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883B1 - Level regulation structure of hood - Google Patents

Level regulation structure of h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883B1
KR100838883B1 KR1020070002717A KR20070002717A KR100838883B1 KR 100838883 B1 KR100838883 B1 KR 100838883B1 KR 1020070002717 A KR1020070002717 A KR 1020070002717A KR 20070002717 A KR20070002717 A KR 20070002717A KR 100838883 B1 KR100838883 B1 KR 100838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horizontal
fixing
spac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휘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8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8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A level regulation structure of a hood is provided to regulate the level of the hood simply and finely by using a regulation element when mounting the hood or after long time use, thereby preventing the re-mounting of the hood due to the inclination thereof. A level regulation structure of a hood includes a fixing element(410) at least partially fixed to an inner wall of a building, a hood having an integral supporting part(370)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the fixing element and blowing air to an external space after sucking the air, and a regulating element(430)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element and the supporting part at least partially for regulating the horizontality of the hood.

Description

후드의 수평조절구조 {Level regulation structure of hood}Level regulation structure of ho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의 수평조절구조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Figure 2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의 수평조절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의 수평조절구조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Figure 4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주방가구 200. 조리기기100. Kitchen furniture 200. Cooking appliances

300. 후드 310. 흡입부300. Hood 310. Suction part

320. 후드하우징 330. 배기덕트320. Hood housing 330. Exhaust duct

340. 하면플레이트 350. 측면플레이트340. Bottom plate 350. Side plate

360. 상면플레이트 370. 후면플레이트360. Top plate 370. Back plate

372. 조절부재홀 374. 지지부372. Adjuster hole 374. Supporting part

376. 지지부홀 400. 수평조절부376. Support hole 400. Horizontal adjustment part

410. 고정부재 420. 고정부410. Fastening member 420. Fastening part

430. 조절부재 432. 조절볼트430. Adjusting member 432. Adjusting bolt

434. 조절너트434. Adjusting Nut

본 발명은 후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후드의 장착 시 후드의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후드의 수평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that can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hood when the hood is mounted.

조리기기의 후드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부분의 상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이 요리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배기가스를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The hood of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above the portion where food is cooked to play a role of exhausting heat and exhaust gas generated while the food is cooked to the outside space.

이러한 조리기기의 후드는 하측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배기가스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로 열기 및 배기가스가 흡입되도록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팬모터, 흡입되는 열기 및 배기가스를 외부 공간으로 안내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hood of the cooker includes a suction part for sucking hot air and exhaust gas generated from a cooker installed at a lower side, a suction fan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to suck heat and exhaust gas into the suction part, and driving the suction fan. It comprises a fan motor for making, the exhaust duct for guiding the intake heat and exhaust gas to the outer spac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후드는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벽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면서 조리기기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열기 및 배기가스를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게 된다. The ho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and fixed to a wall surface on which the cooker is installed, and sucks heat and exhaust gas generated from the cooker to exhaust the heat and exhaust gas to the outside space through the exhaust duct.

이러한 후드는 후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팬모터를 비롯한 다수의 부품이 지지될 수 있도록 건물의 내측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The hood is firmly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a plurality of parts including the fan motor mounted inside the hood can be supported.

한편, 상기 후드는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팬모터에서 발생하게 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흡입팬이 회전 운동하게 되고, 회전 운동하게 되는 흡입팬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흡인력으로 후드의 하측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배기가스를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하게 되고, 흡입된 열기 및 배기가 스는 상기 배기덕트를 따라 안내되어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power is applied, the suction fan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in the fan motor, the suction fan is installed under the hoo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fan to be rotated The hot air and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cooking appliance are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nd the sucked hot air and the exhaust gas are guided along the exhaust duct to be exhausted to the outside spac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상기 후드의 후면을 건물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게 설치하게 될 때, 그 수평 상태는 외부에서 다른 인원이 확인하여 주거나, 다른 인원이 확인하지 않을 경우 후드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수평을 맞추게 된다. When the rear side of the hoo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the horizontal state can be checked by another person from the outside, or a mechanical device that can check the horizontal state of the hood if no other person checks. To level.

이때, 후드의 후면이 건물의 내측 벽면에 수평이 맞지않게 장착될 경우 후드를 건물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탈거하여 다시 장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rear surface of the hood is not mounted horizontally on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od must be removed and remoun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또한, 후드를 건물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탈거하여 다시 장착하게 될 경우 건물의 내측 벽면 다른 부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후드를 탈거하는데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hood is remov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and remounted, a problem arises in which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is different from the other part of the building, and a problem that wastes manpower and time is required to remove the hood.

그리고, 후드를 탈거하여 다시 부착하게 됨으로써 후드를 설치하는 전체적인 설치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And, by removing the hood and attaching it again, the overall installation time for installing the hood increases.

나아가, 후드를 건물의 내측 벽면에 고정시킨 다음 미세한 수평의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Furthermore, the problem arises that after the hood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fine horizontal adjustment is impossible.

