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022B1 - wire ma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wire ma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022B1
KR100847022B1 KR1020060132719A KR20060132719A KR100847022B1 KR 100847022 B1 KR100847022 B1 KR 100847022B1 KR 1020060132719 A KR1020060132719 A KR 1020060132719A KR 20060132719 A KR20060132719 A KR 20060132719A KR 100847022 B1 KR100847022 B1 KR 100847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at
reinforcing
earth retain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7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58696A (en
Inventor
공학봉
Original Assignee
(주)메카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카모아 filed Critical (주)메카모아
Priority to KR102006013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022B1/en
Publication of KR20080058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6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0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매트가 설치되는 벽면재가 바닥재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60132719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mat for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Figure R1020060132719

Description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wire ma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Wire ma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mat for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결합 측면도. Fig. 2 is an assembled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1; Fig.

도 3은 도 1의 벽면재와 바닥재를 분리 도시한 측면도.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wall material and the floor material of Fig. 1 separated; Fig.

도 4는 도 1의 보강지지바를 도시한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support bar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e mat for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결합 측면도. Fig. 6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portion B of Fig. 5; Fig.

도 7은 도 5의 보강지지바를 도시한 사시도.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support bar of Fig. 5; Fig.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시공 순서도. FIG. 8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9는 종래 와이어 매트를 설치한 보강토 옹벽의 단면도. 9 is a 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having a conventional wire mat.

도 10은 도 9의 제1와이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wire mat of FIG. 9;

도 11은 도 9의 제2와이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wire mat of Fig. 9; Fig.

도 12는 와이어 매트와 연장보강재의 결합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12 is a side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of the wire mat and the extended stiffen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30,30a,30b : 백매트 40,40a,40b : 부직포 30, 30a, 30b: back mat 40, 40a, 40b: nonwoven fabric

60 : 연장보강재 100,300 : 와이어 매트60: Extension stiffener 100,300: Wire mat

110.330 : 벽면재 112,114;312,314 : 연결고리110,330: wall member 112, 114; 312, 314:

120,320 : 힌지부 120a,120b : 원형힌지고리120, 320: hinges 120a, 120b: circular hinge ring

130,330 : 보강지지바 131,331 : 가로바130, 330: reinforcing supporting bars 131, 331:

133,333 : 연장바 135 : 가동고리133,333: Extension bar 135: Movable ring

136 : 상부편 137 : 하부편136: upper piece 137: lower piece

138 : 연결편 139 : 수납홈138: Connecting piece 139: Storage groove

160,360 : 바닥재 170,370 : 연결힌지철근160,360: Flooring material 170,370: Connection hinge reinforcement

171,371 : 걸림고리 180,380 : 지오그리드(연장보강재)171,371: Retaining ring 180,380: Geogrid (extended stiffener)

320a,320b : 훅형힌지고리 335 : 고정고리320a, 320b: a hook-shaped hinge ring 335:

특허문헌 : 등록특허 제479163호 공보Patent Document: Japanese Patent No. 479163

본 발명은 식생매트가 설치되는 벽면재가 바닥재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mat for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종래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 및 시공방법으로서, 예컨대 특허문헌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의 보강토 옹벽(10)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쇄석(200) 위에 3층으로 쌓인 제1, 제2와이어 매트(wire mesh mat)(20, 20b)와, 캡매트(80)와, 백매트(30)와, 부직포 (40)와, 식생매트(50)와, 성토재(15)를 구비한다. 제1와이어 매트(20)는 다수의 가로근(22)과 세로근(24)의 철망으로, 수평방향으로 편평하게 연장된 바닥재(26)와, 바닥재(26)로부터 가로근(221)을 중심으로 다수의 세로근(24)이 절곡되어 위로 연장된 벽면재(28)를 구비한다. 바닥재(26)는 성토재(15)와 상호작용하여 성토재(15)가 제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세로근(24)은 벽면재(28)의 가장 위에 마련된 가로근(222)보다 더 길게 위로 연장된다. 벽면재(28)의 상부에는 다수의 세로근(24)이 앞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29)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1와이어 매트(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에서 옆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연장된다. 벽면재(28)의 뒤편에는 벽면 보강용 백매트(30)가 결합된다. 백매트(30) 뒤에 토사유출방지를 위해 부직포 (40)가 결합된다. 부직포 (40) 뒤에는 벽면녹화와 토사유출방지를 위한 식생매트(50)가 결합된다. 백매트(30), 부직포 (40), 식생매트(50)는 철사와 같은 결속끈으로 벽면재(28)에 묶이는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Conventionally, for example, a wire mat for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disclosed in a patent document are proposed. As shown in FIGS. 9 to 12,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10 of the patent document includes first and second wire mesh mats 20 and 20b stacked in three layers on a foundation stone 200, A mat 80, a back mat 30, a nonwoven fabric 40, a vegetation mat 50, and an embankment 15. The first wire mat 20 is a wire net having a plurality of transverse roots 22 and a longitudinal roots 24 and is composed of a floor material 26 extending fla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rope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ibs 24 bent to extend upwardly. The bottom material 26 interacts with the fillet 15 to help the fillet 15 maintain its position more stably. The longitudinal roots 24 extend longer than the transverse rods 222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wall material 28. An upper portion of the wall material 28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29 formed by project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oots 24 forward.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wire mats 20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sideways in each layer. A wall surface reinforcing back mat (30) is joined to the back of the wall material (28). After the back mat (30), the nonwoven fabric (40) is bonded to prevent soil erosion. Behind the nonwoven fabric (40), a vegetation mat (50) for preventing greening of the wall and leakage of the soil is combined. The back mat 30, the nonwoven fabric 40, and the vegetation mat 50 may be joined together by binding to the wall material 28 with a binding strap such as a wire.

