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494B1 -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al keypad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al key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494B1
KR100845494B1 KR1020070092797A KR20070092797A KR100845494B1 KR 100845494 B1 KR100845494 B1 KR 100845494B1 KR 1020070092797 A KR1020070092797 A KR 1020070092797A KR 20070092797 A KR20070092797 A KR 20070092797A KR 100845494 B1 KR100845494 B1 KR 10084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function
image data
function ke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7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문수
박창진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4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4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key input unit is provided to realize key inputting actions for efficient selection for various functions so that a user can more conveniently use the various functions. A function key input unit(110) generates object image data, and generates an object sensing signal according to results of analyzing the object image data, then outputs the generated sensing signal. A main input unit(240) generates a function performance signal in accordance with a user's operation, and outputs the generated performance signal. When the sensing signal is inputted, a terminal controller(230) controls so that a portable terminal(100) is operated in function key mode. The terminal controller decides whether the terminal is operated in the function key mode once the performance signal is inputted, so that a corresponding function is performed.

Description

기능키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al keypad}Portab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key input uni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키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key input unit.

전자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촬상부(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모듈 등), 음원 재생부(예를 들어, MP3 파일 재생 모듈 등) 등이 장착된 컴퓨터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디지털 음악 청취 및 위성방송 시청 등의 다양한 기능을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사용자가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종 기능의 효율적인 선택을 위한 키입력이 요망되고 있다.  BACKGROUN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computer portable terminals equipped with an imaging unit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module, etc.), a sound source playback unit (for example, an MP3 file playback module, etc.) are provided. Accordingly, the user can enjoy various functions such as internet access, video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digital music listening, and satellite broadcast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Accordingly, in order for a user to use these various functions more conveniently, key input for efficient selection of various functions is desired.

본 발명은 구비된 다양한 기능의 효율적인 선택을 위한 기능키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key input unit for efficient selection of the various function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상하여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능키입력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기능수행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메인입력부; 및 상기 피사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기능수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unction key input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to generate subject image data, and analyzing and subjecting the subject image data to generate and output a subject detection signal; A main input unit which generates and outputs a function performance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termin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to operate in a function key mode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input, wherein the terminal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in the function key mode when the function execution signal is input.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which determines and controls a corresponding function to be performed.

여기서, 상기 기능키입력부는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피사체촬상유닛; 및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키입력부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제어부로 출력하는 피사체감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unction key input unit may include: a subject imaging unit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subject and generate subject image data; And analyzing the subject image data and determining that the function key input unit is operated by the user, and generating a subject detection signal and outputting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to the terminal controller.

또한, 상기 피사체촬상유닛은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간격으로 점등되는 광원; 상기 광원이 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유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광원이 불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무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bject photographing unit may include a light source that is turned 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imag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subject while the light source is activated to generate the glossy image data, and to generate the matt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subject while the light source is inactivated.

또한, 상기 피사체촬상유닛은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은 적외선발광다이오드(LED)이고, 상기 필터는 적외선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일 수 있다. The subject photograp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that allows only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wavelength to pass, wherein the light source is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the filter may be a filter that only passes infrared light.

또한, 상기 피사체감지유닛은 상기 유광영상데이터 및 상기 무광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추출된 기준픽셀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제어부로 상기 피사체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피사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기능키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subject detecting unit may generate the subject image data by comparing the glossy image data and the matte image data, analyze the subject image data, and the reference pixel extracted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The subject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 the terminal controller only, and the terminal controller may control to perform a function key mode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input.

또한,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기능수행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 중이지 않으면 제1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 중이면 제2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기능과 상기 제2 기능은 서로 상이한 기능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controls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first func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operating in the function key mode according to the function execution signal, and controls a second function to be perform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operating in the function key mode. The first function and the second function may be different functions.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기능키입력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된 경우에는 상기 진동부의 동작을 개시시킬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vibrator, and the terminal controller may initiate operation of the vibrator when the function key input unit is operated by a user.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부가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기능키입력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된 경우에는 상기 부가발광부를 발광(發光)시킬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and the terminal controller may emit the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function key input unit is operated by a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가 촬상되어 피사체영상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가 분석되어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되면 기능키모드로 동작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기능수행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photographing a subject to generate subject image data; Analyzing the subject image data to generate a subject detection signal; Operating in a function key mode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by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in the function key mode when a function execution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또한,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구비된 광원이 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유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광원이 불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무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광영상데이터 및 상기 무광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of the subject image data may include: generating a glossy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subject while the provided light source is activated; Imaging the subject while the light source is deactivated to generate matt image data; And generating the subject image data by comparing the polished image data and the matte image data.