뿐만 아니라, 미세한 수평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수평 조절을 하지 않게 되거나, 미세한 수평 조절을 위해 후드를 건물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탈거하여 다시 장착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ne horizontal adjustment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horizontal level, or to fine-adjust the problem that needs to be removed by removing the hood from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again.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자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만이 아닐 수 없다. This problem causes a problem for the user's reliability, which is a complaint from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후드의 설치 후 수평 조절이 가능한 후드의 수평조절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poses a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which can be horizontally adjusted after installation of the hood.

본 발명의 다른 제안으로 후드의 수평 조절이 간편해지는 후드의 수평조절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Another propos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to simplify the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hood.

상기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의 수평조절구조는, 적어도 일부가 건물의 내벽 측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내벽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연장되는 일부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지지부가 형성되는 후드;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여, 상기 후드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후드의 수평 상태를 조정하는 수평조절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as described above, at least a portion is fixed to the inner wall side of the building, the other portion fixed portion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ner wall; A hood in which a support part is formed to receive at least a part of an extended part of the fixing part; And a horizontal adjusting part positioned at least partially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to adjust a horizontal state of the hoo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hood.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후드의 수평조절구조는, 건물의 내벽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지지부가 일체로 제공되고, 유체를 흡입 후 외부 공간으로 송풍하는 후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후드의 수평 상태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조절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다.In another aspect, the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which is at least partially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A hood integrally provided on the fixing member, the supporting part supporting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member and blowing the fluid to the outside space; At least a par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support, the adjustment member is provided to enable the horizontal state of the hood is included.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후드의 수평조절구조에 의하면, 후드의 수평 조절이 용이해지며, 미세한 수평 조절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hood is eas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ne horizontal adjustment is possibl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후드의 수평조절구조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horizontal embodiment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후드를 살펴보기로 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ho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먼저, 주방 공간에는 다른 부분과 조화롭게 설치되며,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주방가구(100)가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주방가구(100)에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기 위한 조리기기(200)가 수납되면서 장착된다. First, the kitchen space is installed in harmony with other parts, the kitchen furniture 100 for efficient use of the kitchen space is located, the kitchen furniture 100 is a cooking appliance 200 for heating food to cook It is mounted while being stored.

상기 주방기기(200)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직접 가열하여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요리하는 탑 버너부(210)와, 상기 탑 버너부(2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여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23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부(230)는 밀폐된 공간에 음식물을 수용한 다음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다수개의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The kitchen apparatus 200 includes a top burner 210 for directly cooking a container containing food and cooking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top burner 210 to accommodate food in a closed space. An oven 230 for cooking food is installed by heating to a high temperature. The oven unit 230 accommodates food in a closed space, and then cooks food using heat emitted from a plurality of heaters using electricity as a heat source.

상기 탑 버너부(210)는 상면이 상면유리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상면유리의 하측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해 열을 발산하게 되는 다수의 열원이 장착된다. 이러한 열원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가열되면서, 용기에서 전 달되는 전도열과 상기 열원에서 상면유리를 투과하여 전달되는 복사열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된다. The top burner unit 210 has an upper surface shielded by an upper surface glass, and a plurality of heat sources for dissipating heat for cooking food are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glass. As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is heat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 source, the food is cooked by the conductive heat transmitted from the container and the radiant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upper glass from the heat source.

상기 상면유리는 고온에도 견딜 수 있도록 특수하게 제작되며, 이러한 상면유리는 열원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 열 투과성이 좋도록 형성되어 열원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투과하여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가열되도록 하게 된다. The top glass is specially manufactured to withstand high temperatures, and the top glass is formed so that the portion located above the heat source has good heat permeability so that the container containing food is heated by passing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 source. do.

그리고, 상기 오븐부(2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오븐부(230)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오븐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오븐도어는 오븐부의 전면 하단부와 힌지로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오븐도어의 상측에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오븐부(2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부품과 오븐부(230)가 작동되기 위하여 다수의 부품을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 부품이 장착된다. In addition, an oven door is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oven unit 230 so that a user can selectively open the front surface of the oven unit 230, and the oven door is pivotally mounted by being hinged with the front lower end of the oven unit 230. do. A control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ven door, and a user controls an operation component for operating the oven unit 230 and a plurality of control component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oven unit 230.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조리기기(200)에서는 음식물이 요리될 때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기가 발생하게 되며, 음식물이 요리되면서 형성되는 연소가스와 기타 배기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In the cooking apparatus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food is cooked, heat for heating the food is generated, and combustion gas and other exhaust gas generated while the food is cooked are generated.

이러한 열기 및 배기가스를 주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기기(200)의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후드(300)가 설치된다. 상기 후드(300)는 조리기기(200)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음식물이 요리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주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order to exhaust the heat and exhaust gas to the outside space of the kitchen space, the hood 3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cooking apparatus 200. The hood 300 serves to inhale the exhaust gas generated while the heat and food generated from the cooking apparatus 200 is cooked and exhaust the exhaust gas to the outside space of the kitchen space.

