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009B1 -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및 단말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및 단말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009B1
KR100844009B1 KR1020060035962A KR20060035962A KR100844009B1 KR 100844009 B1 KR100844009 B1 KR 100844009B1 KR 1020060035962 A KR1020060035962 A KR 1020060035962A KR 20060035962 A KR20060035962 A KR 20060035962A KR 100844009 B1 KR100844009 B1 KR 10084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mmunication
terminal
protocol stack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981A (ko
Inventor
박헌서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00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및 단말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유선 통신 기능 및/또는 무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 및/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을 논리적으로 스위칭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단말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 중 현재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통신 패킷을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 프로토콜, 스택, 스위칭, 종단, 보안 통신

Description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및 단말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Method for Communicating Securely End-to-end of Wire Communication Networks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by Using Switching Function of Communication Protocol Stack, Terminal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의 망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에 구비되는 통신 처리 기기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는
도 6a와 도 6b와 도 6c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와 도 7c와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IEEE 802.11x 기반 무선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IEEE 802.16x 기반 휴대 인터넷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와 도 10b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이 통신망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와 통신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에서 데이터를 대칭키(또는 비밀키)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및/또는 단말)에서 암호화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대칭키(또는 비밀키)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에서 데이터를 공개키 기반 구조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및/또는 단말)에서 암호화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공개키 기반 구조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에서 데이터를 전자봉투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및/또는 단말)에서 암호화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전자봉투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에서 데이터를 키교환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및/또는 단말)에서 암호화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키교환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계층을 로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단말 105 : 제어부
110 : 화면 출력부 115 : 사운드 처리부
120 : 키입력부 125 : IC칩 리더부
130 : 전원공급부 135 : 망 연결 확인부
140 : 통신망 확인부 145 : 핸드오프 처리부
150 : 프로토콜 제어부 155 : 메모리부
160 : 스위칭부 165 : 통신 처리부
본 발명은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및 TCP/IP(및/또는 UDP/IP)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IP 기반 유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장치와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다양한 형태의 유선 통신 인프라와 무선 통신 인프라가 구축되었으며, 사용자는 자시의 취향에 맞는 유선 통신 인프라 및/또는 무선 통신 인프라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유선 통신 인프라 및/또는 무선 통신 인프라에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첫째 각 통신 인프라에 대응하는 고가의 단말장치(및/또는 통신장치)를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과, 둘째 각 통신 인프라에 대응하는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에 가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유선 통신 기능 및/또는 무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 및/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을 논리적으로 스위칭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단말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 중 현재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통신 패킷을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을 제공하는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 및/ 또는 무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 및/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을 논리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 중 현재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통신 패킷을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 및 제어하는 프로토콜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기능 및/또는 유선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Subscriber)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Paramenter)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및/또는 IC칩)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을 제공하는 단말 구성요소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유선 통신 기능 및/또는 무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 및/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을 논리적으로 스위칭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단말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 중 현재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통신 패킷을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대칭키(및/또는 비밀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 투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한 서버(및/또는 단말)에서 복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무선 통신 기능 및/또는 유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 상에서 동급의 프로토콜 계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무선 통신 기능 및/또는 유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을 상기 단말장치가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무선 통신 기능 및/또는 유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에서 생성되어 제공되는 송신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장치가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구조로 변환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무선 통신 기능 및/또는 유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통신 패킷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구조로 변환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데이터링크 계층(및/또는 매체접근제어 계층)의 상위 계층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네트워크 계층의 부계층으로부터 구비되거나,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전송 계층의 부계층으로부터 구비되거나,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세션 계층의 부계층으로부터 구비되거나,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의 부계층으로부터 구비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의 망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과,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에 접속(및/또는 통신 연결)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에 접속(및/또는 통신 연결)하는 망 연결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한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에 접속(및/또는 통신 연결)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에 접속(및/또는 통신 연결)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10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하기 위해 현재 접속한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ESD(Electronic Software Delivery)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ESD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단말(100) 내에 탑재함으로써, 상기 단말(100)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100)에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하기 전 상기 단말(100)과 통신 연결되는 서버는 상기 단말(100)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파일을 제공하여 탑재하도록 하는 ESD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이 접속하는 무선 통신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스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W-CDMA(Wide-CDMA) 및/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기반 무선 통신망(예컨대, 이동 통신망), CPSN(complex Pi-sigma network) 기반 무선 통신망(예컨대, 위성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예컨대, 무선랜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예컨대, 휴대 인터넷), 및/또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기반 무선 통신망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이 접속하는 유선 통신망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및/또는 UDP/IP(User Datagram Protocol/ 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IP 기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이 본 도면1에 도시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에만 접속할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도면1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의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한정되지도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 및/또는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무선통신 기능,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에 접속 및/또는 상기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유선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말(100)이 상기와 같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소정의 통신망(예컨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하고, 및/또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 말(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및/또는 노트북 등과 같이 소정의 유선 통신망에 기본적으로 연결되는 유선 단말(100)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망(예컨대,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 기기 구성을 추가 탑재하고, 상기 유선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상기 유선 통신망 기기 구성과 상기 유선 단말(100)에 추가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망 기기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 및 각 통신망 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CDMA 스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W-CDMA 및/또는 HSDPA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기본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단말(100)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망(예컨대,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 기기 구성을 추가 탑재하고, 상기 무선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상기 이동 통신망 기기 구성과 상기 무선 단말(100)에 추가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망 기기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 및 각 통신망 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IEEE 802.11x(예컨대,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HIPERLAN/2 등) 기반의 무선랜(Wireless LAN)에 기본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단말(100)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망(예컨대,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 기기 구성을 추가 탑재하고, 상기 무선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상기 이동 통신망 기기 구성과 상기 무선 단말(100)에 추가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망 기기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 및 각 통신망 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IEEE 802.16x(예컨대, IEEE 802.16e 등) 기반의 휴대 인터넷(WiBro)에 기본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단말(100)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망(예컨대,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 기기 구성을 추가 탑재하고, 상기 무선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상기 이동 통신망 기기 구성과 상기 무선 단말(100)에 추가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망 기기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 및 각 통신망 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예컨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하고, 및/또는 상기 각각의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하고, 및/또는 상기 각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하는 서버는, 상기 단말(10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파일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웹 브라우징 기능을 통해 웹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단말(10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하는 서버는, 상기 예시된 컨텐츠 제공 서버 및/또는 웹서버 및/또는 금융서버 이외에 상기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 상의 모든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장치(서버 및/또는 단말(100))가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정의한 형식과 절차 및 순서를 정의한 것으로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물리적인 회선의 제어, 데이터 연결 제어, 패킷의 중계 전송이나 파일 전송 제어 등과 같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계층(Layer)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 상에서 각각의 상기 계층은 상하 연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각 계층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 특징과 기능은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 규격에 정의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규격을 위배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다르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예컨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상기 단말(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은 상기 단말(100)의 개발 및/또는 제조 단계에서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구성을 통해 탑재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예컨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상기 단말(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은 상기 단말(100)이 개발 및/또는 제조된 후,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예컨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상기 단말(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의 일부는 상기 단말(100)의 개발 및/또는 제조 단계에서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구성을 통해 탑재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단말(100)이 개발 및/또는 제조된 후,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예컨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상기 단말(100)이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안테나부,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를 구비해야 하는데, 여기서 상기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은 상기 안테나부,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전자 소자와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구성은 상기 안테나부,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동작 제어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다.
특히, 상기 프로그램(예컨대, 상기 안테나부,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동작 제어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은, 펌웨어(Firmware)의 형태로 상기 기기 구성 상의 메모리(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및/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에 기록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 운영체제에 포함되는 소정의 시스템 프로그램(System Program) 형태(및/또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의 형태)로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에 기록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100)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단말(100)은 상기 두개 이상의 무 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구성이 각각의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탑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상기 단말(100)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제1 무선 통신망(예컨대,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안테나부,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를 구비하고, 또한 제2 무선 통신망(예컨대,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안테나부,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를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100)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단말(100)은 상기 두개 이상의 무선 통신망이 접속하기 위해 소정의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을 상기 두개 이상의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도록 설계 및 탑재한 후, 상기 탑재된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을 각각의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구성을 통해 공유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상기 단말(100)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제1 무선 통신망(예컨대,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과 제2 무선 통신망(예컨대,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모두 포함하는 안테나부,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를 구비한 후, 상기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구성을 통해 상기 안테나부,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가 제1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거나, 및/또는 제2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100)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단말(100)은 상기 두개 이상의 유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구성이 각각의 유선 통신망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탑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100)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단말(100)은 상기 두개 이상의 유선 통신망이 접속하기 위해 소정의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을 상기 두개 이상의 유선 통신망에 대응하도록 설계 및 탑재한 후, 상기 탑재된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을 각각의 유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구성을 통해 공유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단말(100)은 상기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구성이 각각의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탑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무선 통신망 및/또는 유선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백본망(BackBone Network)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백본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과 소정의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백본망을 통해 인터넷 상의 웹서버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통신 채널이 연결되거나, 및/또는 상기 인터넷 상의 단말(100)과 P2P(Peer To Peer) 기반의 통신 채널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백본망과 연결된 소정의 응용 네트워크(예컨대, 백본망 상에서(또는 백본망을 기반으로) 특화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정의된 네트워크)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과 소정의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백본망과 연결된 소정의 VoIP(Voice over IP) 망과 같은 응용 네트워크 상의 서버(예컨대, VoIP 서버)와 소정의 통신 채널이 연결되거나, 및/또는 상기 VoIP 망 상의 VoIP 단말(100)과 통신 채널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백본망과 연결된 소정의 응용 네트워크와 연결된 소정의 외부 네트워크(예컨대, 응용 네트워크와 소정의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상의 단말(100)과 소정의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백본망과 연결된 소정의 VoIP 망과 연결된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상의 서버(예컨대,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서버)와 소정의 통신채널이 연결되거나, 및/또는 상기 VoIP 망 상의 통화단말(100)과 통신채널이 연결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CDMA 스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W-CDMA 및/또는 HSDPA 기반 무선 통신망 및 TCP/IP(및/또는 UDP/IP)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IP 기반 유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여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한 단말(100)의 다양한 기능 구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이 접속하는 통신망은, CDMA 스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W-CDMA 및/또는 HSDPA 기반 이동 통신망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TCP/IP(및/또는 UDP/IP)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IP 기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이 본 도면2에 도시된 통신망에만 접속할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도면2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의 기능 구성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한정되지도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 말(100)은,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하는 제어부(105)와,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메모리부(155)와, 상기 단말(100)을 CDMA 스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W-CDMA 및/또는 HSDPA 기반 무선 통신망과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WCDMA/HSDPA 통신 처리부(135)와, 상기 단말(100)을 IP 기반 유선 통신망과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본적으로 상기 단말(100)의 화면 출력 기능을 위한 화면 출력부(110)와, 상기 단말(100)의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위한 사운드 처리부(115)와, 상기 단말(100)의 키 입력 기능을 위한 키 입력부(12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의 특징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하는데 필요한 IC칩 저장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 저장정보(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IC칩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소정의 IC칩(및/또는 IC카드)와 인터페이싱하는 IC칩 리더부(1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30)(예컨대, 전원공급장치, 및/또는 배터리 등)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하드웨어적으로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부(155)로부터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및/또는 특징적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소정의 메모리부(155)(및/또는 칩셋)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기 정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위해 단말(1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1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단말(100)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실현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해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운용하는 상기 제어부(105)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소정의 메모리부(155)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루틴, 시스템 관리 루틴, 및/또는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어 운영체제,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및/또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11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화면 출력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및/또는 CRT(Cathode Ray Tube) 장치 등)를 구동하고, 상기 제어부(105)로부터 생성되는 소정의 화면 출력 데이터(예컨대, 화면 출력용 프로그램 루틴에 의해 생성되는 화면 출력 데이터), 상기 키 입력부(120)를 통해 발생하는 키 데이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 신호, 및/또는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화면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화면 출력부(110)는 상기 화면 출력장치에 대응하는 해상도 및/또는 색상수 등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정보(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얼진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장치(예컨대, 마이크로폰)를 구동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105)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장치(예컨대, 스피커)를 구동하고, 상기 제어부(105)가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출력장치(예컨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에는 소정의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이 구비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와 마이크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사운드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와 스피커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 는 사운드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 입력부(120)는 소정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한 소정의 키 입력장치(예컨대, 키패드(Keypad), 및/또는 키보드(Keyboard))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단말(100)의 특정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또는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예컨대, MH_KEY_PRESSEVENT, MH_KEY_REPEATEVENT, MH_KEY_RELEASEEVENT)를 발생하면,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단말(100)의 현재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단말(100)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상기 키 이벤트에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1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한 상기 키패드는 상호 연동하여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WCDMA/HSDPA 통신 처리부(135)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 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 중 W-CDMA 및/또는 HSDPA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단말(100)을 W-CDMA 및/또는 HSDPA 기반 무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상기 W-CDMA 및/또는 HSDPA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무선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상기 W-CDMA 및/또는 HSDPA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안테나,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를 포함하는 기기 구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상기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에서 상기 W-CDMA 및/또는 HSDPA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예컨대, 각 기기 구성에 구비되는 펌웨어,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에 구비되는(또는 포함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5a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 중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유선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TCP/IP(및/또는 UDP/IP)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커넥터, 신호 송수신부 및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기기 구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커넥터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 및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예컨대, 각 기기 구성에 구비되는 펌웨어,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에 구비되는(또는 포함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과 연결되는 커넥터 및/또는 BNC 케이블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거나, 및/또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송신될 데이터(및/또는 패킷)를 전기 신호로 엔코딩(Encoding)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패킷을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신호 송수신부와 신호 처리부는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및/또는 패킷)에 대한 재전송 및/또는 오류검출 등의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유선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상기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에 대한 기술 구성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메모리부(155)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HDD(Hard Disk Drive)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ROM은 삭제되면 안되는 시스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운영체제 루틴, 통신 처리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상기 단말(100)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55)에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Paramenter)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가입된 각각의 가입자 정보로서,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서 상기 단말(100)을 통해 접속한 가입자를 확인(및/또는 식별)하고, 상기 통신망 접속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하기 위한 기본 정 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 규격에 따라 각각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파라미터 정보로서,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각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송수신하도록 정의된 기본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55)에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 루틴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 프로그램 루틴은 상기 단말(100)이 부팅됨과 동시에(또는 소정의 통신 관련 명령을 통해) 상기 제어부(105)의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그램 루틴의 기능 구성은 편의상 상기 제어부(105) 내에 블록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IC칩 리더부(125)는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IC칩 규격을 통해 단말(100)에 구비된 IC칩 관련 기능구성(예컨대, 단말(100)에 구비되는 IC칩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상기 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 사이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IC칩 리더부(125)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IC칩 사이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IC칩 리더부(125)를 통해 상기 교환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IC칩에는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저장하는 IC칩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niversal Identification Module),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그램 루틴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 및/또는 무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 및/또는 무선 통 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을 논리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7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 중 현재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 처리부(1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칭부(170)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통신 패킷을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전적으로 신뢰하도록 제작 및 개발된다.