또한, 상기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기준픽셀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픽셀의 개수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픽셀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of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may include analyzing the subject image data and extracting a reference pixel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Comparing the number of reference pixels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generating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only when the number of the reference pixel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또한, 상기 기능수행신호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는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 중이지 않으면 상기 기능수행신호에 상응하는 제1 기능이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 중이면 상기 기능수행신호에 상응하는 제2 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은 서로 상이한 기능일 수 있다. The performing of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execution signal may include: performing a firs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execution signal if the function execution signal is not operated; And performing a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performance signal when operating in the function key mode, wherein the first function and the second function may be different functions.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은 상기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되면 구비된 진동부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arting an operation of the vibrator provided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은 상기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되면 구비된 부가발광부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arting an operation of the additional light emitter provided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이 수행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portable terminal is tangibly implemented in order to perform the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4.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that can be read by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구비된 다양한 기능의 효율적인 선택을 위한 기능키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key input unit for the efficient selection of the various functions provid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 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가 휴대용 단말기에 마련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function key input unit is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110)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마련된 경우가 도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키입력부(110)는 전자 기기에 부착될 수 있으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110),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소형이며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능키입력부(11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그 형태가 폴더형, 슬라이드형 또는 스윙형인 경우를 불문하고 모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ase where a function key input unit 110 is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tached to an electronic device, and in particular, a smal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 MP3 player, or the like. It can be attached to.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i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case of the folder type, slide type or swing type.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각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키입력부(110), 메인입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기능키입력부(110)는 피사체(130)를 촬상하여 피사체(13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피사체(130)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메인입력부(120) 조작에 상응하는 기능이 달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130)가 기능키입력부(110)에 위치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입력부(120)의 '*' 버튼을 조작한 경우와 피사체(130)가 기능키입력부(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입력부(120)의 '*'버튼을 조작한 경우는 서로 상이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지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include a function key input unit 110 and a main input unit 120 capable of generating various signal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subject 130.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subject 130 can be detected. In this cas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main input unit 120 of the user may be differently design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ject 130. For examp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 button of the main input unit 120 while the subject 130 is not located in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and the subject 130 is connected to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 button of the main input unit 120 in the positioned state, different functions may be perform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하나의 기능키입력부(110)가 메인입력부(120)의 좌측 상단에 구비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기능키입력부(110)는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고,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능키입력부(110)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4개 구비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기능키입력부(110)는 메인입력부(120)의 우측 상단에 한 개, 좌측 하단에 한 개, 휴대용 단말 기(100)의 좌측면에 2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기능키입력부(110)의 개수 및/또는 구비된 위치 등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Here, assuming that on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is provid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main input unit 120,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positions. It may be provided. For example, suppose that four function key input units 110 ar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is case, on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right side of the main input unit 120, one at the lower left side, and two at the left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refore, the number and / or location of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메인입력부(120)는 버튼 방식 및/또는 터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어 숫자, 문자 및/또는 특수 기호 등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input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button method and / or a touch method so that numbers, letters, and / or special symbols may be input by a user's selec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외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특히, 기능키입력부(110)의 동작 및 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능 수행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general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and the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ly.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기능키입력부(110), 단말기제어부(230), 메인입력부(240), 저장부(250), 디스플레이부(260), 진동부(270) 및 부가발광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신부, 전원부, 스피커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2A,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 key input unit 110, a terminal control unit 230, a main input unit 240, a storage unit 250, and a display unit 260. The vibration unit 270 and the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280 may be includ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is apparent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 power unit, a speaker unit, and the like.

또한, 기능키입력부(110)는 피사체촬상유닛(210) 및 피사체감지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피사체촬상유닛(210)은 광원(212), 필터(214), 렌즈(216), 이미지센서(2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b를 참조하여 기능키입력부(110)의 구조 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subject imaging unit 210 and a subject detecting unit 220. The subject imaging unit 210 may include a light source 212, a filter 214, a lens 216, The image sensor 218 may be included.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B.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에 대한 단면도이다.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nction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를 참조하면, 기능키입력부(110)는 빛이 통과될 수 있는 투광부(225) 밑에 1개 이상의 광원(212-1, 212-2), 필터(214) 및 이미지센서(218)가 기판(227) 위에 적층되어 휴대용 단말기(100)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투광부(225)는 외부 물질로부터 영상분석부(110)를 보호할 수 있는 외에 광원(212-1, 212-2)에서 조사된 광(光)이 피사체에 의하여 반사되어 다시 필터(214) 및/또는 이미지센서(218)로 입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투광부(225)는 투명한 플라스틱(Plast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광원(212-1, 212-2)이 2개 포함된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광원(212-1, 212-2)의 개수는 1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212-1, 212-2)의 개수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이하, 다시 도 2a를 참조하여 기능키입력부(110)의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2B,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includes one or more light sources 212-1 and 212-2, a filter 214, and an image sensor 218 under the light-transmitting unit 225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The substrate 227 may be stacked on the substrate 227 and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light projector 225 may not only protect the image analyzer 110 from an external material, but also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s 212-1 and 212-2 is reflected by the subject and is then filtered again. And / or incident to the image sensor 218. In this case, the light transmitting part 22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In addition, although it is assumed here that two light sources 212-1 and 212-2 are included, one or more light sources 212-1 and 212-2 may be included. Therefore, the number of light sources 212-1 and 212-2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A.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광원(212)은 소정의 광(光)을 조사하는 장치로서, 광원(212)에서 출사된 광은 피사체(130)에 의하여 반사되어 피사체촬상유닛(210)에 입사될 수 있다. 이때, 광원(212)은 적외선 LED(luminescent diode)일 수 있다. 또한, 광원은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광원(212)에서 조사된 광은 피사체(130)에 의하여 반사되어 피사체촬상유닛(210)에 계속적으로 입사될 수 있다. 또한, 광원(212)은 단말기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간격으로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센서(218)는 광원(212)이 광을 출력하는 동안에 피사체(130)를 촬상하여 유광(有光) 영상 데이터를, 광원(212)이 광을 출력하지 아니하는 동안에 피사체(130)를 촬상하여 무광(無光) 영상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여 피사체감지유닛(220)으로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A, the light source 212 is a device for irradiating predetermined light,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12 is reflected by the subject 130 to be incident on the subject imaging unit 210. Can be.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212 may be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LED).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may irradiate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wavelength. In addition,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212 may be reflected by the subject 130 and continuously incident on the subject imaging unit 210.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212 may be turned 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30. In this case, the image sensor 218 photographs the subject 130 while the light source 212 outputs light, and receives the shiny image data, and the subject 130 while the light source 212 does not output light. The image data may b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by generating matt image data, respectively.