도 12에는 바닥재(26) 뒤쪽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연장보강재(60)가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세로근(64)의 일측 끝부분은 위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연결부(66)가 바닥재(26)의 두 가로근(22) 사이에 아래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결부(66)가 세로근(24) 위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기다란 삽입막대(70)가 세로근(24)과 연결부(66)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연장매트(66)와 제1와이어 매트(20)가 결합된다. 12 shows an extended stiffener 60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bottom material 26. As shown in Fig. One en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roots 64 is bent so as to protrude upward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66 protrud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between the two transverse roots 22 of the bottom member 26. By doing so, the connecting portion 66 protrudes above the longitudinal roots 24. In this state, an elongated insertion rod 70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longitudinal roots 24 and the connecting portions 66, so that the extended mat 66 and the first wire mat 20 are engaged.

제2와이어 매트(20b)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보조매트(30a)와, 상부 보조매트(30b)와, 하부 부직포 (40a)와, 하부 식생매트(50a)와, 상부 부직포 (40b)와, 상부 식생매트(50b)와, 연결지지막대(90)와, 성토재(15a)를 구비한다. 벽면재(28b)와 바닥재(26b)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막대(90, 90a, 90b)는 기다란 양끝은 구부러져 고리(92, 92a, 92b)를 형성한다. 양끝의 고리는 각각 벽면재(28b)와 바닥재(26b)에서 가로근(22b)과 세로근(24b)이 교차하는 지점에 걸리게 된다. 연결막대(90, 90a, 90b)에는 길이조절용 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길이조절용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막대(90, 90a, 90b)의 길이를 약간 조절할 수 있다. A second wire mat (20b) is provided with a lower auxiliary mat (30a), and the assistant top mat (30b), and a lower non-woven fabric (40a), a lower vegetation mat (50a) and an upper non-woven fabric as shown in Figure 11 ( 40b, an upper vegetation mat 50b, a connecting support rod 90, and an embankment 15a. The connection support rods 90, 90a, 90b connecting the wall member 28b and the bottom member 26b are bent at both ends to form the rings 92, 92a, 92b. The rings at both ends are caught at the intersection of the transverse root 22b and the longitudinal root 24b in the wall material 28b and the floor material 26b. The connecting rods 90, 90a, 90b may be provided with length adjusting nuts.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90, 90a, 90b can be slightly adjusted by rotating the length adjusting nut.

그런데, 와이어 매트는 바닥재와 벽면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면재를 앞쪽(즉 옹벽 벽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기가 매우 어려워, 유지 보수 시 식생매트의 교체가 거의 불가능하여 재시공해야 하는 트러블이 있다. However, since the bottom material and the wall material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it is very difficult to pull the wall material for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etaining wall wal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getation mat can not be replaced at maintenance, .

또한, 시공시 벽면재의 벽면 기울기를 잡을 때 큰 힘을 들여 절곡해야 하기 때문에 자유로운 기울기 조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required to bend a large amount of force when holding the slope of the wall surface of the wall material during construction,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slope freel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벽면재의 기울기(각도) 조정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유지 보수시 식생매트의 교체가 편리한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a wire mat for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which can easily adjust the inclination It has its purpo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는 배면에 식생매트가 설치되는 벽면재와, 바닥에 배치되는 바닥재와, 상기 벽면재가 상기 바닥재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로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re mat for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ll material on a back surface, a floor material disposed on the floor, and a hinge portion for supporting the wall material so as to be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floor material.

