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839B1 - Apparatus for fixed a microphone of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xed a microphone of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9839B1 KR100839839B1 KR1020010080833A KR20010080833A KR100839839B1 KR 100839839 B1 KR100839839 B1 KR 100839839B1 KR 1020010080833 A KR1020010080833 A KR 1020010080833A KR 20010080833 A KR20010080833 A KR 20010080833A KR 100839839 B1 KR100839839 B1 KR 1008398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phone
- portable terminal
- connection terminal
- insertion portion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에 형성된 마이크홀더에 마이크가 안착되고, 일정부위에 스피커가 형성되어 통화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홀더는 삽입되는 마이크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마이크홀더와 마이크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hone fix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microphone is seated in a microphone holder formed on one si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nserted into an interior accommodation space of a main body, and a speaker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to enable a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the microphone holder is formed by having an insertion portion having the same depth as the height of the microphone to be inserted,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microphone holder and the microphon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마이크부를 부분적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illustrating a microphone unit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마이크 고정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microphon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마이크부를 부분적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illustrating a microphone unit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3;
**도면의 주용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for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
1 : 상부케이스 1a : 마이크홀 1:
2 : 하부케이스 10 : 본체 2: lower case 10: body
10a, 20a : 전면 11 : 배터리 10a, 20a: front 11: battery
12 : 힌지부 13 : 인쇄회로기판 12: hinge portion 13: printed circuit board
14 : 버튼장치 20 : 커버 14: button device 20: cover
21 : 디스플레이부 22 : 스피커부 21: display unit 22: speaker unit
130 : 마이크부 131 : 마이크홀더 130: microphone unit 131: microphone holder
132 : 삽입부 133 : 연결단자 132: insertion portion 133: connection terminal
134 : 접속단자 135 : 마이크 134: connection terminal 135: micro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마이크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충격 등에 의한 마이크의 접속불량을 예방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hone fixing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phone fixing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for improv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icrophon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prevent the connection of the microphone due to the impact. .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각종 편의장치중에서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휴대폰은 간편하게 소지하고 다니면서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mobile phones, which are rapidly spreading among various convenience devices that provide convenience to people,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y can be easily carried and used anywhere.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2)가 조립되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13)과, 상기 본체(10)의 배면인 하부케이스(2)에 착탈 되는 배터리(11)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커버(2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1, a mobile phone is mounted in a
그리고, 상기 커버(20)를 들어올려 펼쳤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본체(10)의 전면(10a)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장치(14)와, 음성을 송신하는 마이크(30)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0)의 전면(20a)에는 메시지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21)와, 음성의 수신 및 착신음이 발생되는 스피커부(2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 button device 14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a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30)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의 일 측면에 장착되며 일정한 깊이의 삽입부(32)가 형성된 마이크홀더(31)와, 상기 삽입부(32)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3)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연결단자(33)와, 상기 마이크홀더(31)의 삽입부(32)에 안착되며 상기 삽입부(32)의 바닥면과 접하는 하면에 상기 연결단자(33)에 접속되어 연결되는 접속단자(34)가 형성된 마이크(35)와, 상기 마이크(35)에 접하는 상기 상부케이스(1)에 형성된 마이크홀(1a)이 구비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문자메시지 및 정보입력을 위해 각종 부호를 입력할 시, 다수개의 상기 버튼장치(14)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호가 인쇄된 버튼을 눌러 입력한 후, 상기 마이크부(30) 및 스피커부(22)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것이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puts a telephone number to call or various codes for text message and information input, a user presses a button printed with a desired cod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 devices 14. After that, the call is made using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마이크홀더(31)의 삽입부(32)에 상기 마이크(35)의 일정 부분만이 삽입되므로, 외부충격 등에 의해 상기 삽입부(32)에 삽입된 마이크(35)가 이탈되어 상기 연결단자(33)와 접속단자(34) 간의 접속불량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연결단자(33)와 접속단자(34)간의 접속불량으로 상기 마이크(35)가 원활히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onvention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only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 고정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여 외부충격 등에 의해 마이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 is to provide a microphone fix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microphone fixing device so as to stably fix the microphone by an external impac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고정장치는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에 형성된 마이크홀더에 마이크가 안착되고, 일정부위에 스피커가 형성되어 통화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홀더는 삽입되는 마이크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microphone fixing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icrophone is seated on the microphone holder form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serted into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the speaker is formed on a certain portion of the call In the portable terminal is possible, the microphone holder is formed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having the same depth as the height of the microphone to be inserted.
