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492B1 -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492B1
KR100846492B1 KR1020060084130A KR20060084130A KR100846492B1 KR 100846492 B1 KR100846492 B1 KR 100846492B1 KR 1020060084130 A KR1020060084130 A KR 1020060084130A KR 20060084130 A KR20060084130 A KR 20060084130A KR 100846492 B1 KR100846492 B1 KR 100846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icense
temporary
shar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1249A (ko
Inventor
이재원
강보경
정경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492B1/ko
Publication of KR2008002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3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 for protecting copy r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와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사용하는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은 콘텐트의 임시 공유의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원본 라이센스 및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필요한 임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콘텐트의 임시 공유가 허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임시 라이센스를 제 2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트의 사용이 허가된 디바이스가 보유하고 있는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해 다른 디바이스가 콘텐트를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자유로운 콘텐트의 활용이 가능해진다.
Figure R1020060084130
DRM, 콘텐트, 라이센스, 임시

Description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using temporary license}
도 1은 종래의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시스템에 따른 콘텐트를 사용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공유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수신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사용하는 콘텐트를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RM이란 사용을 허가받은 정당한 사용자만이 콘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콘 텐트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DRM 시스템은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서버, 콘텐트에 대한 라이센스를 사용자에게 부여, 변경 및 제거하는 등의 관리를 하는 라이센스 서버 및 콘텐트 서버로부터 콘텐트를 제공받아 라이센스 서버의 라이센스를 참조하여 콘텐트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라이센스 서버 및 클라이언트에는 각각 DRM 서버용 응용 프로그램 및 DRM 클라이언트용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현재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DRM 응용 프로그램으로는 SmartRight, OCCAM(Open Conditional Content Access Management), xCP Cluster Protocol, DTC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와 같은 것이 있다.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되는 DRM 응용 프로그램으로는 Window Media Player의 Janus, Real Player의 Helix, iTunes의 FairPlay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DRM 시스템에 따른 콘텐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101에서 클라이언트(12)는 콘텐트 서버(11)에 사용자가 사용하기를 원하는 콘텐트를 요청한다.
단계 102에서 클라이언트(12)는 단계 101에서 요청한 콘텐트를 콘텐트 서버(11)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콘텐트는 소정의 DRM이 적용된 콘텐트로써, 사용자가 라이센스를 획득하기 전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암호화된 콘텐트이다. 여기서 DRM이 적용되었다 함은 소정의 DRM에 규정된 암호화 키 및 암호화 방식에 따라 콘텐트가 암호화되어 있고, 콘텐트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규칙, 재 생 가능한 회수, 재생 가능한 기간 등)에 따라 사용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단계 103에서 클라이언트(12)는 단계 102에서 수신한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서버(13)에 요청한다.
단계 104에서 클라이언트(12)는 단계 102에서 수신한 콘텐트를 복호화하기 위한 콘텐트 암호화 키 및 사용 제한 정보가 포함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서버(13)로부터 수신한다. 라이센스는 콘텐트 서버(11)를 운영하는 콘텐트 제공자(CP : Content Provider)의 정책(policy)에 따라 제한된 사용자에게만 제공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콘텐트 사용료를 지급한 사용자에게만 라이센스를 제공하거나, 로그인 정책 등을 통해 라이센스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할 수 있다.
단계 105에서 클라이언트(12)는 단계 104에서 라이센스 서버(13)로부터 수신한 라이센스를 참조하여 단계 102에서 콘텐트 서버(11)로부터 제공받은 콘텐트를 사용한다.