이 구성에 의하면, 벽면재를 앞쪽으로 선회시킬 수 있어, 벽면재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뿐 아니라 유지 보수시 식생매트의 교체가 편리하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wall member can be pivoted forward, the angle of the wall member can be freely adjusted, and the vegetation mat can be easily replaced at maintenance.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벽면재와 상기 바닥재에 형성된 고리와, 이 고리에 삽입되는 힌지핀으로 구성되면, 연결구조의 간단하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hinge portion is preferably composed of the wall surface material, the ring formed on the bottom material, and the hinge pin inserted into the ring, in view of simplicity of the connection structure.

상기 바닥재에 대해 상기 벽면재를 보강 지지하는 보강지지바가 더 설치되면, 벽면재의 전도(앞으로 기울어짐)를 견고히 방지할 수 있다. When a reinforcing support bar for reinforcing the wall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material, conduction (forward inclination) of the wall material can be securely prevented.

상기 보강지지바는 상기 바닥재의 세로근에 걸리는 가로바, 상기 가로바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벽면재의 가로근에 걸리는 훅으로 구성되면, 바닥재에 끼운 채 벽면재에 걸기만 하면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할 뿐 아니라, 지오그리드와 같은 연장보강재를 함께 지지할 수 있다. Wherein the reinforcing support bar is constituted by a horizontal bar which is hooked to the longitudinal roots of the floor material, an extension bar which extends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and a hook which is formed at the tip of the extension bar and hooks on the transverse side of the wall material, Since it is installed only when it is hooked to the wall material, it is not only easy to construct but also can support an extended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geogrid.

한편, 상기 보강지지바는 상기 바닥재의 세로근에 걸리는 가로바, 상기 가로바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선단과 상기 벽면재의 가로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바의 선단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리로 구성되되, 상기 고리는 상부편, 하부편, 상기 상부편과 상기 하부편을 연결하면서 상기 연장바의 선단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홈이 형성된 연결편으로 구성되면, 전술한 효과뿐 아니라 고리를 돌리기만 하면 벽면재로부터 보강지지바가 해제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시 더욱 편리하다. The reinforcing support bar may include a horizontal bar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material, an extension bar extending and bending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and a reinforcing bar provided between a front end of the extension bar and a transverse wall of the wall material, The hook is constituted by an upper piece, a lower piece, and a connecting piece connecting the upper piece and the lower piece and having a groove for rotatably receiving the tip of the extending bar, In addition to one effect, the reinforcing bar is released from the wall by simply turning the ring, which is more convenient for maintenanc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은 바닥재와, 벽면재, 상기 바닥재에 대해 상기 벽면재를 선회시키는 힌지부로 구성되는 와이어 매트를 준비하는 공정; 기초공을 시공하는 공정; 상기 기초공에 상기 와이어 매트를 설치하는 공정; 상기 벽면재의 배면에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공정; 성토재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wire mat comprising a bottom material, a wall material, and a hinge portion turning the wall material against the bottom material; A step of constructing a basic hole; Installing the wire mat on the basic hole; Installing a vegetation mat on the back surface of the wall material; And a step of setting up and completing the embankment.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벽면재를 선회한 후 상기 식생매트를 교체하는 보수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 repairing step of replacing the vegetation mat after turning the wall materi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결합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벽면재와 바닥재를 분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보강지지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mat for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support bar of FIG. 1. FIG.

본 제1실시예의 와이어 매트(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재(110)와, 바닥재(160)와, 벽면재(110)와 바닥재(160)를 연결하는 힌지부(120)로 구성하여 있다. 1 to 4, the wire mat 10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wall member 110, a floor member 160, a hinge unit 160 connecting the wall member 110 and the floor member 160, (120).

벽면재(110)는 다수의 가로근(111)과 다수의 세로근(113)이 격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벽면재(110)의 배면에는 식생매트(40a,40b)가 설치된다. 식생매트(40a,40b)는 벽면녹화와 토사유출방지를 위한 것으로, 화학섬유, 야자섬유, 자연섬유, 인공객토와 종자,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식생매트(40a,40b) 설치 전에, 토사유출방지용 식생용 부직포 (40,40a,40b)가 벽면재(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생용 부직포 (40,40a,40b)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을 네트모양으로 성형한 것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벽면재(110)의 배면에는 벽면 보강용 백매트(30,30a,30b)가 보조적으로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ll member 110 has a plurality of transverse roots 111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oots 113 in a lattice form.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material 110, vegetation mats 40a and 40b are provided. The vegetation mats (40a, 40b) are for the purpose of greening the walls and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soil, and they are mainly composed of chemical fiber, coconut fiber, natural fiber, artificial soil, seed and nonwoven fabric.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nting non - woven fabrics 40, 40a, 40b for preventing soil erosion are installed on the wall material 110 before the vegetation mat 40a, 40b is installed. The vegetable nonwoven fabric (40, 40a, 40b) is mainly formed by molding a high-density polyethylene into a net shap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wall backing back mats (30, 30a, 30b) ar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wall material (110).