상기 후드(300)는 상기 조리기기(200)에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배기가스가 포함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부(310)와, 상기 흡입 부(310)의 상측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후드하우징(320)이 형성되며, 상기 후드하우징(320)의 상측에 위치하여 후드하우징(320)으로 흡입되는 유체를 주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도록 안내하는 배기덕트(330)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The hood 300 is a suction part 310 for sucking the fluid containing the heat and exhaust gas generated when cooking the food in the cooking apparatus 200, and is located above the suction part 310 A hood housing 320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to mount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is positioned above the hood housing 320 to guide the fluid sucked into the hood housing 320 to the outside space of the kitchen space. The exhaust duct 330 is configured to be included.

상세하게는 상기 조리기기(200)의 상기 탑 버너부(210)에서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탑 버너부(210) 내부에 장착되는 열원에서 열을 발산하게 되고, 이러한 열은 상기 상면유리를 투과하여 상방으로 전달되며, 상방으로 전달된 복사열은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게 된다. In detail, the top burner unit 210 of the cooking apparatus 200 emits heat from a heat source mounted inside the top burner unit 210 to cook food, and the heat penetrates the upper glass. The heat transmitted upwards and radiant heat transferred upwards heat the vessel containing the food.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가열되면, 용기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되고, 요리되는 음식물은 열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열기를 주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지 않게 되면, 계속적인 열기로 인해 주방 공간의 내부 공기가 데워져 상기 조리기기(200)의 사용자가 불쾌감을 가지게 됨에 따라 상기 후드(300)를 작동하여 열기를 배기하게 된다. When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is heated,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is heated while being cooked, the food being cooked to release the heat. When the heat is not exhausted to the outside space of the kitchen space, the internal air of the kitchen space is warmed due to the continuous heat, and the user of the cooker 200 has an unpleasant feeling to operate the hood 300 to open the heat. Will be exhausted.

또한, 상기 탑 버너부(210)의 내부 공간에서도 열기가 발산되며, 이러한 탑 버너부(210)의 열기를 탑 버너부(21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지 않게 되면, 탑 버너부(210)의 내부 공간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탑 버너부(2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 및 제어 부품이 열 손상을 입게 됨에 따라 탑 버너부(210)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를 탑 버너부(21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게 된다. 탑 버너부(210)에서 배기되는 열기도 상기 후드(300)에 의해 주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게 된다. In addition, heat is also emitted from the interior space of the top burner unit 210, and when the heat of the top burner unit 210 is not exhausted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top burner unit 210, the top burner unit 210 may be discharged. As the internal space temperature rises, a plurality of electric parts and control parts mounted inside the top burner part 210 are damaged, and heat generated in the top burner part 210 is generated by the top burner part ( It is exhausted to the outer space of 210. Heat exhausted from the top burner unit 210 is also exhausted to the outside space of the kitchen space by the hood 300.

그리고, 상기 오븐부(23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될 경우 오븐부(23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로 인해 오븐부(230)의 외부가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븐부(230)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를 오븐부(23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시켜주게 된다. 이처럼, 오븐부(230)에서 발산되는 뜨거운 공기도 상기 후드(300)에 의해 주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In addition, when cooking food using the oven unit 230, the oven unit 230 may be prevented from becoming hot due to the heat gener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oven unit 230. Heat generated in the interior of the exhaust to the outside space of the oven 230. As such, the hot air emitted from the oven unit 230 is also exhausted to the outside space of the kitchen space by the hood 300.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기기(200)에서 발산되는 열기와 음식물이 요리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후드(300)에 의해 주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게 됨으로써 주방 공간은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gas generated while the food and the food emitted from the cooking apparatus 200 are cooked is exhausted to the outside space of the kitchen space by the hood 300 so that the kitchen space can maintain a comfortable environment. do.

상기 조리기기(200)의 상측에는 상방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상기 후드(300)가 장착된다. 이러한 후드(300)는 조리기기(200)가 설치되는 건물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후드(300)가 조리기기(200)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은 사용자가 조리기기(2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데 후드(300)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hood 300 is mounted above the cooking appliance 200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The hood 3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cooking appliance 200 is installed. The hood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cooking apparatus 200 upward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affected by the hood 300 when cooking food using the cooking apparatus 200.

한편, 상기 후드(300)의 상기 조리기기(200) 방향 전면에는 조리기기(200)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배기가스가 흡입되는 통로인 흡입부(310)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부(310)는 후드(300)의 전면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게 되며, 이러한 흡입부(310)의 전면에는 그물망 형상의 흡입그릴(311)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311)을 통해 열기 및 배기가스와 동시에 흡입되는 공기 중의 비교적 큰 먼지 및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ood 30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art 310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 and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cooking device 200 are suc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device 200. The suction part 310 occupies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od 300, and a suction grill 311 having a mesh shap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ction part 310, and through the suction grill 311. Relatively large dust and foreign matter in the air sucked in together with the heat and exhaust gases are filtered out.

