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171B1 -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 Google Patents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171B1
KR100838171B1 KR1020080042028A KR20080042028A KR100838171B1 KR 100838171 B1 KR100838171 B1 KR 100838171B1 KR 1020080042028 A KR1020080042028 A KR 1020080042028A KR 20080042028 A KR20080042028 A KR 20080042028A KR 100838171 B1 KR100838171 B1 KR 10083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uffer plate
fabric
movement mechanism
frictio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종열
Original Assignee
류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종열 filed Critical 류종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Transfer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03Stretchers with facilities for picking up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break-away type or using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2Suspens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스스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환자를 이송용 침대에 옮기거나 침대 간에 이동시킬 때 용이하게 이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시 가해지는 충격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는 완충 플레이트(20), 마찰 원단(30) 및 회전 원단(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완충 플레이트(20)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정해진 크기를 갖는다. 마찰 원단(30)은 완충 플레이트(20)의 외면 둘레를 감싸아 완충 플레이트(20)와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 원단(60)은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되는 중공(62)을 갖도록 형성되어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찰 원단(30)의 외면 둘레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무게가 가볍게 구성되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그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환자에게 끼워 넣기 편리하며, 원단의 마찰과 회전에 의해 환자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환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시 가해지는 충격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환자 스스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최소의 인원으로 환자를 이송용 침대에 옮기거나 침대 간에 이동시킬 때 용이하게 이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는 접이식으로 구성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환자의 전신에 맞는 길이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체적인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환자이동기구{PORTABLE DEVICE FOR TRANSFERRING PATIENT}
본 발명은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환자 스스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환자를 이송용 침대에 옮기거나 침대 간에 이동시킬 때 용이하게 이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시 가해지는 충격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사고지점에서 이송용 침대로의 이송되고, 병원 도착시 이송용 침대에서 환자용 침대로 이송되며, 병원내에서도 침대와 침대 간의 이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환자의 이동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지만, 통상 구급요원, 의사, 간호사, 간병인 등이 손으로 환자를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방식이 사용되므로 환자의 보호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응급상태에서 몸을 움직여서는 안되는 환자를 들어 침대에 얹거나, 수술전후 또는 검사를 위해 환자를 침대간에 이동시킬 때 여러 사람이 동원되더라도 환자에게 과도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심한 경우 환자에게 충격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84-0002165호 "환자이송용베드장치"를 통해 단면을 팔모꼴로 형성한 3개의 로울러를 베드 지지틀의 후방양측에 설치하여 그 중간 로울러를 양측로울러의 중심보다 상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편심되게 설정하고, 그 로울러들이 활접되는 레일을 일면이 개방된 2중 상자형체로 형성하여 내측상자형체의 상하면을 사다리꼴 안내홈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외측상자형체 사이의 3방공간을 지지벽으로 연결한 환자 이송용 베드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는 특수진단 촬영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베드에 눕힌 상태에서 매우 협소한 촬영기내에 이송할 때 베드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통상 위급상황이나 침대간에 환자를 이송시키기 위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24131호 "환자이송장치",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7-0005135호 "환자이송용대차",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14640호 "환자 이송용 탑승장치", 등록번호 제10-0782528호 "환자이송장치" 등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장치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환자를 이송시키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여 실질적으로 거동 자체가 불편한 환자를 이동시키기에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3152호 "환자 이송 침대"는 가로 및 세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주프레임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네 