또한, 벽면재(110)의 가로근(111)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연결고리(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고리(112)는 벽면재(110)와 벽면재(110)를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때 편리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on loop 112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transverse root 111 of the wall material 110. The connection ring 112 is convenient when the wall member 110 and the wall member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마찬가지로, 벽면재(110)의 세로근(113) 상측에는 연결고리(1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고리(114)는 벽면재(110)와 벽면재(110)를 세로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때 편리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연결고리(112)(114)는 훅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kewise, the connection ring 114 is preferably formed on the longitudinal side 113 of the wall member 110. This connection ring 114 is convenient when the wall member 110 and the wall member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These connecting rings 112 and 114 are preferably hook-shaped.

이와 같은 연결고리(112)(114)의 구성에 의하여, 결속끈으로 인력을 사용하 여 묶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Becaus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rings 112 and 114,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binding force to bind the coupling ropes 고성토High seas soil (15M 이상) (Over 15M) 녹생옹벽에서의The 안전사고 위험이 없고, 시공기간이 짧아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좋다.  There is no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construction time is relatively short, which is relatively economical.

한편, 바닥에는 바닥재(1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닥재(160)는 가로근(161)과 세로근(163)의 격자형인 보강재로서, 바닥재(160)의 세로근(163)에는 마찰저항력이 작용하고, 바닥재(160)의 가로근(161)에는 지압저항력이 작용한다. 이 저항력들이 토압력보다 크게 작용하여 옹벽의 안정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floor material 160 is installed on the floor. The floor material 160 is a reinforcing material having a lattice shape of a transverse root 161 and a longitudinal root 163. The frictional resistance is applied to the longitudinal roots 163 of the floor material 160 and the transverse roots 161 of the floor material 160, The pressure resistance force acts. These resistance forces act more than the earth pressure and can satisfy the stability condition of the retaining wall.

바닥재(160)의 길이가 짧은 경우,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보강재를 연결하여 연장할 수 있다. 이 연장보강재로는 지오그리드(180)(380) 또는 바닥재와 같은 재질의 강보강재가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length of the bottom member 160 is short, as shown in Figs. 1 and 5, the reinforcing member can be connected and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is extended reinforcement, a steel reinforcement material such as geogrid 180 (380) or a flooring material may be used.

벽면재(110)와 바닥재(160)는 아연 도금한 보통 철선의 재질의 것을 주로 사용한다. The wall material (110) and the floor material (160) are mainly made of galvanized iron wire.

힌지부(120)는 벽면재(110)의 세로근(113)의 하측에 형성된 원형힌지고리(120a)와, 바닥재(160)의 세로근(163)의 일측에 형성된 원형힌지고리(120b)와, 원형힌지고리(120a)와 원형힌지고리(120b)를 연결힌지철근(170)으로 구성하여 있다. 즉, 원형힌지고리(120a)와 원형힌지고리(120b)를 맞댄 후, 연결힌지철근(170)을 힌지고리(120a)(120b)로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연결힌지철근(170)에는 원형힌지고리에 걸리는 훅(17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inge part 120 includes a circular hinge ring 120a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ngitudinal root 113 of the wall material 110 and a circular hinge ring 120b formed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root 163 of the floor material 160 And the circular hinge ring 120a and the circular hinge ring 120b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hinge reinforcement 170. [ That is, after the circular hinge ring 120a and the circular hinge ring 120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hinge reinforcement 170 is inserted into the hinge rings 120a and 120b to be connected. The connecting hinge reinforcement 170 preferably has a hook 171 formed on the circular hinge ring.

이 힌지부(120)의 구성에 의하여, 바닥재(160)를 바닥에 놓은 후, 벽면재(110)를 원하는 기울기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The hinge portion 120 allows the wall material 110 to be freely adjusted to a desired slope after the floor material 160 is placed on the floor.

또한, 힌지부(120)의 구성에 의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한 후, 유지 보수시 벽면재(110)를 앞으로 쉽게 당길 수 있어, 식생매트의 교체가 가능하다. Further, due to the structure of the hinge portion 120, the wall material 110 can be easily pulled forward during maintenance after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and the vegetation mat can be replaced.