즉,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에 대응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함수를 호출하여 동작하며, 이하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통신 처리부(예컨대, WCDMA/HSDPA 통신 처리부(135) 및/또는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 등)에 구비된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에 구비된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 및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는 접근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 구조 상에서 상기 스위칭 부(17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처리부(예컨대, WCDMA/HSDPA 통신 처리부(135) 및/또는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계층(예컨대, 물리계층, 데이터링크 계층)과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 상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계층 사이에 논리적 스위칭 제어(Logical Switching Control; LSC) 계층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에서 소정의 프로토콜 계층에 포함되거나, 및/또는 각 계층별 기능에 따라 적어도 두개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에 분리되어 포함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단말(100)에 대응하는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계층 구조에 포함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계층의 상위 계층은 상기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으로 처리되도록 제어하고, 및/또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계층의 하위 계층은 상기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 및/또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동급 하위 계층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되어 처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단말(100)이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이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이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상기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계층 중 특정 계층에 구비되어 있다면,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상위 계층은 상기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계층으로 구현되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하위 계층은 상기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과 동급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에 대응하는 상기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에 대응하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연동한다.
또한, 예컨대, 상기 단말(100)이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이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이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계층 중 특정 계층에 구비되어 있다면,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상위 계층은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계층으로 구현되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하위 계층은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 위 계층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과 동급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에 대응하는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에 대응하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연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한 호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과 호환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상기 상위 계층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으로 스위칭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이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스택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등과 호환되는 프로토콜 스택이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하위의 WCDMA/HSDPA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상위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을 스위칭하여 연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 구조 상에서 상기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부(170)에 대응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생성되는 상위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하위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하위 통신 패킷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상위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는 통신 패킷 호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통신망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될 데이터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의 상위 계층에서부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추가되면서 하위 계층으로 이전되고, 최하위 계층(예컨대, 물리 계층)은 상기와 같이 각 계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정보가 포함된 상기 통신 패킷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하는데,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의 상위 계층에서부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추가되면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된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이 통신망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의 하위 계층으로부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제거되면서 상위 계층으로 이전되고, 최상위 계층은 상기와 같이 각 계층에서 각각의 패킷 정보가 제거된 데이터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데,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제거되면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된 패킷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패킷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단말(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 중 현재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암호 처리부(160)가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은 대칭키(또는 비밀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전장봉투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에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에서 소정의 통신 패킷에 포함되어 다음 단계의 하위 계층으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하위 계층으로 제공되는 통신 패킷은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소정의 패킷 정보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 패킷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 구비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한다.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유선 통신망(또는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데, 상기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유선 통신망(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된다.
상기 통신 패킷을 수신한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수신된 통신 패킷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한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예컨대, 대칭키(또는 비밀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전장봉투 복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복호화 방식 중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데 사용한 암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복호화하여 상기 원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165)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및 그 하위 계층을 상기 확인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을 통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상기 하위 계층과 상위 계층을 스위칭하여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및 TCP/IP(및/또는 UDP/IP)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IP 기반 유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 또는 변형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여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한 단말(100)의 다양한 기능 구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이 접속하는 통신망은, IEEE 802.11x 기반 무선랜 통신망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TCP/IP(및/또는 UDP/IP)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IP 기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이 본 도면3에 도시된 통신망에만 접속할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도면3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의 기능 구성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한정되지도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하는 제어부(105)와,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메모리부(155)와, 상기 단말(100)을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과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IEEE 802.11x 통신 처리부(140)와, 상기 단말(100)을 IP 기반 유선 통신망과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본적으로 상기 단말(100)의 화면 출력 기능을 위한 화면 출력부(110)와, 상기 단말(100)의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위한 사운드 처리부(115)와, 상기 단말(100)의 키 입력 기능을 위한 키 입력부(12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의 특징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하는데 필요한 IC칩 저장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 저장정보(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IC칩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소정의 IC칩(및/또는 IC카드)와 인터페이싱하는 IC칩 리더부(1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30)(예컨대, 전원공급장치, 및/또는 배터리 등)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하드웨어적으로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부(155)로부터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및/또는 특징적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소정의 메모리부(155)(및/또는 칩셋)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기 정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위해 단말(1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1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단말(100)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실현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해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운용하는 상기 제어부(105)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소정의 메모리부(155)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루틴, 시스템 관리 루틴, 및/또는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어 운영체제,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및/또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11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화면 출력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및/또는 CRT(Cathode Ray Tube) 장치 등)를 구동하고, 상기 제어부(105)로부터 생성되는 소정의 화면 출력 데이터(예컨 대, 화면 출력용 프로그램 루틴에 의해 생성되는 화면 출력 데이터), 상기 키 입력부(120)를 통해 발생하는 키 데이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 신호, 및/또는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화면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화면 출력부(110)는 상기 화면 출력장치에 대응하는 해상도 및/또는 색상수 등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정보(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장치(예컨대, 마이크로폰)를 구동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105)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장치(예컨대, 스피커)를 구동하고, 상기 제어부(105)가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출력장치(예컨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에는 소정의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이 구비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와 마이크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사운드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와 스피커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사운드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 입력부(120)는 소정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한 소정의 키 입력장치(예컨대, 키패드(Keypad), 및/또는 키보드(Keyboard))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단말(100)의 특정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또는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예컨대, MH_KEY_PRESSEVENT, MH_KEY_REPEATEVENT, MH_KEY_RELEASEEVENT)를 발생하면,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단말(100)의 현재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단말(100)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상기 키 이벤트에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1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한 상기 키패드는 상호 연동하여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IEEE 802.11x 통신 처리부(14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 중 IEEE 802.11x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상기 IEEE 802.11x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무선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IEEE 802.11x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안테나,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를 포 함하는 기기 구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상기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에서 상기 IEEE 802.11x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예컨대, 각 기기 구성에 구비되는 펌웨어,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에 구비되는(또는 포함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5b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 중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유선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TCP/IP(및/또는 UDP/IP)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커넥터, 신호 송수신부 및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기기 구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커넥터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 및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예컨대, 각 기기 구성에 구비되는 펌웨어,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에 구비되는(또는 포함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과 연결되는 커넥터 및/또는 BNC 케이블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거나, 및/또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송신될 데이터(및/또는 패킷)를 전기 신호로 엔코딩(Encoding)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패킷을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신호 송수신부와 신호 처리부는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및/또는 패킷)에 대한 재전송 및/또는 오류검출 등의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유선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상기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에 대한 기술 구성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메모리부(155)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HDD(Hard Disk Drive)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ROM은 삭제되면 안되는 시스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운영체제 루틴, 통신 처리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상기 단말(100)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55)에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Paramenter)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가입된 각각의 가입자 정보로서,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서 상기 단말(100)을 통해 접속한 가입자를 확인(및/또는 식별)하고, 상기 통신망 접속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하기 위한 기본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 규격에 따라 각각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파라미터 정보로서,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각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송수신하도록 정의된 기본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55)에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 루틴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 프로그램 루틴은 상기 단말(100)이 부팅됨과 동시에(또는 소정의 통신 관련 명령을 통해) 상기 제어부(105)의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그램 루틴의 기능 구성은 편의상 상기 제어부(105) 내에 블록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IC칩 리더부(125)는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IC칩 규격을 통해 단말(100)에 구비된 IC칩 관련 기능구성(예컨대, 단말(100)에 구비되는 IC칩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상기 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 사이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IC칩 리더부(125)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IC칩 사이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IC칩 리더부(125)를 통해 상기 교환되는 정보 및/또 는 데이터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IC칩에는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저장하는 IC칩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niversal Identification Module),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그램 루틴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 및/또는 무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 및/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을 논리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7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 중 현재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 처리부(1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칭부(170)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통신 패킷을 현 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전적으로 신뢰하도록 제작 및 개발된다.
즉,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에 대응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함수를 호출하여 동작하며, 이하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통신 처리부(예컨대, IEEE 802.11x 통신 처리부(140) 및/또는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 등)에 구비된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에 구비된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 및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는 접근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 구조 상에서 상기 스위칭부(17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처리부(예컨대, IEEE 802.11x 통신 처리부(140) 및/또는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계층(예컨대, 물리계층, 데이터링크 계층)과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 상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계층 사이에 논리적 스위칭 제어(Logical Switching Control; LSC) 계층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에서 소정의 프로토콜 계층에 포함되거나, 및/또는 각 계층별 기능에 따라 적어도 두개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에 분리되어 포함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단말(100)에 대응하는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계층 구조에 포함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계층의 상위 계층은 상기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으로 처리되도록 제어하고, 및/또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계층의 하위 계층은 상기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 및/또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동급 하위 계층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되어 처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단말(100)이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이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이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상기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계층 중 특정 계층에 구비되어 있다면,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상위 계층은 상기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계층으로 구현되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하위 계층은 상기 IEEE 802.11X 통신 프로 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과 동급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에 대응하는 상기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에 대응하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연동한다.
또한, 예컨대, 상기 단말(100)이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이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이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계층 중 특정 계층에 구비되어 있다면,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상위 계층은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계층으로 구현되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하위 계층은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과 동급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 에 대응하는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에 대응하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연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한 호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과 호환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상기 상위 계층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으로 스위칭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이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등과 호환되는 프로토콜 스택이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상 위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을 스위칭하여 연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 구조 상에서 상기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부(170)에 대응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생성되는 상위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하위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하위 통신 패킷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상위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는 통신 패킷 호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통신망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될 데이터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의 상위 계층에서부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추가되면서 하위 계층으로 이전되고, 최하위 계층(예컨대, 물리 계층)은 상기와 같이 각 계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정보가 포함된 상기 통신 패킷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하는데,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의 상위 계층에서부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추가되면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된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상기 변 환된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이 통신망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의 하위 계층으로부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제거되면서 상위 계층으로 이전되고, 최상위 계층은 상기와 같이 각 계층에서 각각의 패킷 정보가 제거된 데이터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데,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제거되면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된 패킷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패킷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단말(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 중 현재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암호 처리부(160)가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은 대칭키(또는 비밀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전장봉투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에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에서 소정의 통신 패킷에 포함되어 다음 단계의 하위 계층으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하위 계층으로 제공되는 통신 패킷은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소정의 패킷 정보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 패킷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 구비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한다.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유선 통신망(또는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데, 상기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유선 통신망(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된다.
