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343B1 - A learner for digital mobilization of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 Google Patents

A learner for digital mobilization of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343B1
KR100838343B1 KR1020070043453A KR20070043453A KR100838343B1 KR 100838343 B1 KR100838343 B1 KR 100838343B1 KR 1020070043453 A KR1020070043453 A KR 1020070043453A KR 20070043453 A KR20070043453 A KR 20070043453A KR 100838343 B1 KR100838343 B1 KR 100838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atar
learning
learner
touch screen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신덕
김정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3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동화 구현을 위한 디지털 음성 학습기에 아바타를 이용한 다중 입력 모드의 터치스크린 구동 방식을 제공하여, 터치스크린 입력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학습 이력 등과 관련된 데이터와 결합하여 아바타 모양의 변화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성장 아바타 요소를 활용한 전자책의 컨텐츠 내용 기반의 동화 구현 자동화 및 학습자에게 동기 유발을 통한 교육 성취를 이룰 수 있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of a multi-mode input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nput learning device using an avatar in a digital voice learning device for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By providing a touch screen driving method,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an error on the touch screen input, but also to change the shape of the avatar in combination with data related to the user's learning history, and so 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assisted learning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of a multi-mode input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capable of automating content-based assimilation and achieving learning through motivation for learners.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동화책 내용 및 성장아바타를 표시하고, 선택 메뉴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과; 동화책 컨텐츠의 영역 데이터와 터치스크린의 좌표 입력을 비교하여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영역 조정부와; 동화책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스틱의 연결을 위하여 학습기에 형성된 입력단자와; 동화 학습 반복에 따라 성장 정도가 상이한 아바타 데이터와; 상기 아바타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아바타를 동적 구동시키는 아바타 동적 진화 구동부와; 동화 학습 반복에 따른 성장아바타의 정도를 수치화한 아바타 성장 정보 데이터와;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와 성장아바타의 정도를 수치화한 아바타 성장 정보 데이터를 결합하여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구분한 학습 레벨 데이터를 갱신하는 갱신구동부와; 선택된 동화책의 컨텐츠에 따른 아바타의 방향 변환 및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선택된 동화책에서 컨텐츠의 음성 출력을 위한 음성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storybook and the growth avatar, and inputting a selection menu; An input area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 input area by comparing area data of a moving picture book content with coordinate input of a touch screen; An input terminal formed on the learner to connect the memory stick in which the book contents are stored; Avatar data having different degrees of growth in accordance with the repetition of the fairy tale learning; An avatar dynamic evolution driver for dynamically driving an avatar selected from the avatar data; Avatar growth information data quantifying the degree of growth avatar according to the assimilation learning iteration; Storage means for storing learning data of the learner; An update driver for combining the learning data of the learner and the avatar growth information data quantifying the degree of the growth avatar, to update the learning level data for classifying the learner's learning level;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avatar and input of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fairy tale boo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moving picture realization learner having a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comprising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of content in a selected moving picture book,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Description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 및 그 구동 방법{Dynamic Avatar Guided multimode Story Talker on Touch Screen}Learner of multi-imaging input digital animation with touch screen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Dynamic Avatar Guided multimode Story Talker on Touch Scre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of a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with a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10: digital fairy tale realization learner

12 : 터치스크린12: touch screen

14 : TIC14: TIC

16 : CPU16: CPU

18 : 메모리부18: memory

20 : 음성출력부20: audio output uni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동화 구현을 위한 디지털 음성 학습기에 아바타를 이용한 다중 입력 모드의 터치스크린 구동 방식을 제공하여, 터치스크린 입력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학습 이력 등과 관련된 데이터와 결합하여 아바타 모양의 변화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성장 아바타 요소를 활용한 전자책의 컨텐츠 내용 기반의 동화 구현 자동화 및 학습자에게 동기 유발을 통한 교육 성취를 이룰 수 있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of a multi-mode input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nput learning device using an avatar in a digital voice learning device for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By providing a touch screen driving method,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an error on the touch screen input, but also to change the shape of the avatar in combination with data related to the user's learning history, and so 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assisted learning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of a multi-mode input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capable of automating content-based assimilation and achieving learning through motivation for learners.

일반적으로 유아들을 위한 동화 구현은 책이나 비디오 또는 인형극을 통하여 학습시키고 있는 것이 보편적이고, 그 중에서도 책을 통하여 많은 동화를 들려주고 있는 실정에 있다.In general, fairy tales for children are commonly taught through books, videos, or puppet shows. Among them, many fairy tales are told through books.

그러나, 책에는 그 동화의 줄거리에 맞게 배경 그림과 등장하는 인물들이 단순히 정지된 그림으로 표현됨과 함께 음성 및 생동감이 없기 때문에 유아들은 머리속에 오래 기억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흥미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되어 학습에 큰 효과를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book, the background picture and the characters appearing according to the story of the fairy tale are simply expressed as a stationary picture and there is no voice and livelines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does not have a great effect.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은 디지털 방식의 동화 구현 학습기가 출시 되고 있다.In view of this, the following digital assimilation learner is being released.

첫째, 전자펜 방식의 동화 구현 학습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이 기기는 학습기 본체에 동화 구현을 원하는 페이지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 전자펜을 이용하여 페이지 상에 지정된 위치를 누르게 되면, 해당 영역과 연관된 동화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의 기기이다.First, an electronic pen-type fairy tale learner is being released. When the user presses a designated position on the page using the electronic pen while the page desired to implement the fairy tale is placed on the main body of the learner, the fairy tal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area is displayed. It is a device of the method of outputting voice.

