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674B1 -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 Google Patents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674B1
KR100839674B1 KR1020070005173A KR20070005173A KR100839674B1 KR 100839674 B1 KR100839674 B1 KR 100839674B1 KR 1020070005173 A KR1020070005173 A KR 1020070005173A KR 20070005173 A KR20070005173 A KR 20070005173A KR 100839674 B1 KR100839674 B1 KR 10083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igh frequency
frequency
treatme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서종
Original Assignee
유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서종 filed Critical 유서종
Priority to KR102007000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주파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의 신호를 치료에 알맞도록 전압증폭하여 변환하는 고전압변환부, 상기 고전압변환부로부터 변환되어 인가되는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를 전극을 통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 및 상기 고주파발생기, 상기 고전압변환부 및 상기 신호출력부를 제어하는 주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치료용 고주파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고주파 치료가 되도록 그 주파수를 검출하고 조절하여 환부가 최선으로 치료가 되도록 하며, 또한 환자의 신체 변화에 따라 알맞은 치료가 되도록 하는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고주파치료기, 보상, 센싱

Description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HIGH FREQUENCY STIMULATOR OF BEING ADJUSTABLE FOR TREATMENT DEPTH}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주파 치료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고주파 치료기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고주파 치료기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고주파 치료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주파 치료기 10 : 고주파발생기
20 : 고전압변환부 30 : 신호출력부
40 : 주컨트롤러 50 : 출력신호검출부
60 : 고주파발생보상부 70 : 센싱부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료용 고주파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그 주파수를 검출하고 조절하여 환부가 최선으로 치료가 되도록 하는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치료기는 고주파를 발생하여 환부를 자극하여 치료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주파 치료기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55189호(고주파 전기치료기)를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함체형의 몸체인 고주파치료기(100)의 일측으로는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치(110)와 정보를 입력하는 계기판(120) 및 환부에 접촉하는 전극(131)(132) 등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주파 치료기는 전극으로 환부에 자극되는 고전압의 고주파가 일정의 세기로 환부를 미치게 된다. 이에 이용되는 고주파의 주파수는 환부의 깊이를 결정하고, 전압의 세기 및 전류의 세기 등은 환부 및 기타 환자의 세포들에 직접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환부의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피부 속의 특정 부위를 자극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특정 부위의 깊이 및 고전압의 세기에 따라 적용되는 환자 및 환부의 상태에 알맞게 설정하여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주파 치료기는 단순히 일정 세기의 고주파의 고전압을 강한 세기로 항상 환부에 미치도록 하기 때문에, 환자의 환부 깊이에 따라 알맞은 깊이 로 치료할 수 없어 자칫 피부 손상 및 세포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치료에 소요되지 않는 전력을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른 적절한 방법으로 치료하기가 곤란한 지경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주파를 발생하여 일정 깊이의 환부를 치료하는 것으로, 특히 치료용 고주파를 환자의 환부 깊이에 알맞은 주파수로 발생하도록 주파수를 검출하고 조절하여 환부가 최선으로 치료가 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환자의 신체 변화에 따라 최적으로 적용되어 치료가 되도록 하는 등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는 고주파치료를 위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기, 상기 고주파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의 신호를 치료에 알맞도록 전압증폭하여 변환하는 고전압변환부, 상기 고전압변환부로부터 변환되어 인가되는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를 전극을 통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 및 상기 고주파발생기, 상기 고전압변환부 및 상기 신호출력부를 제어하는 주컨트롤러를 포함하여 환부에 고주파치료를 하도록 하며, 상기 신호출력부는 상기 고전압변환부와 연결되어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 가 인가되는 1차측코일, 상기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1차측코일로부터 유도된 유도기전력에 의한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를 환부에 미치도록 하는 2차측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출력부의 상기 1차측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2차측코일에서의 부하변화를 검출하도록 출력신호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신호검출부는 상기 1차측코일과 연결되어 검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신호증폭부 및 상기 신호증폭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비교 분석하여 상기 주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신호검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1차측코일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 중 상기 2차측코일에서 부하의 세기가 큰 주파수를 검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주컨트롤러는 상기 출력신호검출부에서 검출된 특정 주파수에 의하여 치료깊이를 산정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신호출력부는 상기 1차측코일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를 조절하도록 직렬-병렬공진형 컨버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출력신호검출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압 고주파 신호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고주파발생기의 고주파의 주파수를 보상하여 치료깊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고주파발생보상부가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로 상기의 고주파 치료기에 대해 하기의 단계에 의하여 환부의 깊이에 따른 고주파 치료를 하도록 출력되는 고주파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1) 환자의 맥박수, 혈압, 체온, 혈액형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및 진폭을 설정하고 기초 정보를 입력하는 기초정보입력단계(S01);
2) 입력된 정보에 따라 고주파발생기에서 고주파치료를 위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신호 발생단계(S02);
3) 고주파발생기에서 발생된 고주파 신호를 고전압변환부에서 고주파치료에 따른 세기의 고전압으로 증폭하는 고전압 증폭단계(S03);
4) 상기 고전압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의 신호를 신호출력부에서 전극을 통하여 환부에 출력하는 고전압출력단계(S04)를 포함하며;
5) 상기 신호출력부는 1차코일 및 2차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1차코일과 연결되는 출력신호검출부에서 상기 2차코일의 부하 변화 정도를 감지하여 부하변화가 큰 주파수를 감지하여 상기 주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부하량 변화에 따른 주파수 검출단계(S05); 및
6) 상기 출력신호검출부에서 감지된 부하변화에 따라 상기 고주파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보상하여 환부의 깊이에 따른 주파수를 보상하여 발생하는 고주파 발생신호 보상단계(S06).