단계 105에서 클라이언트(12)의 콘텐트 사용은 콘텐트의 재배포(superdistribution)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클라이언트(12)뿐만 아니라,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콘텐트를 사용하거나, 제 3 자의 사용을 위해 다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재배포라 한다. 그러나, 콘텐트를 수신한 클라이언트(12)에 의한 콘텐트의 재배포는 콘텐트의 불법적인 사용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DRM 시스템은 콘텐트 재배포와 관련된 불법적인 사용을 막기 위해 콘텐트를 제 3 자가 사용할 때에는 라이센스 서버(13)로부터 라이센스를 재발급받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다른 디바이스 에서 콘텐트를 사용할 때마다 라이센스를 재발급받아야 하는 불필요한 과부하를 야기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텐트의 사용이 허가된 디바이스의 콘텐트를 다른 디바이스에서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와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사용하는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콘텐트의 임시 공유의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원본 라이센스 및 상기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필요한 임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트의 임시 공유가 허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시 라이센스는 원본 라이센스와 쌍을 이루어 발행된 라이센스임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원본 라이센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소정의 암호화 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와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사용하는 콘텐트를 공유하는 장치는 상기 콘텐트의 임시 공유의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원본 라이센스 및 상기 콘텐트를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한 임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라이센스수신부; 상기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트의 임시 공유가 허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콘텐트관리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시 라이센스는 상기 원본 라이센스와 쌍을 이루어 발행된 라이센스임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원본 라이센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부는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소정의 암호화 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콘텐트 공유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서 콘텐트 서버(21)는 제 1 디바이스(23) 및 제 2 디바이스(24)가 사 용할 콘텐트를 보유하고 있는 서버이며, 라이센스 서버(22)는 콘텐트 서버(21)의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라이센스를 발급하는 서버이다. 제 1 디바이스(23) 및 제 2 디바이스(24)는 콘텐트를 사용할 클라이언트들에 해당한다.
단계 201에서 제 1 디바이스(23)는 콘텐트 서버(21)에 사용자가 사용하기를 원하는 콘텐트를 요청한다.
단계 202에서 제 1 디바이스(23)는 단계 201에서 요청한 콘텐트를 콘텐트 서버(21)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콘텐트는 소정의 DRM이 적용된 콘텐트로써, 사용자가 라이센스를 획득하기 전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암호화된 콘텐트이다. 여기서 DRM이 적용되었다 함은 소정의 DRM에 규정된 암호화 키 및 암호화 방식에 따라 콘텐트가 암호화되어 있고, 콘텐트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규칙, 재생 가능한 회수, 재생 가능한 기간 등)에 따라 사용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단계 203에서 제 1 디바이스(23)는 단계 202에서 수신한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서버(22)에 요청한다. 본 발명은 콘텐트의 사용이 허가된 제 1 디바이스(23)가 제 2 디바이스와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23)가 라이센스 서버(22)에 라이센스를 요청할 때, 콘텐트의 임시 공유를 허가해 줄 것을 같이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임시 공유를 허가해달라는 요청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임시 공유에 관한 별도의 요청이 없어도 라이센스 서버(22)가 후술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발급하도록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단계 204에서 제 1 디바이스(23)는 원본 라이센스 및 임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서버(22)로부터 수신한다. 원본 라이센스는 제 1 디바이스(23)가 단계 202에서 콘텐트 서버(21)로부터 수신한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센스이고, 임시 라이센스는 다른 디바이스들이 제 1 디바이스(23)가 단계 202에서 수신한 콘텐트를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센스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본 라이센스(31)의 구조를 도시한다.
원본 라이센스(31)는 제 1 디바이스(23)에서 단계 202를 통해 콘텐트 서버(21)로부터 수신한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센스이다. 다른 일반적일 DRM 라이센스와 마찬가지로 콘텐트의 암호화에 사용된 콘텐트 암호화 키(314) 및 사용 제한 정보(315)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 제한 정보(315)에는 사용규칙, 재생 가능한 회수, 재생 가능한 기간 등의 콘텐트 사용을 제한하는 정보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23)가 라이센스 서버(22)로부터 수신하는 원본 라이센스(31)에 임시 공유를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킨다. 콘텐트의 공유가 콘텐트 제공자(Content Provider)의 의지에 반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콘텐트의 공유는 불법적인 사용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고자, 원본 라이센스 자체에 콘텐트의 임시 공유의 허가 여부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킨다.
제 1 디바이스(23)가 후술하는 임시 라이센스(32)를 제 2 디바이스(24)에 전 송할 때, 원본 라이센스(31)가 임시 공유를 허가하고 있는지를 미리 판단하여 임시 라이센스(32)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임시 공유를 허가하는 내용은 원본 라이센스(31) 내부에 별도의 영역(field)를 정의하여 포함시킬 수도 있고, 사용 제한 정보(315)의 일부분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32)의 구조를 도시한다.