피사체(130)에 의하여 반사되어 입사된 광은 필터(214)에 의하여 특정 파장의 광만이 통과되어 렌즈(216)로 도달될 수 있다. 즉, 필터(214)는 특정 파장을 가지는 광만을 통과시킴으로써 노이즈(Noise)로 작용될 수 있는 다른 파장의 광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12)은 적외선 LED으로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적외선은 태양광에서 상대적으로 비율이 작은 광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의 파장은 솔라 스펙트럼에서 상대적으로 광량이 작은 광의 파장인 900~980nm, 1080~1180nm, 1325~1425nm, 1800~2000nm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필터(214)는 광원(212)에 상응하는 적외선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일 수 있다. The light reflected and incident by the subject 130 may pass through only the light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by the filter 214 and reach the lens 216. That is, the filter 214 may pass only light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to block light of other wavelengths that may act as noise. For example, assume that the light source 212 irradiates infrared rays as infrared LEDs. Here, the infrared rays which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ght having a relatively small ratio in sunlight. For example, the wavelength of the infrared light may be 900 to 980 nm, 1080 to 1180 nm, 1325 to 1425 nm, 1800 to 2000 nm, and the like, which are wavelengths of light hav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light in the solar spectrum. In this case, the filter 214 may be a filter capable of passing only infrared rays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 212.

여기에서는 필터(214)가 포함된 피사체촬상유닛(210)을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필터(214)가 포함되지 않고 입사되는 모든 광을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Here, the assumption is made on the assumption of the subject photographing unit 210 including the filter 214.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using all light incident without the filter 214 included.

렌즈(216)는 필터(214)를 통과한 광을 이미지센서(218)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lens 216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lter 214 to the image sensor 218.

이미지센서(218)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일 수 있다.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센서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고,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디지털 전기 신호로서 이러한 단위 픽셀은 제어 회로 및 신호 처리에 의해 구동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는 다수개의 MOS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이러한 MOS 커패시터에 전하(캐리어)를 이동시킴으로써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된다. The image sensor 218 may be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image sensor or a charge coupled device (CCD) image sens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image senso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pixels including a photo diode,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is a digital electrical signal, which is driven by a control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 A charge coupled device (CCD) image sensor includes a plurality of MOS capacitors, and is operated by outputting an analog electric signal by moving charges (carriers) to the MOS capacitors.

이러한 이미지 센서(218)는 광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218)는 피사체감지유닛(220)이 피사체(140)가 기능키입력부(110)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유광영상데이터 및 무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피사체감지유닛(220)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e image sensor 218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capable of sensing light. Accordingly, the image sensor 218 generates the shiny image data and the matte image data so that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can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140 is located at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and then generates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 Can be printed.

피사체감지유닛(220)은 사용자에 의하여 기능키입력부(110)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감지유닛(220)은 피사체(130)가 이미지센서(218) 상부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기능키입력부(110)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피사체감지유닛(220)은 이미지센서(218)로부터 입력된 유광영상데이터 및 순차적으로 입력된 무광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영상데이터는 유광영상데이터의 휘도값에서 각 픽셀에 상응하는 무광영상데이터의 휘도값을 감산한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유광영상데이터는 광원(212)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촬상된 영상데이터이므로 광원(212)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촬상된 피사체(130)의 이미지는 휘도값이 클 것이고, 광원(212)에서 먼 위치에서 촬상된 배경 부분 이미지의 휘도 값은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다. 또한, 무광영상데이터는 광원(212)이 불활성화된 상태에서 촬상된 영상데이터이므로 피사체(130) 이미지의 휘도값과 배경 이미지의 휘도값은 유광영상데이터에 비하여 그 차이가 적을 것이다.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has been operat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may detect whether the subject 130 is located above the image sensor 218 and determine whether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has been operated by the user. That is,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may generate the subject image data by comparing the matte image data input from the image sensor 218 and the matte image data sequentially input. For example, the subject image data may be dat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luminance value of the matt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each pixel from the luminance value of the glossy image data. That is, since the gloss image data is image data captured while the light source 212 is activated, the image of the subject 130 photograph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light source 212 will have a high luminance value and a position far from the light source 212. The luminance value of the background partial image picked up at will be relatively small. In addition, since the matte image data is image data captured while the light source 212 is inactivated, the luminance value of the image of the subject 130 and the luminance value of the background image will be smaller than those of the glossy image data.

또한, 유광영상데이터와 무광영상데이터의 각 배경은 모두 광원(212)과 피사체(130)에 비하여 광원(212)과 먼 거리에 위치할 것이므로 휘도값의 차이가 매우 적을 것이다. 따라서, 유광영상데이터의 휘도값에서 각 픽셀에 상응하는 무광영상데이터의 휘도값을 감산해주면 피사체(130)를 제외한 배경 부분의 휘도값은 거의 '0(zero)'에 가까운 값이 될 것이고, 피사체(130)에 상응하는 부분의 휘도값 만이 존재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피사체감지유닛(220)은 촬상된 영상데이터에서 피사체(130)에 상응하는 부분만이 추출된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ackground of the glossy image data and the matte image data are both located far from the light source 212 compared to the light source 212 and the subject 130, the difference in luminance value will be very small. Therefore, if the luminance value of the matt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each pixel is subtracted from the luminance value of the glossy image data, the luminance value of the background portion except for the subject 130 will be almost 'zero'. Only the luminance valu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130 will be present. In this manner,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may generate the subject image data in which only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130 is extracted from the captured image data.