이에 환자의 환부 부근 또는 신체의 각부에 접지되어 환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측정값 및 변화값은 상기 주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센싱부를 더 구성하며, 상기 고주파 발생신호 보상단계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측정값 및 변화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 및 주파수를 보상하도록 함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고주파 치료기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고주파 치료기에 대한 블럭도로, 고주파 치료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환자의 환부를 치료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 고주파 치료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즉 본 발명 출력신호 자동 보상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스위치(2) 및 계기판(3)에 의한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고전압의 치료파인 고주파 신호가 전극(4)(5)을 통하여 환부를 치료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이에 도 3에서와 같이 고주파 치료기(1)의 구체적인 구성은 고주파치료를 위해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기(10), 상기 고주파를 고주파치료에 알맞은 세기의 고전압으로 증폭하는 고전압변환부(20), 상기 고전압변환부(20)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치료파인 고주파 신호를 전극(4)(5)을 통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30), 및 상기 고주파발생기(10), 상기 고전압변환부(20) 및 상기 신호출력부(30) 등을 제어하는 주컨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고주파 치료기(1)에 의하면, 상기 전극에 의하여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에 의하여 환자를 치료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환부의 깊이에 따라 주파수를 변화하면서 치료하게 된다. 즉 치료하고자 하는 환부의 깊이가 깊을수록 낮은 주파수를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 고주파발생기(10)는 상기 주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주파수 및 진폭의 고주파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출력부(30)는 상기 고전압변환부(20)와 연결되어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1차측코일(31), 상기 전극(4)(5)과 연결되어 상기 1차측코일(31)로부터 유도된 유도기전력에 의한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를 환부에 미치도록 하는 2차측코일(3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출력부(30)는 상기 1차측코일(31)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를 조절하도록 직렬-병렬 공진형 컨버터(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직렬-병렬 공진형 컨버터(33) 및 유도회도로 구성되는 신호출력부(30)에 의하여 전극(4)(5)에서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신호출력부(30)의 상기 1차측코일(31)과 연결되어 상기 2차측코일(32)에서의 부하변화를 검출하도록 출력신호검출부(50)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상기 출력신호검출부(50)는 상기 1차측코일(31)과 연결되어 검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신호증폭부(51) 및 상기 신호증폭부(51)의 신호를 수신하여 비교 분석하여 상기 주컨트롤러(40)에 전송하는 신호검출부(5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출력신호검출부(50)의 구성에 의하여, 2차측코일(32)과 연결되는 환 자의 환부의 접촉 여부, 환부의 상태 변화에 따른 환부에서의 저항 변화 및 환부의 저항 변화에 따른 고주파 신호의 흡수 변화 등에 의한 2차측코일(32)의 부하 정도가 변화됨을 감지하여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2차측코일(32)의 부하변화에 따른 감지는 1차측코일(31)에 연결된 출력신호검출부(50)의 신호증폭부(51)에서 우선 신호증폭과정을 거친 다음에 신호검출부(52)에서 비교판단하여 변화량을 검출하게 된다. 특히 출력신호검출부(50)에서는 2차측코일(32)의 부하변화의 정도가 큰 주파수를 검출하도록 설계된다.