상기 통신 패킷을 수신한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수신된 통신 패킷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한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예컨대, 대칭키(또는 비밀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전장봉투 복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복호 화 방식 중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데 사용한 암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복호화하여 상기 원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165)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및 그 하위 계층을 상기 확인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을 통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상기 하위 계층과 상위 계층을 스위칭하여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 및 TCP/IP(및/또는 UDP/IP)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IP 기반 유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여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한 단말(100)의 다양한 기능 구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이 접속하는 통신망은, IEEE 802.16x 기반 무선랜 통신망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TCP/IP(및/또는 UDP/IP)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IP 기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이 본 도면4에 도시된 통신망에만 접속할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도면4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100)의 기능 구성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한정되지도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하는 제어부(105)와,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메모리부(155)와, 상기 단말(100)을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과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IEEE 802.16x 통신 처리부(145)와, 상기 단말(100)을 IP 기반 유선 통신망과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본적으로 상기 단말(100)의 화면 출력 기능을 위한 화면 출력부(110)와, 상기 단말(100)의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위 한 사운드 처리부(115)와, 상기 단말(100)의 키 입력 기능을 위한 키 입력부(12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의 특징적인 기능을 제어 및 운용하는데 필요한 IC칩 저장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 저장정보(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IC칩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소정의 IC칩(및/또는 IC카드)와 인터페이싱하는 IC칩 리더부(1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30)(예컨대, 전원공급장치, 및/또는 배터리 등)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하드웨어적으로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부(155)로부터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및/또는 특징적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소정의 메모리부(155)(및/또는 칩셋)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기 정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위해 단말(1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1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단말(100)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실현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해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운용하는 상기 제어부(105)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소정의 메모리부(155)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루틴, 시스템 관리 루틴, 및/또는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어 운영체제,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및/또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11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화면 출력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및/또는 CRT(Cathode Ray Tube) 장치 등)를 구동하고, 상기 제어부(105)로부터 생성되는 소정의 화면 출력 데이터(예컨대, 화면 출력용 프로그램 루틴에 의해 생성되는 화면 출력 데이터), 상기 키 입력부(120)를 통해 발생하는 키 데이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 신호, 및/또는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화면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화면 출력부(110)는 상기 화면 출력장치 에 대응하는 해상도 및/또는 색상수 등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정보(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장치(예컨대, 마이크로폰)를 구동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105)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장치(예컨대, 스피커)를 구동하고, 상기 제어부(105)가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출력장치(예컨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에는 소정의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이 구비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와 마이크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사운드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와 스피커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사운드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 입력부(120)는 소정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한 소정의 키 입력장치(예컨대, 키패드(Keypad), 및/또는 키보드(Keyboard))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단말(100)의 특정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또는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 (예컨대, MH_KEY_PRESSEVENT, MH_KEY_REPEATEVENT, MH_KEY_RELEASEEVENT)를 발생하면,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단말(100)의 현재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단말(100)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상기 키 이벤트에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1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한 상기 키패드는 상호 연동하여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IEEE 802.16x 통신 처리부(145)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 중 IEEE 802.16x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상기 IEEE 802.16x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무선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IEEE 802.16x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안테나,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를 포함하는 기기 구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상기 RF 처리부, IF 처리부 및 기저대역부에서 상기 IEEE 802.16x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예컨대, 각 기기 구성에 구비되는 펌웨어,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에 구비되는(또는 포함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며,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5b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 중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유선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TCP/IP(및/또는 UDP/IP)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커넥터, 신호 송수신부 및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기기 구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커넥터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 및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예컨대, 각 기기 구성에 구비되는 펌웨어,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에 구비되는(또는 포함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과 연결되는 커넥터 및/또는 BNC 케이블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거나, 및/또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송신될 데이터(및/또는 패킷)를 전기 신호로 엔코딩(Encoding)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패킷을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신호 송수신부와 신호 처리부는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및/또는 패킷)에 대한 재전송 및/또는 오류검출 등의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유선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상기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에 대한 기술 구성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메모리부(155)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HDD(Hard Disk Drive)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ROM은 삭제되면 안되는 시스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운영체제 루틴, 통신 처리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상기 단말(100)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55)에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Paramenter)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가입된 각각의 가입자 정보로서,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서 상기 단말(100)을 통해 접속한 가입자를 확인(및/또는 식별)하고, 상기 통신망 접속에 대응하는 과금을 처리하기 위한 기본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 규격에 따라 각각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파라미터 정보로서,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각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와 송수신하도록 정의된 기본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55)에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 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 루틴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 프로그램 루틴은 상기 단말(100)이 부팅됨과 동시에(또는 소정의 통신 관련 명령을 통해) 상기 제어부(105)의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그램 루틴의 기능 구성은 편의상 상기 제어부(105) 내에 블록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IC칩 리더부(125)는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IC칩 규격을 통해 단말(100)에 구비된 IC칩 관련 기능구성(예컨대, 단말(100)에 구비되는 IC칩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상기 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 사이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IC칩 리더부(125)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IC칩 사이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IC칩 리더부(125)를 통해 상기 교환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IC칩에는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저장하는 IC칩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niversal Identification Module),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그램 루틴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 및/또는 무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 및/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을 논리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7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 중 현재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 처리부(1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칭부(170)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통신 패킷을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 토콜 스택을 전적으로 신뢰하도록 제작 및 개발된다.
즉,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에 대응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함수를 호출하여 동작하며, 이하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통신 처리부(예컨대, IEEE 802.16x 통신 처리부(145) 및/또는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 등)에 구비된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에 구비된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 및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는 접근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 구조 상에서 상기 스위칭부(17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처리부(예컨대, IEEE 802.16x 통신 처리부(145) 및/또는 IP 기반 통신 처리부(150))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계층(예컨대, 물리계층, 데이터링크 계층)과 상기 단말(100)의 운영체제 상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계층 사이에 논리적 스위칭 제어(Logical Switching Control; LSC) 계층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에서 소정의 프로토콜 계층에 포함되거나, 및/또는 각 계층별 기능에 따라 적어도 두개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에 분리되어 포함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단말(100)에 대응하는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계층 구조에 포함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계층의 상위 계층은 상기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으로 처리되도록 제어하고, 및/또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계층의 하위 계층은 상기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 및/또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동급 하위 계층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되어 처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단말(100)이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이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이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상기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계층 중 특정 계층에 구비되어 있다면,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상위 계층은 상기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계층으로 구현되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하위 계층은 상기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과 동급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 에 대응하는 상기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에 대응하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연동한다.
또한, 예컨대, 상기 단말(100)이 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이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이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계층 중 특정 계층에 구비되어 있다면,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상위 계층은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계층으로 구현되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하위 계층은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과 동급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에 대응하는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에 대응하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을 상기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연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한 호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과 호환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하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상기 상위 계층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으로 스위칭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이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등과 호환되는 프로토콜 스택이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하위의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상위의 호환 프로토콜 스택을 스위칭하여 연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 구조 상에서 상기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부(170)에 대응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생성되는 상위 통신 패킷을 상 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하위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하위 통신 패킷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상위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는 통신 패킷 호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통신망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될 데이터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의 상위 계층에서부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추가되면서 하위 계층으로 이전되고, 최하위 계층(예컨대, 물리 계층)은 상기와 같이 각 계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정보가 포함된 상기 통신 패킷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하는데,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의 상위 계층에서부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추가되면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된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1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이 통신망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의 하위 계층으로부 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제거되면서 상위 계층으로 이전되고, 최상위 계층은 상기와 같이 각 계층에서 각각의 패킷 정보가 제거된 데이터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데, 이 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패킷 정보가 제거되면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된 패킷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패킷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이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단말(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 중 현재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암호 처리부(160)가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은 대칭키(또는 비밀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전장봉투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에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에서 소정의 통신 패킷에 포함되어 다음 단계의 하위 계층으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하위 계층으로 제공되는 통신 패킷은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소정의 패킷 정보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 패킷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 구비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한다.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유선 통신망(또는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데, 상기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유선 통신망(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된다.
상기 통신 패킷을 수신한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수신된 통신 패킷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한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예컨대, 대칭키(또는 비밀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전장봉투 복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복호화 방식 중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데 사용한 암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복호화하여 상기 원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165)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및 그 하위 계 층을 상기 확인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을 통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상기 하위 계층과 상위 계층을 스위칭하여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5a와 도면5b와 도면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100)에 구비되는 통신 처리 기기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a와 도면5b와 도면5c는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에 있어서, 상기 단말(100)이 접속 가능한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처리 기기 구성에 대한 독립적인 기기 구성도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5a는 상기 단말(100)이 CDMA 스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W-CDMA 및/또는 HSDPA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독립적인 기기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5b는 상기 단말(100)이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독립적인 기기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5c는 상기 단말(100)이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독립적인 기기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a와 도면5b와 도면5c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각각의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독립적인 통신 처리 기기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통합칩 방식)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5a와 도면5b와 도면5c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단말(100)이 CDMA 스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W-CDMA 및/또는 HSDPA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독립적인 기기 구성에 대응하는 도면5a를 참조하면, 상기 WCDMA/HSDPA 기반 통신 처리부의 기기 구성은 WCDMA/HSDPA 기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WCDMA/HSDPA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는 RF 처리부와, 상기 RF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처리하는 IF 처리부와, 상기 IF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저대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WCDMA/HSDPA 기반 통신 처리부의 기기 구성 중 기저대역부는 소정의 통합칩(예컨대, 미국퀄컴사에서 공급되는 MSM 칩)에서 처리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상기 단말(100)이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독립적인 기기 구성에 대응하는 도면5b를 참조하면, 상기 IEEE 802.1x 기반 통신 처리부의 기기 구성은 상기 IEEE 802.11x 기반 통신 처리부의 기기 구성은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IEEE 802.11x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는 RF 처리부와, 상기 RF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무선 주 파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처리하는 IF 처리부와, 상기 IF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저대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도면5b를 참조하면, 상기 IEEE 802.1x 기반 통신 처리부의 기기 구상기 기저대역부에서 처리된 기적대역 신호를 MAC 데이터로 처리하는 MAC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도시하였으나, 상기 MAC 처리부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운영체제 상의 시스템 프로그램 형태로 처리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단말(100)이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독립적인 기기 구성에 대응하는 도면5c를 참조하면, 상기 IEEE 802.16x 기반 통신 처리부의 기기 구성은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IEEE 802.16x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는 RF 처리부와, 상기 RF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처리하는 IF 처리부와, 상기 IF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저대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도면5c에 도시된 기기 구성은 상기 안테나와 RF 처리부와 IF 처리부와 기저대역부를 기반으로 RF 전치단(Front End; FE), 전력증폭기능 RF 신호 간의 상향/하향 변환기능을 수행하며, FEM(Front End Module)은 PA(Power Amplifier), RFSW(RF SWitch), LNA(Low Noise Amplifier) FEM로 구성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송수신 모드 전환기능, 송신신호의 전력 증폭기능, 수신신호의 저잡음 증폭기능을 수행하고, UPCM(UP Conversion Module)는 LPF, I/Q 변조기, VGA, RF BPF로 구성되어 기저대역 신호를 RF 신호로 상향 변환하는 기능, 송신전력 제어 기능 및 필터링 기능 등을 수행하며 DNCM(DowN-Conversion Module)는 RF BPF, RF 믹서, VGA, I/Q 복조기, LPF로 구성되며, 상기 DNCM은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기능, 수신전력 자동이득 조절 및 필터링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IEEE 802.16x 기반 통신 처리부의 기기 구성은 PLL과 RF VCO로 구성된 LOM(Local Oscillator Module)과 TDD 방식을 사용하므로 동일한 안테나에서 송신과 수신을 수행하는 ANTM(ANTenna Modul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본 도면5a와 도면5b와 도면5c에 도시된 각각의 무선 통신 기기 구성이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은 본 도면5a와 도면5b와 도면5c에 도시된 각각의 무선 통신 기기 구성 중 일부가 공유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다양한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IP 기반 및/또는 IP 호환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망 및/또는 유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의 기술적 특징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에만 적용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계층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의 기술적 특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하 도시되는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a와 도면6b와 도면6c와 도면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a와 도면6b와 도면6c와 도면6d는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IEEE 802.11x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 위칭 제어 계층을 구비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6a는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 상의 데이터링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네트워크 계층의 부계층)에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6b는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 상의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전송 계층의 부계층)에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6c는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 상의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세션 계층의 부계층)에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6d는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 상의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의 부계층)에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a와 도면6b와 도면6c와 도면6d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IEEE 802.11x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구비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계층이 기능별로 분리되어 구비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6a와 도면6b 와 도면6c와 도면6d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도면6a와 도면6b와 도면6c와 도면6d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지 않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구비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6a와 도면6b와 도면6c와 도면6d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도면6a와 도면6b와 도면6c와 도면6d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과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지 않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구비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6a와 도면6b와 도면6c와 도면6d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6a와 도면6b와 도면6c와 도면6d를 참조하면, 상기 OSI 7 계층 구조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물리적인 링크를 구성 및 유지하며, 상기 물리적인 링크에 대응하는 통신 회선을 통해 데이터 비트를 직접 전송하기 위한 회선 연결을 확립 및/또는 유지 및/또는 단절하기 위한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하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과, 상기 물리 계층을 통해 물리적인 링크가 형성되면, 상기 물리 계층을 제어하여 물리적인 링크에 대한 어드레싱(Addressing),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회선 사용 규칙, 오류 검출, 프레임 전달 및 흐름제어 등과 같은 데이터 전달 신뢰성에 대한 기능을 정의하는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과, 상기 통신망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 간 네트워크 경로 선택 및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한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및 다중화 기능을 정의하는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과,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가상 회로(Virtual Circuit)의 구축, 경로 유지 및 종료, 전송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상기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및 전송 계층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주 목적으로 하여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SI 7 계층 구조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계층은 패킷의 순서가 바뀌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정정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며, TCP 및/또는 UDP 등이 상기 네트워크 계층에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SI 7 계층 구조 상에서 상기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통신 처리부의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 기기 구성에 대응하는 펌웨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 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펌웨어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 계층에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6a와 도면6b와 도면6c와 도면6d를 참조하면, 상기 OSI 7 계층 구조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간 통신세션을 구성, 관리 및 종료하는 기능을 정의하는 세션 계층(Session Layer)과,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간 데이터 변환, 압축 및 암호화/복호화 기능을 정의하는 프리젠테이션 계층(Presentation Layer)과,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100)의 기능적 특징에 따라 상기 세션 계층 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 및/또는 응용 계층은 하나의 계층으로 통합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6a와 도면6b와 도면6c와 도면6d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100)은 상기 IEEE 802.11x 기반 통신망에 접속 및 통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IEEE 802.11x 규격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과, 상기 IEEE 802.11x 규격에 대응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과 LLC(Logical Link Control) 계층을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계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EEE 802.11x 규격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은 PCL(PHY Convergence Layer) 계층(도시생략)과 PMD(Physical Medium Dependent) 계층(도시생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방식 및/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상기 단말(100)과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예컨대, AP(Access Point) 등)와 무선 통신 구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 통신 구간은 상기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백본망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구간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EEE 802.11x 규격에 대응하는 데이터링크 계층에 포함되는 MAC 계층은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 상에서 CD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및/또는 TDMA/TDD(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ime Division Duplex)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체 접근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EEE 802.11x 규격에 대응하는 데이터링크 계층에 포함되는 LLC 계층은 IEEE 802.2 규격에서 LAN(Local Area Network) 상에 존재하는 통신 시스템 간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IEEE 802.11x가 WLAN(Wireless LAN)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의 MAC 계층 상위에 구비된다.