그러나, 전자펜 방식의 동화 구현 학습기는 펼처진 페이지를 정해진 방법으로 학습기에게 입력으로 주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학습자가 수동으로 페이지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과 해당 책의 제작시 페이지를 자동으로 인식 가능하게 특수한 처리를 하여 해주어야 하며, 특히 전자펜 방식의 동화 구현 학습기는 그 동화 구현의 순서가 동화책에 나타난 캐릭터 별로 순서가 있는 경우, 펜의 잘못된 입력으로 인하여 동화책의 이야기 흐름이 의도하는 학습 효과를 무시한 순서로 진행되며 음성 출력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electronic pen type fairy tale learner should give the unfolded page as input to the learner in a predetermined way, and for this purpose, the learner manually inputs page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page when the book is produced. In particular, the electronic pen type fairy tale learner learns that the order of the fairy tale implementation is in order of each character shown in the fairy tale book. There is a drawback of generating voice output.

둘째, 모터 구동방식의 동화 구현 학습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이는 학습기 자체에 모터가 구비되고, 동화책 내용이 모터와 연결된 롤에 특수한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바, 이 롤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면서 무조건 순차적으로 해당 그림과 일치하는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Second, there is a motor-driven assimilation learner is released, which is equipped with a motor in the learner itself, the contents of the assimilation book is recorded on a special medium on the roll connected to the motor, the roll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unconditionally Will output the voice that matches the picture.

그러나, 모터 구동방식의 동화 구현 학습기는 배터리 전원으로 구동되는 학습기에서는 치명적인 전력소모가 많게 되며, 사용자가 중간 부분까지 읽고 다시 그 부분부터 읽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페이지로 바로 접근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e motor-driven assimilation learner has a lot of fatal power consumption in the battery-powered learner, and if the user wants to read from the middle part and read from the part again, the desired page cannot be directly accessed.

셋째, LCD 모니터를 장착한 동화 구현 학습기가 출시되고 있는 바, 이는 모 터 구동방식의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장점이 있지만, 동화책 내용의 선택 및 원하는 페이지로의 이동을 별도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휴대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Thirdly, there is an advantage of overcoming the problems of the motor driving method, but there is a disadvantage of using a separate input device for selecting the contents of the book and moving to a desired page.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s not portable.

넷째, 동화 구현을 위한 원하는 정보 및 페이지 선택 등을 손으로 직접 터치하여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의 동화 구현 학습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여기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은 키보드(keyboard)나 마우스(mouse) 등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장치로써, CRT나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한 후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표시되는 문자나 텍스트 정보를 손이나 펜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 직관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한 장치이며, 최근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 및 휴대용 정보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 PDA)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Fourth, a touch screen input method of learning a fairy tale, which is performed by directly touching a desired information and page selection for realizing a fairy tale, has been released, and the touch screen applied thereto is a keyboard or a mouse. As a device that can replace the input device, it is attached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 CRT or LCD, and then touches a character or tex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ith a hand or a pen to perform a desired task. Intuitive work is a device that can be performed in recent years, has been applied to a variety of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대개, 상기 터치스크린은 전체영역이 활성영역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입력이 발생되기 쉽고, 이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입력이 발생되어 예상치 못한 동작이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터치패널의 전체영역 중 일정 영역만을 활성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활성영역 내에 존재하는 터치입력에 대해서만 응답하도록 처리함으로써 입력상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등록특허(등록번호: 제10-522940호(2005.10.13))에 개시되어 있다.In general, since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screen is set as an active area, it is easy to generate a touch input not intended by the user, and in this case, an unexpected operation is performed because an unintended touch input is genera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for reducing an input error by processing only a predetermined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panel as an active area and responding only to a touch input existing in the set active area is registered. 10-522940 (October 13, 2005).

하지만, 위의 등록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은 정확히 작업의 프로세서를 인지하고 있는 성인에게는 적합한 입력수단일 수 있겠지만, 취학 전후 아동이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 구현 기기에 적용하는 경우, 잘못된 조작 운용으로 단순히 말하는 장난감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연령이 터치스크린 입력 시스템을 독자적으로 인지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힘들기 때문이고, 결국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동화 구현 기기의 근본적인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기 힘들 뿐만아니라 사용자는 짧은 시간에 기기에 대하여 실증을 느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may be an input means suitable for an adult who correctly recognizes the processor of the work, but when applied to an assimilation device targeting children or toddlers before and after school, It is possible to become a toy that simply speaks through operation oper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s age to recognize the touch screen input system independently and use it efficiently, thus achieving the fundamental educational goal of the device for implementing fairy tales using the touch screen. Not only is it hard to do,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feel proof about the device in a short time.

