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434B1 -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434B1
KR100840434B1 KR1020010085799A KR20010085799A KR100840434B1 KR 100840434 B1 KR100840434 B1 KR 100840434B1 KR 1020010085799 A KR1020010085799 A KR 1020010085799A KR 20010085799 A KR20010085799 A KR 20010085799A KR 100840434 B1 KR100840434 B1 KR 100840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ervice mode
service
mode
dif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730A (ko
Inventor
한충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434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서비스와 음성 서비스가 혼재하는 경계 지역에서의 전파 강도 변화에 기인하는 서비스 모드의 잦은 전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멀티 서비스 모드와 음성 서비스 모드에서 임계치 이상을 유지하는 전파 강도를 갖는 통신 채널이 없을 때, 각 채널의 전파 강도 변화에 따라 멀티 서비스 모드와 음성 서비스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멀티 서비스 모드와 음성 서비스 모드에서 가장 양호한 전파 강도를 갖는 두 채널의 간섭대 전력비의 차값과 기 설정된 임계차값에 의거하여 멀티 서비스 모드 또는 음성 서비스 모드를 강제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통신 서비스 모드의 잦은 전환으로 인해 통신 서비스가 순간적으로 단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신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SERVICE MODE OF WIRELESS MOBIL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무선 이동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이동 단말에서 서비스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무선 이동 단말에 음성 서비스 또는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 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채널 탐색 블록 104 : 간섭대 전력비 계산 블록
106 : 후보 결정 블록 108 : 모드 선택 블록
본 발명은 무선 이동 단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서비스 또는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를 제어하는데 적합한 기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전자, 통신 기술 등의 발달에 따라 무선 이동 통신, 예를 들면 셀룰러폰, 개인 휴대 통신(PCS) 등과 같은 무선 이동 통신(2세대 통신 서비스)의 수요가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동영상, 텍스트 등과 같은 각종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광대역 이동 통신 서비스(일명, IMT-2000(3세대 통신 서비스)이라고 함)의 대두가 조만간 실시될 예정이며, 이러한 광대역 이동 통신 서비스에 대응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서비스(일명, cdma2000-1x(IS95C) 이라고 함)가 현재 부분적으로 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서, cdma2000-1x 서비스(IS95C : 2.5세대 통신 서비스)는 2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와 거의 유사하게 8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으로, 대략 144kbps의 통신 서비스 속도로 음성 서비스와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2.5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를 부분적으로 시행한다는 것은 광범위한 지역 중 일정 지역에는 2세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머지 지역에는 2.5세대 서비스가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을 경계로 하여 참조부호 A로서 표시된 지역에 있는 각 셀(a1 - a17)들에서는 2.5세대 통신 서비스(멀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참조부호 B로서 표시된 지역에 있는 각 셀(b1 - b13)들은 2세대 통신 서비스(음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셀 간의 경계 부분에 근접할수록 해당 셀의 기지국과 무선 이동 단말간에 교신되는 전파 신호의 강도는 미약해지게 되는데, 2.5세대 통신 서비스 셀과 2세대 통신 서비스 셀이 서로 인접하는 경우(즉, 도 3에서 a2 - a6과 b1 - b5), a2 - a6 셀 내에 있는 무선 이동 단말들 중 b1 - b5 셀과 경계하는 지역에 있는 2.5세대 무선 이동 단말들은 b1 - b5 셀에서 보내는 신호의 세기와 비슷한 정도의 세기를 갖는 전파 신호를 해당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경계 지역에 있는 2.5세대 무선 이동 단말들은 전파 신호의 강도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음성 서비스 모드와 멀티 서비스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잦은 서비스 모드 전환으로 인해 통신 서비스 단절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고 있다.