개의 기둥의 하단에 바퀴를 설치하여 구성된 주지지대를 갖는 환자 이송 침대에 있어서, 주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측방으로 이동되어 침대를 다른 침대와 연결시켜는 연결장치와, 이 연결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 설치된 매트를 다른 침대의 매트 중단까지 이동시키는 매트이송장치를 제안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보다 쉽게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환자를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때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하시키며, 환자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침대 자체에 이송구조가 적용되어야 하므로, 환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부가장치(각도 조절장치 등)가 설치되어야 하는 환자용 침대나 구급차 등에 사용되는 이송장치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1-2267호 "환자 이송용 컨베이어"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 사이에 프레임 고정대를 설치하고, 프레임의 소정된 위치에는 양측에 축과 베어링을 구비하고 있는 다수개의 이송 로울러를 설치하며, 이송로울러의 외부에는 이송벨트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콘베이어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침대와 별도로 구성되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로울러, 축, 베어링의 롤링구조를 적용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롤링구조를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의 강성이 필요하므로 전체적으로 무게가 증가한다. 따라서, 그 공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를 최소로 할 수 밖에 없어 환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환자의 이송시 로울어와 프레임에 의한 타박상의 위험요인을 안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환자 스스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환자를 이송용 침대에 옮기거나 침대 간에 이동시킬 때 용이하게 이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시 가해지는 충격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의 전신에 맞는 길이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체적인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휴대가 용이하게 하므로써, 이송용 침대로의 이동, 침대 간의 이동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최소의 인력으로 가능하게 하면서도 환자에게 미치는 충격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정해진 크기를 갖는 완충 플레이트(20)와;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외면 둘레를 감싸아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와 결합되는 마찰 원단(30) 및;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되는 중공(62)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마찰 원단(30)의 외면 둘레에 위치되도 록 결합되는 회전 원단(6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에서 상기 마찰 원단(30)은 표면상의 원사(32)의 제직방향이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에서 상기 완충 플레이트(20)는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 플레이트(26) 및, 쿠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26)를 감싸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26)에 결합되는 쿠션층(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플레이트(26)를 감싸도록 고밀도 발포수지로 형성되는 쿠션층(24)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정해진 크기를 갖는 완충 플레이트(20)와;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외면 둘레를 감싸아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와 결합되는 마찰 원단(30)와; 상기 마찰 원단(3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서 상기 마찰 원단(30)을 폭방향으로 고정되는 손잡이(40) 및;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되는 중공(62)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마찰 원단(30)의 외면 둘레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회전 원단(6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에서 상기 완충 플레이트(20)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완충 플레이트(21)와 제 2 완충 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 원단(30)은 상기 제 1 완충 플레이트(21)와 제 2 완충 플레이트(22)가 이격되는 부분에서 압착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에서 상기 마찰 원단(30)은 표면상의 원사(32)의 제직방향이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무게가 가볍게 구성되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그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환자에게 끼워 넣기 편리하며, 원단의 마찰과 회전에 의해 환자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환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시 가해지는 충격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환자 스스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최소의 인원으로 환자를 이송용 침대에 옮기거나 침대 간에 이동시킬 때 용이하게 이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는 접이식으로 구성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환자의 전신에 맞는 길이로 제작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체적인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f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7f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주 요소들의 결합ㆍ고정을 위한 핀, 홀 등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단의 종류 및 그의 특성 등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보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를 폭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보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의 결합관계를 시각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는, 도 6b 및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환자 몸(예컨대, 등 아래쪽)의 일부만 걸쳐진 상태에서 가볍게 밀거나 당겨서 원하는 장소나 다른 침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는 환자를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할 때 달리 쓰이는 장치가 없이 인력만으로 해결되어 왔다. 