한편, 포설되는 성토재 등에 의해 벽면재(110)가 앞쪽으로 기울어짐(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지지바(1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reinforcing support bar 130 is installed to prevent the wall material 110 from being tilted (spreading) by the buried embankment or the like.

보강지지바(1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재(160)의 세로근(163)에 걸리는 가로바(131)와, 가로바(131)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바(133)와, 연장바(133)의 선단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리(135)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보강지지바(130)는 전체적으로 'ㄷ'자형 연결재로 구성하여 있다. 4, the reinforcing supporting bar 130 includes a horizontal bar 131 which is hooked to the vertical roots 163 of the floor material 160 and a plurality of extending bars 133, and a ring 135 that rotatably supports the distal ends of the extension bars 133. As shown in Fig. That is, the reinforcing support bar 130 is formed of a 'C' -shaped connection material as a whole.

고리(135)는 벽면재(110)의 가로근(111)에 걸려, 벽면재(110)를 바닥재(160)에 지지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The loop 135 is hooked on the transverse roots 111 of the wall material 110 and the wall material 110 is supported by the floor material 160.

또한, 고리(135)는 연장바(133)의 선단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고리(135)로 구성되어 있다. 즉, 가동고리(135) 각각은 상부편(136), 하부편(137), 상부편(136)과 하부편(137)을 연결하는 연결편(138)으로 구성하여 있다. 연결편(138)에는 연장바(133)의 선단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홈(139)이 형성되어 있다. The ring 135 is constituted by a movable ring 135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tip of the extension bar 133. That is, each of the movable hooks 135 is composed of an upper piece 136, a lower piece 137, and a connecting piece 138 connecting the upper piece 136 and the lower piece 137. The connecting piece 138 is formed with a groove 139 for rotatably housing the tip of the extending bar 133.

이와 같이, 보강지지바(130)가 'ㄷ'자 형상이기 때문에, 바닥재(160) 밑에서 위로 끼우면, 보강지지바(130)의 가로바(131)는 바닥재(160)의 가로근(161)에 걸려 손쉽게 지지되어 연결이 편리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재(160) 밑에 지오그리드(180)를 두고, 연장바(133)로 지오그리드(180) 뚫고 위로 돌출시킨 후 가동고리(135)를 연결하게 되면, 지오그리드(180)는 가로바(131)를 연 결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생략되어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가동고리(135)를 빼지 않고, 지오그리드(180)를 뚫고 나오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지오그리드(180)가 부직포이기 때문에 격자 사이로 빼낼 수 있기 때문이다. Since the reinforcement supporting bar 130 is shaped like a 'C' shape, the horizontal bar 131 of the reinforcement supporting bar 130 can be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roots 161 of the flooring 160 It is easy to hook up and easy to connect. 1 and 2, when the geogrid 180 is placed under the floor material 160 and the geogrid 180 is pierced by the extended bar 133 and then the movable loop 135 is connected, A separate part for connecting the horizontal bar 131 is omitted in the geogrid 180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course, it is possible to break through the geogrid 180 without removing the movable ring 135. This is because the geogrid 180 is a nonwoven fabric and can be drawn between the grids.

또한, 가동고리(135)가 연장바(133)에 대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식생매트 교체하는 경우, 가동고리(135)를 옆으로 돌리면, 걸린 상태가 바로 해제되기 때문이다. Further, since the movable loop 135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bar 133, when the vegetation mat is replaced, if the movable loop 135 is turned to the side, the locked state is immediately releas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결합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보강지지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e mat for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5, and FIG. 7 is a cross-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의 와이어 매트(300)는 제1실시예의 와이어 매트(100)와 그 구조 및 기능은 유사하지만, 힌지부(320)와 보강지지바(330)의 구조에 차이가 있다. 5 to 7, the wire mat 3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in structure and function to the wire mat 100 of the first embodiment, but has a hinge portion 320 and a reinforcing support bar 330).

즉, 와이어 매트(300)는 벽면재(310)와, 바닥재(360)와, 힌지부(320)로 구성하여 있다. 벽면재(310)는 벽면재(110)와 마찬가지로, 가로근(311)과 세로근(313)의 격자 형태이며, 가로근(311)의 우측 또는 좌측에는 훅(312)이, 세로근(313)의 상측에는 훅(3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재(360)도 바닥재(160)와 마찬가지로, 가로근(361)과 세로근(363)의 격자 형태이다. That is, the wire mat 300 comprises a wall material 310, a floor material 360, and a hinge portion 320. The wall member 310 is in the form of a lattice between a transverse root 311 and a longitudinal root 313 in the same manner as the wall member 110. A hook 312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r left side of the transverse root 311, A hook 314 is formed. Also, the flooring material 360 is in the form of a lattice of the transverse roots 361 and the longitudinal roots 363, like the flooring material 160.