상기 LLC 계층은 세가지 특성을 포함하는데, LLC1은 연결 수준에서 오류 정정을 할 수 없고, LLC2는 오류 정정이 가능하며, LLC3은 즉각적인 인지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LLC3은 시간이 긴급한 처리를 제어해야 하는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규격을 참조하여 상기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포함되는 MAC 계층 및 LLC 계층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기 IEEE 802.11x 통신 프로토콜 규격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도면6a와 도면6b와 도면6c와 도면6d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100)은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망에 접속 및 통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상 기 TCP/IP(및/또는 UDP/IP)을 포함하는 이더넷(Ehternet) 물리 계층과, 상기 TCP/IP(및/또는 UDP/IP)을 포함하는 이더넷(Ehternet) MAC 계층을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계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규격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NIC(Network Interface Card) 및/또는 초고속 인터넷 장치(예컨대, 케이블 통신 모뎀, 및/또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통신 모뎀, 및/또는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통신 모뎀 등)를 통해 유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예컨대, 상기 NIC과 UTP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허브(Hub) 및/또는 라우터(Router), 상기 초고속 인터넷 장치와 소정의 BNC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측 장치)와 유선 통신 구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선 통신 구간은 상기 백본망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구간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규격에 대응하는 데이터링크 계층에 포함되는 MAC 계층은 IEEE 802.3 규격에 정의된 매체 접근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물리 계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TCP/IP(및 /또는 UDP/IP) 통신 프로토콜 규격을 참조하여 상기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포함되는 MAC 계층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기 TCP/IP(및/또는 UDP/IP) 통신 프로토콜 규격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6a를 참조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네트워크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 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 및/또는 세션 계층 및/또는 전송 계층 등을,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상기 IEEE 802.11x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네트워크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과 세션 계층 및 전송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IEEE 802.11x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응용계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과 세션 계층 및 전송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또 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송신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네트워크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IEEE 802.11x 기반 물리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IEEE 802.11x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 및/또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패킷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상기 전송 계층과 세션 계층과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거쳐 상기 응용계층으로 수신된다.
본 도면6a에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편의상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네트워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부계층이거나,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하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이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b를 참조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전송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전송 계층)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 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 및/또는 세션 계층 등을, 상기 전송 계층을 통해 상기 IEEE 802.11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전송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과 및 세션 계층을 통해 상기 전송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IEEE 802.11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응용계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 및 세션 계층을 통해 상기 전송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은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또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송신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전송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IEEE 802.11x 기반 물리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IEEE 802.11x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 및/또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전송 계층을 통해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패킷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전송 계층을 통해 상기 세션 계층과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거쳐 상기 응용계층으로 수신된다.
본 도면6b에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편의상 상기 전송 계층의 상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전송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부계층이거나, 및/또는 상기 전송 계층의 하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이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c를 참조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세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세션 계층)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 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 등을, 상기 세션 계층을 통해 상기 IEEE 802.11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세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통해 상기 세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IEEE 802.11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응용계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통해 상기 세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은 상기 전송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송신된다.
또한, 상기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세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IEEE 802.11x 기반 물리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IEEE 802.11x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전송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 및/또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TCP/IP(및/ 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전송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세션 계층을 통해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패킷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세션 계층을 통해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거쳐 상기 응용계층으로 수신된다.
본 도면6c에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편의상 상기 세션 계층의 상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세션 계층과 전송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부계층이거나, 및/또는 상기 세션 계층의 하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이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d를 참조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을,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통해 상기 IEEE 802.11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 상위의 세션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 상위의 세션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에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IEEE 802.11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 상위의 세션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 상위의 세션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응용계층에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은 상기 세션 계층과 전송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또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송신된다.
또한, 상기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IEEE 802.11x 기반 물리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IEEE 802.11x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전송 계층 및 세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 및/또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전송 계층 및 세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통해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패킷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통해 상기 응용계층으로 수신된다.
본 도면6d에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편의상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의 상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과 세션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부계층이거나, 및/또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의 하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이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는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IEEE 802.16x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구비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7a는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 상의 데이터링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네트워크 계층의 부계층)에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7b는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 상의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전 송 계층의 부계층)에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7c는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 상의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세션 계층의 부계층)에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7d는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 상의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의 부계층)에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IEEE 802.16x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구비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계층이 기능별로 분리되어 구비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지 않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 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구비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과 상기 OSI 7 계층과 호환되지 않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구비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를 참조하면, 상기 OSI 7 계층 구조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물리적인 링크를 구성 및 유지하며, 상기 물리적인 링크에 대응하는 통신 회선을 통해 데이터 비트를 직접 전송하기 위한 회선 연결을 확립 및/또는 유지 및/또는 단절하기 위한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하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과, 상기 물리 계층을 통해 물리적인 링크가 형성되면, 상기 물리 계층을 제어하여 물리적인 링크에 대한 어드레싱(Addressing),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회선 사용 규칙, 오류 검출, 프레임 전달 및 흐름제어 등과 같은 데이터 전달 신뢰성에 대한 기능을 정의하는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과, 상기 통신망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적 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 간 네트워크 경로 선택 및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한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및 다중화 기능을 정의하는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과,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가상 회로(Virtual Circuit)의 구축, 경로 유지 및 종료, 전송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상기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및 전송 계층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주 목적으로 하여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SI 7 계층 구조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계층은 패킷의 순서가 바뀌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정정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며, TCP 및/또는 UDP 등이 상기 네트워크 계층에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SI 7 계층 구조 상에서 상기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되는 통신 처리부의 하드웨어적인 기기 구성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 기기 구성에 대응하는 펌웨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펌웨어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 계층에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를 참조하면, 상기 OSI 7 계층 구조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간 통신세션을 구성, 관리 및 종료하는 기능을 정의하는 세션 계층(Session Layer)과,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간 데이터 변환, 압축 및 암호화/복호화 기능을 정의하는 프리젠테이션 계층(Presentation Layer)과,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100)의 기능적 특징에 따라 상기 세션 계층 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 및/또는 응용 계층은 하나의 계층으로 통합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100)은 상기 IEEE 802.16x 기반 통신망에 접속 및 통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IEEE 802. 16x 규격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과, 상기 IEEE 802. 16x 규격에 대응하는 MAC 계층을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계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EEE 802.16x 규격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은 TDD/OFDMA(Time Division Duplex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통해 상기 단말(100)과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예컨대, RAS(Radio Access System) 등)와 무선 통신 구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 통신 구간은 상기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백본망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구간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EEE 802. 16x 규격에 대응하는 데이터링크 계층에 포함되는 MAC 계층은 서비스별 수렴 부계층(Convergence Sublayer; CS)과 MAC 공통부 부계층(Common Part Sublayer; CPS) 및 프라이버시 부계층을 포함하는 세 개의 부계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서비스별 수렴 부계층은 CS SAP(Service Access Point)을 통해 수신된 외부망의 데이터를 MAC SAP을 통해 MAC 계층의 CPS로 전송될 수 있도록 MAC SDU로의 변환 또는 매핑 기능을 제공하며, 이러한 다중 CS 규격들로 인하여 다양한 프로토콜과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MAC 계층 중에서 MAC CPS는 시스템 접속, 대역폭 할당, 연결 설정 및 연결 관리 등의 핵심 MAC 계층 기능들을 제공하며, 프라이버시 부계층은 인증(Authentication), 보안키 교환(Secure Key Exchange) 및 암호화(Encryption) 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 상에서 MAC PDU(예컨대, 802-2001(R)에서 정의된 48비트 매체 접근 제어 계층 주소를 포함하며, 기지국(RAS) 접속시 단말(100) 당 할당되는 연결들이 16비트 CID에 의하여 식별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규격을 참조하여 상기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포함되는 MAC 계층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기 IEEE 802.16x 통신 프로토콜 규격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와 도면7d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100)은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통신망에 접속 및 통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TCP/IP(및/또는 UDP/IP)을 포함하는 이더넷(Ehternet) 물리 계층과, 상기 TCP/IP(및/또는 UDP/IP)을 포함하는 이더넷(Ehternet) MAC 계층을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계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규격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은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NIC(Network Interface Card) 및/또는 초고속 인터넷 장치(예컨대, 케이블 통신 모뎀, 및/또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통신 모뎀, 및/ 또는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통신 모뎀 등)를 통해 유선 통신망 상의 망 구성요소(예컨대, 상기 NIC과 UTP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허브(Hub) 및/또는 라우터(Router), 상기 초고속 인터넷 장치와 소정의 BNC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측 장치)와 유선 통신 구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선 통신 구간은 상기 백본망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구간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규격에 대응하는 데이터링크 계층에 포함되는 MAC 계층은 IEEE 802.3 규격에 정의된 매체 접근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물리 계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통신 프로토콜 규격을 참조하여 상기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포함되는 MAC 계층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기 TCP/IP(및/또는 UDP/IP) 통신 프로토콜 규격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7a를 참조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네트워크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며,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 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 및/또는 세션 계층 및/또는 전송 계층 등을, 상기 IEEE 802.16x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네트워크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과 세션 계층 및 전송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IEEE 802.16x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응용계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과 세션 계층 및 전송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 또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송신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네트워크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IEEE 802.16x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IEEE 802. 16x 기반 데이터링크 계 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 및/또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패킷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상기 전송 계층과 세션 계층과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거쳐 상기 응용계층으로 수신된다.
본 도면7a에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편의상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네트워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부계층이거나,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하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이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b를 참조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전송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전송 계층)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 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 및/또는 세션 계층 등을, 상기 전송 계층을 통해 상기 IEEE 802.16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전송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과 및 세션 계층을 통해 상기 전송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IEEE 802.16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응용계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 및 세션 계층을 통해 상기 전송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은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 또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송신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전송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IEEE 802.16x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IEEE 802. 16x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 및/또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전송 계층을 통해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 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패킷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전송 계층을 통해 상기 세션 계층과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거쳐 상기 응용계층으로 수신된다.
