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794B1 -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덕트구조 - Google Patents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덕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794B1
KR100845794B1 KR1020070079915A KR20070079915A KR100845794B1 KR 100845794 B1 KR100845794 B1 KR 100845794B1 KR 1020070079915 A KR1020070079915 A KR 1020070079915A KR 20070079915 A KR20070079915 A KR 20070079915A KR 100845794 B1 KR100845794 B1 KR 100845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uct
vertical
discharg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주)하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코 filed Critical (주)하이코
Priority to KR102007007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증발시켜 공기를 냉각하여 냉풍을 토출하는 기화식 냉풍기를 사용할 시, 토출되는 공기에 습기가 많이 포함되어 불쾌지수가 높고 냉방공간이 축축하여 쾌적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화식으로 발생되는 냉풍에 포함되는 습기를 결로현상을 이용해 덕트부에 응결되게 한 후, 냉풍이 토출되게 한 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는 기화식 냉풍기(1)의 토출구와 연결되며 외부 벽면과 대략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세로 덕트부(10)와, 상기 세로 덕트부(10) 상측단과 연결되어 내부 상측으로 길이를 갖는 가로 덕트부(20)와, 상기 세로 덕트부(10)와 가로 덕트부(20)를 연결하는 연결구(30)와, 상기 가로 덕트부(20)의 내부측 끝단에 삽입 장착되어 측면 토출부(41)를 갖는 횡류팬(40)과, 상기 횡류팬(40)의 측면 토출부(41) 측과 연결되어 축사를 가로지르는 냉풍관(50)과, 상기 냉풍관(50)의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하향되는 길이를 갖는 토출관(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풍기, 기화식, 덕트

Description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 덕트구조{A Dehumidifier for air cool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 덕트구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 덕트구조 중 횡류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 덕트구조의 설치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 덕트구조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 덕트구조 중 횡류팬의 다른 사용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세로 덕트부 20: 가로 덕트부
30: 연결구 40: 횡류팬
41: 토출부 50: 냉풍관
60: 토출관 70: 분사기
본 발명은 기화식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물을 증발시켜 냉풍을 생성할 시 냉풍의 습도를 낮춰 토출함으로써 쾌적한 냉풍이 토출되게 한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 덕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에 사용되는 냉방장치로는 선풍기와 에어컨이 있으며, 선풍기는 후방측 공기를 전방으로 빠르게 토출함으로써 냉풍을 발생하는 것으로 공기 자체가 더우면 토출되는 바람도 더운 공기가 토출됨으로 냉방 효과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에어컨은 냉기를 제공하는 실내기와 냉매의 온도를 저감하는 실외기로 나뉘며 냉방을 위해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이 복잡하게 연계되어 제작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에어컨의 냉방 용량이 커질수록 실외기에서 많은 소음이 발생하며 외부로 더운 공기를 배출하여 거리를 지나는 행인들에게 불쾌감을 주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는 환경을 파괴하는 요주의 오염원으로 사용에 문제가 있었으며, 전기 에너지 소모가 커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얼음 또는 물의 증발을 이용한 냉풍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얼음을 이용한 냉풍기의 경우 냉풍을 위해 얼음을 지속적으 로 공급해줘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사용공간이 넓은 곳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물의 증발을 이용한 기화식 냉풍기의 경우 토출되는 냉풍에 습기가 많이 포함되어 토출되는 바람을 쐬는 대상이 불쾌감을 느끼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물을 증발시켜 냉풍을 토출시키는 기화식 냉풍기에 있어서 토출되는 냉풍의 습도를 적정 수준으로 낮춤으로써 냉풍이 공급되는 공간이 축축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냉풍의 습기를 제거한 후 축사 및 돈사에 공급하여 여름철에도 가축이 생활하기에 알맞은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하고, 뿐만 아니라 공장과 같은 작업현장에도 적합한 기화식 냉풍기의 덕트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는, 기화식 냉풍기의 토출구와 연결되며 외부 벽면과 대략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세로 덕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로 