이에, 새로운 터치스크린 방식의 동화 구현 기기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new touch screen mov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된 결과물로서, 터치스크린의 전체영역 중 동화책의 배경 그림 및 등장 캐릭터와 연관 지어 동화 진행에 따른 특정 배경 영역에서만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하고, 동시에 아바타가 출현하여 동화의 진행 순서를 안내함으로서, 유아 사용자의 정확한 입력을 유도 할 수 있도록 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tudi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user's input is possible only in a specific background area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the fairy tale in association with the background picture of the fairy tale book and the appearance character of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screen, and the avatar appears at the same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arner and a method of driving a digital fairy tale of a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to guide the child's accurate input by guiding the progress of the fairy ta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상에 등장하는 아바타를 그 입력 모드에 따라 아바타의 역할 정도가 달리 구성함과 함께 아바타의 외형도 다르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성취 만족도를 충족시켜 줄 수 있고, 또한 아바타의 모양 및 형상이 사용자의 학습 이력 등과 관련된 데이터와 결합하여 변화가 되도록 함으로써, 성장 아바타 요소를 활용한 전자책의 컨텐츠 내용 기반의 동화 구현 자 동화 및 학습자에게 동기 유발을 통한 교육 성취를 이룰 수 있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avatar appearing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mode and the appearance of the avatar is displayed differently, thereby satisfying the learning achievement satisfaction of the user, In addition, the shape and shape of the avatar is combined with the data related to the user's learning history, so that the avatar can be changed to achieve educational achievement by inducing fairy tales based on the content content of e-books utilizing growth avatar elements and inducing motivation to learners. Disclosed is a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having a multi-mode input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드웨어적 구성에 있어서, 기존과 달리 터치스크린의 입력이 입력영역 밖에서 발생한 경우, CPU를 거치지 않고 바로 터치스크린 부분으로 컨트롤이 반환 가능한 경로를 만들어 줌으로써, 휴대용 기기인 경우 추가적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ardware configuration,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where the input of the touch screen outside the input area, by creating a path that can be returned to the control directly to the touch screen portion without going through the CPU, if the portable device additio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rner for digital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of a multi-mode input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which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동화책 내용 및 성장아바타를 표시하고, 선택 메뉴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과; 동화책 컨텐츠의 영역 데이터와 터치스크린의 좌표 입력을 비교하여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영역 조정부와; 동화책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스틱의 연결을 위하여 학습기에 형성된 입력단자와; 동화 학습 반복에 따라 성장 정도가 상이한 아바타 데이터와; 상기 아바타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아바타를 동적 구동시키는 아바타 동적 진화 구동부와; 동화 학습 반복에 따른 성장아바타의 정도를 수치화한 아바타 성장 정보 데이터와;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와 성장아바타의 정도를 수치화한 아바타 성장 정보 데이터를 결합하여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구분한 학습레벨 데이터를 갱신하는 갱신구동부와; 선택된 동화책의 컨텐츠에 따른 아바타의 방향 변환 및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선택된 동화책에서 컨텐츠의 음성 출력을 위한 음성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를 제공한다.A touch screen that displays the contents of a fairy tale book and growth avatars and enables input of a selection menu; An input area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 input area by comparing area data of a moving picture book content with coordinate input of a touch screen; An input terminal formed on the learner to connect the memory stick in which the book contents are stored; Avatar data having different degrees of growth in accordance with the repetition of the fairy tale learning; An avatar dynamic evolution driver for dynamically driving an avatar selected from the avatar data; Avatar growth information data quantifying the degree of growth avatar according to the assimilation learning iteration; Storage means for storing learning data of the learner; An update driver which combines the learner's learning data with the avatar growth information data quantifying the degree of the growth avatar and updates the learning level data for classifying the learner's learning level;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avatar and input of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fairy tale boo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having a multi-mode input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comprising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voice content of a selected moving picture book.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터치스크린에 메인 메뉴의 표시 및 원하는 기능의 선택을 유도하는 성장 캐릭터가 등장하는 단계와; 학습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동화 종류 및 동화 진행을 위한 다중 입력 모드중 하나를 입력하는 단계와; 선택된 동화 컨텐츠의 학습 정보가 학습기의 환경 정보 파일로 부터 읽어와져서 저장 데이터의 해당 수치에 상응하는 성장 아바타의 기본 형태에 외형 변화가 발생되고, 성장이 완료된 아바타는 선택된 북의 인트로 및 학습 히스토리의 소개후, 컨텐츠 북의 목차 페이지를 표시하는 안내를 하는 단계와; 학습자는 음성 출력을 희망하는 경우, 터치스크린 면적중 특정 위치를 터치시킴으로써, 선택된 위치의 좌표를 학습기에서 판독하여 해당 음성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로 부터 읽어와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Displaying a growing character on the touch screen of the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which induces a display of a main menu and selection of a desired function; A learner inputting one of a moving picture type and a multiple input mode for moving the moving picture through a touch screen; The learn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fairy tale content is read from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ile of the learner, and the appearance changes to the basic shape of the growth avata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value of the stored data. The avatar has completed the intro and learning history of the selected book. After the introduction, guiding to display a contents page of the content book; If the learner wants to output the voice, by touching a specific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area, the learner reads the coordinates of the selected position in the learner to read the voice content from the memory card and output the voice;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of a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comprising a.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에 연결되는 메모리 카드가 최초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의 경우에는 저장된 동화의 종류에 대한 선택정보만을, 재사용하는 메모리 카드의 경우에는 저장된 동화의 종류 뿐만아니라 기실행된 학습데이터를 동시에 터치스크린에 나타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emory card connected to the digital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learner only executes the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stored moving picture in the case of the memory card used for the first time, and the type of the moving picture stored as well as the stored moving picture in the case of the reusing memory c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rning data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t the same time.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다중 입력 모드는:In another embodiment, the multiple input mode is:

아바타가 등장하지만 동화 학습의 진행에 관여하지 않고, 학습자의 입력과 이 입력에 따른 진행 결과만을 생성하는 랜덤 모드와; 아바타가 등장하지만 학습의 진행에 관여하지 않고, 동화책 컨텐츠의 진행 순서에 따라, 그 내용을 순서대로 자동 실행시키는 자동 시퀀스 모드와; 아바타가 등장하지만 마찬가지로 학습의 진행에 관여하지 않고, 동화책의 진행 순서에 의해 그 내용이 자동으로 순차 실행되되, 터치스크린상에 다음 내용을 보기 위해 설정된 다음 입력영역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제한 시퀀스 모드와; 아바타가 등장하여 동화 진행을 순서적으로 관여하면서 항상 다음 진행 방향을 아바타가 알려주는 안내를 하게 되고, 동시에 터치스크린상의 다음 입력영역 외의 영역에서도 터치스크린 입력이 가능한 아바타-가이드 시퀀스 모드와; 아바타가 등장하여 동화 진행을 순서적으로 관여하면서 항상 다음 진행 방향을 알려주고, 이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아바타가 안내 유도하는 입력영역외에 다른 입력 영역에서는 입력이 되지 않도록 한 아바타-가이드 제한 시퀀스 모드;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andom mode in which an avatar appears but is not involved in the progression of fairy tales, and generates only a learner's input and a progress result according to the input; An automatic sequence mode in which an avatar appears but does not participate in learning and automatically executes the contents in ord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fairy tale book contents; A limited sequence mode in which an avatar appears but similarly does not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cess, and its contents are automatically executed in sequence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the storybook, and only the next input area set for viewing the next contents on the touch screen can be entered. Wow; Avatar appears to be involved in the progression of the fairy tale, the avatar always guides the direction of the next progress, and at the same time the avatar-guide sequence mode that can be touch screen input in the area other than the next input area on the touch screen; An avatar-appearing involvement in the progression of the assimilation and always indicating the next direction of progression, wherein the avatar-guide restriction sequence mode prevents input from any other input area other than the input area guided by the avatar on the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실행으로 얻어진 학습 경과를 학습기의 환경 정보 파일에 기록함으로써, 이후 학습에서의 성장 캐릭터 변화에 반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learning progress obtained by the execution of the digital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learner is recorded i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ile of the learner, so that it is reflected in the growth character change in subsequent learn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은 그림 동화책 내용과 다양한 외관의 아바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 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서,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아바타의 선택, 동화 컨텐츠의 선택, 음성 출력의 명령 입력 등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아바타의 성장 상황와 학습 성취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The touch screen shown in FIG. 1 is a means for visually displaying a picture fairy tale book content and avatars of various appearances and receiving input from a user, through which a user selects an avatar, a moving picture content, and a voice output. Command input and the like may be selected, and the growth status and learning achievement information of the avatar may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10)는 터치스크린(12)의 입력영역 조정부로서, TIC(14 : Touchpad Interface Controller)를 포함하는 바, 이 TIC(14)는 동화책 컨텐츠의 영역 데이터와 터치스크린의 좌표 입력을 비교하여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역할 즉, 터치스크린의 입력 좌표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동화책 컨텐츠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영역 및 동화책 컨텐츠의 진행 순서에 따른 터치스크린상에서의 입력 영역을 설정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learn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pad interface controller (TIC) 14 as an input area adjusting unit of the touch screen 12, and the TIC 14 includes area data and touches of moving picture book contents. Set the input area by comparing the coordinate input of the screen, that is, convert the input coordinates of the touch screen into digital values, and control the setting of the area extracted from the contents of the story book contents and the input area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s of the story book contents. It plays a role.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10)에 포함된 CPU(16)는 터치스크린(12)의 입력 영역 설정에 따른 아바타의 방향과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학습 데이터에 의한 현재의 아바타의 성장 데이터를 갱신하고 이에 따른 표시될 새로운 아바타의 설정 등 모든 아바타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어부는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와 성장아바타의 정도를 수치화한 아바타 성장 데이터를 결합하여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구분한 학습레벨 데이터를 갱신하는 갱신구동부와, 상기 아바타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아바타를 동적 구동시키는 아바타 동적 진화 구동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PU 16 included in the digital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learn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and movement of the avatar according to the input area setting of the touch screen 12. It updates the growth data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all avatars, such as setting new avatars to be displayed. The control unit combines the learner's learning data with the avatar's growth data quantified by the growth avatars to learner's learning level. And an update driver for updating the learning level data obtained by classifying the learning level data, and an avatar dynamic evolution driver for dynamically driving the avatar selected from the avatar data.

이때, 상기 성장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의 학습 데이터 기반으로 작성되며, 상기 학습 데이터는 주어진 동화책의 진행 상태와 반복 학습 상황에서 사용자가 대처하는 방법으로부터 산출되며, 이를 위하여 학습 확인을 위한 추가적인 질문이 아바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growth information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learning data, and the learning data is calculated from the user's coping method in the progress state and the repeated learning situation of a given fairy tale book. It can be done through.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10)에 포함된 메모리부(18)는 성장 정도에 따라 다양한 외관을 가지는 아바타 데이터 및 이를 수치화한 성장 정보 데이터, 사용자의 학습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곳으로서, 동화 학습 반복에 따라 성장 정도가 상이한 아바타 데이터와, 동화 학습 반복에 따른 성장아바타의 정도를 수치화한 아바타 성장 데이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18 included in the digital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learn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ce for storing avatar data having various appearances, growth information data obtained by quantifying the same, and learning data of the user. Avatar data having different growth levels according to the fairy tale learning iterations, and avatar growth data quantifying the degree of growth avatar according to the fairy tale learning iterations.

그 밖에 본 발명의 동화 구현 학습기는 선택된 동화책에서 컨텐츠의 음성 출력을 위한 음성출력부(20), 음성 명령 및 센싱 입력부, 학습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이들 구성은 학습기 외부에 설계된 기능 버튼과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iry tale implementation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output unit 20, a voice command and sensing input unit, and a user interface of the learner for outputting the voice of the content in the selected fairy tale book. Can be run through the screen.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전원 인가와 동시에, 터치스크린에 메인 메뉴의 표시 및 원하는 기능의 선택을 유도하는 성장 캐릭터가 등장하는 단계가 진행된다.First, a step of appearing a growing character that induces the display of the main menu and selection of a desired function on the touch screen at the same time as the power supply of the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is applied.