이로 인해 응급상태에서 몸을 움직여서는 안 되는 환자를 들어 침대에 얹거나, 수술을 마치고 난 환자를 침대로 이동시킬 때 여러 사람이 과도한 힘을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심한 경우 환자에게 충격을 줄 수도 있는 위험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환자가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할 때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하며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줄여 주며, 환자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는 각 구성요소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기계요소를 사용한 이동메커니즘이 배제되도록 하므로써, 그 무게를 가능한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유지보수에 따른 불편함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거동하기 어려운 환자에게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는 완충 플레이트(20), 마찰 원단(30) 및 회전 원단(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완충 플레이트(20)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정해진 크기를 갖는다. 마찰 원단(30)은 완충 플레이트(20)의 외면 둘레를 감싸아 완충 플레이트(20)와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 원단(60)은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되는 중공(62)을 갖도록 형성되어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찰 원단(30)의 외면 둘레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는, 도 6b 및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환자 몸(예컨대, 등 아래쪽)의 일부만 걸쳐진 상태에서 환자를 가볍게 밀거나 당길 때 회전 원단(60)이 마찰 원단(30)을 타고 미끌어지면서 회전되어 그 위에 얹혀진 환자를 원하는 위치로 옮기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의 길이방향{각 구성요소에 대한 지칭도 동일하게 사용한다}이라 하면, 도 6b 및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자가 누웠을 때 상하를 기준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통상 사람의 키방향이다. 그리고,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의 길이방향{각 구성요소에 대한 지칭도 동일하게 사용한다}이라 하면, 도 6b 및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자가 누웠을 때 좌우를 기준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통상 사람의 좌우측방향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에서 마찰 원단(30)은, 도 3 및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상의 원사(32)의 제직방향이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회전 원단(60)이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마찰 원단(30)의 표면상의 원사(32)의 제직방향이 통상 사용되는 원단과 같이 직교되거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회전 원단(60)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는 기본적으로 환자를 이동시킬 때 회전 원단(68)을 잡고 회전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환자를 밀거나 당기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환자의 이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서 환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므로, 회전 원단(6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의 마찰 원단(30)은 표면상의 원사(32)의 제직방향이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마찰 원단(30)은 위사의 실을 두껍게 제직하고, 경사의 실은 가늘게 폴리에스터계의 실을 사용하여 제직하는데, 전단(찢어짐)을 방지하고자 경사의 가는 실을 꼬아서 위사의 실을 굵게 하여 경사의 실보다 돌출되면서 한방향으로의 제직방향을 갖도록 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한방향으로 제작방향을 갖는 마찰 원단(30)을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므로써 회전 원단(60)의 미끄러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에서 완충 플레이트(20)는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 플레이트(26) 및, 쿠션 재질로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26)를 감싸도록 지지 플레이트(26)에 결합되는 쿠션층(24)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와 같은 지지 플레이트(26)와 쿠션층(24)의 구성은 설계 또는 제작자의 의도 및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재질 및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평편한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플레이트(26) 주위에 고밀도 발포 스티렌판을 접착제로 부착하여 구성하였지만, 발포금형을 사용하여 합판과 같은 지지 플레이트(26) 주위에 고밀도 발포 스티렌으로 쿠션층(24)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하는 방법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회전 원단(60)은 마찰 원단(30)과 미끄럼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가늘고 부드러운 나일론실로 직조한 후, 윤활성 수지(대표적으로 PTFE)를 코팅하여 형성하므로써, 미끄럼효과와 함께 방수의 효과도 가지도록 한다.
