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632B1 -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632B1
KR100842632B1 KR1020070060628A KR20070060628A KR100842632B1 KR 100842632 B1 KR100842632 B1 KR 100842632B1 KR 1020070060628 A KR1020070060628 A KR 1020070060628A KR 20070060628 A KR20070060628 A KR 20070060628A KR 100842632 B1 KR100842632 B1 KR 100842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unit
portable terminal
open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6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6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offer a double-width display unit of swung horizontal state, a stereo sound system, and an always-exposed key operation unit, thereby accomplishing convenient portability as improving user interfacing environment. A swing unit(30) consists of the first area(302) opened/closed by a body unit(20), depending on whether a swing action is performed, and the second area(304) always opened regardless of the body unit. The body unit comprises as follows. An upper part(210) opens/closes the first area according to motion of the swing unit, and faces an upper side of the swing unit. A lower part(220) stands as facing the upper part in parallel, and faces a lower side of the swing unit. A middle part integratedly connects the upper part with the lower par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PHONE}Mobile terminal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가 스윙중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wing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완료되어 광폭으로 배치된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arranged in a wide sw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FIG. 1;

본 발명은 노트북, 팜 피씨,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C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notebook, palm PC, cellular phone, 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Hand Held Phone (HHP) and the like.

보편화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되었고, 특히 보다 다양한 서비스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 예를 들어 티브이나 영화, 게임이나 오락 등을 포함하는 엔터테이먼트 콘텐츠를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특히 현재 디엠비 시청 시대가 도래한 까닭에 보기 편 리하고, 키 조작이 편리함과 함께 시청하기 편리한 휴대 단말기가 더욱더 요구되고 있다. 상기 언급된 보기 편리하다는 의미는 화면이 광폭으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In general,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miniaturized, slimmed, and lightweight in consideration of their portability.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entertainment contents including multimedia, direction, for example, TV, movies, games, entertainment, etc., which can pursue various service functions is important. In particular, since the current era of DMB viewing has arrived, there is a demand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is easy to see, convenient to operate, and easy to view. The above-mentioned viewing convenience means that the screen is provided in a wide range.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된 화면 보기나 키 조작의 편리성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고, 특히 무선 방식으로 통신하는 휴대 단말기인 경우, 휴대 또는 이동 중의 휴대성 최적화를 위해서 소형화, 경량화 및 슬림화가 매우 중요하다. Such mobile terminals are most important for the convenience of viewing a displayed screen or key opera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communicating wirelessly, miniaturization, weight reduction, and slimness are very important for optimizing portability while carrying or moving.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일례로, 바형이나 폴더형 휴대 단말기가 있다. 바형 휴대 단말기는 단일 본체에서 표시부와 키들이 배치되는 구조이다. 한편,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바형 휴대 단말기와 비교하여, 접이형으로 구성되어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hat is popular is a bar or clamshell portable terminal. The bar portable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a display unit and keys are arranged in a single body.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the bar-type portable terminal, the folding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a folding type, there is an advantage in miniaturization.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미국 특허등록번호 제6,865,406호(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에 개시되었다. 상기 특허에는 메인 바디, 폴더 및 힌지 장치로 구성되고, 힌지 장치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이다. 메인 바디 내면에 키들이 배치되고, 폴더 내면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구조이다.For example, a folding portable terminal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disclosed in US Pat. No. 6,865,406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The patent includes a main body, a folder, and a hinge device, and the camera lens assembly is rotatably mounted to the hinge device. The keys are arrang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display is arranged inside the folder.