임시 라이센스는 다른 디바이스들이 제 1 디바이스(23)가 단계 202에서 수신한 콘텐트를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센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시 라이센스를 통해 콘텐트를 복수의 디바이스와 자유롭게 공유하기 위해서는 특정되지 않은 익명의 디바이스가 콘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32)는 일련번호(321), 콘텐트 ID(322), 원본 라이센스 ID(323), 디바이스 ID(324), 콘텐트 암호화 키(325) 및 사용 제한 정보(326)을 포함한다.
일련번호(321)는 임시 라이센스의 발급 순서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이다. 콘텐트 ID(322)는 원본 라이센스(31)의 콘텐트 ID(312)와 마찬가지로 임시 라이센스(32)의 대상이 되는 콘텐트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가 콘텐트 ID로 사용될 수 있다.
원본 라이센스 ID(323)는 임시 라이센스(32)와 쌍을 이루어 라이센스 서버(22)로부터 발급되는 원본 라이센스(31)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써, 원본 라이센 스(31)의 라이센스 ID(311)과 동일하다. 임시 라이센스(32) 내부에 원본 라이센스(31)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정당한 사용자에게 임시 공유를 허가하는 원본 라이센스(31)가 발급된 경우에만 임시 라이센스(32)를 다른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디바이스 ID(324)는 원본 라이센스(31)의 디바이스 ID(313)와 동일한 정보로써 원본 라이센스(31)를 정당하게 발급받은 제 1 디바이스(23)을 통해 임시 라이센스(32)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콘텐트 암호화 키(325)는 공유의 대상이 되는 콘텐트를 복호화하기 위해 필요한 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정보는 원본 라이센스(31)에 포함된 콘텐트 암호화 키(314)와 동일하다.
사용 제한 정보(326)는 원본 라이센스(31)의 사용 제한 정보(315)와 마찬가지로 사용규칙, 재생 가능한 회수, 재생 가능한 기간 등의 콘텐트의 사용을 제한하는 정보들이 포함한다. 다만, 원본 라이센스(31)에 의한 콘텐트의 사용 제한과 임시 라이센스(32)에 의한 콘텐트의 사용 제한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 제한 정보(326)의 내용은 원본 라이센스(31)의 사용 제한 정보(315)와 상이할 수 있다.
단계 205에서 제 1 디바이스(23)는 단계 202에서 수신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4)와 공유하기 위해 원본 라이센스(31)를 참조하여 임시 공유가 허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우선, 제 1 디바이스(23)가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원본 라이센스(31)가 유효한지 판단한다. 원본 라이센스(31)의 사용 제한 정보(315) 등에 기 초하여 현재 콘텐트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사용 제한 정보(315)에 포함된 재생 가능 회수, 재생 가능 기간 등을 참조하여 콘텐트를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콘텐트를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원본 라이센스(31)를 참조하여 콘텐트의 공유가 허가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콘텐트 공유의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가 라이센스 서버(22)에서 미리 정해져 원본 라이센스(31)를 통해 제 1 디바이스(23)에 전달되므로, 공유가 허가되는 않은 콘텐트가 콘텐트 제공자의 의지에 반하여 공유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원본 라이센스(31)가 유효하고, 임시 공유를 허가하고 있으면, 임시 라이센스(32)의 유효 여부를 판단한다. 임시 라이센스(32)의 원본 라이센스 ID(323)가 유효한 원본 라이센스(31)에 대한 정보인지 여부, 디바이스 ID(324)가 콘텐트의 사용을 허가 받은 제 1 디바이스(23)에 대한 정보인지 여부, 콘텐트 ID(322)가 단계 202에서 제 1 디바이스(23)가 수신한 콘텐트에 대한 정보인지 여부 등을 판단한다. 모두 만족하면, 제 1 디바이스(23)는 후술하는 단계 206 내지 207을 통해 콘텐트 및 임시 라이센스(32)를 제 2 디바이스(24)에 전송한다.
임시 라이센스(32)에 소정의 사용 기간이 정해져 있으면, 해당 사용 기간 만큼을 원본 라이센스(31)의 사용 기간에서 차감하고 제 2 디바이스(24)에 전송하도록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단계 206에서 제 1 디바이스(23)는 단계 202를 통해 콘텐트 서버(21)로부터 수신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4)에 전송한다. 콘텐트는 단계 202를 통해 수신한 상태 그대로이고, 소정의 콘텐트 암호화 키(314 및 325)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으므 로, 임시 라이센스(32)가 없으면 사용할 수 없다.