상기 흡입그릴(311)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비교적 미세한 먼지 및 이물질이 걸러지는 흡입필터(312)가 장착된다. 상기 흡입필터(312)는 흡입그릴(311)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러한 흡입필터(312)를 통과하여 열기 및 배기가스가 상기 후드(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The suction filter 312 is install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suction grill 311 to filter out relatively fine dust and foreign matter. The suction filter 312 is mounted to be detachable / attachable from the suction grill 311, and the heat and exhaust gas flows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hood 300 through the suction filter 312.

상기 흡입필터(312)는 상기 흡입그릴(312)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탈착하여 세척할 수 있게 되고, 세척 후 흡입그릴(312)에 부착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suction filter 312 is detachably / attached from the suction grill 312 so that the user can be detached and washed as necessary, and the suction filter 312 can be attached to the suction grill 312 to continue to use. .

상기 후드(300)의 흡입부(310)를 통과한 열기 및 배기가스는 상기 흡입부(310)의 상측에 구비되는 후드하우징(32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후드하우징(320)의 내부 공간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가 구비되고 이러한 팬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흡입팬이 회전 운동하게 되면, 후드하우징(320)의 내부 공간에서는 흡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The heat and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art 310 of the hood 300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od housing 320 provided above the suction part 310. A fan motor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od housing 320 to generate a driving force by applying external power. When the suction fan rotate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an motor,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od housing 320. Will cause this

상기 팬모터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후드하우징(320)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흡입팬이 회전 운동하게 되며, 이러한 흡입팬의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흡인력에 의해 상기 조리기기(200)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 및 배기가스가 후드하우징(32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다. The suction fan mounted in the hood housing 320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an motor, and the suction fan is generated by the cooking apparatus 20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uction fan. The hot air and the exhaust gas are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od housing 320.

상기 후드하우징(32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열기 및 배기가스는 후드하우징(320)의 상측에 장착되는 배기덕트(330)에 의해 안내되어 주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여 배기된다. Heat and exhaust gas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od housing 320 are guided by an exhaust duct 33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od housing 320 to flow out to the outer space of the kitchen space.

상기 후드하우징(32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후드(300)를 직접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버튼이 다수 구비되어 사용자가 직접 후드(300)를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조리기기(200)와 연결되어 조리기기(200)의 작동시 후드(300)가 자동적으로 동작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ront of the hood housing 3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for allowing the user to operate the hood 300 directly, the user may be installed to operate the hood 300 directly, the cooking apparatus 200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hood 300 is installed to operate automatically when the cooking appliance 200 is connected to the.

상기 후드하우징(320)은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340),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350) 및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360),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370)가 각각 체결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플레이트들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hood housing 320 has a bottom plate 340 for forming a bottom exterior, a side plate 350 for forming a side exterior, a top plate 360 for forming a top exterior, and a rear plate 370 for forming a rear exterior.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se plates ar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각각의 플레이트들은 서로 체결되면서 상기 후드하우징(320)의외형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하면플레이트(340)는 상기 조리기기(200)의 전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공기를 보다 빨리 흡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흡입필터를 탈착하거나 부착하게 될 경우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Each plate is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hood housing 320, the lower plate 34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apparatus 200. This is for convenience when the user detaches or attaches the suction filter while allowing the user to suck the air in the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faster.

따라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상기 하면플레이트(340)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후드(300)를 사용하기 위한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상면플레이트(360)의 상측에는 상기 배기덕트(330)가 체결되어 상기 후드하우징(32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열기와 배기가스가 배기덕트(330)에 의해 안내되어 주방 공간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of convenience for the user to use the hood 300 by the lower plate 340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The exhaust duct 330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360 so that heat and exhaust gas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od housing 320 are guided by the exhaust duct 330 to the outer space of the kitchen space. Exhausted.

상기 하면플레이트(340)의 하면에는 하면커버가 장착되기도 하며, 이러한 하면커버는 상기 후드(300)를 사용하지 않게 될 때 하면플레이트(340)의 하면을 차폐함으로써 외부의 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후드하우징(3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곤충 등이 후드하우징(3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A lower cover may be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340, and the lower cover may shiel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340 when the hood 300 is not used so that external dust and foreign matter may be removed from the hood housing. This is to prevent the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320, and to prevent the insects from enter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hood housing 320.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후드(3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hood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의 배기덕트가 탈거된 상태에서 후드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의 수평조절구조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3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d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exhaust duct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드의 수평조절구조를 살펴보면, 건물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후드(300)를 지지하게 되는 고정부재(410)가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사기 고정부재(4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다소 긴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면이 건물의 내측 벽면에 접하면서 건물의 내벽 측에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Looking at the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figure shown, the fixing member 410 for supporting the hood 300 is mount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s fixed. The fraud fixing member 41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horizontal length somewhat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mounted to be fixed to the inner wall side of the building while the rear surface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상기 고정부재(410)의 하단부에는 상기 후드(300)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고정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20)는 고정부재(41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벤딩되고, 그 전단부에서 다시 상방으로 벤딩되어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410 is formed with a fixing portion 420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hood 300. The fixing part 420 is bent to extend fo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410 to have a certain length, and is bent upwardly at the front end thereof to extend to have a certain length.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420)는 상면과 양 측면이 개구된 상태로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고정부재(410)와 일체로 형성된다. Accordingly, the fixing part 42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410 forms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with an upp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thereof opened,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member 410.