여기서, 유광영상데이터가 먼저 입력되고 무광영상데이터가 나중에 입력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무광영상데이터가 먼저 입력되고 유광영상데이터가 나중에 입력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 피사체영상데이터의 각 픽셀의 휘도값은 무광영상데이터의 각 픽셀의 휘도값과 유광영상데이터의 각 픽셀의 휘도값이 감산된 값의 절대값에 상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Here, it is assumed that the gloss image data is input first and the matte image data is input later, but it is obvious that the matte image data is input first and the gloss image data may be input later. In this case, it is apparent that the luminance value of each pixel of the subject image data may correspond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subtracted value of the luminance value of each pixel of the matte image data and the luminance value of each pixel of the glossy image data.

또한, 피사체감지유닛(220)은 피사체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피사체(130)에 상응하는 이미지 픽셀(이하, '기준 픽셀'이라 칭함)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센서(218)의 해상도가 640*480(가로*세로)이고, 각 픽셀의 휘도값이 0 내지 255로 구분된 경우를 가정한다. 휘도값이 '0'인 경우는 밝기가 '0'이므로 검정색일 것이고, 휘도값이 '255'인 경우는 가장 밝은 경우이므로 흰색으로 표현될 것이다. 이때, 기준 픽셀을 추출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휘도값이 '150'이라면, 피사체감지유닛(220)은 피사체영상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픽셀 중 휘도값이 '150'이상인 픽셀을 기준 픽셀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휘도값이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픽셀은 노이즈(Noise) 픽셀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기준 휘도값 외에, 휘도 상한값 및/또는 휘도 하한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준 휘도값이 '150'이고, 휘도 상한값이 '220'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면, 피사체감지유닛(220)은 피사체영상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픽셀 중 휘도값이 '150'이상이고, '220'미만인 픽셀을 기준 픽셀로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may analyze the subject image data and extract an image pixel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1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ference pixel).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resolution of the image sensor 218 is 640 * 480 (horizontal * vertical), and the luminance value of each pixel is divided into 0 to 255. If the luminance value is '0', the brightness is '0', so it will be black, and if the luminance value is '255', it will be represented as white because it is the brightest case. In this case, if the reference luminance value set in advance to extract the reference pixel is '150', the object detecting unit 220 may extract, as the reference pixel, a pixel having a luminance value of '150' or more among all pixels included in the subject image data. have. At this time, since the pixel whose luminance value is too high or too low is likely to be a noise pixel, the upper and lower luminance values may be set in addition to the reference luminance value. For example, if the reference luminance value is '150' and the luminance upper limit value is set to '220' in advance,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has a luminance value of '150' or more among all pixels included in the subject image data. A pixel less than '220' may be extracted as a reference pixel.

또한, 피사체감지유닛(220)은 기준 픽셀의 개수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이 '10,000'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기준 픽셀의 개수가 '10,000'이상이라면 피사체감지유닛(220)은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제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기준 픽셀의 개수가 많다는 것은 광원(212)이 피사체(130)에 의하여 가려진 부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즉, 피사체(130)에 의하여 반사되어 입사된 광이 많다는 의미일 수 있으므로), 피사체감지유닛(220)은 이를 단말기제어부(230)로 알리기 위한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피사체감지신호 생성 여부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object detecting unit 220 may compare the number of reference pixels with a preset threshold. For example, assume that the preset threshold is '10, 000 '. At this time, if the number of reference pixels is greater than '10, 000 ',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may generate a subject detecting signal and output the subject detecting signal to the terminal controller 230. That is, the large number of reference pixels may mean that the light source 212 is covered by the object 130 in a large amount (that is, it may mean that a lot of light is reflected and incident by the object 130).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may generate and output a subject detecting signal for informing the terminal controller 230 of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generating a subject detection sig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4B.

도 3a는 피사체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에 위치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에서 생성된 피사체영상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when a subject is located in a function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diagram of a function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ed subject image data.

도 3a를 참조하면, 피사체(130)(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등)가 기능키입력부(110)의 일부분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된다. 이때, 기능키입력부(110)는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의 경우에 생성된 제1 피사체영상데이터(310)가 예시된다. 이때, 제1 피사체영상데이터(310)에는 피사체(130)에 상응하는 제1 기준픽셀(320)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준픽셀(320)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수 있고, 따라서, 피사체감지유닛(220)은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지 아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a case in which a subject 130 (for example, a user's finger, etc.) is positioned at a portion of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is illustrated. In this case,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may generate the subject image data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at is, referring to FIG. 3B, the first subject image data 310 generated in the case of FIG. 3A is illustrated. In this case, the first subject image data 310 may include a first reference pixel 320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130.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first reference pixels 320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therefore,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may not generate the subject detecting signal.

도 4a는 피사체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에 위치된 경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3b의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에서 생성된 피사체영상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4A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function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function key input uni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ed subject image data.

