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052B1 - Annunciation devic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Annunciation device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052B1
KR100840052B1 KR1020077001114A KR20077001114A KR100840052B1 KR 100840052 B1 KR100840052 B1 KR 100840052B1 KR 1020077001114 A KR1020077001114 A KR 1020077001114A KR 20077001114 A KR20077001114 A KR 20077001114A KR 100840052 B1 KR100840052 B1 KR 10084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car
emergency call
call butt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88450A (en
Inventor
아키나리 가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1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052B1/en
Publication of KR2007008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4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Abstract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 비상 버튼 및 엘리베이터 칸 통화기가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 및 승강장 통화기가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비상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 통화기와 외부 연락 장치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승강장 통화기와 외부 연락 장치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In the elevator notification device, a car emergency button and a car communication device are provided in the car. The platform emergency call button and the platform telephone are provided in the platform. The control device enables the call between the car talker and the externa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r emergency call button, and enables the call between the platform caller and the externa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latform emergency call button.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ANNUNCIATION DEVICE FOR ELEVATOR}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ANNUNCIATION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관리실 등에 설치된 외부 연락 장치에 비상 통보를 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notification device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an elevator management room or the like.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화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내에 비상 호출 버튼과 제1 통화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감시 센터에는 제 2 통화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비상 호출 버튼이 조작되면, 제 1 통화기가 전화 회선을 통하여 제 2 통화기에 접속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In the conventional telephone of the elevator, the emergency call button and the first telephone are installed in the car. Moreover, a 2nd telephone machine is provided in the monitoring center. Then, 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is operated, the first talk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talker via the telephone line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6-16474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64749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화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상은 감시 센터에 통보 가능하나, 승강장 주변의 범죄나 고장 등의 이상을 감시 센터에 알리는 것은 상정외이다. 따라서, 승강장의 이상을 감시 센터에 통보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감시 시스템과는 별개의 시큐리티 시스템을 구축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In the above conventional elevator telephone, the abnormality in the cage can be notified to the monitoring center, but it is unexpected to inform the monitoring center of abnormalities such as crimes or troubles around the platform. Therefore, in order to notify the monitoring center of the abnormality of the platform, it was necessary to construct and install a security system separate from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eleva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승강장의 이상을 외부 연락 장치에 통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n elevator notification device that can notify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of an abnormality of a platform using an elevator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비상 호출 버튼,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통화기,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통화기 및 엘리베이터 칸 비상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 통화기와 외부 연락 장치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승강장 통화기와 외부 연락 장치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The elevator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emergency call button provided in a car cage, a car telephone call device provided in a car cage, a board emergency call button installed in a car platform, and a platform call machine provided in a car platform. And a control device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car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r emergency call button, and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platform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anding emergency call button.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notific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을 나타내는 정면도.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car operating panel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통보 장치의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circuit of the notification device of FIG.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장(1)에는 승강장 조작반(2), 승강장 방범 카메라(3) 및 승가장 경보 스피커(경보 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조작반(2)에는 엘리베이터 칸(도시 생략)을 부르기 위한 승강장 버튼 장치(5), 승강장 비상 호 출 버튼(6) 및 외부와의 통화를 행하기 위한 승강장 통화기(7)가 설치되어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notification device of the elevator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n the drawing, the boarding point 1 is provided with a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2, a boarding point security camera 3, and a boarding point alarm speaker (alarm device) 4.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2 is provided with a platform button device 5 for calling a car (not shown), a platform emergency call button 6, and a platform telephone 7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또, 다른 층의 승강장에도 승강장 조작반(8, 9), 승강장 방범 카메라(10, 11) 및 승강장 경보 스피커(도시 생략)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2), 엘리베이터 칸 방범 카메라(13) 및 엘리베이터 칸 경보 스피커(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latform operating panels 8 and 9, the platform security cameras 10 and 11, the platform warning speaker (not shown), etc. are provided in the platform of another floor. Moreover, the car operating panel 12, the car security camera 13, and the car alarm speaker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car.