힌지부(3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재(320)의 세로근(313)의 하측에 형성된 훅형 또는 U형 힌지고리(320a)와, 바닥재(360)의 세로근(363)의 하측에 형성된 훅형 또는 U형 힌지고리(320b)와, 이들 힌지고리(320a)(320b)를 연결하는 연결힌지철근(370)으로 구성하여 있다. 즉, 힌지고리(320a)와 힌지고리(320b)를 서로 연결한 후, 연결힌지철근(370)을 고리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물론, 연결힌지철근(370)에는 훅 고리에 걸리는 훅(37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the hinge portion 320 includes a hook-shaped or U-shaped hinge ring 320a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ngitudinal ribs 313 of the wall material 320, Hook or U-shaped hinge ring 320b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inge hook 320a and a connecting hinge reinforcement 370 connecting the hinge rings 320a and 320b. That is, after connecting the hinge ring 320a and the hinge ring 320b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hinge reinforcement 370 is inserted into the ring and connected.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hinge reinforcement 370 is provided with a hook 371 hooked on the hook loop.

또한, 보강지지바(330)도 보강지지바(130)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자형 연결재로서, 바닥재(360)의 세로근(363)에 걸리는 가로바(331)와, 가로바(331)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연장바(333)와, 연장바(333)의 선단에 형성되어 벽면재(310)의 가로근(311)에 걸리는 고리(335)로 구성되어 있다. 고리(335)는 회전하는 가동고리(135)와 달리 훅 형태의 고정고리(335)로서 기능을 한다. The reinforcing supporting bar 330 is also a generally U-shaped connecting member like the reinforcing supporting bar 130 and includes a horizontal bar 331 which is caught by the longitudinal roots 363 of the floor covering 360, An extension bar 333 which extends at both ends of the extension bar 333 and a hook 335 which is formed at the tip of the extension bar 333 and is hooked on the transverse root 311 of the wall material 310. The ring 335 functions as a hook-shaped fixing ring 335, unlike the rotating movable ring 135.

이 경우의 보강지지바(330)는 벽면재(310)를 앞으로 당겨 유지 보수할 때, 고정고리(335)를 펴서, 가로근(311)으로부터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supporting bar 330 in this case is formed so as not to be disturbed from the transverse rope 311 by extending the fixing ring 335 when the wall material 310 is pulled forward and maintained.

이하,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을 전술한 구성을 적용하여 설명하는데, 3층 성토층이 시공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assuming that a three-layer embankment layer is constructed.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시공 순서도이다. 8 is a construction flowchart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벽면재와 바닥재를 힌지부를 이용한 와이어 매트를 다수 준비한다. 그리고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장소에서 기초공을 준비한다. 기초공은 굴착과 정지 등의 기초 공사를 한 후 요철이 없도록 다짐을 충분히 하고 기초쇄석을 포설한다. 그 다음, 우수 등이 성토 내로 침투하지 않도록 필요한 경우 맹암거 배수재 시공을 한다. '맹암거 배수재'란 땅속으로 유입된 물을 처리하는 배수구조물로서, 노면 속으로 유입되거나, 절개지 암선을 통해 흘러 노면 속으로 유입되는 물을 맹암거를 이 용하여 다른 배수 구조물로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노면을 타고 모이는 물,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은 별도의 배수관이나 암거 등으로 처리하도록 한다. First, a large number of wire mats using a hinge portion are prepared for the wall material and the floor material. Prepare the foundation at the site where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to be constructed. After foundation work such as excavation and suspension, basic foundation is enough to compose without irregularity and lay foundation stone. Then, if necessary, prevent the rain from penetrating into the embankment. The term 'blind culvert drainage' refers to a drainage structure that treats the water that has flowed into the ground. It refers to the water that flows into the road surface or flows into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cleavage line, and is led to other drainage structures by using the culvert. Water collected along the road surface and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way should be treated with separate drain pipes or culvert.

기초공이 완료되면, 힌지부를 통해 소정의 기울기로 세팅한 제1와이어 매트를 설치한다. 이 제1와이어 매트는 가로방향을 따라 약간의 간격을 두고 배치 설치한다. 이때 내커브는 와이어 매트의 배면측을 겹치고, 외커브는 떨어뜨려 설치한다(종래기술 공보 도 6 참조). 제1와이어 매트가 설치되면 바닥재에 보강재(지오그리드 또는 강보강재)를 연결하여 설치한다. When the basic hole is completed, a first wire mat set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hinge portion. The first wire mats are disposed with a slight interval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inner curve overlaps the back side of the wire mat and the outer curve is set down (see FIG. 6 of the prior art). When the first wire mats are installed, a reinforcing material (geogrid or steel reinforcing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bottom material.