도 4a를 참조하면, 피사체(130)가 기능키입력부(110)의 대부분을 가리고 있는 경우가 예시된다. 이때, 기능키입력부(110)는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의 경우에 생성된 제2 피사체영상데이터(410)가 예시된다. 이때, 제2 피사체영상데이터(410)에는 피사체(130)에 상응하는 제2 기준픽셀(420)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기준픽셀(420)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수 있고, 따라서, 피사체감지유닛(220)은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제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a case in which the subject 130 covers most of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is illustrated. In this case,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may generate the subject image data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at is, referring to FIG. 4B, the second subject image data 410 generated in the case of FIG. 4A is illustrated. In this case, the second subject image data 410 may include a second reference pixel 420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130.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second reference pixels 42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therefore, the object detecting unit 220 may generate a subject detection signal and output the same to the terminal controller 230.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단말기제어부(2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제어부(230)는 사용자의 메인입력부(240) 조작에 따른 각종 기능이 수행되도록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메인입력부(2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기능수행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제어부(230)로 출력할 수 있고, 단말기제어부(230)는 입력된 기능수행신호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출력하기 위하여 메인입력부(240)를 조작하는 경우, 단말기제어부(230)는 사용자의 메인입력부(240) 조작에 상응하는 문자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A, the terminal controller 23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terminal controller 23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main input unit 240. That is, the main input unit 240 may generate a function performance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output the generated function signal to the terminal controller 230, and the terminal controller 230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function performance signal. Components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For example,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main input unit 240 to generate a text message and output i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terminal controller 230 may generate a tex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in input unit 240 of the user. have.

또한, 단말기제어부(230)는 피사체감지유닛(220)으로부터 피사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휴대용 단말기(100)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키모드는 피사체감지유닛(220)에서 피사체(130)가 감지된 경우의 동작모드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제어부(230)는 피사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진동부(27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제어부(230)는 피사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기능키입력부(110) 주변에 구비된 부가발광부(280)(예를 들어, 기능키입력부(110)를 둘러싸고 있는 원형의 발광 다이오드 등)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고 있음을 촉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30 may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operate in a function key mode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Here, the function key mode may be an operation mode when the subject 130 is detected by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30 may control the vibrator 270 to operate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input. Alternatively,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input, the terminal controller 230 includes an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280 (for example, a circular light emitting diode surrounding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provided around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It can be controlled to be activated. Accordingly, the user can tactilely and / or visually recognize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ing in the function key mode.

이때, 사용자에 의하여 메인입력부(240)의 동일한 버튼이 조작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능키모드에서와 일반모드(즉, 기능키모드로 동작되지 아니한 경우의 동작 모드)에서 수행되는 기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인입력부(240)에 포함된 복수의 키버튼 중 임의의 키버튼을 조작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가 일반모드로 동작되고 있다면 제1 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100)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고 있다면 제2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능과 제2 기능은 서로 상이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메인입력부(240) 조작에 따라 문자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런데, 영어의 알파벳, 한글의 자음/모음은 키패드에 포함된 키버튼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하나의 키버튼에 복수개의 자음/모음과 영어의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에서의 문자메시지 생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At this time, even if the same button of the main input unit 240 is operated by the user, the function performed in the function key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in the normal mode (that is, the operation mode when not operated in the function key mode) is performed. May differ from one another.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any key button among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included in the main input unit 240, the first function may be performed i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the normal mode, and the portable terminal ( If 100) is operating in the function key mode, the second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first function and the second function may be different functions.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text message is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the main input unit 240. However, since the English alphabet and the Korean consonants / vowels are larger than the number of key buttons included in the keypad, a plurality of consonants / vowels and the English alphabet are assigned to one key button. 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a text message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지 아니하는 경우의 메인입력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기능키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메인입력부를 예시한 도면이다.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input unit whe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perated in a function key mode, and FIG. 5B illustrates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unction key mode.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input unit in the case of operation.

도 5a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일반모드로 동작되고 있다. 이때, 메인입력부(240)의 임의의 키버튼(이하, '제1 키버튼'이라 칭함)(510)은 'P' 또는 'Q'에 상응하는 키버튼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키버튼(510)을 1회 조작하면 'P'에 상응하는 문자가 입력될 수 있고, 2회 조작하면 'Q'에 상응하는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a normal mode. At this time, any key butt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key button') 510 of the main input unit 240 may be a key button corresponding to 'P' or 'Q'. That is,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first key button 510 once,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P' may be input, and when the user operates twice,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Q' may be input.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기능키모드로 동작되고 있다. 이때, 메인입력부(240)의 제1 키버튼(510)은 'R' 또는 'S'에 상응하는 키버튼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키버튼(510)을 1회 조작하면 'R'에 상응하는 문자가 입력될 수 있고, 2회 조작하면 'S'에 상응하는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5B,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a function key mode. In this case, the first key button 510 of the main input unit 240 may be a key button corresponding to 'R' or 'S'. That is,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first key button 510 once,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R' may be input, and when the user operates twice,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S' may be input.

이때, 사용자가 제1 키버튼(510)에 상응하는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동작모드에서 제1 키버튼(510)에 상응하는 문자에 식별력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입력부(240)가 버튼 방식인 경우, 제1 키버튼(510) 하단에 2개의 발광다이오드(즉, 백-라이트)(Back-Light))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는 각각 일반모드와 기능키모드에 상응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0)가 일반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일반모드에 상응하는 발광다이오드만이 활성화될 수 있고, 기능키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기능키모드에 상응하는 발광다이오드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가 일반모드로 동작되는 경우라면, 일반모드에서 제1 키버튼(510)에 상응하는 문자(즉, P 또는 Q)가 기능키모드에서 제1 키버튼(510)에 상응하는 문자(즉, R 또는 S)보다 식별력이 우수할 것이다(도 5a 참조). 반대로, 휴대용 단말기(100)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기능키모드에서 제1 키버튼(510)에 상응하는 문자(즉, R 또는 S)가 보다 우수한 식별력이 있을 것이다. In this case, in order to enable the user to easily identify which character corresponds to the first key button 510, an identification force may be added to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button 510 in each operation mode. . For example, when the main input unit 240 is a button type, two light emitting diodes (that is, back-lights)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key button 510, and each light emission may be provided. The diodes may correspond to normal mode and function key mode,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the normal mode, only the light emitting diode corresponding to the normal mode may be activat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the function key mode, only the light emitting diode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mode may be activated. have. Therefo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the normal mode, a letter (ie, P or Q)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button 510 in the normal mode is assigned to the first key button 510 in the function key mode. The discernment will be better than the corresponding letter (ie R or S) (see FIG. 5A). On the contrary,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the function key mode, the letter (that is, R or S)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button 510 in the function key mode will have a better discriminating power in contrast to the above-described case. .