즉, 2.5세대 서비스 모드 채널들과 2세대 서비스 모들 채널들을 탐색하여 미약하나마 가장 강도가 센 채널을 찾아 해당 서비스 모드를 유지하다가 조금 더 센 강도의 신호가 탐색되면 그 채널을 잡아 서비스 모드를 전환, 예를 들어 2.5세대 서비스 모드의 채널을 유지하다가 전파 강도가 조금 더 센 2세대 서비스 모드의 채널이 잡히면 서비스 모드를 2세대 서비스 모드로 전환하여 해당 채널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잦은 서비스 모드 전환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잦은 서비스 모드 전환으로 인해 통신 서비스가 순간적으로 단절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통신 서비스의 품질 저하는 물론 통신 서비스 이용자들의 큰 불만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멀티 서비스와 음성 서비스가 혼재하는 경계 지역에서의 전파 강도 변화에 기인하는 서비스 모드의 잦은 전환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멀티 서비스와 음성 서비스가 혼재하는 경계 지역에서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 서비스 모드의 각 채널 중 임계치 이상의 전파 강도를 갖는 채널이 검출될 때, 해당 채널을 통신 채널로 하는 멀티 서비스 모드를 유지하는 과정; 상기 임계치 이상의 전파 강도를 갖는 채널이 없을 때, 채널 루프를 수행하여 상기 멀티 서비스 모드의 각 채널 및 음성 서비스 모드의 각 채널의 간섭대 전력비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멀티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 중 간섭대 전력비가 가장 양호한 채널을 제 1 후보 채널로 결정하고, 상기 음성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 중 간섭대 전력비가 가장 양호한 채널을 제 2 후보 채널로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제 1 및 제 2 후보 채널의 간섭대 전력비 계산값을 비교하여 그 차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값과 기 설정된 임계차값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차값이 임계차값보다 클 때, 간섭대 전력비가 높은 상기 제 1 후보 채널 또는 제 2 후보 채널을 통신 채널로 하는 상기 멀티 서비스 모드 또는 음성 서비스 모드를 결정하여 유지하는 과정; 및 상기 차값이 임계차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 1 후보 채널을 통신 채널로 하는 상기 멀티 서비스 모드를 결정하여 유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 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무선 이동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채널 탐색 블록(102), 간섭대 전력비 계산 블록(104), 후보 결정 블록(106) 및 모드 선택 블록(108)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채널 탐색 블록(102)은 다수의 채널을 탐색하여 하나의 통신 채널을 잡아 통신 채널로 유지(멀티 서비스 유지 또는 음성 서비스 유지 등)함으로써, 해당 무선 이동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파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해당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해당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변조된 전파 신호를 변조전의 원신호로 복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전파 강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넘는 채널이 없을 때 채널 루프를 수행하여 모든 채널(멀티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 및 음성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의 전파 신호를 잡아 간섭대 전력비 계산 블록(104)으로 전달한다.
다음에, 간섭대 전력비 계산 블록(104)은 채널 탐색 블록(102)으로부터 제공되는 각 채널의 간섭대 전력비를 계산하며, 이와 같이 계산된 값들을 후보 결정 블록(106)으로 전달하며, 후보 결정 블록(106)에서는 멀티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 중 간섭대 전력비가 가장 양호한 채널을 하나의 후보 채널(제 1 후보 채널)로 결정하 고, 음성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 중 간섭대 전력비가 가장 양호한 채널을 다른 하나의 후보 채널(제 2 후보 채널)로 결정하여 모드 선택 블록(108)으로 전달한다.
