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785B1 - 플로어힌지 - Google Patents

플로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785B1
KR100843785B1 KR1020070052594A KR20070052594A KR100843785B1 KR 100843785 B1 KR100843785 B1 KR 100843785B1 KR 1020070052594 A KR1020070052594 A KR 1020070052594A KR 20070052594 A KR20070052594 A KR 20070052594A KR 100843785 B1 KR100843785 B1 KR 100843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inge
main body
bolt
body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태
Original Assignee
박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태 filed Critical 박형태
Priority to KR102007005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cam-and-slide transmission between driving shaft and piston within the closer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하단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것으로 하우징 내에 힌지본체부가 장착되며 힌지본체부의 본체 케이싱 내부에는 힌지축에 결합된 캠이 구비되는 플로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일측 끝단에는 실린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부에는 피스톤 캡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캡에는 오일 유출입을 위한 통로로 기능하는 제 1 오일 유출입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케이싱 일측에는 제 2 오일 유출입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일측에는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속도조정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 결합공에는 오일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속도조정부재의 볼트 결합공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한 쌍의 오일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오일 유출입로 및 제 2 오일 유출입로는 상기 한 쌍의 오일 통과공에 각각 연질의 호스에 의하여 연결되어, 도어가 여닫힘에 따라 힌지축에 결합된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캠에 의하여 직선운동하게 형성된 중공 피스톤부재의 피스톤머리가 상기 실린더부 내에서 진퇴되면서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의 오일이 상기 연질의 호스를 통해 상기 오일 통과공을 거쳐 순환되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플로어힌지, 오일 볼트, 커버

Description

플로어힌지{Floor hinge}
도 1 내지 도 5 는 종래의 플로어힌지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플로어힌지의 일 실시예의 힌지본체부의 분해 결합도,
도 7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플로어힌지의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플로어힌지의 일 실시예의 요부 발췌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플로어힌지의 일부분의 사시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힌지본체부 2 : 하우징
10: 힌지축, 20:상판, 22:로드, 30:하판,
40: 지지부재, 45:볼트, 50:쇽업쇼바, 51:피스톤로드,
52: 지지볼트, 60:캠, 72:로울러. 80: 마개부,
90, 214 : 중공 피스톤부재, 98: 피스톤 캡,
99 : 실린더부 100: 본체 케이싱,
120:가이드부 150 : 오일 볼트
151 : 오링 152 : 브이홈
210 : 제 1 오일 유출입로 212 : 제 2 오일 유출입로
218 : 볼트 결합공 220 : 오일 통과공
222 : 호스
본 발명은 도어용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에는 도어를 일방향 혹은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되는 바, 이러한 도어에는 외력에 의해 도어가 열린 후 자체의 탄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힌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장치는 도어의 중앙부에 경첩과 같은 형태로 시공되거나 혹은 도어의 아랫쪽 바닥에 매설되어 시공되는 것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바닥에 매설되어 시공되는 것을 일반적으로 플로어 힌지라 한다.
플로어힌지의 개괄적인 구조
이러한 플로어힌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박스형의 하우징(2)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정각도로 선회되는 힌지축에 문짝의 하부가 결합되는 힌지본체부(1)로 구성된다. 물론 힌지본체부(1)는 본체 케이싱 내에 캠 등의 다양한 부품이 장착됨으로써 구성된다. 설치시 먼저 바닥에 하우 징을 파묻고 하우징 내에 힌지본체부를 설치한다. 이 때 도어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홈에 힌지축을 끼워 넣기 위하여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힌지본체부의 위치를 복수의 위치조정볼트(4)를 사용하여 조정한다. 물론 최종적으로 플로어힌지 커버(도시 생략)을 덮어 마무리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로어힌지의 힌지본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 케이싱(100)의 하측 뚜껑(110)에 가이드부(120)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중공(122)에 중공 피스톤 부재(90)가 삽입되어 중공 피스톤 부재의 일단은 지지부재(40)의 고정부(46)에 추가적으로 형성된 나사공(43)에 나사 결합된다. 