승강장 조작반(2, 8, 9), 승강장 방범 카메라(3, 10, 11),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2) 및 엘리베이터 칸 방범 카메라(13)는 외부 연락 장치(14)에 접속되어 있다. 외부 연락 장치(14)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관리실에 설치되어 있다. 또, 외부 연락 장치(14)는 승강장 조작반(2, 8, 9) 및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2)간의 통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외부 연락 장치(14)에는 승강장 방범 카메라(3, 10, 11) 및 엘리베이터 칸 방범 카메라(13)로부터 보내진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s 2, 8, 9, the boarding point security cameras 3, 10, and 11, the car operating panel 12, and the car security screening camera 13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management room, for example. In addition,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platform operation panels 2, 8 and 9 and the car operation panel 12. In addition,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 is provided with a monitor (not shown) for displaying images sent from the landing security cameras 3, 10, 11 and the car security camera 13.

외부 연락 장치(14)와 승강장 조작반(2, 8, 9) 및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2)간의 통화는 제어 장치(15)에 의해 제어된다. 즉, 승강장 조작반(2, 8, 9), 승강장 방범 카메라(3, 10, 11), 승강장 경보 스피커(4), 엘리베이터 칸 방범 카메라(13), 외부 연락 장치(14)는 동일한 회로상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15)에 의해 입출력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The call between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 the platform operating panels 2, 8, 9 and the car operating panel 1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15. That is, the platform operating panels 2, 8, 9, the platform security cameras 3, 10, 11, the platform alarm speaker 4, the car security camera 13,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 are connected on the same circuit. The input / output control is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15.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12)에는 복수의 층계 버튼(16), 문 열림 버튼(17), 문 닫힘 버튼(18), 엘리베이터 칸 비상 호출 버튼(19) 및 엘리베이터 칸 통화기(20)가 설치되 어 있다.FIG. 2: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cage control panel 12 of FIG. The car control panel 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air button 16, door open button 17, door close button 18, car emergency call button 19 and car talker 20. .

도 3은 도 1의 통보 장치의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다른 층의 승강장 조작반(8)에는 승강장 조작반(2)과 동일하게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21) 및 승강장 통화기(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장 조작반(9)에 대해서도,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 및 승강장 통화기가 설치되어 있으나, 도 3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circuit of the notification device of FIG. 1. In the drawing,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8 of another floor is provided with the boarding point emergency call button 21 and the boarding point telephone 22 similarly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2. In addition,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9 is provided with a boarding point emergency call button and a boarding point telephone, but is not shown in FIG.

외부 연락 장치(14)에는 호출 벨(23), 비상 해제 버튼(24), 외부 통화기(핸드세트(handset))(25) 및 핸드세트 접속 회로부(26)가 설치되어 있다. 각 통화기(7, 22, 2O, 25)에는 마이크 및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다. 핸드세트 접속 회로부(26)에는 접점(26a ~ 26c)이 설치되어 있다. 접점(26a ~ 26c)은 외부 통화기(25)를 들면 닫히는 상개(常開) 접점이다. 접점(26a ~ 26c)이 닫힘으로써,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 통화기(7, 22, 20)와 외부 통화기(25)간의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 is provided with a call bell 23, an emergency release button 24, an external telephone (handset) 25, and a handset connection circuit 26. Each talker 7, 22, 20 and 25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and a speaker. The handset connection circuit section 26 is provided with contacts 26a to 26c. The contacts 26a to 26c are open contacts that lift when the external telephone 25 is closed. By closing the contacts 26a to 26c,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latform or the car communication devices 7, 22 and 20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25 is possible.

비상 호출 버튼(6, 21, 19) 및 비상 해제 버튼(24)의 접점으로서는 상개 접점(a 접점)이 사용되고 있다. 릴레이(relay)(27, 28, 29)는 대응하는 비상 호출 버튼(6, 21, 19)의 접점이 닫히면 가압(energized)된다. 접점(27a, 28a, 29a)은 대응하는 릴레이(27, 28, 29)가 가압됨으로써 닫히는 상개 접점이다. 접점(30)은 릴레이(27, 28, 29)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됨으로써 닫히는 상개 접점이다.An upper contact (a contact) is used as the contact point of the emergency call button 6, 21, 19 and the emergency release button 24. As shown in FIG. The relays 27, 28, 29 are energized when the contacts of the corresponding emergency call buttons 6, 21, 19 are closed. The contacts 27a, 28a, 29a are open contacts which are closed by the corresponding relays 27, 28, 29 being pressed. The contact 30 is an upper contact which is closed by pressing any one of the relays 27, 28, and 29.