이때, 성장 캐릭터 기본 형태를 유지하며 동화 구현 컨텐츠가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의 인식과 동시에 저장된 동화의 종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안내하게 된다.At this time,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orm of the growth character, and simultaneously with the recognition of the memory card in which the moving image realization content is embedded, the user guides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stored moving image.

반면에, 상기 메모리 카드의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성장캐릭터에서 메모리 카드의 입력을 유도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the memory card, the growth character outputs a guide message for inducing the input of the memory card.

상기 메모리 카드의 인식후, 저장된 동화의 종류에 대한 선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두 가지로 이루어진다.After recognition of the memory card, there are two steps for providing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type of moving picture stored.

첫째는 최초 사용의 경우로서, 해당 메모리 카드의 삽입과 동시에 학습기의 환경 정보 파일에 해당 메모리 카드를 등록 한 후, 해당 데이터를 터치스크린 화면에 나타내며, 동시에 사용자에게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동화의 종류에 대한 선택정보를 제공한다.The first is the case of the first use, after registering the memory card in the learner's environment information file at the same time as the memory card is inserted, the data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user can Provide optional information.

둘째는 재사용의 경우로서, 해당 메모리 카드의 삽입과 동시에 학습기의 환경 정보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메모리 카드와 연관된 학습 데이터를 화면에 나타내며, 동시에 사용자에게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동화의 종류에 대한 선택정보를 제공한다.Secondly, in case of reuse, the learn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memory ca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search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ile of the learner as soon as the memory card is inserted,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the user with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type of moving picture stored in the memory card. do.

즉, 최초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의 경우에는 저장된 동화의 종류에 대한 선택정보만을, 재사용하는 메모리 카드의 경우에는 저장된 동화의 종류 뿐만아니라 기실행된 학습데이터를 동시에 터치스크린에 나타내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memory card used for the first time, only the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stored moving picture is displayed, and in the case of the reusing memory card, not only the type of the stored moving picture but also the previously executed learning data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이어서, 학습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동화 종류 및 동화 진행 과정을 선택하는 다중 입력 모드중 하나를 입력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learner inputs one of multiple input modes for selecting a moving picture type and moving picture progress process through the touch screen.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다중 입력 모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the multi-inpu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hrough the touch screen will be described.

1) 램덤 모드(Random mode)1) Random mode

아바타가 등장하지만 동화 학습의 진행에 관여하지 않고, 학습자의 입력과 이 입력에 따른 진행 결과만을 생성한다. 즉,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 보이는 어떠한 등장 캐릭터를 클릭하더라도 거기에 해당되는 이벤트(event)를 출력으로 얻을 수 있다. The avatar appears, but is not involved in the progression of the fairy tale, but generates only the learner's input and the progress result according to the input. That is, the user may obtain an even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appearing on the touch screen as an output.

2) 자동 시퀀스 모드(Auto sequential mode)2) Auto sequential mode

아바타가 등장하지만 학습의 진행에 관여하지 않고, 동화책 컨텐츠의 진행 순서에 따라, 그 내용을 순서대로 자동 실행시킨다.The avatar appears, but does not engage in the progress of learning, and automatically executes the contents in ord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s of the fairy tale book.

이 모드에서는 페이지가 터치스크린에 나타난 후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동화 구현의 이벤트(event)가 정해진 순서대로 진행되며, 이때 아바타 또한 정해진 활동을 보여준다.In this mode, after the pag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events of the fairy tale implementation proceed in a predetermined order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the avatar also shows the predetermined activity.

3) 제한 시퀀스 모드(Restricted sequential mode)3) Restricted sequential mode

아바타가 등장하지만 마찬가지로 학습의 진행에 관여하지 않고, 동화책의 진행 순서에 의해 그 내용이 자동으로 순차 실행되되, 터치스크린상에 다음 내용을 보기 위해 설정된 다음 입력영역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음 입력영역외 영역을 터치하여 입력하는 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The avatar appears, but similarly does not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cess, the contents are automatically executed in sequence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the fairy tale book, so that only the next input area set for viewing the next content on the touch screen can be inputted. An input error that is input by touching an area outside the area can be prevented.

즉, 동화 구현이 자동으로 실행되지만 한 시퀀스(sequence)의 종료 후, 다음 시퀀스로의 진행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서 가능하게 되며, 이때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영역에 있는 캐릭터가 선택되어 졌을때만 가능하게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다음 시퀀스로의 진행이 불가능하다.That is, the animation implement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but after the end of one sequence,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next sequence is possible by receiving input from the user, and only when a character in the area that can receive the input is selected. Otherwise, it is impossible to proceed to the next sequence.

4) 아바타-가이드 시퀀스 모드(Avatar-guided sequential mode)4) Avatar-guided sequential mode

아바타가 등장하여 동화 진행을 순서적으로 관여하면서 항상 다음 진행 방향을 아바타가 알려주는 안내를 하게 되고, 동시에 터치스크린상의 다음 입력영역 외의 영역에서도 터치스크린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When the avatar appears and participates in the progression of the assimilation, the avatar always informs the next progress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touch screen can be input even in an area other than the next input area on the touch screen.