이로써 고정부에 결합된 중공 피스톤 부재는 고정부에 결합되어 고정부와 함께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부(120)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는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즉, 도어가 열리면서 캠(60)이 회동하여 로울러(72)을 밀어 줌으로써 로울러(72)가 결합된 상판(20)과 하판(30)이 연동 이동하고 상기 상판 또는/및 하판에 결합된 지지부재(40)가 연동 이동하며 지지부재의 고정부(46)에 형성된 추가적인 나사공(43)에 결합된 중공 피스톤 부재(90)도 연동 이동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판과 하판 사이에 지지부재의 결합부(48)가 상판 및 하판에 동시에 볼트(45)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나 상판 또는 하판 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a에는 지지부재가 상판과 하판에 결합되어 있고 하판에 중공 피스톤 부재(90)이 결합되고 하판 양측으로는 쇽업쇼바(50)이 결합되어 있는 사시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중공 피스톤 부재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공관의 일측(93) 즉 나사공(43)측을 향하는 일부는 내경이 작고 그 반대측 일부(95)는 이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내경이 큰 부분에 강구(94)가 결합핀(92)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피스톤 부재의 외주면 일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나사공(43)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피스톤 부재의 이동 경로 방향의 일측에는 실린더 부재(98)가 본체 케이싱에 결합되어 있다. 도 4c에는 실린더 부재에 대한 사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실린더 부재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오일 분출구(130)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실린더 부재가 본체 케이싱에 결합될 때 오링(96) 등을 중간에 포함하여 본체 케이싱 내의 오일이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가 열렸다가 쇽업쇼바(50)의 복원력에 의하여 닫히면 중공 피스톤 부재(90)는 실린더 부재(98)측으로 이동되어 결국은 실린더 부재에 형성된 실린더부(99) 내로 삽입되도록 이동된다. 그러면 중공 피스톤 부재의 강구(94)와 실린더 부재의 실린더부(99) 사이의 오일은 압축됨으로써 문이 빠르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힘을 작용하게 된다. 강구는 오일의 힘에 의하여 후방 즉 나사공(43)측으로 이 동하여 중공 피스톤 부재의 내경이 작은 부분(93)과 내경이 큰 부분(95)의 경계을 폐쇄하여 오일이 후방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
문이 적당한 속도로 닫힐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해서는 중공 피스톤 부재의 강구(94)와 실린더 부재의 실린더부(99) 사이에 갇히는 오일이 외부로 분출되는 통로의 크기를 조절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분출구(130)가 형성되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연결된 오일 통로(140)를 통하여 오일이 이동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 외부에서 본체 케이싱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53)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오일 볼트(150)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킴으로써 오일 통로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오일 볼트(150)에는 오링(151)을 끼워서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 볼트에는 간단하게는 일측 끝단의 측면에 끝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브이홈(152)이 형성되어 있어서 오일 볼트를 회전시켜 삽입할수록 오일 통로의 넓이가 좁아지도록 도 3과 같이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본체 케이싱 자체에 볼트 결합공(153)을 형성하고 오일 볼트를 본체 케이싱에 결합 형성하는 관계로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심대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로어힌지의 설치시 플로어힌지의 힌지축과 문짝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홈이 상호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어야 문이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시공상 플로어힌지를 바닥콘크리트에 매설할 때, 설계도면에 따라 정확한 위치를 설정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므로 우선 플로어힌지의 하우징부터 매설한 후 문짝의 수용홈이 설치될 정확한 위치에 플로어힌지의 힌지본체부를 하우징 내에 설치하는데 이 때 하우징 내에서 힌지본체부의 위치를 도어의 수용홈 위치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상 힌지본체부의 본체 케이싱에 결합되는 복수의 위치 조정볼트를 사용하여 위치를 조정한 후 최종적으로 플로어힌지 커버를 덮어서 시공을 마무리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플로어힌지는 본체 케이싱에 직접 오일 볼트(150)가 결합되는 관계로 본체 케이싱의 위치를 조정하면 오일 볼트의 위치가 바뀌게 된다. 실제 작업에 있어서 직경 4 내지 5cm 정도까지 오일 볼트의 위치가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오일볼트를 외부에서 돌려 주려면 플로어힌지 하우징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플로어힌지 커버를 일일이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오일볼트를 돌려주든지 아니면 플로어힌지 커버에 무려 4 내지 5 cm 크기의 구멍을 내주어야 한다. 즉, 플로어힌지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오일볼트를 돌려줄 수 있게 하려면 플로어힌지 커버에 너무나 큰 구멍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종래에는 오일 볼트를 돌리기 위하여 일일이 플로어힌지 커버를 이탈하는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였다.