릴레이(31)는 비상 해제 버튼(24)의 접점이 닫히면 가압된다. 접점(31a, 31b, 31c)은 비상 해제 버튼(24)이 가압됨으로써 열리는 상폐(常閉) 접점(b 접점)이다. 릴레이(32)는 핸드세트 접속 회로부(26)의 접점(26a ~ 26c)이 닫히면 가압된 다. 접점(32a)은 릴레이(32)가 가압됨으로써 열리는 상폐 접점이다.The relay 31 is pressurized when the contact of the emergency release button 24 is closed. The contacts 31a, 31b, 31c are normal closing contacts (b contacts) opened by the emergency release button 24 being pressed. The relay 32 is pressed when the contacts 26a to 26c of the handset connection circuit section 26 are closed. The contact 32a is a normal closing contact opened by the relay 32 being pressed.

다음으로, 도 3의 각 요소의 접속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 접점(31a) 및 릴레이(27)는 직류 전원 단자 P, N 사이에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접점(27a)은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승강장 방범 카메라(3)는 릴레이(27)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Nex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each element of FIG. 3 is demonstrated. The boarding point emergency call button 6, the contact 31a, and the relay 27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DC power supply terminals P and N, respectively. The contact 27a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boarding point emergency call button 6. The landing security camera 3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lay 27.

다른 층의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21), 접점(31b) 및 릴레이(28)는 직류 전원 단자 P, N 사이에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접점(28a)은 다른 층의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2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다른 층의 승강장 방범 카메라(10)는 릴레이(28)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The boarding point emergency call button 21, the contact point 31b, and the relay 28 of another floor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DC power supply terminals P and N, respectively. The contact 28a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boarding point emergency call button 21 of another floor. The landing security camera 10 of the other floor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lay 28.

엘리베이터 칸 비상 호출 버튼(19), 접점(31c) 및 릴레이(29)는 직류 전원 단자 P, N 사이에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접점(29a)은 엘리베이터 칸 비상 호출 버튼(19)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방범 카메라(13)는 릴레이(29)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The car emergency call button 19, the contact 31c and the relay 29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DC power supply terminals P and N in series. The contact 29a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r emergency call button 19. The car security camera 13 is connected to the relay 29 in parallel.

접점(30), 접점(32a) 및 호출 벨(23)은 직류 전원 단자 P, N 사이에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승강장 경보 스피커(4)는 호출 벨(23)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다른 층의 승강장 경보 스피커 및 엘리베이터 칸 경보 스피커는 승강장 경보 스피커(4)에 연동하여 울린다.The contact 30, the contact 32a and the call bell 23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DC power supply terminals P and N in series. The boarding point alarm speaker 4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ll bell 23. The platform alarm speaker and the car alarm speaker of the other floor ring in conjunction with the platform alarm speaker 4.

비상 해제 버튼(24)과 릴레이(31)는 직류 전원 단자 P, N 사이에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핸드세트 접속 회로부(26)의 접점(26c)과 릴레이(32)는 직류 전원 단자 P, N 사이에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릴레이(27, 28, 29, 31, 32) 는 직류 전원 단자 P, N 사이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The emergency release button 24 and the relay 31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DC power supply terminals P and N in series. The contact 26c of the handset connection circuit section 26 and the relay 32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between the DC power supply terminals P and N. The relays 27, 28, 29, 31, and 32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DC power supply terminals P and N in parallel.

또한, 제어 장치(15)는 릴레이(27, 28, 29, 31, 32) 및 접점(27a, 28a, 29a, 30, 31a ~ 31c, 32a)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15 has relays 27, 28, 29, 31, and 32 and contacts 27a, 28a, 29a, 30, 31a to 31c, and 32a.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장(1)의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을 조작하여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의 접점이 닫히면, 릴레이(27)가 가압되어서 접점(27a)이 닫혀지고, 승강장 방범 카메라(3)가 작동한다. 이에 의해, 승강장 방범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 외부 연락 장치(14)의 모니터에 표시된다. 릴레이(27)는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의 접점이 개방되어도 접점(27a)이 닫혀 있기 때문에 자기(自己) 유지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elevator user of the landing 1 operates the landing emergency call button 6 to close the contact of the landing emergency call button 6, the relay 27 is pressed to close the contact 27a, and the landing security camera 3 ) Works. As a result,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landing security camera 3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 The relay 27 is self-maintaining because the contact 27a is closed even when the contact point of the landing emergency call button 6 is opened.