다시,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는 완충 플레이트(20), 마찰 원단(30), 손잡이(40), 회전 원단(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완충 플레이트(20)는 내부에 합판으로 이루 어지는 지지 플레이트(26)를 감싸도록 고밀도 발포수지로 형성되는 쿠션층(24)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정해진 크기를 갖는다. 마찰 원단(30)은 완충 플레이트(20)의 외면 둘레를 감싸아 완충 플레이트(20)와 결합된다. 손잡이(40)는 마찰 원단(3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서 마찰 원단(30)을 폭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 원단(60)은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되는 중공(62)을 갖도록 형성되어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찰 원단(30)의 외면 둘레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26)는 합판을 사용하고, 이 합판(26)의 주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쿠션층(24)을 이루는 고밀도 발포 스티렌판을 부착시켜 완충 플레이트(20)를 구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완충 플레이트(20)는 그 구성은 동일하지만 별개로 나뉘어지는 제 1 완충 플레이트(21)와 제 2 완충 플레이트(2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완충 플레이트(20)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완충 플레이트(20)의 외주면에는,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찰 원단(30)이 결합된다. 이때, 마찰 원단(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완충 플레이트(21)와 제 2 완충 플레이트(22)가 이격되는 부분에서 압착되어 절곡부(3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는 보관 또는 이동시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마찰 원단(30)은,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서로 접착되는 양끝단이 고주파 융착을 통해 접합되도록 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그리고, 마찰 원단(30)의 양끝단을 접합시킬 때 원단의 제직방향이 가능한 연속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물론, 제 1 완충 플레이트(21)와 제 2 완충 플레이트(22)가 이격되는 부분에서 압착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4)와 손잡이(40)가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양끝단도 고주파 융착을 통해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찰 원단(30)은 완충 플레이트(20)와 수지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그 고정력을 증가시키므로써, 회전 원단(6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서 마찰 원단(30)의 이면은 완충 플레이트(20)와 서로 고정되도록 고무판과 같은 형태로서, 폴리염화비닐계 원액을 완충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도포하여, 프레스(press machine)로 가압한 후 롤러기를 통해 처리하여, 열처리{heating}하여 형성하였다. 물론, 이와 같이 형성된 마찰 원단(30)의 양측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제 1 완충 플레이트(21)와 제 2 완충 플레이트(22)를 끼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는 이와 같이 완충 플레이트(20)에 마찰 원단(30)을 결합시킨 조립체(도 5b 참조)의 마찰 원단(30)의 양끝단(36)에 손잡이(40)를 결합(도 5c 참조)시킨 후, 회전 원단(60)을 결합(도 5d 참조)시켜 완성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40)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찰 원단(30) 길이방향의 양끝단 상하에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상하 지지판(42, 44)을 갖고, 이 상하 지지판(42, 44)이 끼워지는 채널(52)이 형성되고 손잡이 홈(54)이 형성되는 고정판(5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에서 손잡이(40)는 사용 전후에 이동하기 쉽도록 가볍고 단단한 합성수지, 나무 또는 고무재질로 제작한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의 환자 이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7a 내지 7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를 사용하여 환자를 침대간에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때, 도 6a 내지 6d에서 (a)는 이동시키기 위한 사람과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b)는 (a)와 같은 상태에서 사람의 발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7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는 바닥에 누워 있는 사람을 이송용 침대(도시 않음)로 이동시키거나, 현재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에서 다른 침대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에 누워있는 환자를 이송용 침대 등으로 이 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환자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에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를 위치시키고,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환자의 어깨, 등, 엉덩이, 허벅지 부분과 평행이 되도록 밀어 넣는다(환자의 등 아래 어깨넓이 기준으로 1/3 정도). 그리고, 도 6c와 같이 환자를 옮기고자 하는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면 회전 원단(60)이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자가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상으로 이동되게 된다.