5) 아바타-가이드 제한 시퀀스 모드(Avatar-guided restricted sequential mode)5) Avatar-guided restricted sequential mode

아바타가 등장하여 동화 진행을 순서적으로 관여하면서 항상 다음 진행 방향을 알려주고, 이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아바타가 안내 유도하는 입력영역외에 다른 입력 영역에서는 입력이 되지 않도록 한다.The avatar appears and continuously instructs the progression of the assimilation, and always informs the direction of the next progression. In this case, the input is not input in any other input area other than the input area guided by the avatar on the touch screen.

이러한 동작모드 결정 후, 선택된 컨텐츠의 학습 정보가 학습기의 환경 정보 파일로 부터 읽어와져서 저장 데이터의 해당 수치에 상응하는 성장 아바타의 기본 형태에 외형 변화를 주게 되며, 성장이 완료된 아바타는 선택된 북의 인트로 및 학습 히스토리의 소개후, 컨텐츠 북의 목차 페이지를 표시하는 안내를 하게 된다.After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the learn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is read from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ile of the learner to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growth avata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value of the stored data.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ro and learning history, a guide is displayed to display the contents page of the content book.

한편, 학습자는 음성 출력을 희망하는 경우, 터치스크린 면적중 컨텐츠 북의 해당 페이지의 특정 위치를 터치시킴으로써, 선택된 위치의 좌표를 학습기에서 판독하여 해당 음성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로 부터 읽어와 음성으로 출력하는 과정이 진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arner wants to output the voice, by touching a specific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page of the content book in the touch screen area, the learner reads the coordinates of the selected position by the learner and reads the corresponding voice content from the memory card and outputs the voice. The process goes on.

예를 들어 음성 출력의 순서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번으로 발생하여 야 하는 동화책 내용이 터치스크린에 나타났을 때, 실제 터치스크린 상에는 말 풍선은 표시되지 않고, 음성으로 그 내용이 출력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contents of a storybook that should be generated in sequence appear on the touch screen, a speech bubble is not displayed on the actual touch screen, and the contents are output by voice. .

이와 동시에 학습 경과를 학습기의 환경 정보 파일에 기록함으로써, 이후 학습에서의 성장 캐릭터 변화에 반영하도록 한다.At the same time, the progress of the learning is recorded i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ile of the learner, so that it can be reflected in the growth character change in subsequent learning.

이때, 터치스크린을 통해 선택된 위치의 좌표는 전 단계에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학습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선택입력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안내된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한다.At this time,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selected through the touch screen determine whether the learning proceed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determined in the previous step, and the selection input is selected by touching an area guided through the touch screen.

한편, 기존과 달리 터치스크린의 입력이 입력영역 밖에서 발생한 경우, CPU를 거치지 않고 바로 터치스크린 부분으로 컨트롤이 반환 가능한 경로를 만들어 줌으로써, 휴대용 기기인 경우 추가적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when the input of the touch screen occurs outside the input area, the control returns to the touch screen par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PU,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in the case of a portable device.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동화구현 학습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TIC 유니트가 배치되는 바, 상기 터치패널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 정보는 TIC의 A/D 컨버터를 통하여 X, Y 좌표의 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고, 이 값은 TIC 버펴에 저장되어 있는 입력 가능 영역의 좌표 집합과 비교되며, 이때 터치 입력으로부터 산출된 좌표값이 입력 가능한 영역내의 경우 이 결과는 CPU로 전달되어 이후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반대로 터치 입력으로부터 산출된 좌표값이 입력 가능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TIC는 터치입력에 대한 응답을 CPU로 보내지 않고 직접 터치스크린 입력 모드로 컨트롤을 반환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C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CPU and the display module, the lo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via the touch panel is a T / A converter of the TIC By converting the information of X, Y coordinates into digital values, this value is compared with the set of coordinates of the inputtable area stored in the TIC buffer, and this result is obtained when the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the touch input is within the inputable area. If the coordinate value calculated from the touch input does not exist in the inputable area, the TIC returns control to the touch screen input mode directly without sending a response to the CPU to the CPU. Done.

또한, TIC 버퍼에 저장된는 입력 가능 영역의 좌표 집합은 동화책의 동화 구 현 모드와 해당 페이지의 음성 출력의 이벤트 시퀀스 순서 정보를 CPU가 조합하여 생성하게 되며, 이 결과는 TIC로 보내져 버퍼에 저장되며 동화 구현이 진행됨에 따라 동화책의 정보를 메모리 스틱으로부터 읽어와 좌표 정보는 자동으로 갱신된다.In addition, the set of coordinates of the inputtable area stored in the TIC buffer is generated by the CPU combining the moving picture realization mode of the moving picture book and the event sequence order information of the audio output of the corresponding page, and the result is sent to the TIC and stored in the buffer. As the implementation proceeds, the coordinate book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updated by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storybook from the memory stick.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터치스크린의 전체영역 중 동화책의 배경 그림 및 등장 캐릭터와 연관 지어 동화 진행에 따른 특정 배경 영역에서만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하고, 동시에 아바타가 출현하여 동화의 진행 순서를 안내함으로서, 유아 사용자의 정확한 입력을 유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moving picture realization learner having a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background picture of the whole book of the touch screen and the characters to proceed with the moving picture The user's input is possible only in the specific background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 avatar appears to guide the progress of the fairy tale, thereby inducing the accurate input of the infant user.

또한, 터치스크린상에 등장하는 아바타를 그 입력 모드에 따라 아바타의 역할 정도가 달리 구성함과 함께 아바타의 외형도 다르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성취 만족도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avatar appearing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mode, the appearance of the avatar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thereby satisfying the learning achievement satisfaction of the user.