본 도면7b에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편의상 상기 전송 계층의 상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전송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부계층이거나, 및/또는 상기 전송 계층의 하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이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c를 참조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세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세션 계층)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 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 등을, 상기 세션 계층을 통해 상기 IEEE 802.16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세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 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통해 상기 세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IEEE 802.16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응용계층에서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통해 상기 세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은 상기 전송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 또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송신된다.
또한, 상기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세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IEEE 802.16x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IEEE 802. 16x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전송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 및/또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전송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세션 계층을 통해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패킷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세션 계층을 통해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거쳐 상기 응용계층으로 수신된다.
본 도면7c에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편의상 상기 세션 계층의 상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세션 계층과 전송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부계층이거나, 및/또는 상기 세션 계층의 하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이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d를 참조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을,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통해 상기 IEEE 802.16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 상위의 세션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 상위의 세션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응용계층에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IEEE 802.16x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 상위의 세션 계층으로 스위칭하거나,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에 구비되는 상기 네트워크 계층 상위의 전송 계층 상위의 세션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응용계층에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은 상기 세션 계층과 전송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 또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송신된다.
또한, 상기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및/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에 포함되는 부계층)에 구비되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IEEE 802.16x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IEEE 802. 16x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전송 계층 및 세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 및/또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 데이터링크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거쳐 상기 전송 계층 및 세션 계층으로 제공된 통신 패킷을,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통해 상위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패킷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포함된 프리젠테이션 계층을 통해 상기 응용계층으로 수신된다.
본 도면7d에서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편의상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의 상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과 세션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부계층이거나, 및/또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계층의 하위에 구비되는 부계층이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IEEE 802.11x 기반 무선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랜 시스템은 무선랜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처리하는 기능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00)(예컨대, AT(Access Terminal))과, 기지국(예컨대, AP(Access Point))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관리하는 APM(Access Point Manager)과 사업자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사업자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100)에 대한 IP의 이동성을 위한 HA(Home Agent)와, 사용자의 인증 및 과금을 위한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와, 관리 서버(Network Management System) 및 외부 무선망과 연동하는 FA(Foreign Agent)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랜 시스템은 상기 무선랜에 접속하는 단말(100)에 MIP를 할당 및 등록하기 위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와 DNS를 더 포함하며, 사업자의 의도 및/또는 부가 서비스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더 추가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기술 규격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IEEE 802.16x 기반 휴대 인터넷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9는 60 km/h 이상의 이동성과 1 Mbps급의 전송속도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기술을 제공하는 HPi(High-speed Portable Internet) 기반의 2.3GHz 휴대 인터넷 망구조에 대한 것이다.
상기 2.3GHz 주파수대역의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광대역 무선전송기술을 사용하여 셀룰러 형태의 망 구성과, IP 기반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상/하향 비대칭 전송 특성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으며, 핸드오프를 지원하여 서비스 중단 없이 셀간 이동성을 보장하고, 휴대형 단말(100)기에 IP를 동적 또는 정적으로 할당할 수 있으며, 또한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들의 시스템 접근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인증 기능을 수행하며, 종래 유선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스트리밍 비디오, FTP, 메일, 채팅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IP 기반 패킷 데이터의 고속 전송에 적합하도록 지연 시간 및 패킷 손실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특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휴대 인터넷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처리하는 기능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00)(예컨대, AT(Access Terminal) 또는 PSS(Portable Subscriber Station))과, 기지국(예컨대, AP(Access Point) 또는 RAS(Radio Access Station))과, 패킷 액세스 라우터(Packet Access Router; PAR)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PAR을 연결하는 사업자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사업자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100)에 대한 IP의 이동성을 위한 HA(Home Agent)와, 사용자의 인증 및 과금을 위한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와, 관리 서버(Network Management System) 및 외부 무선망과 연동하는 FA(Foreign Agent)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상기 휴대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말(100)에 MIP를 할당 및 등록하기 위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와 DNS를 더 포함하며, 사업자의 의도 및/또는 부가 서비스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더 추가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단말(100)은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의 종단점으로서, 상기 기지국과 OFDMA 방식으로 통신하며, 무선채널 송수신 기능, MAC 처리 기능, 핸드오버 기능, 사용자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무선링크 제어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 다.
상기 기지국은 유무선 채널 변환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PAR로 전달하거나 반대로 PAR로부터 수신하는 각종 정보(또는 데이터)들을 OFDMA 기반의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100)로 전달하며, 또한 오류 없는 패킷 송수신을 위한 패킷 재전송 기능, 무선 자원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패킷 스케쥴링(Packet Schedulling) 및 무선 대역폭 할당 기능, 레인징(Ranging) 기능, 패킷 호 연결 설정, 유지, 해제 등과 관련된 연결 제어와 핸드오버 제어 기능 및 PAR 접속 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PAR는 다수개의 기지국들과 접속되어 이들을 관리하며, PAR내에서 고속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핸드오버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기지국과 PAR간에는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접속되며, 고속 패킷 전송을 위해 기가비트 이더넷 스위치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고속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100)과 기지국 사이에는 Uh 인터페이스, 기지국과 PAR 사이에는 Ah 인터페이스, PAR과 PAR 사이에는 Ph 인터페이스, PAR와 사업자 네트워크의 AAA 및 HA 사이에는 Ih 인터페이스 등이 구비된다.
상기 단말(100)과 기지국 사이에 구비되는 Uh 인터페이스는 HPi의 물리계 층(PHYsical; PHY) 및 매체접근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규격을 따르며, 상기 물리계층 및 MAC 규격은 LOS(Line Of Sight)가 보장되지않는 다중 경로 채널 환경을 갖는 2.3GHz 대역을 기준으로 하며, IEEE 802.16 시리즈의 무선 접속 규격을 기반으로 하여 이동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h 인터페이스의 상기 물리계층 규격은 IEEE802.16 규격에서 OFDMA에 해당하는 항목은 모두 포함하며, IEEE 802.16 대비 변경된 부분은 프레임 구조,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한 OFDMA 부반송파 할당 방법과 채널 부호화 방법 등이다. 또한, 추가된 부분은 최대 반경 1km를 수용하기 위한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와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 및 RF 파라미터에 대한 것 등이다. 또한, 상기 MAC 규격은 OFDMA PHY에 최적화되는데, 레인징 및 대역폭 요청 절차를 OFDMA PHY에 맞도록 수정하고, 이동성 지원을 위한 핸드오버 기능을 추가하였다. 또한 단말(100)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수면모드 기능 및 통신 두절 상태를 확인하고 두절시 할당된 자원을 회수하기 위한 메커니즘 등이 추가되었다.
상기 기지국과 PAR 사이의 Ah 인터페이스는 기지국과 PAR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제어 메시지들을 규정하고 있는 ANAP(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상기 PAR과 PAR 사이의 Ph 인터페이스는 PAR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제어 메시지들을 규정하고 있는 PPAP(PAR-PAR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상기 PAR과 AAA 사이의 Ih 인터페이스를 위한 규격은 IETF 다이아미터 기반(Diameter Base) 프로토콜을 기본으로 하며, 또한 상기 IETF Diameter MIP Application과 IETF Diameter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를 참조한다. 또한, 상기 PAR와 HA 사이의 Ih 인터페이스를 위한 규격은 IETF RFC 3344의 MIP(Mobile IP)를 기본으로 하며, MIP NAI(Network Access Identification) 확장자, MIP Challenge/Response 확장자, AAA 등록키(Registration Key) 확장자, AAA NAI를 위한 MIP 확장자 및 역 터널링(Reverse Tunneling)을 위한 MIP 확장자 등을 추가하여 사용한다.
도면10a와 도면10b와 도면10c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이 통신망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통신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a와 도면10b와 도면10c는 상기 도면6a 및/또는 도면7a에 도시된 논리적 스위칭 계층을 통해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에서 소정의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통신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10a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IEEE 802.11x 기반의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상기 IEEE 802.11x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백본망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100))와 통신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에 대한 것이고, 도면10b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상기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백본망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통신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에 대한 것이고, 도면10c는 상기 단말(100)이 현재 TCP/IP(및/또는 UDP/IP) 기반의 유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상기 TCP/IP(및/또는 UDP/IP) 기반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백본망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통신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도면10a와 도면10b와 도면10c에서 상기 단말(100)이 IEEE 802.11x 기반의 무선 통신망, 또는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통신망, 또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백본망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동일한 서버로서, 상기 단말(10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및/또는 통신 연결된) 통신망(예컨대, IEEE 802.11x 기반의 무선 통신망, 또는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통신망, 또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의 유선 통신망 등)에 무관하게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예컨대,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이해하는 자)라면, 본 도면10a와 도면10b와 도면10c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기 도면6a 및/또는 도면7a에 도시된 논리적 스위칭 계층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이 상기 IEEE 802.11x 기반의 무선 통신망, 또는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통신망, 또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의 유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통신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이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예컨대,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이해하는 자)라면, 본 도면10a와 도면10b와 도면10c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기 도면6b 및/또는 도면7b에 도시된 논리적 스위칭 계층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 및/또는 상기 도면6c 및/또는 도면7c에 도시된 논리적 스위칭 계층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 및/또는 상기 도면6d 및/또는 도면7d에 도시된 논리적 스위칭 계층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이 상기 IEEE 802.11x 기반의 무선 통신망, 또는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통신망, 또는 TCP/IP(및/또는 UDP/IP) 기반의 유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통신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이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에서 데이터를 대칭키(또는 비밀키)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 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와 같은 암호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에서 소정의 공인인증서(도시생략)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대칭키(또는 비밀키)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지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를 대칭키(또는 비밀키) 방식으로 암호화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1에서 상기 대칭키(또는 비밀키)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에 탑재된 IC칩에 저장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칭키(또는 비밀키)는 공인인증서(도시생략) 외에 상기 단말(100)의 메모리 및/또는 IC칩에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반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100)의 정보 추출부에서 소정의 데이터가 추출되거나, 및/또는 정보 생성부에서 소정의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를 상기 암호 처리부(160)로 제공하는데(1100), 상기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소정의 대칭키(또는 비밀키)를 독출하고(1105), 상기 독출된 대칭키(또는 비밀키)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한다(1110).
여기서,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을 E(Encryption)라고 하고, 상기 대칭키(또는 비밀키)를 k(key), 상기 데이터를 P(Plaintext), 및 상기 대칭키(또는 비밀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C(Ciphertext)라고 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은 "Ek(P)=C"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가 상기 대칭키(또는 비밀키)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은, SEED, DES(Data Encryption Standard), Triple-DES, Skipjack,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암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대칭키(또는 비밀키)를 통해 데이터가 암호화되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에서 소정의 통신 패킷에 포함되어 다음 단계의 하위 계층으로 제공되며, 상기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유선 통신망(또는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면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및/또는 단말(100))에서 암호화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대칭키(또는 비밀키)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와 같은 암호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로부터 암호화되어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에서 대칭키(또는 비밀키)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지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대칭키(또는 비밀키)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2에서 상기 대칭키(또는 비밀키)는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는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연동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을 수신하고(1200),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소정의 대칭키(또는 비밀키)를 추출하고(1205), 상기 추출된 대칭키(또는 비밀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1210).
여기서,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의 복호화 기능을 D(Decryption)라고 하고, 상기 대칭키(또는 비밀키)를 k(key), 상기 대칭키(또는 비밀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C(Ciphertext), 및 상기 복호화되는 데이터를 P(Plaintext)라고 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기능은 "Dk=P, 또는 Dk(Ek(P))=P"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대칭키(또는 비밀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알고리즘은, SEED, DES(Data Encryption Standard), Triple-DES, Skipjack,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 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복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상기 복호화 알고리즘은 상기 단말(100)에서 사용된 암호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정 복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에서 데이터를 공개키 기반 구조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은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와 같은 암호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에서 소정의 공인인증서(도시생략)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공개키 기반 구조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지라면, 본 도면1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를 공개키 방식으로 암호화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3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3에서 상기 서버측 공개키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에 탑재된 IC칩에 저장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는, 상기 서버측 공개키는 상기 단말(100)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를 발급하는 인증기관이 운용 및 관리하는 소정의 디렉토리(도시생략)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100)의 정보 추출부에서 소정의 데이터가 추출되거나, 및/또는 정보 생성부에서 소정의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를 상기 암호 처리부(160)로 제공하는데(1300), 상기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소정의 서버측 공개키를 추출하고(1305), 상기 추출된 서버측 공개키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한다(1310).