덕트부 상측단과 연결되어 내부 상측으로 길이를 갖는 가로 덕트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세로 덕트부와 가로 덕트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 덕트부의 내부측 끝단에 삽입 장착되어 측면 토출부를 갖는 횡류팬을 구비하고, 상기 횡류팬의 측면 토출부 측과 연결되어 실내를 가로지르는 냉풍관을 구비하며, 상기 냉풍관의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하향되는 길이를 갖는 토출관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세로/가로 덕트부는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세로/가로 덕트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는 양측의 내경이 다른 레듀샤(Reducer)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관은 실내의 대상 머리측을 향해 드리워지는 일정 길이를 갖고, 끝단에 분사기를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목적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과 특징들은 양호한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3 도시와 같이 기화식 냉풍기(1)의 토출구와 연결되며 축사(100)의 외부 벽면(110)과 대략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세로 덕트부(10)를 구비하며, 상기 세로 덕트부(10) 상측단과 연결되어 축사 내부 상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가로 덕트부(20)를 구비한다. 이는 세로 덕트부(10)가 일정 길이 외부 상온 공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내부에 냉풍이 온도차이로 인해 냉풍의 결로현상을 촉진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세로 덕트부(10)의 내경은 상단에 연결되는 가로 덕트부(20) 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하단의 기화식 냉풍기(1)로부터 많은 양의 냉풍이 세로 덕트부(10)로 유입된 후,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가로 덕트부(2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냉풍이 압축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세로 덕트부(10)와 가로 덕트부(20)는 연결구(30)를 통해 결 합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내경을 같은 세로/가로 덕트부(10,20)를 연결하기 위해 레듀사(Reducer)로 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로 덕트부(10)와 가로 덕트부(20)는 도 1 도시에서 90˚로 절곡되어 연결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 예로서 냉풍기(1)의 토출구에서 축사의 내부 상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가로 덕트부(20)의 축사 내부측 끝단에 삽입 장착되어 측면 토출부(41)를 갖는 횡류팬(40)을 구비하고, 상기 횡류팬(40)의 측면 토출부(41) 측과 연결되어 축사를 가로지르는 냉풍관(50)을 구비하며, 상기 냉풍관(50)의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하향되는 길이를 갖는 토출관(6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횡류팬(40)은 세로 덕트부(10) 끝단 기화식 냉풍기(1)의 송풍기(2) 보다 토출량이 적은 것으로 실시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로 인해 송풍기(2)가 세로/가로 덕트부(10,20) 내측으로 공급하는 냉풍의 양보다 횡류팬(4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냉풍의 양이 적게 유지한다. 이는 습도가 높은 냉풍이 세로/가로 덕트부(10,20)에서 압축되어 습기가 덕트부 내벽에 결로되어 습도가 낮춰진 후, 횡류팬(40)을 통해 토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횡류팬(40)은 도 1 도시와 도 2 도시와 같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되어도 무관하다.
상기 송풍기(2)의 냉풍 공급량과 횡류팬(40)의 냉풍 토출량의 비율은 대략1:0.6∼1:0.4로 유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횡류팬(40)의 토출 비율이 0.6 이상으로 유지되면 냉풍의 습기가 결로되기 전에 횡류팬(40)으로 토출되 어 습기 제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횡류팬(40)의 토출 비율이 0.4 이하로 유지되면 냉풍의 토출량이 적어 냉풍을 공급받는 대상에게 원하는 만큼의 냉풍효과를 주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이 가로 덕트부(20) 끝단에 구비된 횡류팬(40)의 일측 토출부(41)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은 이와 연결되는 냉풍관(50)을 따라 흐르면서 일정 간격으로 토출된다. 이때 냉풍관(50)은 통상적으로 가축이나 작업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 도 3 도시와 같이 보강대(120)를 사용하여 냉풍관(50)을 지지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신선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환풍기(130)를 축사 일측에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공급되는 냉풍이 축사(100) 내부에서 장시간 머물러 축사(100) 내부의 먼지 및 악취와 혼합되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공기를 주기적으로 환기시켜 줌으로써 사육하는 가축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한다.