또한, 상기 마이크홀더의 삽입부 바닥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연결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과 접촉되는 상기 마이크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icrophone holder, and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crophone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icrophone fix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parts as in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마이크 고정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마이크 장착부를 부분적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2)가 조립되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13)과, 상기 본체(10)의 배면인 하부케이스(2)에 착탈 되는 배터리(11)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커버(2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microphon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microphone mount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As show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그리고, 상기 커버(20)를 들어올려 펼쳤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본체(10)의 전면(10a)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장치(14)와, 음성을 송신하는 마이크(130)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0)의 전면(20a)에는 메시지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21)와, 음성의 수신 및 착신음이 발생되는 스피커부(2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 button device 14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a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130)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의 일 측면에 장착되며 일정한 깊이의 삽입부(132)가 형성된 마이크홀더(131)와, 상기 삽입부(132)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3)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연결단자(133)와, 상기 마이크홀더(131)의 삽입부(132)에 안착되며 상기 삽입부(132)의 바닥면과 접하는 하면에 상기 연결단자(133)에 접속되어 연결되는 접속단자(134)가 형성된 마이크(135)와, 상기 마이크(135)에 접하는 상기 상부케이스(1)에 형성된 마이크홀(1a)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132)는 삽입되는 상기 마이크(135)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4,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문자메시지 및 정보입력을 위해 각종 부호를 입력할 시, 다수개의 상기 버튼장치(14)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호가 인쇄된 버튼을 눌러 입력한 후, 상기 마이크부(130) 및 스피커부(22)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것이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puts a telephone number to call or various codes for text message and information input, a user presses a button printed with a desired cod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 devices 14. After that, the call is made us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고정장치는 상기 마이크홀더(131)의 삽입부(132) 깊이가 상기 마이크(135)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32)에 상기 마이크(135)가 안착됨으로써, 종래 구조보다 높은 결합력을 보유하게 되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연결단자(133)와 접속단자(134) 간의 접 속불량이 발생될 접속불량 발생률이 줄어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icrophone fixing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고정장치는 마이크가 고정되는 마이크홀더의 삽입부 깊이가 상기 마이크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에 상기 마이크가 안착될 시, 상기 마이크와 마이크홀더간의 접촉부가 증가되어 종래 구조보다 높은 결합력이 향상됨으로써, 상기 마이크홀더에 형성된 연결단자와 상기 마이크에 형성된 접속단자간의 접속불량이 발생될 접속불량 발생률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icrophone fixing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depth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icrophone holder to which the microphone is fixed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microphone so that the microphone is seated on the insertion portio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microphone holders is increased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connection failure occurrence rate, in which connection failures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formed in the microphone holder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formed in the microphone are generated.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80833A KR100839839B1 (en) | 2001-12-18 | 2001-12-18 | Apparatus for fixed a microphone of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80833A KR100839839B1 (en) | 2001-12-18 | 2001-12-18 | Apparatus for fixed a microphone of mobile 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50405A KR20030050405A (en) | 2003-06-25 |
KR100839839B1 true KR100839839B1 (en) | 2008-06-19 |
Family
ID=2957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80833A KR100839839B1 (en) | 2001-12-18 | 2001-12-18 | Apparatus for fixed a microphone of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9839B1 (en) |
-
2001
- 2001-12-18 KR KR1020010080833A patent/KR10083983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50405A (en) | 2003-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95784B2 (en) |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 |
KR100313144B1 (en) | Watch type portable radiotelephone | |
JP2002368853A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9990000037A (en) | Portable terminal with flip cover in both directions | |
US7130004B2 (en) | Display arrangement | |
KR960027960A (en) | Handset for Phones and Wireless Devices | |
US20030153349A1 (en) | Mobile phone with replaceable key modules | |
JP4340088B2 (en) | Mobile device | |
KR100630127B1 (en) | Folder-type radiotelephone with sub display unit and driving method of the sub display unit | |
KR100839839B1 (en) | Apparatus for fixed a microphone of mobile phone | |
KR100310854B1 (en) | Fixing Structure For LCD Module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464979B1 (en) | Structure of display apparatus | |
JP2008219948A (en) | Mobile terminal | |
JP2002232533A (en) | Folder-type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its information display method | |
KR20070014311A (en) | Side button structur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455137B1 (en)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earphone jack of mobile phone | |
KR100619856B1 (en) | Side button in mobile phone | |
KR100474294B1 (en)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earphone jack of mobile phone | |
JP2002051130A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 |
KR10063758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rotational screen | |
EP1265421A1 (en) | Mobile terminal comprising means for fixing a headset connector | |
KR100689434B1 (en) | Cordless telephone of folder type | |
KR200202291Y1 (en) | Cordless telephone having keypad | |
KR20050031758A (en) | Button apparatus of mobile phone | |
KR20050069806A (en) | Button apparatus in mobile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