그러나, 미국 특허등록번호 제6,865,406호에 개시된 휴대 단말기는 소형화되어서 휴대하기에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유리하지만, 광폭의 표시부 제공이 어려운 구조이다. 즉, 상기 미국 특허는 폰 모드에서는 사용하기에 편리하지만, 각종 동영상 시청과 관련된 모드들에서는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고정되어 광폭의 표시부를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장에서 시청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각 종 동영상 시청 모드에서는, 광폭의 표시부가 제공되어야 보기 편리한 것이 현실이다.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disclosed in US Pat. No. 6,865,406 is small in size and advantageous to the user to carry, bu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wide display unit. That is, the US patent is convenient to use in the phone mode, but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is fixed in various modes related to watching a video, so that the wide display unit is not provided. That is, in various video viewing modes, it is a reality that a wide display section is provided for convenient viewing.

물론, 휴대 단말기의 전체 사이즈를 크게 하여 광폭의 표시부를 장착하고, 보다 많은 키들을 배치하면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의 극복이 가능하지만, 소형화 및 경량화에 역행하게 되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Of course, if the overall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with a wide display unit and more keys are placed,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n be overcome, but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in portability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s to counteract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There i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형 휴대 단말기에서, 가로 보기 상태의 광폭의 표시부를 제공하면서 소형화에 유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while providing a wide display unit in a horizontal view state in a ba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로 보기 상태의 광폭의 표시부,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 및 항시 노출된 키 조작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싱 환경이 개선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environment by providing a wide display unit, a stereo sound system, and a constantly exposed key operation unit to a user in a landscape view state.

본 발명의 목적은 바형 휴대 단말기에서, 닫힌 상태에서 본체부에 숨겨지고, 열린 상태에서 가로 보기 상태의 광폭의 표시부를 제공하게 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광폭의 표시부를 제공하면서도 전체적인 단말기의 가로 세로 사이즈의 소형화에 유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bar-type portable terminal is concealed in a main body part in a closed state and provides a wide display part in a horizontal view state in an open state, thereby providing a wide display part while also providing a width and width of the overall terminal. It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a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키들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스윙되게 연결되며, 상기 스윙 여부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1영역과, 항시 개방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스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윙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1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스윙부의 상면과 대면하는 상부; 상기 상부와 마주보면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윙부의 저면과 대면하는 하부; 및 상기 상하부를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중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keys; And a display unit, the swing having a first area opened and closed by the main body part according to whether the swing is continuously connect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facing the main body part and the second area always open. An upper portion including a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re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wing portion, and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wing portion; A lower portion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portion and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ng portion;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mediate portion fo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integrally.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중간부는 상하부의 하단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하단을 감싸는 형상이다.The intermediat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o surround the lower end.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사이에는 스윙부를 수용하거나 스윙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이 구비된다.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lot for accommodating the swing or provide a swing space.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부보다 하부의 길이 방향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lower part than the upper part.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하우징은 소정의 궤적을 그리면서 스윙이동을 수행한다.The swing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swing movement while drawi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키 조작부; 상기 키 조작부와 마주본 상태로 평행하게 장착되는 배터리부; 상기 키 조작부와 배터리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중간부; 및 상기 키 조작부와 배터리부 사이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하게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소정 회전 각도로 스윙이 가능하고, 스윙 전 위치에서 상기 키 조작부에 의해 폐쇄되고, 스윙 후 위치에서 상기 키 조작부로부터 개방되는 제1표시부 영역과, 상기 스윙 전후에 상관없이 항시 개방되는 제2표시부 영역을 구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operation unit; A battery unit mounted in parallel with the key operation unit; An intermediate unit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key operation unit and the battery unit; And connected by a connecting device so as to maintain a facing state between the key operation unit and the battery unit, and capable of swinging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angle, and closed by the key operation unit at a pre-swing position, and from the key operation unit at a post-swing position. And a display portion having an open first display portion region and a second display portion region that is always open regardless of before and after the swing.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는 상기 키 조작부보다 길게 구성된다.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key oper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는 양단에 제1,2스피커 장치가 배치되어 상기 스윙 전에는 상기 제1스피커가 폐쇄됨과 아울러 상기 제2스피커가 개방되고, 상기 스욍 후에는 상기 제1,2스피커 장치가 개방된다.I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speaker devices are disposed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the first speaker is closed and the second speaker is opened before the swing, and the first and second speaker devices are opened after the swing. .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는 본체부(20)와, 스윙부(30)와, 상기 본체부(20)에 상기 스윙부(30)를 소정의 궤적을 그리면서 연결시키는 연결 장치(M:도 4에 도시됨)로 구성된다. 상기 스윙부(30)는 상기 연결 장치(M)에 의해 상기 본체부(20)와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스윙한다. 또한, 상기 스윙부(30)는 스윙 여부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20)에 의해 개폐되는 제1영역(302)과, 상기 본체부(20)와 상관없이 항시 개방되는 제2영역(304)을 구비한다.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s shown in FIGS. 1 to 4,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body portion 20, a swing portion 30, and the swing portion 30 in the body portion 20. It consists of a connecting device (M: shown in Fig. 4) for connecting while drawing the locus of. The swing portion 30 swings while maintaining the state facing the main body portion 20 by the connecting device (M). In addition, the swing part 30 may include a first area 302 opened and closed by the main body 20 and a second area 304 that is always open regardless of the main body 20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wing is performed. Equipped.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스윙부(3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1영역(302)을 개폐하고, 상기 스윙부(30)의 상면과 대면하는 상부(210)와, 상기 상부(210)와 평행하게 마주보면서 대치하고, 상기 스윙부(30)의 저면과 대면하는 하부(220)와, 상기 상하부(210,220)를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중간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부(230)는 상기 상하부(210,220)의 하단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210,220)의 하단을 각각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상하부(210,220) 사이에는 상기 스윙부(30)를 수용하거나 스윙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슬롯(S)이 구비된다. 도 1에는 상기 스윙부(30)가 상기 슬롯(S)에 수용된 상태가 보여지고, 도 3에는 상기 스윙부(30)가 상기 슬롯(S)에서 이탈된 상태가 보여진다.The main body 20 opens and closes the first region 302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wing portion 30, and an upper portion 210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wing portion 30, and the upper portion 210. And a lower portion 220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ng portion 30, and an intermediate portion 230 integr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210 and 220. The intermediate portion 23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210 and 220, respectively, and has a shape surrounding the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210 and 220, respectively. In addition, a slot S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210 and 220 to accommodate the swing portion 30 or provide a swing moving space.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swing part 30 is accommodated in the slot S, and in FIG. 3, a state in which the swing part 30 is separated from the slot S is shown.