그 다음, 벽면재에 식생매트와 토사유출방지용 부직포를 순서대로 설치 고정한다 . 다짐시 식생매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많은 곳에 걸속끈으로 묶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1성토재를 벽면측부터 포설한다. 포설한 성토재는 벽면 근방에는 소형 다짐기를 사용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다짐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n, a vegetation mat and a nonwoven fabric for preventing soil erosion are installed and fixed in order on the wall material . It is advisable to tie a large number of swabs to many places so that the vegetation mats do not move during compaction. Next, the first embankment is laid from the side of the wall surface. It is preferable to use a small compaction unit near the wall surface and use a compaction roller for the remaining part of the embankment.

제1성토재가 완료되면, 제2와이어 매트를 제1와이어 매트에 설치 고정한다. 이 연결 고정은, 제2와이어 매트의 가로근과 제1와이어 매트의 벽면재의 세로근을 결속하여도 좋고, 벽면재의 세로근 상측 또는 하측의 연결고리를 다른 벽면재의 가로근에 또는 가로근과 세로근의 교차부에 걸어 연결할 수 있다. 그 다음엔 위와 같은 시공을 반복하여, 제2성토재 및 제3성토재가 완료된다. When the first embedding material is completed, the second wire mat is fixed to the first wire mat. This connection fixation may be performed by binding the transverse root of the second wire mat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wall surface material of the first wire mat, or by connecting the upper or lower connecting link of the wall surface material to the transverse root of another wall surface material, You can hang it at the intersection of the muscles. Then, the above construction is repeated to complete the second embankment and the third embankment.

이때, 제1성토재, 제2성토재, 제3성토재가 포설되기 전에, 보강지지바(130 또는 330)가 설치되는 것이, 포설되는 성토재 등에 의해 벽면재가 앞쪽으로 기울어짐(벌어짐)을 견고히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supporting bar 130 or 330 is installed before the first embedding material, the second embedding material, and the third embedding material are installed, and it is possible to firmly prevent the wall material from tilting (spreading) have.

이와 같이, 보강토 옹벽이 완성된 후, 시간이 지난 후 풀이 자라나지 않는 식생매트가 있는 경우, 보강지지바(130)인 경우에는 가동고리(135)를 회전시켜 가로근(111)으로 이탈시킨 후, 벽면재(110)를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하여 앞으로 당겨 선회시키면, 손쉽게 식생매트의 교체가 가능하다. In the case of the reinforcing support bar 130, when the vegetation mat does not grow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the movable loop 135 is rotated to release it to the transverse root 111 The vegetation mat can be easily replaced by pulling the wall member 110 toward the hinge unit 120 forward.

보강지지바(330)인 경우에는 고정고리(335)를 편 다음 벽면재(310)를 앞으로 당겨 선회시킨 후 식생매트를 교환하면 된다. In the case of the reinforcing supporting bars 330, the fixing rings 335 may be pushed forward by turning the wall material 310 and then the vegetation mat may be exchanged.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wire mat for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e wire mat for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wire net and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벽면재가 바닥재에 대해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할 식생매트가 있는 경우 힌지부에 의해 그 부분의 벽면재가 앞으로 당겨져 유지 보수가 대단히 편리하다. Since the wall material is joined to the bottom material by the hinge part, if there is a vegetative mat to be replaced, the wall material of the part is pulled forward by the hinge part, and maintenance is extremely convenient.

또한, 보강지지바가 'ㄷ'자 형상의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바닥재의 밑에서 위로 끼워 올리면, 보강지지바의 가로바가 바닥재의 가로근에 걸리기 때문에,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ement supporting bars are integrally formed in a "C" shape, the horizontal bars of the reinforcing support bars are caught by the transverse roots of the bottom material when the bottom reinforcement bars are pushed up from below.