또 다른 예를 들면, 메인입력부(240)가 터치 방식(즉, 디스플레이부(260)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상부에 터치 패드가 구비된 방식)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기제어부(23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문자만이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main input unit 240 is a touch method (that is, a method in which a touch pad is provided on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display unit 260.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230 may control only th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each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60.

여기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일반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기능키모드에서 입력 가능한 문자가 입력되지 않는 것처럼 설명되었으나, 일반모드에서도 기능키모드에서 입력 가능한 문자가 입력될 수도 있다. 즉, 도 5a의 경우, 사용자가 제1 키버튼(510)을 3회 조작하면 'R'에 상응하는 문자가 입력되고, 4회 조작하면 'S'에 상응하는 문자가 입력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반대로, 휴대용 단말기(100)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도 일반모드에서 입력 가능한 문자가 입력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알파벳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한글(즉, 자음 또는 모음), 숫자 및/또는 특수문자가 입력되는 방법에서도 상술한 방법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Herein,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the normal mode, the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in the function key mode are described as not being input, but the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in the function key mode may also be input in the normal mode. That is, in FIG. 5A,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first key button 510 three time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R' is input, and when the user operates four time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S' may be input. Do. On the contrary, e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the function key mode, it is obvious that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in the general mode may be input. In addition, although it is assumed here that the alphabet is input, it is obvious that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applied to the same or similar method in the case of inputting Korean (ie, consonants or vowels), numbers, and / or special characters.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단말기제어부(230)는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입력된 문자가 포함되는 문자메시지(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제어부(230)는 생성된 문자메시지(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를 저장부(250)에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대방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는 단말기제어부(230)가 일반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문자(또는 숫자, 특수문자 등)의 입력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므로 상술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비된 다 른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A, the terminal controller 230 may generate a text message (or text data) including the text input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30 may store the generated text message (or text data, etc.) in the storage 250 or output the generated text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230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input method of letters (or numbers, special characters, etc.),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case in which the terminal control unit 230 is operated in the normal mode and the function key mod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even when other function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re performed.

예를 들어, 메인입력부(240)에 포함된 임의의 제2 키버튼이 일반모드에서는 MP3 플레이어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키버튼이고, 기능키모드에서는 동영상 플레이어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키버튼으로 작용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입력부(240)에 포함된 각 키버튼에 미리 설정된 기능들은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또한, 메인입력부(240)는 숫자, 문자 및/또는 특수 문자가 입력되는 입력부 외에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방향키 버튼, 숫자 패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 각종 기능키버튼(예를 들어, 통화버튼, 종료버튼, 확인 버튼, 방향키 버튼 등)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메인입력부(240)의 구형 형태도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For example, an arbitrary second key button included in the main input unit 240 is a key button for activating an MP3 player function in a normal mode, and in advance in a function key mode as a key button for activating a video player function. Can be set. Therefore, the functions set in advance in each key button included in the main input unit 240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main input unit 240, in addition to the input unit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and / or special characters, the direction key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various function key buttons that can be located above the number pad (for example , Call button, end button, confirmation button, direction key button, etc.)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input units. Therefore, the spherical shape of the main input unit 240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메인입력부(2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각종 기능수행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제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입력부(24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버튼 방식 및/또는 터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인입력부(24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The main input unit 240 may generate various function performance signals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output the generated signal to the terminal controller 230. As described above, the main input unit 24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button method and / or a touch metho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input unit 24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저장부(250)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 공간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50)에는 기준 픽셀의 개수와 비교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 휘도상한값, 휘도하한값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250)는 낸 드(NAND)형 반도체 메모리 소자일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50 is a storage space in which various data can be stored, and various software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250 may store a threshold value, an upper limit of luminance, a lower limit of luminance, and the like, to be compared with the number of reference pixels. The storage unit 250 may be a NAND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디스플레이부(260)는 단말기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하여 각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시작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60 may display various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30. This allows the user to initially recognize the displayed data. The display unit 26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진동부(270)는 단말기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230)는 문자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전화, 알람(Alarm) 등의 이벤트(Event)가 발생되면 단말기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특히, 진동부(270)는 피사체감지유닛(220)에 의하여 사용자가 기능키입력부(110)를 조작하였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됨을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부(270)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or 270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30. For example, the vibrator 230 may be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30 when an event such as a text message (SMS), a phone call, an alarm, or the like occurs. In particula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operates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by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the vibrator 270 may be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30. Accordingly, the user can tactilely recognize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the function key mode. Here, the vibrator 270 may include a vibration motor.