또한, 상기 하부(220)는 상기 상부(210)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구성되고, 상기 스윙부(30)보다 약간 길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상기 스윙부(30)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220) 상에 완전히 수용되고, 도 3과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210)와 함께 알파벳 'T'자로 배치, 즉 서로 수직 방향으로 향한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220 is configured to be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upper portion 210, and is configured to be slightly longer than the swing portion 30.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wing portion 30 is completely accommodated on the lower portion 22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 and arranged in the letter 'T' together with the upper portion 21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3. 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본체부는 상부(210)와 하부(220) 및 중간부(230)로 구성된다고 이미 설명한 바, 상기 상부(210)에는 다수 개의 키들(212)을 포함하는 키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220)에는 배터리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윙부(30)는 표시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윙부(30)는 상기 상부(210)에 의해 개폐 여부가 결정되는 제1,2영역(302,304)으로 구분되었다고 이미 설명한 바, 상기 제1영역(302)에는 제1표시부 영역(310)이 구비되고, 상기 제2영역(304)에는 제2표시부 영역(320)이 구비된다. 즉, 상기 표시부(330)는 제1,2표시부 영역(310,320)으로 구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n upper portion 210, a lower portion 220, and an intermediate portion 230, and the upper portion 210 includes a key operation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212, and the lower portion 220. ) Is provided with a battery unit. In addition, the swing unit 30 includes a display unit 330. The swing unit 30 has already been described as being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regions 302 and 304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is determined by the upper portion 210. In the first region 302, the first display region 310 is formed. And a second display area 320 in the second area 304. That is, the display unit 330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 regions 310 and 320.