즉 1차측코일(31) 및 2차측코일(32)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를 계속 변화하여 발생하도록 주컨트롤러(40)는 고주파발생기(10)를 제어한다. 이렇게 변화되어 발생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중 부하변화가 심한 특정 주파수를 검출하게 된다. 이에 부하변화가 적은 경우는 치료를 위한 고주파 신호의 소모가 적은 경우로, 치료를 위한 대상인 환부에 이르는 깊이가 아닌 경우이다. 이에 계속 변화되는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 신호가 영향을 주는 깊이를 달리하면서 고주파 신호가 발신되는 것이다. 이렇게 변화되는 고주파 신호 중 환부의 깊이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경우에는 치료작용이 시작되면서 그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에너지가 상당량 소모되는 것이다. 이에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만큼 2차코일(32)에 소모량에 따른 출력변화가 발생되며, 이러한 2차코일(32)의 변화를 부하변조에 의하여 1차코일(31)과 연결된 출력신호검출부(50)에서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발생시키는 특정 주파수를 검출하게 되며, 이러한 특정 주파수를 일정하게 발생시키기 위해 주컨트롤러(40)에서는 고주파발생보상부(60)로 신호를 전송하여 결국 고주파발생기(10) 에서 최적의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즉 출력신호검출부(50)에서 검출한 변화량은 주컨트롤러(40)에 전송되고, 이에 상기 주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출력신호검출부(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출력부(51)에서 출력되는 고전압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고주파발생기(10)의 고주파의 주파수를 보상하여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고주파 치료기(1)에 의한 치료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의 고주파 치료기(1)에 대해 하기의 단계에 의하여 환부에 고주파 치료를 하도록 하는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환자의 화부 깊이에 따른 고주파 치료를 하도록 하여 최적의 고주파 치료를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우선 입력부(6)로 환자의 맥박수, 혈압, 체온, 혈액형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및 진폭을 설정하고 기초 정보를 입력하는 기초정보입력단계(S01)에 의하여 고주파 치료를 준비한다. 일반 기기적인 정보 입력은 관리자에 의하고, 환자의 상태는 전문의에 의하여 입력하게 된다. 물론 전문의가 직접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입력된 정보에 따라 고주파발생기(10)에서 고주파치료를 위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신호 발생단계(S02)를 진행한다.
또한 고주파발생기(10)에서 발생된 고주파 신호를 고전압변환부(20)에서 고 주파치료에 따른 세기의 고전압으로 증폭하는 고전압 증폭단계(S03)를 진행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전압변환부(20)로부터 출력되는 고압의 신호를 신호출력부(30)에서 전극(4)(5)을 통하여 환부에 출력하는 고전압출력단계(S04)를 진행하여 고주파 치료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신호출력부(30)는 1차코일(31) 및 2차코일(32)로 구성되어, 상기 1차코일(31)과 연결되는 출력신호검출부(50)에서 상기 2차코일(32)의 부하 변화 정도를 감지하고 변화 정도가 큰 주파수를 감지하여 상기 주컨트롤러(40)에 전송하는 부하량변화에 따른 주파수 검출단계(S05)를 수행하며, 또한 상기 출력신호검출부(50)에서 감지된 부하량 변화 및 부하량 변화가 큰 주파수에 따라 상기 고주파발생기(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 및 주파수를 상기 주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보상하여 변화하는 고주파 발생신호 보상단계(S06)를 수행한다.
이에 의하면 환부와 연결되는 2차측코일(32)에서의 부하변화를 부하변조 방식에 의하여 1차측코일(31)과 연결된 출력신호검출부(50)에서 검출하여, 검출된 그 변화 정도에 따라 보상할 수 있도록 주컨트롤러(40)에서는 고주파발생기(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치료가 진행되지 않는 주파수로 고주파 신호를 발생하면 부하량이 크지 않으나, 치료가 진행되는 특정 주파수로 고주파 신호를 발생하면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부하량이 함께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부하량 변화는 부하변조 방식에 따라 1차측코일(31)과 연결된 출력신호검출부(50)에서 검출하며, 이에 의하여 주컨트롤러(40)는 이러한 특정 치료 주파수를 계속 감지하면서 발생할 수 있도 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최적의 치료 깊이를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변화로 조절하며 또한 최적의 치료 깊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기 때문에 최적의 치료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고주파 치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환자의 환부 부근 또는 신체의 각부에 접지되어 환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측정값 및 변화값은 상기 주컨트롤러(40)에 전송하는 센싱부(70)를 더 구성하며, 상기 고주파 발생신호 보상단계(S06)는 상기 센싱부(70)에서 감지된 측정값 및 변화값에 따라 상기 고주파발생기(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 및 주파수를 보상하도록 함을 더 포함하여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70)는 근전도 검사기, 심전도 검사기 및 혈압계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환부 부근에 부착되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체온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고주파를 발생하여 일정 깊이의 환부를 치료하는 것으로, 특히 치료용 고주파를 환자의 환부 깊이에 알맞은 주파수로 발생하 도록 주파수를 검출하고 조절하여 환부가 최선으로 치료가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의 신체 변화에 따라 최적으로 적용되어 치료가 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고주파치료를 위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기,
    상기 고주파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의 신호를 치료에 알맞도록 전압증폭하여 변환하는 고전압변환부,
    상기 고전압변환부로부터 변환되어 인가되는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를 전극을 통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 및
    상기 고주파발생기, 상기 고전압변환부 및 상기 신호출력부를 제어하는 주컨트롤러를 포함하여 환부에 고주파치료를 하도록 하며,
