의 악성종양인,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성종양이 흑색종 또는 폐암인,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8.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있어서 캡슐모양조직의 형성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트록소빈이 천연물 또는 유전자 재조합제인,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있어서 캡슐모양조직의 형성제.
  10. 삭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성종양이 상피성 악성종양인,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있어서 캡슐모양조직의 형성제.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성종양이 비상피성 악성종양인,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있어서 캡슐모양조직의 형성제.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성종양이 신경조직 유래의 악성종양인,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있어서 캡슐모양조직의 형성제.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성종양이 흑색종 또는 폐암인, 악성종양조직의 주위에 있어서 캡슐모양조직의 형성제.
KR1020077001620A 2004-06-24 2005-06-24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KR100847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620A KR100847979B1 (ko) 2004-06-24 2005-06-24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3636 2004-06-24
KR1020077001620A KR100847979B1 (ko) 2004-06-24 2005-06-24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023A KR20070032023A (ko) 2007-03-20
KR100847979B1 true KR100847979B1 (ko) 2008-07-22

Family

ID=4164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620A KR100847979B1 (ko) 2004-06-24 2005-06-24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979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Cancer Res. Clin. Oncol., 116(2): 168-72 (199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023A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2629B (zh) 下泌尿道疾病治療劑及下泌尿道症狀改善劑
US20020013262A1 (en) Method of inhibiting metastatic dissemination using desmopressin
EP1774976B1 (en) Malignant tumor local infiltration inhibitor containing batroxobin
KR100847979B1 (ko) 바트록소빈을 함유하는 악성종양 국소 침윤억제제
US8481047B2 (en) Malignant tumor-inhibiting preparation comprising Des A fibrin
US20130171263A1 (en) Snake Powder Extract For Treatment Of Cancer
CN101896193B (zh) 减轻抗癌药副作用的药剂
US20060240117A1 (en) Snake powder extract for treatment of cancer
CN116509840A (zh) 洋川芎内酯i在制备防治器官纤维化的制品中的应用
KR20060123567A (ko) 허혈성 조직의 관류를 자극하기 위한 인자 ⅹⅲ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