즉, 상기 고정부재(410)의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벤딩되면서 연장 형성되는 전방 연장면과 그 전방 연장면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벤딩되어 연장 형성되는 상 방 연장면에 의해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고정부(420)가 형성된다. That is, an inner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410 by the front extension surface which is bent forward and extended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front extension surface. Government 420 is formed.

한편, 상기 후면플레이트(370)의 상단부는 전방으로 벤딩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e 370 is bent forward to extend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후면플레이트(370)는 상단부가 전방으로 벤딩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연장면에는 다음에 설명할 조절부재(430)가 관통되도록 조절부재홀(372)이 천공된다. 또한, 후면플레이트(370)의 일부는 상기 고정부(420)의 가로 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 또는 더 긴 가로 방향의 길이를 가지도록 상방으로 슬리팅되어 지지부(374)가 형성된다. The rear plate 37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is bent forward and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adjustment member hole 372 is perforated to allow the adjustment member 43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rear plate 370 is slit upwar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xing part 420 or a longer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part 374 is formed.

상기 지지부(374)는 상기 고정부(420)의 가로 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가로 방향의 길이를 가지도록 상방으로 슬리팅된다. 상방으로 슬리팅되면서 형성되는 지지부는 상기 후면플레이트(370)의 전방으로 벤딩된 다음 다시 상방으로 벤딩되어 일정 부분 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이러한 공간이 지지부(374)가 된다. The support part 374 is slit upward to have a horizont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xing part 420. The support portion formed while slitting upward is bent forward of the rear plate 370 and then bent upward again to secure a predetermined partial space, and this space becomes the support portion 374.

즉, 상기 고정부(420)와 상기 지지부(374)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420)가 지지부(374)보다 크기가 다소 크게 형성되어, 고정부(420)의 내부 공간에 지지부(374)가 수용되면서 지지된다. That is, the fixing part 420 and the support part 374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fixing part 420 is formed somewhat larger in size than the supporting part 374, so that the fixing part 420 is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ing part 420. The support 374 is supported while being received.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고정부(420)는 측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과 양 측면이 개구된 상태로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7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370)의 일부가 전방으로 슬리팅된 다음 다시 상방으로 벤딩되어 좌측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된다.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374)가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 부(42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면서 지지부(374)가 고정부(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된다. Looking in detail, the fixing part 4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with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pen.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74 is a part of the rear plate 370 is slit forward and then bent upward agai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The support part 374 is suppor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ing part 420 while the support part 374 formed in the substantially "┛" shape is se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ing part 420 formed in the approximately "∪" shape.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10)는 건물의 내측 벽면에 후면이 접하면서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420)가 상기 후면플레이트(370)의 슬리팅된 부분을 전방으로 통과하여 위치하게 되고, 통과하게 되는 고정부(42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지지부(374)가 수용되면서 안착되어 지지부(374)가 고정부(420)에 의해 지지된다. Accordingly, the fixing member 410 is fixed while the rea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the fixing portion 420 is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slitting portion of the rear plate 370 forward, an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part 374 is seat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xing part 420, and the support part 374 is supported by the fixing part 420.

상기 지지부(374)가 상기 고정부(420)에 수용되면서 안착되어 지지되면, 상기 후면플레이트(370)는 상기 수평조절부(400)에 의해 그 일부가 지지된다. When the support part 374 is seated and supported while being received by the fixing part 420, the rear plate 370 is partially supported by the horizontal adjusting part 400.

상기 지지부(374)의 하면에는 상기 후면플레이트(370)의 상단부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에 형성되는 상기 조절부재홀(37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조절부재(430)의 하단부가 관통하게 되는 지지부홀(376)이 천공된다.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74 allows the lower end of the adjustment member 430 to penetr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ember hole 372 formed on an extension surface extending forwardly to an upper end of the rear plate 370. The supporting hole 376 is drilled.

상기 조절부재홀(372)은 상기 고정부(420)의 가로 방향 길이 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조절부재홀(37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홀(376)도 조절부재홀(372)이 이격되는 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부재홀(372)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하게 되는 상기 조절부재(430)의 하단부가 지지부홀(376)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374)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 The adjustment member hole 37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xing portion 420, the support portion hole 376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djustment member hole 372 is also an adjustment member hole 372 is formed in the spaced apart position. Therefor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adjusting member 430 penetrating the adjusting member hole 372 upwards and downwards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374 by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hole 376.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체결되는 상기 조절부재(430)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look at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member 430 is fastened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면플레이트(370)의 상단부에서 상기 지지부(374)의 하면까지의 거리보다 길이 방향의 길이가 더 긴 조절볼트(432)로 형성되는 것을 예 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e 37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374 will be described as an adjustment bolt 432.