또한, 아바타의 모양 및 형상이 사용자의 학습 이력 등과 관련된 데이터와 결합하여 변화가 되도록 함으로써, 성장 아바타 요소를 활용한 전자책의 컨텐츠 내용 기반의 동화 구현 자동화 및 학습자에게 동기 유발을 통한 교육 성취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and shape of the avatar is changed in combination with data related to the user's learning history, so as to achieve educational achievement by automating the implementation of fairy tale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e-book utilizing growth avatar elements and inducing motivation to the learners. Can be.

Claims (5)

동화책 내용 및 성장 아바타를 표시하고, 선택 메뉴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과;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 fairy tale book content and a growing avatar, and inputting a selection menu; 동화책 컨텐츠의 영역 데이터와 터치스크린의 좌표 입력을 비교하여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영역 조정부와;An input area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 input area by comparing area data of a moving picture book content with coordinate input of a touch screen; 동화책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스틱의 연결을 위하여 학습기에 형성된 입력단자와;An input terminal formed on the learner to connect the memory stick in which the book contents are stored; 동화 학습 반복에 따라 성장 정도가 상이한 성장 아바타 데이터와;Growth avatar data having different growth rates according to the assimilation learning repetition; 상기 성장 아바타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성장 아바타를 동적 구동시키는 성장 아바타 동적 진화 구동부와;A growth avatar dynamic evolution driver for dynamically driving a growth avatar selected from the growth avatar data; 동화 학습 반복에 따른 성장 아바타의 정도를 수치화한 성장 아바타 성장 데이터와;Growth avatar growth data quantifying the degree of growth avatar according to the assimilation learning repetition;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Storage means for storing learning data of the learner;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와 성장 아바타의 정도를 수치화한 성장 아바타 성장 정보 데이터를 결합하여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구분한 학습레벨 데이터를 갱신하는 갱신구동부와;An update driver for combining the learner's learning data with the growth avatar growth information quantifying the degree of the growth avatar to update the learning level data for classifying the learner's learning level; 선택된 동화책의 컨텐츠에 따른 성장 아바타의 방향 변환 및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controlling a direction change of the growth avatar and an input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fairy tale book; 선택된 동화책에서 컨텐츠의 음성 출력을 위한 음성출력부;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of content in the selected fairy tale book;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with a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터치스크린에 메인 메뉴의 표시 및 원하는 기능의 선택을 유도하는 성장 아바타가 등장하는 단계와;Displaying a growing avatar on the touch screen of the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to guide the display of the main menu and selection of a desired function; 학습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동화 종류 및 동화 진행을 위한 다중 입력 모드중 하나를 입력하는 단계와;A learner inputting one of a moving picture type and a multiple input mode for moving the moving picture through a touch screen; 선택된 동화 컨텐츠의 학습 정보가 학습기의 환경 정보 파일로 부터 읽어와져서 저장 데이터의 해당 수치에 상응하는 성장 아바타의 기본 형태에 외형 변화가 발생되고, 성장이 완료된 성장 아바타는 선택된 북의 인트로 및 학습 히스토리의 소개후, 컨텐츠 북의 목차 페이지를 표시하는 안내를 하는 단계와;The learn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moving picture content is read from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ile of the learner so that the appearance changes to the basic shape of the growth avata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value of the stored data, and the growth avatar in which the growth is completed is intro and the learning history of the selected book.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guide, displaying the contents page of the content book; 학습자는 음성 출력을 희망하는 경우, 터치스크린 면적중 특정 위치를 터치시킴으로써, 선택된 위치의 좌표를 학습기에서 판독하여 해당 음성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로 부터 읽어와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구동 방법.If the learner wants to output the voice, by touching a specific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area, the learner reads the coordinates of the selected position in the learner to read the voice content from the memory card and output the voice; And a method of driving a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having a multi-mode input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에 연결되는 메모리 카드가 최초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의 경우에는 저장된 동화의 종류에 대한 선택정보만을, 재사용하는 메모리 카드의 경우에는 저장된 동화의 종류 뿐만아니라 기실행된 학습데이터를 동시에 터치스크린에 나타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구동 방법.In the case of the memory card used for the first time by the memory card connected to the digital moving picture realization learner, only the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stored moving picture is touched. A method of driving a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with a multi-mode input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a scree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중 입력 모드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ultiple input mode is: 성장 아바타가 등장하지만 동화 학습의 진행에 관여하지 않고, 학습자의 입력과 이 입력에 따른 진행 결과만을 생성하는 랜덤 모드와;A random mode in which a growing avatar appears but does not participate in the progression of fairy tales, and generates only a learner's input and a progress result according to the input; 성장 아바타가 등장하지만 학습의 진행에 관여하지 않고, 동화책 컨텐츠의 진행 순서에 따라, 그 내용을 순서대로 자동 실행시키는 자동 시퀀스 모드와;An automatic sequence mode in which a growing avatar appears but does not participate in learning and automatically executes the contents in ord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tents of the story book; 성장 아바타가 등장하지만 마찬가지로 학습의 진행에 관여하지 않고, 동화책의 진행 순서에 의해 그 내용이 자동으로 순차 실행되되, 터치스크린상에 다음 내용을 보기 위해 설정된 다음 입력영역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제한 시퀀스 모드와;The growth avatar appears, but similarly, it is not involved in the learning process, and its contents are automatically execut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the fairy tale book, and the restriction sequence allows the user to input only the next input area set for viewing the next content on the touch screen. Mode; 성장 아바타가 등장하여 동화 진행을 순서적으로 관여하면서 항상 다음 진행 방향을 성장 아바타가 알려주는 안내를 하게 되고, 동시에 터치스크린상의 다음 입력영역 외의 영역에서도 터치스크린 입력이 가능한 성장 아바타-가이드 시퀀스 모드와;The growth avatar appears and participates in the assimilation process in sequence, and the growth avatar always informs the direction of the next progression, and at the same time, the growth avatar-guide sequence mode enables touch screen input in areas other than the next input area on the touch screen. ; 성장 아바타가 등장하여 동화 진행을 순서적으로 관여하면서 항상 다음 진행 방향을 알려주고, 이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성장 아바타가 안내 유도하는 입력영역외에 다른 입력 영역에서는 입력이 되지 않도록 한 성장 아바타-가이드 제한 시퀀스 모드; A growth avatar-guided restriction sequence mode in which a growth avatar appears to involve assimilation progression and always informs the next direction of progression, wherein a growth avatar is not inputted in an input area other than the input area guided by the growth avatar on the touch screen;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구동 방법.A method of driving a digital moving picture learning learner having a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실행으로 얻어진 학습 경과를 학습기의 환경 정보 파일에 기록함으로써, 이후 학습에서의 성장 아바타 변화에 반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중 모드 입력의 디지털 동화 구현 학습기의 구동 방법.The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earning progress obtained by the execution of the digital assimilation learner is recorded i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ile of the learner to reflect the change in the growth avatar in subsequent learning. Driving method of digital assimilation learning learner.
KR1020070043453A 2007-05-04 2007-05-04 A learner for digital mobilization of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KR100838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453A KR100838343B1 (en) 2007-05-04 2007-05-04 A learner for digital mobilization of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453A KR100838343B1 (en) 2007-05-04 2007-05-04 A learner for digital mobilization of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343B1 true KR100838343B1 (en) 2008-06-17