    상기 신호출력부는 상기 고전압변환부와 연결되어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1차측코일, 상기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1차측코일로부터 유도된 유도기전력에 의한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를 환부에 미치도록 하는 2차측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출력부의 상기 1차측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2차측코일에서의 부하변화를 검출하도록 출력신호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신호검출부는 상기 1차측코일과 연결되어 검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신호증폭부 및 상기 신호증폭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비교 분석하여 상기 주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신호검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1차측코일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 중 상기 2차측코일에서 부하의 세기가 큰 주파수를 검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주컨트롤러는 상기 출력신호검출부에서 검출된 특정 주파수에 의하여 치료깊이를 산정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부는
    상기 1차측코일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고주파 신호를 조절하도록 직렬-병렬공진형 컨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출력신호검출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압 고주파 신호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고주파발생기의 고주파의 주파수를 보상하여 치료깊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고주파발생보상부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4. 삭제
  5. 삭제
KR1020070005173A 2007-01-17 2007-01-17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KR100839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173A KR100839674B1 (ko) 2007-01-17 2007-01-17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173A KR100839674B1 (ko) 2007-01-17 2007-01-17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674B1 true KR100839674B1 (ko) 2008-06-19

Family

ID=3977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173A KR100839674B1 (ko) 2007-01-17 2007-01-17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5485A (zh) * 2021-09-30 2022-01-14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体脂率测量方法、装置、电子秤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189Y1 (ko) 2004-03-23 2004-07-03 김형수 고주파 전기치료기
KR20050004519A (ko) * 2003-07-02 2005-01-12 주식회사 프라임 메디텍 고주파 피부 재생기
KR20050089140A (ko) * 2005-08-18 2005-09-07 주식회사 헥사곤 고주파 전기 발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519A (ko) * 2003-07-02 2005-01-12 주식회사 프라임 메디텍 고주파 피부 재생기
KR200355189Y1 (ko) 2004-03-23 2004-07-03 김형수 고주파 전기치료기
KR20050089140A (ko) * 2005-08-18 2005-09-07 주식회사 헥사곤 고주파 전기 발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5485A (zh) * 2021-09-30 2022-01-14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体脂率测量方法、装置、电子秤及存储介质
CN113925485B (zh) * 2021-09-30 2024-02-06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体脂率测量方法、装置、电子秤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9903B1 (en) System for return electrode monitoring
US11076906B2 (en) Logarithmic amplifier, electrosurgical generator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surgical generator using same
US9839470B2 (en) Electrosurgical generator for minimizing neuromuscular stimulation
US20110077641A1 (en) Return Electrode Temperature Prediction
US97702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efficiency of electrosurgical generators
US108697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frequency leakage reduction through selective harmonic elimination in electrosurgical generators
KR100839673B1 (ko) 출력신호 자동 보상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US10945781B2 (en) Variable phase generation and detection for radio-frequency (RF) ablation
KR100839675B1 (ko) 심부와 표피와의 온도차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KR100866543B1 (ko) 운동점 측정 및 전자기 자극 치료 장치
EP27162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resonance phasing for measuring impedance
CN109512504B (zh) 一种可发放刺激的单双极射频消融系统
KR100839674B1 (ko) 치료깊이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US10568680B2 (en) Electrosurgical system for multi-frequency interrogation of parasitic parameters of an electrosurgical instrument
KR101725371B1 (ko) 단일전극을 이용한 초음파 및 고주파 온열치료장치
CN111939479A (zh) 一种相控阵热疗机及其控制方法
KR102107129B1 (ko) 트랜스듀서 공진주파수 매칭기능을 가지는 무선 프로브 형태의 hifu 장치
CN116439818A (zh) 一种穿戴式射频加热设备
KR20140117860A (ko) 초음파 및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5444A (ko) 수술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973907B1 (en) Detecting electrode contact using absolute and relative thresholds
KR20120099941A (ko)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CN103537018A (zh) 超声波美容仪
KR102642708B1 (ko) 압전소자의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포함한 집속점 변경 고강도 집속초음파
CN217488824U (zh) 射频消融装置及其生物组织检测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