또, 릴레이(27)가 가압됨으로써 접점(30)이 닫혀지고, 승강장 경보 스피커(4) 및 호출 벨(23)이 울린다. 호출 벨(23)의 울림에 따라, 엘리베이터 관리실내의 관리자가 외부 통화기(25)를 들면 승강장 통화기(7)와 외부 통화기(25)간의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함께, 릴레이(32)가 가압되어서 접점(32a)이 열리고, 호출 벨(23) 및 승강장 경보 스피커(4)의 울림이 정지된다.In addition, the contact point 30 is closed by the relay 27 being pressed, and the boarding point alarm speaker 4 and the call bell 23 ring. By the ringing of the call bell 23, when the manager in the elevator management room picks up the external telephone 25, the call between the platform telephone 7 and the external telephone 25 can be made possible. At the same time, the relay 32 is pressed to open the contact 32a, and the ringing of the call bell 23 and the boarding point alarm speaker 4 is stopped.

또, 관리자에 의해 비상 해제 버튼(24)의 접점이 닫히면, 릴레이(31)가 가압되어서 접점(31a)이 열린다. 이에 의해, 릴레이(27)가 전원이 끊어져서 접점(27a)이 열리는 동시에 카메라(3)의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관리자가 외부 통화기(25)를 되돌리면, 접점(26a ~ 26c)이 열리고, 승강장 통화기(7)와 외부 통화기(25)와의 사이의 회선이 차단된다.When the contact of the emergency release button 24 is closed by the manager, the relay 31 is pressed to open the contact 31a. As a result, the power supply of the relay 27 is cut off, the contact 27a is opened, and the operation of the camera 3 is stopped. Further, when the manager returns the external telephone 25, the contacts 26a to 26c open, and the line between the platform telephone 7 and the external telephone 25 is cut off.

다른 층의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 칸내에서의 비상 호출 버튼(21, 19)의 조작 후의 동작에 대해서도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The operation after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call buttons 21 and 19 in the landing and the car of other floors is also almost the same as the case of the landing emergency call button 6.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에서는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 및 승강장 통화기(7)를 승강장(1l)에 설치하고,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이 조작되면 엘리베이터의 감시 시스템의 일부인 제어 장치(15)에 의해, 승강장 통화기(7)와 외부 연락 장치(14)와의 사이의 통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엘리베이터의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승강장(1)의 이상을 외부 연락 장치(14)에 통보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elevator notification device, the boarding point emergency call button 6 and the boarding point telephone 7 are installed in the boarding point 1l, and when the boarding point emergency call button 6 is operated, the control device which is a part of the monitoring system of an elevator (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latform communication device 7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 is enabled by 15), so that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 can be notified of the abnormality of the platform 1 using the elevator monitoring system. Can be.

또, 승강장(1)에 승강장 방범 카메라(3)를 설치하고,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의 조작에 따라 승강장 방범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외부 연락 장치(14)의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하였으므로, 승강장(1)의 통보자 및 그 승강장(1)의 상황을 엘리베이터 관리자가 신속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상에의 대처를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의 조작이 장난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ding security camera 3 is installed in the landing hall 1,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landing security camera 3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landing emergency call button 6. Since it is made so that the elevator manager can visually confirm the notifier of the boarding point 1 and the situation of the boarding point 1, it becomes possible to respond to the abnormality quick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landing emergency call button 6 is caused by mischief.