단계 207에서 제 1 디바이스(23)는 단계 204를 통해 라이센스 서버(22)로부터 수신한 임시 라이센스(32)를 제 2 디바이스(24)에 전송한다. 단계 205에서 임시 공유가 허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임시 공유가 허가된 경우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임시 라이센스(32)는 콘텐트 암호화 키(325) 등의 콘텐트 사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 1 디바이스(23)가 콘텐트를 공유하려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24))들 이외의 디바이스들은 수신할 수 없도록 전송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임시 라이센스(32)는 소정의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제 2 디바이스(24)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라이센스(32)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401에서 제 1 디바이스(23) 및 제 2 디바이스(24)는 임시 라이센스(32)의 교환을 위한 세션에 사용할 키(key) 즉, Ks를 교환한다. 교환되는 키의 종류 및 교환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KS는 대칭키 방식에 의한 키일 수도 있고, 비대칭키 방식에 의한 키일 수도 있다.
단계 402에서 제 1 디바이스(23)는 소정의 암호화 키인 KT에 의해 임시 라이센스(32)를 암호화한다. KS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KT도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KT는 대칭키 방식에 의한 키일 수도 있고, 비대칭키 방식에 의한 키일 수도 있다. KT가 비대칭키 방식에 의한 키일 경우에는 KT와 쌍을 이루는 비대칭키를 제 2 디바이스(24)가 알고 있어야 임시 라이센스(32)의 복호화가 가능하다.
단계 403에서 제 1 디바이스(23)는 KT를 단계 401에서 교환한 KS에 의해 암호화한다. KS도 대칭키 방식에 의한 키일 수도 있고, 비대칭키 방식에 의한 키일 수도 있으므로, KS가 비대칭키 방식에 의할 경우에는 KS와 쌍을 이루는 비대칭키를 제 2 디바이스(24)가 알고 있어야 KT의 복호화가 가능하다.
단계 404에서 제 1 디바이스(23)는 단계 403을 통해 KS에 의해 암호화된 KT를 제 2 디바이스(24)에 전송한다.
단계 405에서 제 1 디바이스(23)는 단계 402를 통해 KT에 의해 암호화된 임시 라이센스(32)를 제 2 디바이스(24)에 전송한다.
단계 406에서 제 2 디바이스(24)는 우선, KS에 의해 암호화된 KT를 복호화한다. KS가 대칭키이면, 동일한 KS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면되고, KS가 비대칭키이면 KS와 쌍을 이루는 비대칭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한다.
단계 407에서 제 2 디바이스(24)는 단계 406를 통해 복호화된 KT를 이용하여 단계 402에서 암호화된 임시 라이센스(32)를 복호화한다. KT가 대칭키이면, 동일한 KT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면되고, KT가 비대칭키이면 KT와 쌍을 이루는 비대칭키를 이 용하여 복호화한다. 복호화된 임시 라이센스(32)는 콘텐트 암호화 키(325)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복호화하고, 사용 제한 정보(326)을 참조하여 콘텐트를 사용한다.
단계 401 내지 407은 단계 207과 관련하여 임시 라이센스(32)를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암호화 키를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임시 라이센스(32)를 제 2 디바이스(24)만 사용할 수 있도록 임시 라이센스(32)를 전송하는 모든 방법들이 단계 207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3)와 제 2 디바이스(24)가 물리적으로 인접한 거리에 있는 경우에만 제 1 디바이스(23)가 제 2 디바이스(24)에 임시 라이센스(32)를 전송하도록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등을 통해 소정의 거리 안에 있는 디바이스에게만 임시 라이센스(32)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3)가 제 2 디바이스(24)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소정의 거리 안에 있는 경우에만 임시 라이센스(32)를 전송하도록 한다.
단계 208에서 제 2 디바이스(24)는 단계 207에서 수신한 임시 라이센스(32)를 이용하여 단계 206에서 수신한 콘텐트를 사용한다. 콘텐트가 음악 또는 동영상이라면 콘텐트를 재생하는 등의 동작(operation)이 콘텐트의 사용에 해당한다.