한편, 냉풍관(50)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하향 길이를 갖는 토출관(60)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축사(10)의 일정 높이 까지 드리워지게 하고, 끝단에 분사기(70)를 더 구비하여 냉풍이 일정 범위로 분사되게 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축사(100)에서 사육되는 가축에게 적은 양의 냉풍이 공급되어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 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4 도시 및 도 5 도시와 같이 일정 크기를 갖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공기를 이용해 기화시켜 냉풍을 토출하는 기화식 냉풍기(1)를 축사(100) 일측 벽면(110)에 구비하고, 기화식 냉풍기(1)의 토출구에 세로 덕트부(10)를 연결하여 상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게 한다.
상기 세로 덕트부(10) 상단에 대략 90˚절곡되는 연결구(30)를 결합하고, 사기 연결구(30)의 타측단에 가로 덕트부(20)를 결합하여 축사(100)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가로 덕트부(20)의 내측 끝단에 횡방향 기류를 일 측면으로 토출시키는 횡류팬(40)을 장착하고, 상기 횡류팬(40)의 측면 토출부(41)와 연결시켜 축사(100)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냉풍관(50)을 설치한다.
이때 냉풍관(50)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좌우 양측으로 하향되는 길이를 갖는 토출관(60)을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냉풍관(50)을 따라 흐르는 냉풍이 홀(61)을 통해 각각의 토출관(60)으로 유입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토출관(60) 하부 끝단에 냉풍의 토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방향으로 토출공이 형성되는 분사기(70)를 더 장착하여 실시된다.
이처럼 설치된 기화식 냉풍기(1)와 덕트 구조는 기화식 냉풍기(1) 내측의 송풍기(1)의 회전으로 기화식 냉풍기(1) 측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물을 기화시겨 냉각된 후, 상측 세로 덕트부(10)로 송풍된다.
일정 온도로 냉각된 냉풍이 메워지는 세로 덕트부(10)는 외주면이 상온의 공기와 맞닿게 되어 내외측 온도차이가 발생하고, 냉풍이 가로 덕트부(20) 끝단의 횡 류팬(40)로 인해 토출량이 제한되어 내측에서 압축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내측의 냉풍에 포함된 습기가 세로/가로 덕트부(10,20)의 내벽에 결로되어 냉풍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되고, 횡류팬(40)에 의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세로/가로 덕트부(10,20)에 결로된 습기(이슬)는 재차 기화식 냉풍기(1)로 흘러내려 하부측 수조에 저장되어 재사용된다. 여기서 흘러내리는 습기는 송풍기(2)의 날개 및 구동모터 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별도의 습기 유입수단을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축사(100)에 장착 설치되는 것으로 명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 예로서, 대용량의 냉풍을 필요로 하는 공장과 같은 다양한 실내공간에 적용되어 실시되어도 무관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 덕트구조의 사용으로, 물을 증발시켜 냉풍을 토출시키는 기화식 냉풍기에 있어서 토출되는 냉풍의 습도를 적정 수준으로 낮춤으로써 냉풍이 공급되는 공간이 축축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효과가 있으며, 냉풍의 습기를 제거한 후 축사 및 돈사에 공급하여 여름철에도 가축이 생활하기에 알맞은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착안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 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4)

  1. 저장된 물을 기화시켜 냉풍을 송풍하는 기화식 냉풍기를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기화식 냉풍기(1)의 토출구와 연결되며 외부 벽면과 대략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세로 덕트부(10)와;
    상기 세로 덕트부(10) 상측단과 연결되어 건물 내부 상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가로 덕트부(20)와;
    상기 세로 덕트부(10)와 가로 덕트부(20)를 연결하는 연결구(30)와;
    상기 가로 덕트부(20)의 내부측 끝단에 삽입 장착되어 측면 토출부(41)를 갖는 횡류팬(40)과;
    상기 횡류팬(40)의 측면 토출부(41) 측과 연결되어 실내를 가로지르는 냉풍관(50)과;
    상기 냉풍관(50)의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하향되는 길이를 갖는 토출관(60)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기화식 냉풍기(1)의 송풍팬(2)에 의해 세로 덕트부(10)로 공급되는 냉풍의 토출량에 비해 적은 토출량을 갖는 횡류팬(40)으로 인해 세로/가로 덕트부(10,20) 내측에 냉풍이 응집되고, 결과적으로 냉풍이 결로되어 습기가 가로/세로 덕트부(10,20) 내측 벽면에 이슬로 맺혀 횡류팬(40)으로 토출되는 냉풍의 습도가 낮아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 거하는 덕트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가로 덕트부(10,20)는 세로 덕트부(1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가로 덕트부(2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 덕트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는 양측의 내경이 다른 레듀샤(Reducer)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 덕트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60)은, 실내의 대상 머리측을 향해 드리워지는 일정 길이를 갖고, 끝단에 분사기(72)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 덕트구조.