또한,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의 조작에 따라 경보음을 발하는 승강장 경보 스피커(4)를 승강장(1)에 설치하였으므로, 범죄를 억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사고 발생시의 주위에의 원조 요청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arding point alarm speaker 4 is provided in the boarding point 1 which emits an alarm soun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boarding point emergency call button 6, it is possible to suppress crimes and to request assistance to the surroundings in case of an accident. Can b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외부 통화기(25)를 드는 것으로 접점(26a ~ 26c)이 닫히도록 하였으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 비상 호출 버튼(6, 21, 19)의 조작에 의해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 통화기(7, 22, 20)와 외부 통화기(25)를 자동적으로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contacts 26a to 26c are closed by lifting the external telephone 25, but the platform or the elevator telephone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elevator or the emergency call buttons 6, 21 and 19. (7, 22, 20) and the external telephone 25 may be automatically connected.

또, 상기의 예에서는 릴레이를 사용한 제어 회로를 나타냈으나, 컴퓨터를 이 용한 프로그램 제어로 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a control circuit using a relay is shown, but program control using a computer may be us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장 조작반(2)에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6) 및 승강장 통화기(7)를 설치하였으나, 승강장 버튼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boarding point emergency call button 6 and the boarding point telephone 7 are provided in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2, but you may install in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boarding point button.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관리실 등에 설치된 외부 연락 장치에의 비상 통보를 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notification device for mak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an elevator management room or the like.

Claims (3)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비상 호출 버튼, Emergency call button installed in the car,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통화기, Car talker installed in the car,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 Platform emergency call button installed in the platform,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통화기, 및 Platform telephones installed in the platform, and 상기 엘리베이터 칸 비상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칸 통화기와 상기 외부 연락 장치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장 통화기와 외부 연락 장치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Control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car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r emergency call button, and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platform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anding emergency call button. A notification device for an elevator, comprising a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장을 촬영하는 승강장 방범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하고,Further provided with a platform security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platform,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장 방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상기 외부 연락 장치에 설치된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And the control device display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landing security camera on a monitor installed in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anding emergency call butt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장 비상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경보음을 발하는 경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보 장치.And an alarm device for emitting an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anding emergency call button.
KR1020077001114A 2007-01-16 2005-05-06 Annunciation device for elevator KR1008400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114A KR100840052B1 (en) 2007-01-16 2005-05-06 Annunciation device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114A KR100840052B1 (en) 2007-01-16 2005-05-06 Annunciation device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450A KR20070088450A (en) 2007-08-29
KR100840052B1 true KR100840052B1 (en) 2008-06-19

Family

ID=3861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114A KR100840052B1 (en) 2007-01-16 2005-05-06 Annunciation device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0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327B1 (en) * 2008-10-31 2011-09-28 이승훈 An elevator surveillance device for the crime preven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4749A (en) * 1992-11-16 1994-06-1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elevator
KR19990027985A (en) * 1997-09-30 1999-04-15 이종수 Security operation system and method of elevator using communication
KR200331928Y1 (en) 2003-08-19 2003-11-0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hall button having warning ligh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4749A (en) * 1992-11-16 1994-06-1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elevator
KR19990027985A (en) * 1997-09-30 1999-04-15 이종수 Security operation system and method of elevator using communication
KR200331928Y1 (en) 2003-08-19 2003-11-0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hall button having warning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450A (en)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72294A (en) Burglarproof device for elevator
JP2008189413A (en) Emergency call device for elevator
WO2006120725A1 (en) Annunciation device for elevator
KR100840052B1 (en) Annunciation device for elevator
CN105555695A (en) Elevator device
JP2013042389A (en) Intercom system
JP2022088482A (en) Call management system and call management program
JP2006103910A (en)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JP6619144B2 (en) Elevator call management system
JP2003073046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8087918A (en) Communication device of elevator
JP2021014367A (en) Call management system of elevator
JP7213377B2 (en) Remote monitoring support device and elevator
JP6522999B2 (en) Elevator call management system
JP6850328B2 (en) Elevator call management system
JP7035241B2 (en) Remote monitoring support device and elevator
JP7168804B2 (en) Elevator, elevator call management method and elevator call management program
JP6839253B2 (en) Call management system and call management program
JP6826151B2 (en) Elevator call management system
JPWO2019064371A1 (en) Elevator landing destination floor input device, elevator control system
KR200410586Y1 (en) CCTV Emergency Call System
WO2022059096A1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for elevator
JP2016172631A (en) Telephone call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KR101326790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elevator
KR19990027985A (en) Security operation system and method of elevator using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