또한, 보강지지바가 'ㄷ'자 형상의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바닥재의 밑에 지오그리드를 둔 상태에서, 보강지지바의 연장바로 지오그리드를 뚫고 가로바가 지오 그리드를 누른 상태에서 바닥재의 가로근에 걸리기 때문에, 지오그리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불필요하고 시공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ement support bar is formed as a unitary shape having a "C" shape, the horizontal bar is caught by the transverse roots of the floor material while the geogrid is bored while the geogrid is placed under the bottom material,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geogrid is unnecessary and the workability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보강지지바의 고리가 상부편, 하부편, 상기 상부편과 상기 하부편을 연결하면서 상기 연장바의 선단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홈이 형성된 연결편으로 구성됨으로써, 고리만을 간단히 돌려 회전시키면 벽면재의 가로근으로부터 이탈하기 때문에, 시공속도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The hooks of the reinforcing supporting bars are composed of an upper piece, a lower piece, and a connecting piece having grooves for connecting the upper piece and the lower piece while rotatably receiving the tip of the extending bar. Thus,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construction speed.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배면에 식생매트가 설치되는 벽면재와, A wall material on the back of which a vegetation mat is installed, 바닥에 배치되는 바닥재와, A floor material disposed on the floor, 상기 벽면재가 상기 바닥재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와, A hinge portion for supporting the wall material so as to be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floor material, 상기 바닥재에 대해 상기 벽면재를 보강 지지하는 보강지지바로 이루어지되, And a reinforcing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wall member against the bottom material, 상기 보강지지바는 상기 바닥재의 세로근에 걸리는 가로바, 상기 가로바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선단과 상기 벽면재의 가로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바의 선단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리로 구성되고, Wherein the reinforcing support bar is provided between a horizontal bar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or material, an extension bar extending and bending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And a support ring 상기 고리는 상부편, 하부편, 상기 상부편과 상기 하부편을 연결하면서 상기 연장바의 선단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홈이 형성된 연결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 Wherein the loop comprises an upper piece, a lower piece, and a connecting piece having a groove formed therein for connecting the upper piece and the lower piece and rotatably receiving the tip of the extending 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132719A 2006-12-22 2006-12-22 wire ma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KR1008470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719A KR100847022B1 (en) 2006-12-22 2006-12-22 wire ma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719A KR100847022B1 (en) 2006-12-22 2006-12-22 wire ma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696A KR20080058696A (en) 2008-06-26
KR100847022B1 true KR100847022B1 (en) 2008-07-17

Family

ID=3980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719A KR100847022B1 (en) 2006-12-22 2006-12-22 wire ma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0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260B1 (en) * 2013-11-11 2014-02-14 김창원 Wire-mesh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natural plan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273B1 (en) * 2017-03-17 2018-08-08 홍우기술산업㈜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basic support for fence installed in wal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457A (en) * 1995-03-14 1996-09-24 Ube Techno Enji K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nit
KR100479163B1 (en) * 2003-12-12 2005-03-29 주식회사 지오시스템케이 Earth retaining wa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457A (en) * 1995-03-14 1996-09-24 Ube Techno Enji K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nit
KR100479163B1 (en) * 2003-12-12 2005-03-29 주식회사 지오시스템케이 Earth retaining wa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260B1 (en) * 2013-11-11 2014-02-14 김창원 Wire-mesh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natural plan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696A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528B1 (en) Environment green wall
JP5373207B2 (en) Vertical wall and high slope surface revegetation method, and aggregate container, lathe assembly and water supply device used therefor
KR102211322B1 (en) Slope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using vegetation soil and slope reinforcement construction
KR100874961B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wire mesh
KR100847022B1 (en) wire ma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JP3714885B2 (en) Protection structures for slopes, walls, shores, etc.
KR101250304B1 (en) Body-supporting vegetational gabion
JP2002363990A (en) Slope seeding and planting method
KR101231123B1 (en) Ecological block construction method using body-supporting vegetational gabion and vegetational gabion therewith
KR200427946Y1 (en) A reinforcing strip installation structure for reinforced earth wall
KR100774880B1 (en) High and low wire entanglements directly connection of a fixing method construction stone
KR100794669B1 (en) Wire ne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tilizing the wire net
JP2008038369A (en) Soil improvement construction method by combination of vegetation net and soft framework
KR102235064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Vegetable Soil Bag Wall using Earth Anchors and Grids
KR100889257B1 (en)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using greening of retaining panel&#39;s front
KR20130037781A (en) Structure for vegetion earths retaining wall using a protection net for slope
KR101018903B1 (en) Stabilizing assembly for preventing soil-flow of slope and greening
JP4264162B2 (en) River vegetation revetment method and river vegetation revetment
CN212316949U (en) Supporting construction of side slope
KR200472471Y1 (en) Structure for vegetion earths retaining wall using a protection net for slope
JP2021038642A (en) Construction method of vegetation mat
KR101219217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stabilizing slope for soil-flow and greening
JP4220613B2 (en) Protective greening structure on slopes, walls, shores
CN110939141A (en) Supporting construction of side slope
KR20100010797A (en)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