부가발광부(280)는 기능키입력부(110) 주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단말기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하여 발광될 수 있다. 특히, 부가발광부(280)는 피사체감지유닛(220)에 의하여 사용자가 기능키입력부(110)를 조작하였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하여 발광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됨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발광부(280)는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The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280 may be provided around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and may emit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30. In particula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manipulates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by the subject detecting unit 220, the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280 may emit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30. As a result, the user may visually recognize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in the function key mode. Here, the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280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여기에서는 하나의 피사체영상데이터가 분석되어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함일 뿐이다. 따라서,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들은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된 후에도 계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피사체(130)가 계속하여 감지되는 동안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계속하여 기능키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Here, it has been described that one subject image data is analyzed to generate a subject detection signal, bu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even after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at is, while the subject 130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continue to operate in the function key mode.

또한, 기능키입력부(110)는 피사체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상술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기능키입력부(110)는 상술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피사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지, 피사체가 기능키입력부(110)의 상단에 존재하여야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may repeatedly perform the above operation regardless of whether a subject exists. That is,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may repeatedl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ubject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may not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nly when the subject is present at the top of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능 수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할 각 단계들은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한다. 따라서, 하기할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a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Here, each step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 step performed by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but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Therefore, the subject performing the step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omitted.

단계 610에서, 광원(212)이 활성화된 상태 즉, 광을 출력하는 동안에 피사체(130)를 촬상하여 유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operation 610, the light source 212 is activated, that is, while outputting light, the image of the subject 130 may be captured to generate glossy image data.

단계 620에서, 광원(212)이 불활성화된 상태 즉, 광을 출력하지 않는 동안에 피사체(130)를 촬상하여 무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In operation 620, the matte image data may be generated by capturing the subject 130 while the light source 212 is inactivated, that is, not outputting light.

이때, 광원(212)은 단말기제어부(230)의 제어를 받아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간 격으로 점등될 수 있으며, 이미지센서(218)는 유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한 직후에 광원(212)이 불활성화되면 무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유광영상데이터가 생성된 후 무광영상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무광영상데이터가 생성될 후 유광영상데이터가 생성될 수도 있다. 즉, 단계 610이 수행된 후 단계 620이 생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212 may be turned 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30, and the image sensor 218 may be inactivated immediately after generating the glossy image data. Matte image data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although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matte image data is generated after the matte image data is generated, the matte image data may be generated after the matte image data is generated. That is, after step 610 is performed, step 620 may be generated.

단계 630에서, 생성된 유광영상데이터 및 무광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피사체영상데이터가 생성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일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In operation 630, the generated image data may be compared with the matt image data to generate subject image data. Since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subject image data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here.

단계 640에서, 생성된 피사체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피사체(140)가 촬상된 부분에 상응하는 기준픽셀을 추출할 수 있다.In operation 640, the generated subject image data may be analyzed to extract a reference pixel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f the subject 140.

단계 650에서, 추출된 기준픽셀의 개수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기준픽셀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피사체(130)가 기능키입력부(110) 위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기능키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단계 660). 이때, 사용자에게 휴대용 단말기(100)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진동부(270)가 동작되거나 기능키입력부(110) 주변에 별도로 구비된 부가발광부(280)가 활성화될 수 있다. 반면, 기준픽셀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피사체(130)가 기능키입력부(110) 위에 위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단계 610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In operation 650, the number of extracted reference pixels may be compared with a preset threshold. In this case, when the number of reference pixel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ubject 130 is positioned on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operated in the function key mode (step 660). In this case, in order to notify the user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the function key mode, the vibration unit 270 may be operated or an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280 provided separately around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may be activated.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reference pixels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ubject 130 is not positioned on the function key input unit 110, and the process may be performed again from step 610.

이후, 사용자의 키입력이 감지되면(즉, 사용자에 의하여 메인입력부(240)가 조작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0)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고 있으면, 기능키모드에 상응하는 제2 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일반모드로 동작되고 있으면, 일반모드에 상응하는 제2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은 서로 상이한 기능일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 user's key input is sensed (ie, when the main input unit 240 is operated by the user),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may be performed. 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the function key mode, the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mode may be perform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rated in the normal mode, the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normal mode may be performed. have. In this case, the first function and the second function may be different functions.

또한, 여기에서는 하나의 피사체영상데이터가 분석되어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된 후에도 상술한 단계 610 내지 단계 660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즉, 피사체(130)가 계속하여 감지되는 동안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계속하여 기능키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one subject image data is analyzed to generate a subject detection signal, the above-described steps 610 to 660 may be performed again after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at is, while the subject 130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continue to operate in the function key mod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가 휴대용 단말기에 마련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function key input unit is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Figure 2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에 대한 단면도.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nction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피사체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에 위치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FIG. 3A illustrates an embodiment when a subject is located in a function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b는 도 3a의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에서 생성된 피사체영상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FIG. 3B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subject image data generated by a function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FIG. 3A; FIG.

도 4a는 피사체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에 위치된 경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4A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ubject is located in a function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 3b의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입력부에서 생성된 피사체영상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4B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subject image data generated by a function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FIG.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지 아니하는 경우의 메인입력부를 예시한 도면.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input unit when a portable terminal is not operated in a function ke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기능키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메인입력부를 예시한 도면.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input unit when a portable terminal operates in a function ke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에 대한 순서도.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기능키입력부110: function key input unit