Family

ID=3977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453A KR100838343B1 (en) 2007-05-04 2007-05-04 A learner for digital mobilization of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34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9552A1 (en) * 2014-09-10 2016-03-17 (주)지디아이코리아 System and method for education management through nurturing simulation
WO2016137845A1 (en) * 2015-02-23 2016-09-01 Capit Learning Touch screen finger tracing device
KR20170018512A (en) 2015-08-10 2017-02-20 임영록 Kit for making book
KR101746049B1 (en) * 2010-11-18 2017-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in mobile terminal
US10203856B2 (en) 2016-06-07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606A (en) * 1992-07-16 1994-02-10 Ricoh Co Ltd Input device and its input control method
JP2000349886A (en) 1999-06-03 2000-12-15 Sharp Corp Terminal for communication
JP2003076389A (en) 2001-07-07 200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terminal having operation controlled through touch screen or voice recognition and instruction performance method for this information terminal
KR20060043877A (en) * 2004-11-10 2006-05-16 황기룡 Digital boo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606A (en) * 1992-07-16 1994-02-10 Ricoh Co Ltd Input device and its input control method
JP2000349886A (en) 1999-06-03 2000-12-15 Sharp Corp Terminal for communication
JP2003076389A (en) 2001-07-07 200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terminal having operation controlled through touch screen or voice recognition and instruction performance method for this information terminal
KR20060043877A (en) * 2004-11-10 2006-05-16 황기룡 Digital book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049B1 (en) * 2010-11-18 2017-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in mobile terminal
WO2016039552A1 (en) * 2014-09-10 2016-03-17 (주)지디아이코리아 System and method for education management through nurturing simulation
WO2016137845A1 (en) * 2015-02-23 2016-09-01 Capit Learning Touch screen finger tracing device
US9996255B2 (en) 2015-02-23 2018-06-12 Capit Learning Touch screen finger tracing device
US10606474B2 (en) 2015-02-23 2020-03-31 Capit Learning Touch screen finger tracing device
KR20170018512A (en) 2015-08-10 2017-02-20 임영록 Kit for making book
US10203856B2 (en) 2016-06-07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564830B2 (en) 2016-06-0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tfort Exploratory programming for the arts and humanities
Mendoza Mobile user experience: patterns to make sense of it all
US99720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morization of an electronic publication
KR100838343B1 (en) A learner for digital mobilization of multi-mode inpu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CN107037946B (en) Digital user interface providing drawing guidance to guide a user
Mak et al. Design considerations for educational mobile apps for young children
Barber et al. Learning and teaching with interactive whiteboards: Primary and early years
JP2001249949A (en) Feeling generation method, feeling generator and recording medium
Watrall et al. Head first Web design
JP4551183B2 (en)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handwritten graphic evaluation device
Ellis et al. A design science exploration of a visual-spatial learning system with feedback
Bondo et al. iPhone user interface design projects
WO2022260111A1 (en) Educational toy and program
McCaffrey Starlogo tng: the convergence of graphical programming and text processing
Milne Touchscreen-based learning technologie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Ortet et al. Gamification design patterns and touchscreen interactions in mobile apps for senior citizens: An overview
Holman Jr A Pen-Based Interactive Animation Environment for Effective Communication using a Tablet PC
JP7577332B2 (en) Automatic question generation device and program
Kohler et al. Let's compare prototypes for tangible systems: but how and why?
KR1019451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Education
Forta et al. Captain Code: Unleash Your Coding Superpower with Python
Veloso Supporting the Construction of Mobile Games Interfaces: The Gamers4Nature Mobile Game Guidelines Cards Set
Luhana et al. Rock bottom, the world, the sky: Catrobat, an extremely large-scale and long-term visual coding project relying purely on smartphones
Morgan et al. Investigating the Usability of Coding Applications for Children: Insights from Teacher Interviews
Rodríguez et al. Enactive sketches for designing enactive inter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