여기서,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을 E(Encryption)라고 하고, 상기 서버측 공개키를 k1(key), 상기 데이터를 P(Plaintext), 및 상기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C(Ciphertext)라고 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은 "Ek1(P)=C"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가 상기 서버측 공개키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은, RSA(Ron Rivest, Adi Shamir, Len Adleman),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 DH(Diffie, Hellman),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KCDSA, ECDSA, ECDH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 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암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 중 RSA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경우, 암호화 과정에서 이용되는 공개된 법(Modulus)을 n, 상기 n의 서로 다른 소인수로 공개되지 않은 소수를 a와 b, 공개된 지수(예컨대, 3 또는 216+)를 e, 공개되지 않은 지수를 d라고 하면, 상기 n은 "n=a*b"를 만족하고, 상기 d는 " de=1 mod (a-1)(b-1)"를 만족하는데, 이 때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은 "C=Ek1(P)=Pe mod n"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버측 공개키를 통해 데이터가 암호화되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에서 소정의 통신 패킷에 포함되어 다음 단계의 하위 계층으로 제공되며, 상기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유선 통신망(또는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면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및/또는 단말(100))에서 암호화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공개키 기반 구조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4는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와 같은 암호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로부터 암호화되어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에서 공개키 기반 구조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지라면, 본 도면1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공개키 기반 구조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4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4에서 상기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공개키 기반 구조 방식으로 복호화하기 위한 서버측 개인키는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는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연동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4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을 수신하고(1400), 서버(및/또는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서버측 개인키를 추출하고(1405), 상기 추출된 서버측 개인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1410).
여기서,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의 복호화 기능을 D(Decryption)라고 하고, 상기 서버측 개인키를 k2(key), 상기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C(Ciphertext), 및 상기 서버측 개인키로 복호화되는 데이터를 P(Plaintext)라고 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기능은 "Dk2=P, 또는 Dk2(Ek(P))=P"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서버측 개인키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서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알고리즘은, RSA(Ron Rivest, Adi Shamir, Len Adleman),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 DH(Diffie, Hellman),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KCDSA, ECDSA, ECDH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복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상기 복호화 알고리즘은 상기 단말(100)에서 사용된 암호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정 복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공개키 기반 복호화 알고리즘 중 RSA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경우, 복호화 과정에서 이용되는 공개된 법(Modulus)을 n, 상기 n의 서로 다른 소인수로 공개되지 않은 소수를 a와 b, 공개된 지수(예 컨대, 3 또는 216+)를 e, 공개되지 않은 지수를 d라고 하면, 상기 n은 "n=a*b"를 만족하고, 상기 d는 " de=1 mod (a-1)(b-1)"를 만족하는데, 이 때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의 복호화 기능은 "P=Dk2=Cd mod n"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도면1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에서 데이터를 전자봉투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5는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와 같은 암호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에서 소정의 공인인증서(도시생략)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전자봉투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지라면, 본 도면1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를 전자봉투 방식으로 암호화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5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5에서 상기 서버측 공개키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에 탑재된 IC칩에 저장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는, 상기 서버측 공개키는 상기 단말(100)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를 발급하는 인증기관이 운용 및 관리하는 소정의 디렉토리(도시생략)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5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100)의 정보 추출부에서 소정의 데이터가 추출되거나, 및/또는 정보 생성부에서 소정의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를 상기 암호 처리부(160)로 제공하는데(1500), 상기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데이터를 비밀키(15ecret Key, Symmetric Key) 방식으로 암호화하기 위한 소정의 랜덤 비밀키(Random Secret key)를 생성하고(1505), 상기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한다(1510).
여기서,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을 E(Encryption)라고 하고, 상기 비밀키를 r(random Secret key), 상기 데이터를 P(Plaintext), 및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C(Ciphertext)라고 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은 "Er(P)=C"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가 상기 비밀키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은, SEED, DES(Data Encryption Standard), Triple-DES, Skipjack,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암호 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데 사용한 상기 비밀키(랜덤 비밀키)를 암호화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소정의 서버측 공개키를 추출하고(1515), 상기 서버측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비밀키를 암호화한다(1520).
여기서,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을 E(Encryption)라고 하고, 상기 서버측 공개키를 k1(key), 상기 비밀키를 r(random Secret key), 및 상기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비밀키를 C(Ciphertext)라고 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은 "Ek1(r)=C"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가 상기 서버측 공개키를 통해 상기 비밀키를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은, RSA(Ron Rivest, Adi Shamir, Len Adleman),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 DH(Diffie, Hellman),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KCDSA, ECDSA, ECDH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암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 중 RSA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비밀 키를 암호화하는 경우, 암호화 과정에서 이용되는 공개된 법(Modulus)을 n, 상기 n의 서로 다른 소인수로 공개되지 않은 소수를 a와 b, 공개된 지수(예컨대, 3 또는 216+)를 e, 공개되지 않은 지수를 d라고 하면, 상기 n은 "n=a*b"를 만족하고, 상기 d는 " de=1 mod (a-1)(b-1)"를 만족하는데, 이 때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은 "C=Ek1(r)=re mod n"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가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되고, 또한 상기 비밀키가 상기 서버측 공개키를 통해 암호화되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에서 소정의 통신 패킷에 포함되어 다음 단계의 하위 계층으로 제공되며, 상기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유선 통신망(또는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면1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및/또는 단말(100))에서 암호화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전자봉투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6은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와 같은 암호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로부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데이 터를 수신한 서버(및/또는 단말(100))에서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자봉투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지라면, 본 도면1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전자봉투 방식으로 암호화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같은 전자봉투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6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6에서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자봉투 방식으로 복호화하기 위한 서버측 개인키는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는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연동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6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을 수신하고(1600), 서버(및/또는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암호화된 비밀키를 복호화하기 위한 서버측 개인키를 추출하고(1605), 상기 추출된 서버측 개인키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비밀키를 복호화함으로써(1610),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소정의 비밀키를 추출하고(1615), 상기 추출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함으로써(1620),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된 상기 데이터를 추출한다(1625).
여기서,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의 복호화 기능을 D(Decryption)라고 하고, 상기 서버측 개인키를 k2(key), 상기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비밀키를 C(Ciphertext), 및 상기 서버측 개인키로 복호화되는 비밀키를 r(random secret key)라고 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암호화된 비밀키를 복호화하는 기능은 "Dk2=r, 또는 Dk2(Ek1(r))=r"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서버측 개인키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서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비밀키를 복호화하는 알고리즘은, RSA(Ron Rivest, Adi Shamir, Len Adleman),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 DH(Diffie, Hellman),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KCDSA, ECDSA, ECDH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복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상기 복호화 알고리즘은 상기 단말(100)에서 사용된 암호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정 복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공개키 기반 복호화 알고리즘 중 RSA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비밀키를 복호화하는 경우, 복호화 과정에서 이용되는 공개된 법(Modulus)을 n, 상기 n의 서로 다른 소인수로 공개되지 않은 소수를 a와 b, 공개된 지수(예컨대, 3 또는 216+)를 e, 공개되지 않은 지수를 d라고 하면, 상기 n은 "n=a*b"를 만족하고, 상기 d는 " de=1 mod (a-1)(b-1)"를 만족하는데, 이 때 상기 서버(및/또 는 단말(100))의 복호화 기능은 "P=Dk2=Cd mod n"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의 복호화 기능을 D(Decryption)라고 하고, 상기 비밀키를 r(random Secret key),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C(Ciphertext), 및 상기 복호화되는 데이터를 P(Plaintext)라고 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기능은 "Dr=P, 또는 Dr(Er(P))=P"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비밀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알고리즘은, SEED, DES(Data Encryption Standard), Triple-DES, Skipjack,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복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상기 복호화 알고리즘은 상기 단말(100)에서 사용된 암호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정 복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에서 데이터를 키교환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7은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와 같은 암호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에서 소정의 공인인증서(도시생략)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키교환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지라면, 본 도면1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를 키교환 방식으로 암호화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7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7에서 상기 장치측 개인키와 서버측 공개키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00)에 탑재된 IC칩에 저장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는, 상기 장치측 개인키와 서버측 공개키는 상기 단말(100)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를 발급하는 인증기관이 운용 및 관리하는 소정의 디렉토리(도시생략)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7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100)의 정보 추출부에서 소정의 데이터가 추출되거나, 및/또는 정보 생성부에서 소정의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를 상기 암호 처리부(160)로 제공하는데(1700), 상기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데이터를 소정의 일방향 해시함수(예컨대, 상기 데이터의 길이에 상관없이 일 정길이의 해시코드(Hash Code)를 포함하는 메시지 다이제스트(Message Digest)를 생성하고, 상기 해시코드(또는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통해 원래의 메시지를 확인(또는 유추)할 수 없는 일방향 해시함수(Hash Function). 상기 단말(100)과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동일한 해시함수를 사용)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생성하고(1705),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상기 장치측 개인키를 통해 암호화함으로써 전자서명한다(1710).
여기서,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을 E(Encryption)라고 하고, 상기 장치측 개인키를 t1(18erminal side key),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m(message digest), 및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C(Ciphertext)라고 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전자서명 기능은 "Et1(m)=C"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가 상기 장치측 개인키를 통해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은, RSA(Ron Rivest, Adi Shamir, Len Adleman),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 DH(Diffie, Hellman),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KCDSA, ECDSA, ECDH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암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 중 RSA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메시 지 다이제스트를 암호화하는 경우, 암호화 과정에서 이용되는 공개된 법(Modulus)을 n, 상기 n의 서로 다른 소인수로 공개되지 않은 소수를 a와 b, 공개된 지수(예컨대, 3 또는 216+)를 e, 공개되지 않은 지수를 d라고 하면, 상기 n은 "n=a*b"를 만족하고, 상기 d는 " de=1 mod (a-1)(b-1)"를 만족하는데, 이 때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전자서명 기능은 "C=Et1(m)=me mod n"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데이터를 비밀키(17ecret Key, Symmetric Key) 방식으로 암호화하기 위한 소정의 랜덤 비밀키(Random Secret key)를 생성하고(1715), 상기 데이터와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에 구비된 인증서(예컨대, 장치측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 사본을 연계하여 상기 생성된 비밀키를 통해 암호화한다(1720).
여기서,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을 E(Encryption)라고 하고, 상기 비밀키를 r(random Secret key), 상기 데이터와 인증서 사본을 P(Plaintext), 및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된 데이터와 인증서 사본을 C(Ciphertext)라고 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은 "Er(P)=C"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가 상기 비밀키를 통해 상기 데이터와 인증서 사본을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은, SEED, DES(Data Encryption Standard), Triple-DES, Skipjack,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 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암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시킨 상기 비밀키를 암호화하기 위해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소정의 서버측 공개키를 추출하고(1725), 상기 서버측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한 비밀키를 암호화한다(1730).
여기서,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을 E(Encryption)라고 하고, 상기 서버측 공개키를 s1(17erver side key), 상기 비밀키를 r(random Secret key), 및 상기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비밀키를 C(Ciphertext)라고 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은 "Es1(r)=C"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가 상기 서버측 공개키를 통해 상기 비밀키를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은, RSA(Ron Rivest, Adi Shamir, Len Adleman),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 DH(Diffie, Hellman),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KCDSA, ECDSA, ECDH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암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 중 RSA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비밀 키를 암호화하는 경우, 암호화 과정에서 이용되는 공개된 법(Modulus)을 n, 상기 n의 서로 다른 소인수로 공개되지 않은 소수를 a와 b, 공개된 지수(예컨대, 3 또는 216+)를 e, 공개되지 않은 지수를 d라고 하면, 상기 n은 "n=a*b"를 만족하고, 상기 d는 " de=1 mod (a-1)(b-1)"를 만족하는데, 이 때 상기 암호 처리부(160)의 암호화 기능은 "C=Es1(r)=re mod n"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와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 사본이 연계되어 상기 생성된 비밀키를 통해 암호화되고, 상기 비밀키가 상기 서버측 공개키를 통해 암호화되면, 상기 암호 처리부(160)는 상기 비밀키를 통해 암호화된 상기 데이터와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 사본을 상기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비밀키와 연계하여 소정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최상위 계층에서 소정의 통신 패킷에 포함되어 다음 단계의 하위 계층으로 제공되며, 상기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유선 통신망(또는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면1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및/또는 단말(100))에서 암호화 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키교환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8은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와 같은 암호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로부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및/또는 단말(100))에서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키교환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지라면, 본 도면1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키교환 방식으로 암호화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같은 키교환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8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8에서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키교환 방식으로 복호화하기 위한 서버측 개인키와 장치측 공개키는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로부터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인인증서(도시생략)는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연동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8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을 수신하고(1805), 상기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비밀키를 복호화하기 위해 서버(및/또는 단말(100))에 구비된 상기 공인인 증서(도시생략)로부터 상기 서버측 개인키를 추출하고(1810), 상기 서버측 개인키를 통해 상기 비밀키를 복호화함으로써(1815), 상기 데이터와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 사본을 복호화하기 위한 상기 비밀키를 추출한다(1820).