이어서, 모드 선택 블록(108)에서는 제 1 후보 채널과 제 2 후보 채널의 간섭대 전력비 계산값을 비교하여 그 차값이 기 설정된 임계차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차값이 임계차값 이상일 때 간섭대 전력비가 높은 후보 채널을 통신 채널로 하는 서비스 모드(멀티 서비스 모드 또는 음성 서비스 모드)를 지정하도록 하는 모드 결정신호를 발생하여 채널 탐색 블록(102)으로 제공하고, 차값이 임계차값 이상이 아닐 때 서비스 모드를 멀티 서비스 모드로 지정하도록 하는 모드 결정신호를 발생하여 채널 탐색 블록(102)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채널 탐색 블록(102)에서는, 전파 강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넘는 채널이 없을 때, 모드 선택 블록(108)으로부터 제공되는 모드 결정신호에 의거하여 서비스 모드(멀티 서비스 모드 또는 음성 서비스 모드)를 결정 및 유지하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서비스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이동 단말에서 서비스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채널 탐색 블록(102)에서는 모든 채널(멀티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 및 음성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을 탐색하여 전파 강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넘는 채널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하는데(단계 202, 204), 단계(204)에서의 검색 결과 전파 강도가 임계치 이상인 채널이 있으면 해당 채널을 잡아 통신 채널로 하는 멀티 서비스 모드를 유지한다(단계 218).
상기 단계(204)에서의 검색 결과, 전파 강도가 임계치 이상인 채널이 없으면, 채널 탐색 블록(102)에서는 채널 루프를 수행하여 모든 채널의 전파 신호를 잡아 간섭대 전력비 계산 블록(104)으로 전달하며(단계 206), 간섭대 전력비 계산 블록(104)에서는 각 채널의 간섭대 전력비를 각각 계산한다(단계 208).
이어서, 단계(210)에서는 멀티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 중 간섭대 전력비가 가장 양호한 채널을 하나의 후보 채널, 즉 제 1 후보 채널로 결정하고, 음성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 중 간섭대 전력비가 가장 양호한 채널을 다른 하나의 후보 채널, 즉 제 2 후보 채널로 결정한다.
다음에, 모드 선택 블록(108)에서는 제 1 후보 채널과 제 2 후보 채널의 간섭대 전력비 계산값을 비교하여 그 차값을 산출하고(단계 212), 산출된 차값이 기 설정된 임계차값(예를 들면, 3db)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14).
상기 단계(214)에서의 판단 결과, 차값이 임계차값보다 크면 간섭대 전력비가 높은 후보 채널(제 1 후보 채널 또는 제 2 후보 채널)을 통신 채널로 하는 서비스 모드(멀티 서비스 모드 또는 음성 서비스 모드)를 지정하도록 하는 모드 결정신호를 발생하여 채널 탐색 블록(102)으로 제공하며, 그 결과 채널 탐색 블록(102)에서는 제 1 후보 채널(또는 제 2 후보 채널)을 통신 채널로 하는 멀티 서비스 모드(또는 음성 서비스 모드)를 결정 및 유지하게 된다(단계 216).
상기 단계(214)에서의 판단 결과, 차값이 임계차값보다 작으면 모드 결정 블록(108)에서는 제 1 후보 채널을 통신 채널로 하는 멀티 서비스 모드를 지정하도록 하는 모드 결정신호를 발생하여 채널 탐색 블록(102)으로 제공하며, 그 결과 채널 탐색 블록(102)에서는 제 1 후보 채널을 통신 채널로 하는 멀티 서비스 모드를 결정 및 유지하게 된다(단계 21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서비스 모드와 음성 서비스 모드에서 임계치 이상을 유지하는 전파 강도를 갖는 통신 채널이 없을 때, 각 채널의 전파 강도 변화에 따라 멀티 서비스 모드와 음성 서비스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전술한 종래 방법과는 달리, 멀티 서비스 모드와 음성 서비스 모드에서 가장 양호한 전파 강도를 갖는 두 채널의 간섭대 전력비의 차값과 기 설정된 임계차값에 의거하여 멀티 서비스 모드 또는 음성 서비스 모드를 강제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통신 서비스 모드의 잦은 전환으로 인해 통신 서비스가 순간적으로 단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신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

  1. 멀티 서비스와 음성 서비스가 혼재하는 경계 지역에서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 서비스 모드의 각 채널 중 임계치 이상의 전파 강도를 갖는 채널이 검출될 때, 해당 채널을 통신 채널로 하는 멀티 서비스 모드를 유지하는 과정;
    상기 임계치 이상의 전파 강도를 갖는 채널이 없을 때, 채널 루프를 수행하여 상기 멀티 서비스 모드의 각 채널 및 음성 서비스 모드의 각 채널의 간섭대 전력비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멀티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 중 간섭대 전력비가 가장 양호한 채널을 제 1 후보 채널로 결정하고, 상기 음성 서비스 모드의 채널들 중 간섭대 전력비가 가장 양호한 채널을 제 2 후보 채널로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제 1 및 제 2 후보 채널의 간섭대 전력비 계산값을 비교하여 그 차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값과 기 설정된 임계차값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차값이 임계차값보다 클 때, 간섭대 전력비가 높은 상기 제 1 후보 채널 또는 제 2 후보 채널을 통신 채널로 하는 상기 멀티 서비스 모드 또는 음성 서비스 모드를 결정하여 유지하는 과정; 및