210 : 피사체촬상유닛210: subject recording unit

212 : 광원212 light source

214 : 필터214: filter

216 : 렌즈216 lens

218 : 이미지센서218: image sensor

220 : 피사체감지유닛220: subject detection unit

230 : 단말기제어부230: terminal control unit

240 : 메인입력부240: main input unit

250 : 저장부250: storage unit

260 : 디스플레이부260: display unit

270 : 진동부270: vibrating part

280 : 부가발광부280: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Claims (15)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In a portable terminal,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능키입력부;A function key input unit for generating subject image data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ubject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 image data;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기능수행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메인입력부; 및 A main input unit which generates and outputs a function performance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상기 피사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기능키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되,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input includes a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to operate in a function key mode,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기능수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And the terminal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in the function key mode when the function execution signal is input, and controls a corresponding function to be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능키입력부는, The function key input unit,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피사체촬상유닛; 및 A subject photographing unit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subject and generate subject image data; And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기능키입력부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제어부로 출력하는 피사체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subject detecting unit for generating a subject detecting signal and outputting the subject detecting signal to the terminal controller if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function key input unit is operated by analyzing the subject image dat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피사체촬상유닛은,The subject imaging unit,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간격으로 점등되는 광원; 및 A light source that is turned 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상기 광원이 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유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광원이 불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무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n image sensor for capturing the subject while the light source is activated to generate gloss image data, and generating the matt image data while capturing the subject while the light source is deactivated.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피사체촬상유닛은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더 포함하되,The subject imag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lter that allows only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to pass therethrough, 상기 광원은 적외선발광다이오드(LED)이고, 상기 필터는 적외선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light source is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the filter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that can pass only infrared light.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피사체감지유닛은 상기 유광영상데이터 및 상기 무광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추출된 기준픽셀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제어부로 상기 피사체감지신호를 출력하고,The subject detecting unit generates the subject image data by comparing the glossy image data and the matte image data, and analyzes the subject image data only when the reference pixel extracted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Outputting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to a terminal controller;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피사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기능키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the terminal controller controls a function key mode to be performed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inpu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기능수행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 중이지 않으면 제1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 중이면 제2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되,The terminal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function to be perform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operating in the function key mode according to the function execution signal, and controls the second function to be perform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operating in the function key mode. 상기 제1 기능과 상기 제2 기능은 서로 상이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the first function and the second function are different functions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진동부를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a vibrator,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기능키입력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된 경우에는 상기 진동부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the terminal controller starts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when the function key input unit is operated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부가발광부를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기능키입력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된 경우에는 상기 부가발광부를 발광(發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the terminal control unit emits the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function key input unit is operated by a user.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in which a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s performed in a portable terminal, 피사체가 촬상되어 피사체영상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Photographing a subject to generate subject image data;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가 분석되어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되는 단계;Analyzing the subject image data to generate a subject detection signal; 상기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되면 기능키모드로 동작되는 단계; 및Operating in a function key mode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nd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기능수행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And if a function execution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in the function key mode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The generating of the subject image data may include: 구비된 광원이 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유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Imaging the subject while the provided light source is activated to generate gloss image data; 상기 광원이 불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무광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Imaging the subject while the light source is deactivated to generate matt image data; And 상기 유광영상데이터 및 상기 무광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And generating the subject image data by comparing the polished image data and the matte image data.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The generating of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may include: 상기 피사체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기준픽셀을 추출하는 단계;Analyzing the subject image data and extracting a reference pixel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상기 기준픽셀의 개수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Comparing the number of reference pixels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상기 기준픽셀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피사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And generating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only when the number of the reference pixel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기능수행신호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는,The step of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performance signal,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 중이지 않으면 상기 기능수행신호에 상응하는 제1 기능이 수행되는 단계; 및 Performing a firs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performance signal when not operating in the function key mode; And 상기 기능키모드로 동작 중이면 상기 기능수행신호에 상응하는 제2 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되,When the operation in the function key mode includes the step of performing a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performance signal,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은 서로 상이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And the first function and the second function are different functions from each other.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되면 구비된 진동부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And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provided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피사체감지신호가 생성되면 구비된 부가발광부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And initiating an operation of the additional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when the su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이 수행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portable terminal is tangibly embodied in order to perform the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4, and can be read by the portable terminal.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KR1020070092797A 2007-09-12 2007-09-12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al keypad KR100845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97A KR100845494B1 (en) 2007-09-12 2007-09-12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al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97A KR100845494B1 (en) 2007-09-12 2007-09-12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al key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494B1 true KR100845494B1 (en) 2008-07-10

Family

ID=3982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797A KR100845494B1 (en) 2007-09-12 2007-09-12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al key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49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2006A (en) * 2006-06-21 2008-01-10 Toray Ind Inc Melt spinning assembly for synthetic fi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2006A (en) * 2006-06-21 2008-01-10 Toray Ind Inc Melt spinning assembly for synthetic fib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2-0069988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60845B (en) Optical mouse to integrate photographing device
US11009978B2 (en) OLED panel, OLED apparatus,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83252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storing an image shot by a camera and projected by a projector
US94139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and infrared illuminator in an electronic device
US9507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assist in capturing images
KR10183536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functions of touch button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and terminal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50074786A1 (en) Method of automatically authenticating a us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8399349A (en) Image-recognizing method and device
KR20120113714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92077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user interaction
CN108334769A (en) Unlocked by fingerprint method and device
CN110892443B (en) Personal authentication device
EP272044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proximity sensing
CN107220622A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module and its control method
KR20190111034A (en) Feature image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CN112764659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90135794A (en) Mobile terminal
KR100860331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ing of pointer
KR100845494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al keypad
KR100778927B1 (en)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non-contact key selection and method thereof
US9348464B2 (en) Imag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put detection
JP4877015B2 (en) Vein authentication device
KR20090028159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ensing of brightness
CA27940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and infrared illuminator in an electronic device
US20230026684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