여기서,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의 복호화 기능을 D(Decryption)라고 하고, 상기 서버측 개인키를 s2(17erver side key), 상기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비밀키를 C(Ciphertext), 및 상기 서버측 개인키로 복호화되는 비밀키를 r(random secret key)라고 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암호화된 비밀키를 복호화하는 기능은 "Ds2=r, 또는 Ds2(Es1(r))=r"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서버측 개인키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서 서버측 공개키로 암호화된 비밀키를 복호화하는 알고리즘은, RSA(Ron Rivest, Adi Shamir, Len Adleman),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 DH(Diffie, Hellman),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KCDSA, ECDSA, ECDH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복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상기 복호화 알고리즘은 상기 단말(100)에서 사용된 암호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정 복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공개키 기반 복호화 알고리즘 중 RSA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비밀키를 복호화하는 경우, 복호화 과정에서 이용되는 공개된 법(Modulus)을 n, 상기 n의 서로 다른 소인수로 공개되지 않은 소수를 a와 b, 공개된 지수(예컨대, 3 또는 216+)를 e, 공개되지 않은 지수를 d라고 하면, 상기 n은 "n=a*b"를 만족하고, 상기 d는 " de=1 mod (a-1)(b-1)"를 만족하는데, 이 때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의 복호화 기능은 "P=Ds2=Cd mod n"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밀키가 추출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추출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와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 사본을 복호화함으로써(1825),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된 상기 데이터와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 사본을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의 복호화 기능을 D(Decryption)라고 하고, 상기 비밀키를 r(random secret key),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 사본을 C(Ciphertext), 및 상기 복호화되는 데이터와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 사본을 P(Plaintext)라고 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 사본을 복호화하는 기능은 "Dr=P, 또는 Dr(Er(P))=P"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비밀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서 사본을 복호화하는 알고리즘은, SEED, DES(Data Encryption Standard), Triple-DES, Skipjack,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복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상기 복호화 알고리즘은 상기 단말(100)에서 사용된 암호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정 복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통해 복호화함으로써(1830),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로부터 생성하여 전송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추출한다(1835).
여기서,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의 복호화 기능을 D(Decryption)라고 하고,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t2(18erminal side key), 상기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C(Ciphertext), 및 상기 장치측 공개키로 복호화되는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m(Message Digest)라고 하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복호화하는 기능은 "Dt2=m, 또는 Dt2(Es1(r))=m"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가 상기 장치측 공개키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서 장치측 개인키로 암호화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복호화하는 알고리즘은, RSA(Ron Rivest, Adi Shamir, Len Adleman),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 DH(Diffie, Hellman),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KCDSA, ECDSA, ECDH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복호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상기 복호화 알고리즘은 상기 단말(100)에서 사용된 암호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정 복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공개키 기반 복호화 알고리즘 중 RSA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복호화하는 경우, 복호화 과정에서 이용되는 공개된 법(Modulus)을 n, 상기 n의 서로 다른 소인수로 공개되지 않은 소수를 a와 b, 공개된 지수(예컨대, 3 또는 216+)를 e, 공개되지 않은 지수를 d라고 하면, 상기 n은 "n=a*b"를 만족하고, 상기 d는 " de=1 mod (a-1)(b-1)"를 만족하는데, 이 때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의 복호화 기능은 "P=Dt2=Cd mod n"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단 말(100)과 동일한 일방향 해시함수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생성한 후(1840), 상기 생성된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복호화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비교함으로써(1845),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생성된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상기 복호화된 메시지 다이제스트가 일치한다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한다.
도면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100)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계층을 로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9는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단말(100)에서 시스템 부팅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이 구비된(예컨대,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처리 루틴을 구동하여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제어부(105)로 로딩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적 스위칭 계층을 로딩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9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단말(100)이 시스템 부팅된 후,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 통합 처리 명령을 통해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제어부(105)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이 구비된(예컨대,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처리 루틴을 로딩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9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9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10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 부팅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1900), 상기 단말(100)은 상기 시스템 부팅 중 본 발명에 따른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처리 루틴을 상기 제어부(105)로 로딩한다(1905).
이후, 상기 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55)(및/또는 IC칩)로부터 우선 접속 통신망(예컨대, 상기 단말(100)에 대응하는 주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망)에 대응하는 가입자 정보 및/또는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추출하고(1910), 상기 추출된 가입자 정보 및/또는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로딩된 프로토콜 처리 루틴에 포함된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통해 상기 우선 접속 통신망에 대한 접속(및/또는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1915).
만약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및/또는 통신 연결) 시도가 실패하면(1920), 상기 단말(100)은 상기 메모리부(155)(및/또는 IC칩)로부터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처리 기능에 대응하는 다른 통신망에 대한 가입자 정보 및/또는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추출하고(1925), 상기 추출된 가입자 정보 및/또는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로딩된 프로토콜 처리 루틴에 포함된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통해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및/또는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1915).
만약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및/또는 통신 연결) 시도가 성공하면(1920), 상기 단말(100)은 상기 프로토콜 처리 루틴에 포함된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통해 상기 상위 프로토콜 계층(예컨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상위에 구비된 프로토콜 계층)과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예컨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이 구비된 계층의 하위에 구비된 프로토콜 계층)을 스위칭하여 논리적으로 연결하며(1930), 이후 상기 단말(100)은 현재 접속한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및/또는 단말(100))와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게 된다.
도면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0은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단말(100)에서 상기 도면19와 같은 시스템 부팅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예컨대,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처리 루틴이 구동된 후, 상기 도면11 및/또는 도면13 및/또는 도면15 및/또는 도면17과 같은 방식으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0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0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9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단말(100)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예컨대,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처리 루틴이 구동된 후, 소정의 데이터가 상기 도면11 및/또는 도면13 및/또는 도면15 및/또는 도면17과 같은 방식으로 암호화되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프로토콜 처리 루틴을 통해 최상위 계층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통신 패킷이 생성되어 다음 단계의 하위 계층으로 제공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망으로 송신되는데, 이 때 상기 단말(100) 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위 계층에 대응하는 암호화된 데이터 송신 기능을 통해 소정의 통신 패킷이 생성되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으로 제공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한다(2000).
만약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상위 계층에서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 송신 기능을 통해 생성된 송신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으로 제공되면(2005),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상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제공된 송신 통신 패킷 구조를 변경할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상위 프로토콜 계층이 상기 단말(100)의 우선 접속 통신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이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하위 계층 역시 상기 단말(100)의 우선 접속 통신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라면, 상기 송신 통신 패킷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상위 프로토콜 계층이 상기 단말(100)의 우선 접속 통신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이지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하위 계층이 상기 단말(100)의 우선 접속 통신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이외의 다른 프로토콜 계층을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송신 통신 패킷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하위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암호화된 데이터 구조로 변경되어야 한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 상기 송신 통신 패킷을 변경하지 않아도 무방하다면(2015),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상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제공된 송신 통신 패킷을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하위 계층으로 제공하고(2020),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하위 계층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처리 루틴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송신 통신 패킷을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2035), 이에 의해 상기 단말(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으로 송신된다.
반면 상기 확인결과 상기 송신 통신 패킷을 변경되어야 한다면(2015),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상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제공된 송신 통신 패킷을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구조(및/또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통해 스위칭되는 하위 계층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한다(2025).
이후,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변환된 송신 통신 패킷을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하위 계층으로 제공하고(2030),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하위 계층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처리 루틴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송신 통신 패킷을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2035), 이에 의해 상기 단말(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가 상기 단말(100)이 현 재 접속한 통신망으로 송신된다.
이후,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도면12 및/또는 도면14 및/또는 도면16 및/또는 도면18과 같은 복호화 과정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도면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1은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에 도시된 단말(100)에서 상기 도면19와 같은 시스템 부팅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예컨대,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처리 루틴이 구동된 후, 상기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1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및/또는 단말(100))는 상기 도면11과 유사한 대칭키(또는 비밀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도면13와 유사한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도면15와 유사한 전자봉투 암호화 방식, 및/또는 도면17와 유사한 키교환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을 통해 소정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면2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9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단말(100)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예컨대,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처리 루틴이 구동된 후, 상기 단말(100)이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암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프로토콜 처리 루틴을 통해 최하위 계층(예컨대, 물리 계층 및/또는 암호화된 데이터링크 계층에 대응하는 MAC 계층)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통신 패킷을 수신하여 다음 단계의 상위 계층으로 제공되는 과정을 통해 수신되는데, 이 때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하위 계층에 대응하는 암호화된 데이터 수신 기능을 통해 소정의 통신 패킷이 수신되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으로 제공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한다(2100).
만약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하위 계층에서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 수신 기능을 수행하여 수신 통신 패킷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으로 제공되면(2105),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제공된 수신 통신 패킷 구조를 변경할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하위 프로토콜 계층이 상기 단말(100)의 우선 접속 통신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이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상위 계층 역시 상기 단말(100)의 우선 접속 통신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라면, 상기 수신 통신 패킷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반면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하위 프로토콜 계층이 상기 단말(100)의 우선 접속 통신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이지만,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상위 계층이 상기 단말(100)의 우선 접속 통신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이외의 다른 프로토콜 계층을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수신 통신 패킷은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상위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암호화된 데이터 구조로 변경되어야 한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 상기 수신 통신 패킷을 변경하지 않아도 무방하다면(2115),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제공된 수신 통신 패킷을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상위 계층으로 제공하고(2120),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상위 계층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처리 루틴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신 통신 패킷에 대한 암호화된 데이터 수신 기능을 수행하며(2135),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상기 단말(100)이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가 수신 처리된다.
반면 상기 확인결과 상기 수신 통신 패킷을 변경되어야 한다면(2115),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제공된 수신 통신 패킷을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 상위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구조(및/또는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통해 스위칭되는 상위 계층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한다(2125).
이후,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변환된 수신 통신 패킷을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상위 계층으로 제공하고(2130), 상기 단말(100)의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의 상위 계층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처리 루틴은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신 통신 패킷에 대한 암호화된 데이터 수신 기능을 수행하며(2135),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 처리 기능을 통해 상기 단말(100)이 접속한 통신망으로부터 소정의 암호화된 데이터가 수신 처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다르면,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수신 기능은 상기 암호화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100)에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 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2는 소정의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100)가 현재 접속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ESD 서버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함으로써, 상기 도면2 및/또는 도면3 및/또는 도면4와 같이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망 구성에 연결하도록 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탑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22에 도시된 실시 방법을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2에서 상기 ESD 서버를 편의상 "서버"라고 하고, 상기 단말(100)를 편의상 "단말"이라고 한다.
도면2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현재 접속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서버에 회원가입 및/또는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 후(2200),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하기 위해 상기 서버로 통신망 기반 프로그램 탑재를 요청하며(220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로 소정의 단말정보를 입력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단말정보 제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2210),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정보 제공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정보를 입력(또는 선택, 또는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제공한다(2215).
여기서, 상기 단말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장치모델 정보 및/또는 운영체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정보 제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단말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 상의 망운용장치(예컨대, 상기 단말이 이동통신단말로서 CDMA 기반의 이동통신망에 접속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에 구비된 HLR/VLR(Home Location Register/Visitor Location Register)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단말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22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에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되는 통신모듈(예컨대, 무선 통신모듈의 경우, 소프트웨어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 계층의 일부를 제어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장치모델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단말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버 상(또는 상기 서버와 연계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운영체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작된 소정의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운영체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단말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 상기 단말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할 수 없다면(2225), 상기 서버는 소정의 프로그램 탑재 오류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출력하고(2230), 상기 단말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확인결과 상기 단말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할 수 있다면(2225),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작된 소정의 프로그램 파일을 추출하고(예컨대, 상기 단말정보와 프로그램 파일을 연계 처리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2235),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2240).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수신한 단말은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구동하여 상기 단말 내에 기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는(예컨대, 상기 단말과 상기 서버 사이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있는)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파일을 백업한다(22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 내에 기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는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파일을 백업하는 방법은, 상기 구동된 프로그램 파일이 상기 단말과 상기 서버 간 통신채널을 단절하고, 상기 단말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에 대한 망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단말 내에 기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는 프로토콜 계층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 상기 종료된 프로그램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구동된 프로그램 파일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 프로그램을 상기 백업된 파일(예컨대, 상기 단말 내에 기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던 프 로토콜 계층 프로그램 파일)로 처리하여 상기 단말 내에 설치한다(2250).