이하에서 상기 상부(210)는 키 조작부로 지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upper portion 210 will be referred to as a key manipulation unit.

따라서, 상기 표시부(330)는 스윙 전 위치에서 상기 키 조작부(210)에 의해 폐쇄되고, 스윙 후 위치에서 상기 키 조작부(210)로부터 개방되는 제1표시부 영역(310)과, 상기 스윙 전후에 상관없이 항시 개방되는 제2표시부 영역(3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30)는 상기 키조작부(21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서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키 조작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서 상기 키 조작부(210)에 의해 상기 제1표시부 영역(310)은 폐쇄됨과 아울러 상기 제2표시부 영역(320)은 개방되고, 상기 스윙 후에는 상기 키 조작부(210) 길이 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서 상기 제1,2영역(310,320)이 완전히 개방된다.Accordingly, the display unit 330 is closed by the key operation unit 210 at the pre-swing position, and is correlated with the first display unit area 310 which is opened from the key operation unit 210 at the post-swing position and before and after the swing. And a second display area 320 that is always ope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30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key operation unit 210 so that the display unit 330 is dispos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 operation unit 210 in the closed state. The 310 is closed and the second display area 320 is opened. After the swing, the second display area 320 is opened, and the first and second areas 310 and 320 are completely opened after the swing. .

또한, 상기 상부(210)보다 상기 하부(220)의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되었다고 이미 설명한 바, 상기 키 조작부(210)의 길이보다 상기 표시부(330)의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되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lower portion 220 is longer than that of the upper portion 210, the length of the display portion 330 is longer than that of the key manipulation portion 210.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330)는 양단에 제1,2스피커 장 치(344,342)가 배치되어 상기 스윙 전에는 상기 제1스피커 장치(344)가 폐쇄됨과 아울러 상기 제2스피커 장치(342)가 개방되고, 상기 스윙 후에는 상기 제1,2스피커 장치(344,342)가 개방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display unit 330 has first and second speaker devices 344 and 342 disposed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the first speaker device 344 is closed and the second speaker is closed before the swing. The speaker device 342 is opened, and the first and second speaker devices 344 and 342 are opened after the swing.

도 1과 같은 휴대 단말기 상태에서는 폰 모드로 사용되는 것이 편리하고, 도 3과 같은 상태에서는 광폭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필요한 동영상 시청과 관련된 모들들에서 사용되는 것이 편리하다. 예를 들어, 동영상 시청과 관련된 모드들로서, 티브이 모드, 디엠비 모드, 주문형 비디오 모드 또는 게임 모드 등에서 편리하다. 이는 상기 표시부(330)가 광폭의 가로 보기 상태이고,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을 제공하고, 키 조작이 편리하기 때문이다.In the mobile terminal state as shown in FIG. 1, it is convenient to be used in a phone mode, an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For example, as modes related to watching a video, it is convenient in a TV mode, a DMB mode, an on-demand video mode, or a game mode. This is because the display unit 330 is in a wide horizontal viewing state, provides a stereo sound system, and convenient key manipulatio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은 상부에 키 조작부가 배치되고, 스윙부에 표시부가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부에 표시부가 배치되고, 하부에 키 조작부로 배치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a key operating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a display portion mounted on a swing portion, a display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and a key operating portion disposed below.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폭의 표시부를 제공하면서도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을 달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스윙된 가로 보기 상태의 광폭의 표시부,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 및 항시 노출된 키 조작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싱 환경이 개선되면서도 휴대가 편리한 이점을 달성하였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chieved an advantage of miniaturization while providing a wide display por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with a wide display unit in a swing horizontal view state, a stereo sound system, and a constantly exposed key operation unit to provide a user with an improved user interface environment while being portable.