상기 조절부재(430)는 볼트 형상이 아닌 다른 스크류 형상 또는 링크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Of course, the adjustment member 430 may be a screw shape or a link shape other than the bolt shape.

상기 조절부재(430)는 체결되는 방향으로 긴 조절볼트(432)와 상기 조절볼트(432)와 체결되면서 조절볼트(432)이 상하 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조절너트(4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djusting member 430 includes an adjusting nut 434 which is fastened with the adjusting bolt 432 and the adjusting bolt 43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usting bolt 432 is prevented from esca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상기 조절볼트(432)의 외주면은 나사산을 가지도록 가공되며, 상기 조절너트(434)의 내주면은 조절볼트(43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가공된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usting bolt 432 is processed to have a threa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usting nut 434 is processed to form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usting bolt 432.

상기 조절볼트(432)는 상기 조절부재홀(372)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하게 되며, 조절부재홀(372)을 관통한 다음 계속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374)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홀(376)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42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지지부홀(376)을 관통한 다음 하단부가 지지부(374)의 상면에 접하도록 체결된다. The adjusting bolt 432 penetrates the adjusting member hole 372 upwards and downwards. The adjusting bolt 432 penetrates the adjusting member hole 372 and then continuously moves downward. Penetrates (376). After passing through the support hole 376 positioned above the fixing part 420, the lower end is fasten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74.

그리고, 상기 조절너트(434)는 상기 조절부재홀(372)의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볼트(432)가 조절부재홀(372)을 관통하게 될 때 체결되면서 조절너트(434)를 조절볼트(432)가 관통하게 된다. And, the adjusting nut 434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adjusting member hole 372 is fastened when the adjusting bolt 432 penetrates the adjusting member hole 372 to adjust the adjusting nut 434 adjustment bolt ( 432 will penetrate.

상기 조절너트(434)는 상기 조절부재홀(372)이 하방으로 포밍되는 형상에 의해 형성되기도 한다. 이는 조절부재홀(372)이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포밍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면, 연장되는 내면에 상기 조절볼트(43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조절볼 트(432)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사면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조절너트(434)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adjusting nut 434 may be formed by a shape in which the adjusting member hole 372 is formed downward. When the adjusting member hole 372 is formed down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extends downward, the screw surfac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djusting bolt 432 so that the adjusting bolt 432 can be fastened to the extending inner surface. By forming th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role of the adjustment nut 434 instead.

상기 조절볼트(432)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머리 부분에는 설치자가 드라이버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설치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종의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adjustment bolt 432 may be formed with a groove in the hea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nd so that the installer can rotate using a mechanism such as a driver, a kind of handle may be formed so that the installer can rotate by hand. Do.

상기 조절볼트(322)는 상기 후면플레이트(37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조절부재홀(372)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하게 되고, 조절부재홀(372)을 관통하게 되는 조절볼트(422)가 상기 조절너트(434)와 체결되면서 조절너트(434)를 관통하게 되고, 조절볼트(432)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부(374)에 형성되는 지지부홀(376)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420)에 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The adjusting bolt 322 penetrates the adjusting member hole 372 formed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e 370 from above to below, and the adjusting bolt 422 penetrating the adjusting member hole 372 is provided. The lower part of the adjusting bolt 432 passes through the support part hole 376 formed in the support part 374 while being fastened to the adjustment nut 434 and fastened to the fixing part 420. Will be placed in contact.

상기 조절부재홀(372)과 상기 지지부홀(376)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의 조절볼트(432)와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The adjustment member hole 372 and the support portion hole 376 ar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respective adjustment bolt 432 in the spaced position.

상기 조절볼트(432)는 상기 지지부(374)와 고정부(4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정도에 따라 지지부(374)와 고정부(4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adjusting bolt 432 may be mounted between the support part 374 and the fixing part 420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374 and the fixing part 420 according to the fastening degree.

즉, 상기 지지부(374)와 고정부(420)의 사이에 별도의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조절볼트(432)가 체결됨으로써 지지부(374)와 고정부(420)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거나, 좁아지게 되도록 장착됨으로써 조절볼트(432)가 측방에서 외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a separat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374 and the fixing part 420 so that the adjustment bolt 432 is fastened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part 374 and the fixing part 420 becomes wider or narrow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djustment bolt 432 by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ide by being mounted so as to.

또한, 상기 조절볼트(432)가 하방에서 외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조절볼트(432)를 상방에서 체결시키지 아니하고 하방에서 체결시키게 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justment bolt 432 may be an external force acting from below. This can be implemented by fastening the adjustment bolt 432 from the bottom without fastening.