만약 상기와 같은 신규 프로토콜 계층 프로그램 설치 절차가 완료되면(2255), 상기 단말은 상기 구동된 프로그램 파일에 의해 상기 프로토콜 계층 갱신을 위한 시스템 리부팅 절차를 수행한다(226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이 시스템 리부팅 없이 상기 프로그램 갱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시스템 리부팅 절차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100)에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 후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3은 상기 도면22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ESD 서버로부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단말(100)에 탑재한 후,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탑재된 신규 프로토콜 계층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인증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탑재된 프로그램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 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23에 도시된 실시 방법을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2에서 상기 ESD 서버를 편의상 "서버"라고 하고, 상기 단말(100)를 편의상 "단말"이라고 한다.
도면2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2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ESD 서버로부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탑재된 후, 상기 단말(예컨대, 상기 도면22에서 상기 단말에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 프로그램을 탑재하기 위해 구동된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프로토콜 계층 프로그램이 탑재되기 전에 접속한 통신망에 대한 망접속을 시도한다(23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에 탑재된 상기 프로토콜 계층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이 이전에 접속한 통신망에 대한 망접속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망접속 시도 과정은 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망접속 시도가 실패하면(2305), 상기 단말은 상기 백업된 프로토콜 계층 프로그램을 복구하고(2310), 상기 프로토콜 계층 복구를 위한 시스템 리부 팅 절차를 수행한다(231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이 시스템 리부팅 없이 상기 프로그램 복구가 가능한 경우, 상기 시스템 리부팅 절차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반면 상기 망접속 시도가 성공하면(2305),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와 통신채널 연결을 시도한다(2320).
만약 상기 통신채널 연결이 실패하면(2325),
반면 상기 통신채널 연결이 성공하면(2325), 상기 단말은 상기 백업된 프로토콜 계층 프로그램을 삭제함으로써(2330),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에 탑재된 상기 프로토콜 계층 프로그램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기반으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금융거래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 능이 구비된 상기 단말(100)이 유선 통신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소정의 뱅킹 서버와 금융거래 처리하는 중 상기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 사이에 통신망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금융거래 처리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서비스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24에 도시된 실시 방법을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도면24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서 상기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통신망이 무선 통신망이고, 상기 무선 통신망에서 변경되는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이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4에서 상기 유선 통신망을 편의상 "제1 통신망"이라고 하고, 상기 무선 통신망을 편의상 "제2 통신망"이라고 하며,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기능]이 구비된 단말(100)을 편의상 "단말"이라고 하고, 상기 단말(100)이 상기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뱅킹 서버를 편의상 "서버"라고 한다.
도면24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와 소정의 뱅킹채널을 연결하고(2400), 상기 뱅킹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를 처리한다(2405).
여기서, 상기 뱅킹채널은 상기 단말과 서버 사이의 종단간 암호화/복호화 기능이 제공되는 통신채널로서, 상기 종단간 암호화/복호화 기능은 상기 제1 통신망 및/또는 제2 통신망과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한 통신망 변경에 의해서도 보안 기능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금융거래 처리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단말은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상기 제1 통신망에서 소정의 제2 통신망으로 통신망이 변경되는지 확인한다(24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망 변경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에 정의된 상기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 간 광대역 핸드오프(Handoff) 기능 및/또는 서비스품질 보장 기능에 변경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통신망 변경이 확인되지 않으면(2415),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컨텐츠 다운로드가 완료되는지 확인하는데(2445), 만약 상기 금융거래 처리가 가 완료되지 않으면(2450), 상기 단말은 상기 뱅킹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와 상기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과정을 상기 금융거래가 완료될 때까지 유지한다.
반면 상기 통신망 변경이 확인되면(2415),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와 연결된 뱅킹 채널로부터 통신세션을 백업하고(2420),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제1 통신망에서 상기 제2 통신망으로 통신망을 변경한다(24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망 변경은 상기 제1 통신망에 대한 망접속 해제와, 상기 제2 통신망에 대한 망접속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통신망 변경이 완료되면(2430),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백업된 통신세션을 상기 제2 통신망으로 복구하고(2435), 상기 복구된 통신세션을 기반으로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와 뱅킹채널을 연결한다(2440).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 대한 통시세션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뱅킹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와 상기 금융거래를 계속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통신망 변경은 상기 서버에 정의된 통신세션 해제 주기보다 짧아야 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되는지 확인하는데(2445), 만약 상기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되지 않으면(2450), 상기 단말은 상기 뱅킹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와 상기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과정을 상기 금융거래가 완료될 때까지 유지한다.
반면 상기 금융거래 처리가 완료되지 않으면(2450),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처리를 위한 뱅킹채널을 해제(예컨대, 종단간 암호화/복호화 기능을 해제)한다(2455).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치에 상기 무선 통신 기능 및 유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하위 프로토콜 계층을 논리적으로 스위칭하는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논리적 스위칭 제어 계층을 통해 종단간 암호환 방식에 대응하는 보안 통신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말장치는 현재 연결된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에 포함된 보안 통신 기능 이외에 소정의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송수신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토콜 스택에 스위칭이 시행되므로 특정 주파수대와 특정 다중접속 기술(CDMA, CPSN(complex Pi-sigma network), 802.11x, 802.16x, WCDMA, OFDMA 등)에 상관없이 수평적(같은 주파수대역과 같은 접속기술상 기지국간) 내지 수직적(서로 다른 주파수대역과 서로 다른 접속기술) 핸드오프가 가능하므로 여기에 VoIP 기능을 추가시에는 한개의 단말기로서 중단없이 게임이나 음성 통화가 가능하고 한개의 단말기로 최적의 전송속도를 갖는 주파수대역이나 접속기술로 이전할 수 있고, 특히 특정 무선통신망 사업자 지역에서 무선 LAN(802,11x) 지역으로 이전시에는 통신비 차이를 가질수 있으므로 가입자는 저렴한 통신비를 경재할 수 있다. 예로서 802.11x 지역인 핫스팟(Hotspot)에서는 인터넷용 PC사용은 무료이나 VoIP 기능을 추가시에는 음성 통화가 같은 핫스팟(Hotspot) 내에서는 역시 무료가 되고 그 이외로의 통화는 고정비 인터넷 가입비 앞으로 삽입되므로 현저한 통화비용 절감이 되므로 기존의 CDMA 또는 WCDMA 및 GSM 용 단말기의 인터넷 기능과 VoIP 기능을 가진 단말기가 핫스팟(Hotspot) 지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통신비의 경제적인 이동이 발생하여 이동통신비용의 절약으로 국민경제에 도움을 줄 것이고, 또한 핫스팟(Hotspot)을 갖춘 업소를 찾은 고객을 갖게 되고, 또한 업소에는 매출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 또는 무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되는 프로토콜 계층의 상위에 구비된 소정의 프로토콜 계층 상에서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여 스위칭되는 프로토콜 계층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가 암호화되도록 처리하는 암호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통신 패킷을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을 제공하는 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 및 제어하는 프로토콜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을 제공하는 단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기능 또는 유선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 가능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입자(Subscriber) 정보와 통신 파라미터(Paramenter)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또는 IC칩)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을 제공하는 단말장치.
  4. 상기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말 구성요소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5.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유선 통신 기능 또는 무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제어 계층의 상위에 구비된 소정의 프로토콜 계층 상에서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여 스위칭되는 프로토콜 계층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가 암호화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이 상기 스위칭 제어 계층에 도달하면, 상기 통신 패킷을 현재 연결된 통신망에 대응하는 하위 프로토콜 계층으로 스위칭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대칭키(또는 비밀키) 암호화 방식, 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한 서버(또는 단말)에서 복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 계층은,
    상기 무선 통신 기능 또는 유선 통신 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 상에서 동급의 프로토콜 계층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 계층은,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데이터링크 계층(또는 매체접근제어 계층)의 상위 계층에 구비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계층의 부계층으로부터 구비되거나, 또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네트워크 계층의 상위 계층에 구비되거나, 또는 전송 계층의 부계층으로부터 구비되거나, 또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전송 계층의 상위 계층에 구비되거나, 또는 세션 계층의 부계층으로부터 구비되거나, 또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 상의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에 구비되거나, 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의 부계층으로부터 구비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KR1020060035962A 2006-04-20 2006-04-20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및 단말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KR10084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962A KR100844009B1 (ko) 2006-04-20 2006-04-20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및 단말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962A KR100844009B1 (ko) 2006-04-20 2006-04-20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및 단말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981A KR20070103981A (ko) 2007-10-25
KR100844009B1 true KR100844009B1 (ko) 2008-07-04

Family

ID=3881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962A KR100844009B1 (ko) 2006-04-20 2006-04-20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및 단말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0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743A (ko) * 2009-03-14 2010-09-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아이씨칩과 서버 간 데이터 교환 장치
KR20140111630A (ko) * 2014-07-04 2014-09-1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아이씨칩과 서버 사이의 종단 간 데이터 교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20B1 (ko) * 2020-12-16 2021-04-29 이상용 인프라 장비의 통합 유지보수 및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889A (ko) * 1997-05-15 1998-12-05 이데이 노부유끼 데이터 통신방법, 데이터 통신단말, 데이터 통신시스템 및 통신 제어시스템
KR20050016387A (ko) * 2002-05-03 2005-02-21 코코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복수 물리적 네트워크 연결들의 이용과 복수의 밴드들,모드들 및 네트워크들간의 연결 핸드오프를 통한 장치로의지속적인 연결들을 위한 방법과 장치
KR20060060004A (ko) * 2003-08-08 2006-06-02 클립살 인터그레이티드 시스템스 프러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무선네트워크 통신시스템과 프로토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889A (ko) * 1997-05-15 1998-12-05 이데이 노부유끼 데이터 통신방법, 데이터 통신단말, 데이터 통신시스템 및 통신 제어시스템
KR20050016387A (ko) * 2002-05-03 2005-02-21 코코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복수 물리적 네트워크 연결들의 이용과 복수의 밴드들,모드들 및 네트워크들간의 연결 핸드오프를 통한 장치로의지속적인 연결들을 위한 방법과 장치
KR20060060004A (ko) * 2003-08-08 2006-06-02 클립살 인터그레이티드 시스템스 프러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무선네트워크 통신시스템과 프로토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743A (ko) * 2009-03-14 2010-09-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아이씨칩과 서버 간 데이터 교환 장치
KR101713319B1 (ko) * 2009-03-14 2017-03-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Ic칩과 서버 사이의 종단 간 데이터 교환 방법
KR20140111630A (ko) * 2014-07-04 2014-09-1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아이씨칩과 서버 사이의 종단 간 데이터 교환 방법
KR101713320B1 (ko) * 2014-07-04 2017-03-1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Ic칩과 서버 사이의 종단 간 데이터 교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981A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9908B2 (en) System and related methods to facilitate delivery of enhanced data services in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environment
EP1841260B1 (en) Authentication system comprising a wireless terminal and an authentication device
EP3267653B1 (en) Techniques for authenticating a subscriber for an access network using dhcp
US73633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dentifier to facilitate delivery of enhanced data services in a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US8417218B2 (en) SIM based authentication
US200702716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VPN tunnel between a wireless device and a LAN
KR20060031813A (ko) Cdma 시스템에서 이동ip 버전 6 서비스 지원하기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EP2547051B1 (en) Confidential communication method using vpn, a system and program for the same, and memory media for program therefor
US20130104207A1 (en) Method of Connecting a Mobile Station to a Communcations Network
KR100844009B1 (ko)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무선 통신망의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및 단말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KR100860970B1 (ko)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이종의 무선통신망에 대한 종단간 보안 통신을 위한 단말장치
KR100785719B1 (ko)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이종의 무선 통신망 간 서비스 품질 보장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70039372A (ko) 휴대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카드결제 보안처리 방법 및시스템과 결제단말장치와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070608B1 (ko) 휴대인터넷에 접속한 가맹점 단말의 통신경로 강제할당 방법과 가맹점 단말
KR100787128B1 (ko)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이종의 무선 통신망에 대한 종단간 보안 통신 방법
KR100818372B1 (ko)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 간 서비스 품질 보장을 제공하는 단말장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18371B1 (ko)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기록매체
KR100785720B1 (ko)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이종의 무선 통신망 간 광대역 핸드오프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70104301A (ko)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무선 통신망 간 서비스 품질 보장 방법
KR20070039368A (ko) 휴대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카드결제 보안처리 방법 및시스템과 결제단말장치와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70103977A (ko)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무선 통신망 간 광대역 핸드오프 방법 및 단말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KR100780593B1 (ko)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와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80082567A (ko) 휴대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카드결제 보안처리 방법과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70104226A (ko)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이종의 무선통신망 간 광대역 핸드오프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KR20100061632A (ko) 고속 무선 인터넷 망을 이용한 인터넷 뱅킹 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