Claims (10)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terminal, 키들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A main body including keys; And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스윙되게 연결되며, 상기 스윙 여부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1영역과, 항시 개방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스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A swing unit including a display unit, the swing unit having a first area opened and closed by the main body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swing is maintained, and a second area which is always opened according to whether the swing is maintained while continuously facing the main body unit; Including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스윙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1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스윙부의 상면과 대면하는 상부;An upper portion which opens and closes the first reg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wing portion and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swing portion; 상기 상부와 마주보면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윙부의 저면과 대면하는 하부; 및A lower portion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portion and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ng portion; And 상기 상하부를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중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middle portion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상기 상하부의 하단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intermediate part is formed between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to surround the lower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사이에는 상기 스윙부를 수용하거나 스윙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a slot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to accommodate the swing or provide a sw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다 상기 하부의 길이 방향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lower portion is longer than that of the upp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는 소정의 궤적을 그리면서 스윙이동을 수행한 후, 상기 본체부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wing unit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unit after performing a swing movement while drawi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삭제delete 삭제delete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terminal, 키 조작부; Key operation unit; 상기 키 조작부와 마주본 상태로 평행하게 장착되는 배터리부;A battery unit mounted in parallel with the key operation unit; 상기 키 조작부와 배터리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중간부; 및An intermediate unit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key operation unit and the battery unit; And 상기 키 조작부와 배터리부 사이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하게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소정 회전 각도로 스윙이 가능하고, 스윙 전 위치에서 상기 키 조작부에 의해 폐쇄되고, 스윙 후 위치에서 상기 키 조작부로부터 개방되는 제1표시부 영역과, 항시 개방되는 제2표시부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키 조작부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It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device to maintain the facing state between the key operating portion and the battery portion, which allows swinging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angle, is closed by the key operating portion at the pre-swing position, and is opened from the key operating portion at the post-swing position. And a display unit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key operation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양단에 제1,2스피커 장치가 각각 배치되어 상기 스윙 전에는 상기 제1스피커가 폐쇄됨과 아울러 상기 제2스피커가 개방되고, 상기 스욍 후에는 상기 제1,2스피커 장치가 개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display unit has first and second speaker devices disposed at both ends thereof, such that the first speaker is closed before the swing, the second speaker is opened, and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are opened after the swing.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is open.
KR1020070060628A 2007-06-20 2007-06-20 Mobile phone KR100842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628A KR100842632B1 (en) 2007-06-20 2007-06-20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628A KR100842632B1 (en) 2007-06-20 2007-06-20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632B1 true KR100842632B1 (en) 2008-06-30

Family

ID=3977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628A KR100842632B1 (en) 2007-06-20 2007-06-20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63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592A (en) * 2001-05-16 2002-11-29 Kyocera Corp Portable terminal apparatus
KR20060119589A (en) * 2005-05-20 200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phone for dmb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592A (en) * 2001-05-16 2002-11-29 Kyocera Corp Portable terminal apparatus
KR20060119589A (en) * 2005-05-20 200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phone for dmb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18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tri-cradle function
KR100842530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6342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587225B2 (en)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80064424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KR10080076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media
US20060205447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replaceable modules
EP1610530A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US7711397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US8380257B2 (en) Sw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wing device thereof
KR100754605B1 (en) Mobile phone for game with folding-type keypad
KR100651410B1 (en) Two-way folder type terminal
US8275425B2 (en)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KR100800711B1 (en) Free stop hinge unit for mobile phone
KR100876790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media
KR100842632B1 (en) Mobile phone
US20080039214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game function
KR100663484B1 (en) Mobile phone with self-cradling
KR100640495B1 (en) Mobile phone for dmb
KR100842528B1 (en) Swing type mobile phone and swing device thereof
KR100689535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multimedia
KR100895187B1 (en) Gam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ombination device
KR100703449B1 (en) Sliding and folding combination type mobile phone for multi-media
JP5121742B2 (en) Display device
KR20060119455A (en) Folding-type mobile phone with self-crad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