이처럼, 상기 조절볼트(432)는 후방을 제외한 어떠한 방향에서 외력이 작용하게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설치자의 설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절볼트(432)가 상방에서 체결되는 것이 설치성 및 작업성 측면에서 이상적이다 할 것이다. As such, the adjustment bolt 432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external force acts in any direction except the rear. This can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installability of the installer is improved. Preferably, the adjustment bolt 432 is fastened from above will be ideal in terms of installation and workability.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수평조절부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look at the action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설치자는 상기 후드(300)를 설치하고자 할 때 상기 고정부재(410)를 건물의 내측 벽면에 고정시켜 주게 된다. 건물의 내측 벽면에 고정부재(410)가 일정한 수평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면, 후드(30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370)의 슬리팅되는 부분이 상기 고정부(420)에 수용되면서 안착되도록 하여 가 고정하게 된다. First, the installer is to fix the fixing member 410 to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when the hood 300 is to be installed. When the fixing member 410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horizontal, the slitting portion of the rear plate 370 forming the rear appearance of the hood 300 is accommodated in the fixing part 420 It is fixed so that it is settled down.

가(假) 고정된 상기 후드(300)를 설치자가 임의적으로 수평을 예상하여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드(300)에 구비되는 상기 수평조절부(400)는 다수가 형성되더라도 동일한 방법으로 후드(300)를 장착하게 된다. The installer will install the hood 300 fixedly fixed in anticipation of a horizontal level. At this time, even if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400 provided in the hood 300 is mounted to the hood 300 in the same manner.

그리고, 상기 후드(300)의 상기 후드하우징(320)이 일정 정도 수평을 이루게 되면, 상기 수평조절부(400)를 이용하여 후드하우징(320)의 미세한 수평을 조절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hood housing 320 of the hood 300 is leveled to a certain degree, the fine level of the hood housing 320 is adjusted using the horizontal adjusting unit 400.

상기 후드하우징(320)의 좌측단부가 우측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후드하우 징(320)의 수평이 맞지않게 되면, 상기 수평조절부(400)의 좌측에 구비되는 상기 조절볼트(432)의 체결을 풀어줌으로써 후드하우징(320)의 좌측단부가 미세하게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하여 준다. When the left end of the hood housing 320 is located above the right end and the horizontal of the hood housing 320 is not aligned, the adjustment bolt 432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400 is fastened. By adjusting the left end of the hood housing 320 is finely adjusted to move to the lower side.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 수평조절부(400)의 우측에 구비되는 상기 조절볼트(432)의 체결을 조여줌으로써 후드하우징(320)의 우측단부가 미세하게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후드하우징(320)의 수평을 조절하여 주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contrary to the above, by tightening the fastening of the adjusting bolt 432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rizontal adjusting unit 400, the right end of the hood housing 320 is adjusted to move upwards finely to the hood housing (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level of 320).

이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432)의 체결 정도에 따라서 상기 후드하우징(320)의 수평은 조절될 수 있으며, 어떤 조절볼트(432)를 사용하여 수평을 조절하게 되더라도 조절볼트(432)가 상기 지지부홀(37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조절볼트(432)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주어야 한다. As such, the horizontality of the hood housing 32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fastening degree of the adjustment bolt 432, even if the adjustment bolt 432 to adjust the horizontal using the adjustment bolt 432 the support portion. The fastening degree of the adjusting bolt 432 should be adjust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hole 376.

이는 상기 조절볼트(432)가 상기 지지부홀(376)에서 이탈하게 되면, 조절볼트(432)의 수직 방향의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게 됨으로써 정확한 수평 조절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adjusting bolt 432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hole 376, the inclination of the adjusting bolt 432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changed, so that accurate horizontal adjustment is not performed.

즉, 상기 조절볼트(432)는 상기 조절부재홀(372)과 상기 지지부홀(376)을 관통하여 수직 형태를 유지하게 되며, 조절볼트(432)가 지지부홀(376)을 이탈하게 되면, 조절볼트(432)는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며, 작은 충격에도 지지하고자 하는 위치를 이탈하게 됨으로써 조절볼트(432)가 지지부홀(376)을 이탈하지 않도록 체결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adjustment bolt 432 is maintained through the adjustment member hole 372 and the support portion hole 376 to maintain a vertical shape, when the adjustment bolt 432 leaves the support portion hole 376, adjustment The bolt 432 is not able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fastening degree so that the adjustment bolt 432 does not leave the support hole 376 by leaving the position to support even a small impact.

본 발명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더 제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ill be possible to further propose the following embodiment.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조절부가 상기 버너하우징의 상기 후면플레이트와 체결되는 것으로 예를 들고 있으나, 조리기기가 주방 공간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 버너하우징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각각 체결되거나, 측면과 후면에 모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horizontal control unit is an example of being fastened to the rear plate of the burner housing, but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kitchen space is fastened to the side or the rear of the burner housing, respectively, side and rear It is also possible to be fastened to both.