우선, 제 2 디바이스(24)는 단계 206에서 수신한 콘텐트의 ID가 임시 라이센스(32)의 콘텐트 ID(322)와 일치하는지, 사용 제한 정보(326)에 포함된 사용 기간 등이 도과하지는 않았는지 등을 판단하여 콘텐트의 사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콘텐트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이면, 제 2 디바이스(24)는 임시 라이센스(32)에 포함된 콘텐트 암호화 키(325)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복호화하여 콘텐트를 사용한다. 사용 제한 정보(326)를 참조하여 콘텐트를 사용하다가, 사용 기간이 만료되면 제 2 디바이스(32)에서 임시 라이센스(32)를 삭제하는 방법으로 재배포를 방지할 수 있다. 임시 라이센스(32)를 제 2 디바이스(32)의 안전한 저장소에 저장하여 허가된 방법으로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재배포 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 201 내지 208을 통해 익명의 임시 라이센스(32)를 통해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라이센스 서버(22)는 임시 공유가 허가된 콘텐트에 대해서만, 임시 라이센스(32)를 발급한다. 제 1 디바이스(23)는 라이센스 서버(22)로부터 한번만 임시 라이센스(32)를 수신하고, 콘텐트를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할 때마다 라이센스 서버(22)로부터 라이센스를 발급받을 필요가 없다. 또한, 임시 라이센스(32)에 콘텐트를 공유할 디바이스를 특정하지 않음으로써, 익명의 다수 디바이스들과 콘텐트를 공유할 수 있어 콘텐트의 활용이 더욱 자유로워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공유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콘텐트 서버(21)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3)가 수신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4)와 공유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트 공유 장치는 콘텐트수신부(501), 라이센스수신부(502), 콘텐트관리부(503) 및 전송부(504)를 포함한다.
콘텐트수신부(501)는 콘텐트 서버(21)에 소정의 콘텐트를 요청하고, 콘텐트 서버(21)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한다. 콘텐트는 소정의 DRM이 적용된 콘텐트로써, 사용자가 라이센스를 획득하기 전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암호화된 콘텐트이다.
라이센스수신부(502)는 콘텐트수신부(501)에서 수신한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서버(22)로부터 수신한다. 수신하는 라이센스에는 콘텐트를 제 1 디바이스(23)에서 사용하기 위한 원본 라이센스(31) 및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24)와 공유하기 위한 임시 라이센스(32)가 포함된다.
콘텐트관리부(503)은 콘텐트수신부(501)에서 수신한 콘텐트를 라이센스수신부(502)에서 수신한 라이센스에 따라 사용 또는 공유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라이센스수신부(502)에서 수신한 원본 라이센스(31)의 사용제한 정보(315)를 참조하여 콘텐트의 공유 및 콘텐트의 사용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콘텐트의 공유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디바이스(24)와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전송부(504)에 콘텐트 및 임시 라이센스(32)를 전달한다.
전송부(504)는 콘텐트관리부(503)으로부터 콘텐트 및 임시 라이센스(32)를 전달받아 제 2 디바이스(24)에 전송한다. 콘텐트관리부(503)가 콘텐트의 임시 공유가 허가된 경우에만 콘텐트 및 임시 라이센스(32)를 전송부(504)에 전달하므로, 전송부(504)에서의 전송도 콘텐트의 임시 공유가 허가된 경우에 수행된다. 임시 라이센스(32)를 전송함에 있어서, 단계 401 내지 405와 같이 소정의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4)가 물리적으로 인접한 거리에 있을 경우에만 전송부(504)가 임시 라이센스(32)를 전송하도록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수신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제 2 디바이스(24)가 제 1 디바이스(23)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여 사용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콘텐트 수신 장치는 수신부(601) 및 콘텐트관리부(602)를 포함한다.
수신부(601)는 제 1 디바이스(23)로부터 콘텐트 및 임시 라이센스(32)를 수신한다. 콘텐트는 임시 라이센스(32)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트 암호화 키(325)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고, 임시 라이센스(32) 또한 소정의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31)와 물리적으로 인접한 거리에 있을 때만, 임시 라이센스(32)를 수신하도록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콘텐트관리부(602)는 수신부(601)에서 수신한 임시 라이센스(32)를 참조하여 콘텐트를 사용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수신한 콘텐트의 ID가 임시 라이센스(32)의 콘텐트 ID(322)와 일치하는지, 사용 제한 정보(326)에 포함된 사용 기간 등이 도과하지는 않았는지 등을 판단하여 콘텐트의 사용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콘텐트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이면, 제 2 디바이스(24)는 임시 라이센스(32)에 포함된 콘텐트 암호화 키(325)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복호화하여 콘텐트를 사용한다.