KR1020070079915A 2007-08-09 2007-08-09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덕트구조 KR100845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915A KR100845794B1 (ko) 2007-08-09 2007-08-09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덕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915A KR100845794B1 (ko) 2007-08-09 2007-08-09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덕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794B1 true KR100845794B1 (ko) 2008-07-14

Family

ID=3982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915A KR100845794B1 (ko) 2007-08-09 2007-08-09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덕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709A1 (ko) * 2017-08-07 2019-02-14 주식회사 조은바람 유지보수가 용이한 에너지절약형 기화식 급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7719U (ko) 1985-05-16 1986-11-22
KR20010076478A (ko) * 2000-01-26 2001-08-16 하진규 외기유인 기능을 갖는 슬래브 하부 설치형 공기조화기 및이를 이용한 공조 시스템
KR200336292Y1 (ko) 2003-09-24 2003-12-24 성낙용 에어컴프레서용 무전원 제습장치
KR100712927B1 (ko) 2005-08-11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7719U (ko) 1985-05-16 1986-11-22
KR20010076478A (ko) * 2000-01-26 2001-08-16 하진규 외기유인 기능을 갖는 슬래브 하부 설치형 공기조화기 및이를 이용한 공조 시스템
KR200336292Y1 (ko) 2003-09-24 2003-12-24 성낙용 에어컴프레서용 무전원 제습장치
KR100712927B1 (ko) 2005-08-11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709A1 (ko) * 2017-08-07 2019-02-14 주식회사 조은바람 유지보수가 용이한 에너지절약형 기화식 급기 시스템
CN111033130A (zh) * 2017-08-07 2020-04-17 优岚株式会社 容易维护的节能型汽化式供气系统
CN111033130B (zh) * 2017-08-07 2021-08-03 优岚株式会社 容易维护的节能型汽化式供气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61858U (zh) 一种中大型整体式篷房用空调
CN102072527B (zh) 下出风柜式空调
US20060032258A1 (en) Cooling assembly
CN102425822A (zh) 新风空调
JP2002061911A (ja) 電算機室の冷房方法
CN204738392U (zh) 一种通风降温的板房
CN101258789A (zh) 用于通讯设备的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WO2007091813A1 (en) Air-conditioner using heat of condensation
CN209819704U (zh) 吊顶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2013047588A (ja) 建築構造物の空調構造
JP2008267725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845794B1 (ko) 기화식 냉풍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습기를 제거하는덕트구조
KR20060101876A (ko) 냉방장치
CN2788065Y (zh) 整体外置式空调器
JP2007127374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JP2008232485A (ja) 換気空調装置
KR100795352B1 (ko) 지하공기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20140036794A (ko) 에어컨 실외기
CN2425316Y (zh) 智能节能多能对流换气式空调
JP6263682B1 (ja) ガスを冷媒に用いた無風状態での冷房を可能にする装置の構造
CN201032248Y (zh) 一种可防止空调压缩机高温跳机不滴水空调
KR20090052026A (ko) 휴대용 에어컨디셔너
KR200303942Y1 (ko) 냉방 장치가 장착된 지하 주차장용 주 흡기장치
WO2023037406A1 (ja)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方法
KR102666196B1 (ko) 3종환기 겸용 제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