    상기 차값이 임계차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 1 후보 채널을 통신 채널로 하는 상기 멀티 서비스 모드를 결정하여 유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KR1020010085799A 2001-12-27 2001-12-27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KR10084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799A KR100840434B1 (ko) 2001-12-27 2001-12-27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799A KR100840434B1 (ko) 2001-12-27 2001-12-27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730A KR20030055730A (ko) 2003-07-04
KR100840434B1 true KR100840434B1 (ko) 2008-06-20

Family

ID=3221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799A KR100840434B1 (ko) 2001-12-27 2001-12-27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4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472A (ko) * 1991-11-11 1993-06-24 정장호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950026132A (ko) * 1994-02-22 1995-09-18 구자홍 플레이트 지에스엠(gsm)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프트 핸드오버 방법
KR19980057475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무선전화기에서 채널 선택방법
KR20000000573A (ko) * 1998-06-01 2000-01-15 김영환 채널 등화기의 등화 적용 범위 가변방법
KR20000061349A (ko) * 1999-03-25 2000-10-16 김영환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472A (ko) * 1991-11-11 1993-06-24 정장호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950026132A (ko) * 1994-02-22 1995-09-18 구자홍 플레이트 지에스엠(gsm)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프트 핸드오버 방법
KR19980057475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무선전화기에서 채널 선택방법
KR20000000573A (ko) * 1998-06-01 2000-01-15 김영환 채널 등화기의 등화 적용 범위 가변방법
KR20000061349A (ko) * 1999-03-25 2000-10-16 김영환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730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0242A (en) Transmitting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6725058B2 (en) Intersystem handover
KR100270454B1 (k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브(softhandover)중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CA2293606C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KR100235855B1 (k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이용한 이동국
JP2751869B2 (ja) 送信ダイバシティ方式
KR100977920B1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스펙트럼 이용도를 최적화하기 위한이동 단말기
US6519473B1 (en) Forward link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s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ransmission diversity
CN101080939B (zh) 无线线路控制站、基站、移动站、移动通信系统以及移动通信方法
JPH1135520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基地局及び移動局
KR100394405B1 (ko)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
KR20040078835A (ko)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 온오프 제어 임계값 결정방법
US6665287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7249292B2 (en) Method for saving power in a user terminal after synchronization los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421448B1 (ko) 이동무선단말장치
JPH10322751A (ja) 端末主導型移動通信システム
JPH098716A (ja) 移動体通信装置
KR10038207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통화 채널의 데이터 전송속도 제어 방법
KR100840434B1 (ko) 무선 이동 단말의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EP15580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hard handoff
EP0999657B1 (en) CDMA transmission power control capable of preventing call disconnection and degradation of capacity of subscribers
JP2001156752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US71942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tenna of radio base station at moving target area during handover
KR20070120793A (ko) 이기종 시스템간 핸드오버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30129947A1 (en) Dat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rate varying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