특히 플로어힌지의 특성상 계절에 따라 오일의 점도가 달라지므로 계절별로 한 번 정도 오일 볼트를 돌려주어야 도어의 여닫히는 강도가 적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로어힌지를 오래 사용하게 되면 오일의 점도가 떨어지게 되어 오일 볼트를 돌려 조정하여 주어야 한다. 그런데 이럴 때마다 플로어힌지의 커버를 제거한 후 오일 볼트를 돌려주고 다시 커버를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큰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플로어 힌지의 구조를 개선하여 플로어힌지의 커버에 작은 크기의 구멍만을 형성하고도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오일 볼트를 외부에서 돌릴 수 있게 하여 도어의 여닫히는 강도를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하단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것으로 하우징 내에 힌지본체부가 장착되며 힌지본체부의 본체 케이싱 내부에는 힌지축에 결합된 캠이 구비되는 플로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일측 끝단에는 실린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부에는 피스톤 캡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캡에는 오일 유출입을 위한 통로로 기능하는 제 1 오일 유출입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케이싱 일측에는 제 2 오일 유출입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일측에는 볼트 결 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속도조정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 결합공에는 오일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속도조정부재의 볼트 결합공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한 쌍의 오일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오일 유출입로 및 제 2 오일 유출입로는 상기 한 쌍의 오일 통과공에 각각 연질의 호스에 의하여 연결되어, 도어가 여닫힘에 따라 힌지축에 결합된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캠에 의하여 직선운동하게 형성된 중공 피스톤부재의 피스톤머리가 상기 실린더부 내에서 진퇴되면서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의 오일이 상기 연질의 호스를 통해 상기 오일 통과공을 거쳐 순환되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힌지본체부는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된 종래의 플로어힌지의 힌지본체부의 구조의 일부만을 변형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힌지 본체부의 구성 중 일부만이 변형되고 나머지 부분 즉 도어의 회전이 힌지축을 통하여 캠으로 전달되고 캠의 회전을 통하여 중공피스톤부재(90)을 왕복이동시키는 등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작동 방식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캡(98)에 오일 유출입을 위한 통로로 기능하는 제 1 오일 유출입로(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케이싱 일측에는 제 2 오일 유출입로(2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경우와는 달리 쇽업쇼바를 사용하지 않고 탄성스프링을 사용하였다. 쇽업쇼바나 탄성 스프링이나 동일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00)의 일측 끝단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실린더부(99)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부에는 피스톤 캡(98)이 결합되어 있는데 피스톤 캡에는 제 1 오일 유출입로(21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 일측에는 제 2 오일 유출입로(2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일측에는 볼트 결합공(218)이 형성되어 있는 속도조정부재(216)가 형성되어 있는데 볼트 결합공에는 오일 볼트(150)가 결합된다. 오일 볼트(150)에는 오링(151)을 끼워서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 볼트에는 간단하게는 일측 끝단의 측면에 끝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브이홈(152)이 형성되어 있어서 오일 볼트를 회전시켜 삽입할수록 오일 통로의 넓이가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속도조정부재의 볼트 결합공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한 쌍의 오일 통과공(220)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오일 유출입로(210) 및 제 2 오일 유출입로는 한 쌍의 오일통과공(220)에 각각 연질의 호스(222)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본체 케이싱 내부에 채워넣은 오일이 호스(222)를 통하여 본체 케이싱 외부의 속도조정부재의 볼트결합공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호스의 연결의 위하여 당연히 복수의 니플(224)가 사용될 수 있다.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는 때의 오일의 흐름을 화살표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였다. 