또한,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슬리팅되는 면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후드하우징의 수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후드하우징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slitting surfaces of the rear plat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opposite directions to finely adjust the horizontality of the hood housing, and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ood housing to adjust the horizontality. Will do.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고, 상기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서로 부분적으로 병합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components.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proposed by partially merg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후드의 수평조절구조에의하면, 상기 조절부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후드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djusting structure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hood by adjusting the adjusting member.

따라서, 상기 후드의 수평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수평이 조절되지 않아 장착된 후드를 탈거한 다음 다시 장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Therefore, the hood can be horizontally adjusted so that the horizontal is not adjusted so that the hood does not need to be removed and then mounted again.

또한, 상기 후드의 수평 조절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후드를 설치한 다음 외관이 미려해지며, 후드의 수평이 맞지 않게 되어 발생하게 되는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hood is possible, the appearance becomes beautiful after the hood is installed, and the user's discomfort caused by misalignment of the hood may be obtained.

나아가, 수평이 맞지 않게 장착된 후드를 탈거하여 재설치하는데 발생하게 되는 설치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time and the waste of manpower caused by removing and reinstalling the hood that is not mounted horizontally.

뿐만 아니라, 상기 후드의 사용 시간 경과에 따라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후드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 time of the hoo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usability of the hood is improved.

Claims (5)

적어도 일부가 건물의 내벽 측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내벽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A fixing part at least a part of which is fixed to the inner wall side of the building and the other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ner wall; 상기 고정부의 연장되는 일부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지지부가 형성되는 후드; 및A hood in which a support part is formed to receive at least a part of an extended part of the fixing part; And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여, 상기 후드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후드의 수평 상태를 조정하는 수평조절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후드의 수평조절구조.At least a por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and the support, the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comprising a horizontal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hoo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ho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수용된 부분에서 상기 수평조절부에 의해 후드의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후드의 수평조절구조.The support portion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to be able t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hood by the horizontal adjustment portion in th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fix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는,The support portion, 상기 후드의 외부에서 상방과 측방, 전방 중 선택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후드의 수평 상태 조정이 가능한 후드의 수평조절구조.A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capable of adjust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hood by an external force selectively applied to the top, side, and front from the outside of the hood. 건물의 내벽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A fixing member fixed to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상기 고정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지지부가 일체로 제공되고, 유체를 흡입 후 외부 공간으로 송풍하는 후드;A hood integrally provided on the fixing member, the supporting part supporting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member and blowing the fluid to the outside space;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후드의 수평 상태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조절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후드의 수평조절구조.At least a par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support, the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comprising an adjustment member provided to enable the horizontal state adjustment of the hoo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의 수평 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후방을 제외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후드의 수평조절구조.The support portion horizontal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oo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movable in the direction except the rear t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hoo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fixing member.
KR1020070002717A 2007-01-10 2007-01-10 Level regulation structure of hood KR1008388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717A KR100838883B1 (en) 2007-01-10 2007-01-10 Level regulation structure of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717A KR100838883B1 (en) 2007-01-10 2007-01-10 Level regulation structure of h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883B1 true KR100838883B1 (en) 2008-06-16

Family

ID=3977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717A KR100838883B1 (en) 2007-01-10 2007-01-10 Level regulation structure of h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88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0881A3 (en) * 2012-08-22 2014-10-15 Exklusiv-Hauben Gutmann GmbH Extractor hood with support profile
EP2896890A1 (en) * 2014-01-21 2015-07-2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multi-part suspension device for a kitchen appliance to be fixed to a wal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6038A (en) * 1988-11-02 1990-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Hood moun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6038A (en) * 1988-11-02 1990-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Hood mount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0881A3 (en) * 2012-08-22 2014-10-15 Exklusiv-Hauben Gutmann GmbH Extractor hood with support profile
EP2896890A1 (en) * 2014-01-21 2015-07-2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multi-part suspension device for a kitchen appliance to be fixed to a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5995B2 (en) Ventilation system for induction cooktop
US5446268A (en) Heat radiating device of induction heater
CA2506249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US20220146114A1 (en) Hob system
EP2918917B1 (en) Home cooking appliance
KR100838883B1 (en) Level regulation structure of hood
JPH02230026A (en) Cooking device
JP4464002B2 (en) oven
JP3735810B2 (en) Cooker
US20160131366A1 (en) Oven range ventilator with microwave compartment
KR100688663B1 (en) Structure of burner spring for electric oven range
JP4462778B2 (en) Cooker
JP2003190024A (en) Grill system
KR101542594B1 (en) Removable smokeless cooker
JP3743934B2 (en) Cooker
KR100700771B1 (en) Oven range with sliding type backgard
KR20240034033A (en) Range hood
KR100829622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100747815B1 (en) The mounting structure of ventilation filter for electric oven
KR100826707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JP2004093048A (en) Heating cookware
KR100826706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100916677B1 (en) Exhauster for cooking appliance
CN218096039U (en) Integrated kitchen
JPH0213720A (en) Packaged type gas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