임시 라이센스(32)가 소정의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으면, 단계 406 내지 407과 같이 이를 복호화하여 임시 라이센스(32)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트의 사용이 허가된 디바이스가 보유하고 있는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해 다른 디바이스가 콘텐트를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자유로운 콘텐트의 활용이 가능해진다.
라이센스 서버는 임시 공유가 허가된 콘텐트에 대해서만, 임시 라이센스를 발급하여 콘텐트의 불법적인 재배포를 방지할 수 있다. 라이센스 서버가 한번만 임시 라이센스를 발급하므로, 콘텐트를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할 때마다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라이센스를 발급받는 불필요한 과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임시 라 이센스에 콘텐트를 공유할 디바이스를 특정하지 않음으로써, 익명의 다수 디바이스들과 콘텐트를 공유할 수 있어 콘텐트의 활용이 더욱 자유로워진다.

Claims (5)

  1.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와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사용하는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의 임시 공유의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원본 라이센스 및 상기 원본 라이센스의 쌍으로 라이센스 서버가 발급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상기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트의 임시 공유가 허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공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라이센스는
    상기 원본 라이센스와 쌍을 이루어 발행된 라이센스임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원본 라이센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공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소정의 암호화 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공유 방법.
  4.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와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을 사용하는 콘텐트를 공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의 임시 공유의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원본 라이센스 및 상기 원본 라이센스의 쌍으로 라이센스 서버가 발급하는 임시 라이센스를 상기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라이센스수신부;
    상기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트의 임시 공유가 허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콘텐트관리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임시 라이센스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공유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84130A 2006-09-01 2006-09-01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0846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130A KR100846492B1 (ko) 2006-09-01 2006-09-01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130A KR100846492B1 (ko) 2006-09-01 2006-09-01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249A KR20080021249A (ko) 2008-03-07
KR100846492B1 true KR100846492B1 (ko) 2008-07-17

Family

ID=3939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130A KR100846492B1 (ko) 2006-09-01 2006-09-01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4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602A (ko) * 2003-06-05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실행을 위한 라이센스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0165A (ko) * 2003-08-21 200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간 콘텐츠에 대한 권한정보의 공유방법
KR20060040510A (ko) * 2004-11-06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602A (ko) * 2003-06-05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실행을 위한 라이센스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0165A (ko) * 2003-08-21 200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간 콘텐츠에 대한 권한정보의 공유방법
KR20060040510A (ko) * 2004-11-06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임시 라이센스를 이용한 콘텐트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249A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021B1 (ko) 디바이스와 휴대형 저장장치간의 권리객체 정보 전달 방법및 장치
US8656156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authenticating between DRM agents for moving RO
US200401939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trusted devices
EP2012494A2 (en) Licen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901806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Removable Media
JP2005228346A (ja) コンテンツとエンティティとを関連付ける方法
WO2006109982A1 (en) License data structure and license issuing method
JP2008524681A (ja) ネットワーク・クラスタ近接性要件を強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514577A (ja) 属性ベースの暗号化を用いるデジタル権利管理
WO2004061623A1 (en) Content rights management system
KR20050123105A (ko) 데이터 보호 관리 장치 및 데이터 보호 관리 방법
NZ5495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and copying rights objects between device and portable storage device
JP2005526320A (ja) デジタル著作権管理における安全なコンテンツの共有
KR20050037415A (ko) 자료의 라이센시에게 자료를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한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2438013A (zh) 基于硬件的证书分发
KR20060043022A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208427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WO2007086015A2 (en) Secure transfer of content ownership
KR100823279B1 (ko) 권한 재위임에 의해 권리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09061900A1 (en) Out of band license acquisition including content identification
EP1843274B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US20100161974A1 (en) Master terminal capable of registering and managing terminals of personal use scope, and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0802475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 stored in usb mass storage device using time information
US200500214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content copyright
JP2004048493A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無線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