한편,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 설명하면, 도어가 여닫힘에 따라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결합된 캠이 회전하면 상기 캠에 의하여 중공 피스톤부재(214)의 피스톤머리가 본체 케이싱 일측에 형성된 실린더부 내에서 진퇴되고 이에 따라 오일의 흐름이 생기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본체 케이싱 외부에 별도의 속도조정부재를 마련하여 하우징(2)에 고정한 후 하우징 내에 볼트 결합공을 형성하고 볼트 결합공과의 오일 유출입 경로를 마련하여 줌으로써 볼트 결합공에 결합되는 오일 볼트를 통하여 도어가 여닫히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217은 ㄷ자 앵글로서 힌지본체부의 위치를 조정할 때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힌지본체부 내부의 오일이 힌지본체부 외부에 존재하며 플로어힌지 하우징(2)에 고정되는 속도조정부재의 볼트 결합공을 거쳐 순환할 수 있는 오일 흐름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힌지 설치 시공시 플로어힌지 하우징(2) 내에서 힌지본체부(1)의 위치가 조정되더라도 속도조정볼트의 위치는 고정되게 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플로어힌지 커버(3)로 하우징(2)를 덮어 마감처리하여도 플로어힌지 커버에 작은 개구만 형성해 놓으면 항상 같은 자리에 있게 되는 오일 볼트(150)을 돌려줄 수 있으므로,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오일 볼트를 외부에서 돌림으로써 도어의 여닫히는 강도를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플로어 힌지의 구조를 개선하여 플로어힌지 설치시 본체 케이싱의 위치가 어떠하게 되든지 상관 없이 오일 볼트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게 함으로써 커버에 작은 크기의 구멍만을 형성하고도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오일 볼트를 외부에서 돌릴 수 있게 하여 도어의 여닫히는 강도를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도어의 하단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것으로 하우징 내에 힌지본체부가 장착되며 힌지본체부의 본체 케이싱 내부에는 힌지축에 결합된 캠이 구비되는 플로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의 일측 끝단에는 실린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부에는 피스톤 캡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캡에는 오일 유출입을 위한 통로로 기능하는 제 1 오일 유출입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케이싱 일측에는 제 2 오일 유출입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일측에는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속도조정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 결합공에는 오일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속도조정부재의 볼트 결합공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한 쌍의 오일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오일 유출입로 및 제 2 오일 유출입로는 상기 한 쌍의 오일 통과공에 각각 연질의 호스에 의하여 연결되어,
    도어가 여닫힘에 따라 힌지축에 결합된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캠에 의하여 직선운동하게 형성된 중공 피스톤부재의 피스톤머리가 상기 실린더부 내에서 진퇴되면서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의 오일이 상기 연질의 호스를 통해 상기 오일 통과공을 거쳐 순환되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KR1020070052594A 2007-05-30 2007-05-30 플로어힌지 KR100843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594A KR100843785B1 (ko) 2007-05-30 2007-05-30 플로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594A KR100843785B1 (ko) 2007-05-30 2007-05-30 플로어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785B1 true KR100843785B1 (ko) 2008-07-03

Family

ID=3982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594A KR100843785B1 (ko) 2007-05-30 2007-05-30 플로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80B1 (ko) 2018-11-27 2020-04-01 주식회사 제철 플로어힌지본체의 세척 및 베어링압입 자동화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450Y1 (ko) 2004-06-02 2004-11-09 박형태 플로어힌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450Y1 (ko) 2004-06-02 2004-11-09 박형태 플로어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80B1 (ko) 2018-11-27 2020-04-01 주식회사 제철 플로어힌지본체의 세척 및 베어링압입 자동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4705B2 (ja) 冷蔵室や旋回ゲートなどのための蝶番
KR101553824B1 (ko) 컴팩트 플로어 힌지
US8443487B2 (en) Door closer with a braking mechanism
US8683655B2 (en) Separated type hinge apparatus with return function
JP6251237B2 (ja) ドア用ヒンジ装置
NZ585405A (en) Hydraulically Damped Door Hinge For Glass Doors With Multiple Stop Positions
JP2005351076A (ja) ドア閉め装置
GB2484527A (en) A self centering glass door hinge having at least one stop surface
CN210530582U (zh) 用于铰链或门关闭器的阻尼机构
WO2012150481A1 (en) Hinge
EA034304B1 (ru) Малогабаритная петля
GB2506099A (en) Hydraulically damped hinge
TW201339399A (zh) 阻尼自動定心鉸鏈機制
KR100843785B1 (ko) 플로어힌지
KR20060100016A (ko) 도어의 힌지축 제어장치
CN206256800U (zh) 铰链和门
PT757742E (pt) Mola automatica para fecho de portas e processo de montagem da mesma
RU25846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верного навеса
US5239778A (en) Modular door control apparatus with quick release connection
US20190145141A1 (en) Closer apparatus
US10895096B2 (en) Hinge mechanism and a hinge assembly
CN214999613U (zh) 一种单向可调节流球阀
US20060123598A1 (en) Floor hinge
KR200366450Y1 (ko) 플로어힌지
KR100699252B1 (ko) 플로어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