다음,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자가 특정 검사 또는 수술을 위해 다른 침대로 이송되어야 하는 경우,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측면에 환자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침대를 나란히 배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환자의 어깨, 등, 엉덩이, 허벅지 부분과 평행이 되도록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를 밀어 넣는다. 이때,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는 침대와 침대 사이에 걸쳐지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도 7d와 같이 환자를 옮기고자 하는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면 회전 원단(60)이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도 7e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침대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면, 휴대형 환자이동기구(10)를 반대측(환자를 기준으로 처음 위치의 반대측)에서 빼어내면 환자는, 도 7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시키고자 하는 침대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보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를 폭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보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의 결합관계를 시각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의 환자 이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a 내지 7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환자이동기구를 사용하여 환자를 침대간에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20 : 완충 플레이트
21 : 제 1 완충 플레이트 22 : 제 2 완충 플레이트
24 : 쿠션층 26 : 지지 플레이트
30 : 마찰 원단 32 : (마찰 원단) 원사
34 : 절곡부 40 : 손잡이
60 : 회전 원단 62 : (회전 원단) 중공

Claims (6)

  1.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정해진 크기를 갖는 완충 플레이트(20)와;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외면 둘레를 감싸아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와 결합되는 마찰 원단(30) 및;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되는 중공(62)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마찰 원단(30)의 외면 둘레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회전 원단(60)을 포함하는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원단(30)은 표면상의 원사(32)의 제직방향이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플레이트(20)는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 플레이트(26) 및,
    쿠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26)를 감싸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26)에 결합되는 쿠션층(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4. 내부에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플레이트(26)를 감싸도록 고밀도 발포수지로 형성되는 쿠션층(24)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정해진 크기를 갖는 완충 플레이트(20)와;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외면 둘레를 감싸아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와 결합되는 마찰 원단(30)와;
    상기 마찰 원단(3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서 상기 마찰 원단(30)을 폭방향으로 고정되는 손잡이(40) 및;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개구되는 중공(62)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마찰 원단(30)의 외면 둘레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회전 원단(60)을 포함하는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플레이트(20)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완충 플레이트(21)와 제 2 완충 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 원단(30)은 상기 제 1 완충 플레이트(21)와 제 2 완충 플레이트(22)가 이격되는 부분에서 압착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원단(30)은 표면상의 원사(32)의 제직방향이 상기 완충 플레이트(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KR1020080042028A 2007-12-11 2008-05-06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KR100838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478 2007-12-11
KR20070128478 2007-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171B1 true KR100838171B1 (ko) 2008-06-13

Family

ID=3977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028A KR100838171B1 (ko) 2007-12-11 2008-05-06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605A (ko) 2019-08-30 2021-03-1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장치
US11612531B2 (en) * 2019-09-20 2023-03-28 Jürg O. Schuster Repositioning system for the safe repositioning of a pati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266A (ko) * 1989-06-30 1991-01-31 이헌조 Tv수상기의 메모리 키에 의한 메모리 기능수행방법
KR970005135A (ko) * 1995-07-11 1997-02-19 장정일 담배갑 일체형 자동소화기능을 갖는 원터치 성냥
KR970014740A (ko) * 1995-09-12 1997-04-28 토모노리 스즈끼 만능담가(擔架)
KR970025579A (ko) * 1995-11-15 1997-06-24 김옥배 환자 운반용 절첩식 들것
JPH10108879A (ja) * 1996-10-08 1998-04-28 Nippon Clean Engine Lab Co Ltd 要介護者の移席移動装置とその方法
KR19990024131A (ko) * 1998-12-07 1999-03-25 황춘택 환자이송장치
KR100314640B1 (ko) * 1999-10-23 2001-11-15 정호 환자 이송용 탑승장치
JP2002050599A (ja) * 2000-07-27 2002-02-15 Toyo Technol Inc 表面を研磨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5102877A (ja) * 2003-09-29 2005-04-21 Nishimura Seiko:Kk 折りたたみ式担架
KR100782528B1 (ko) * 2006-01-24 2007-12-06 김종은 환자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266A (ko) * 1989-06-30 1991-01-31 이헌조 Tv수상기의 메모리 키에 의한 메모리 기능수행방법
KR970005135A (ko) * 1995-07-11 1997-02-19 장정일 담배갑 일체형 자동소화기능을 갖는 원터치 성냥
KR970014740A (ko) * 1995-09-12 1997-04-28 토모노리 스즈끼 만능담가(擔架)
KR970025579A (ko) * 1995-11-15 1997-06-24 김옥배 환자 운반용 절첩식 들것
JPH10108879A (ja) * 1996-10-08 1998-04-28 Nippon Clean Engine Lab Co Ltd 要介護者の移席移動装置とその方法
KR19990024131A (ko) * 1998-12-07 1999-03-25 황춘택 환자이송장치
KR100314640B1 (ko) * 1999-10-23 2001-11-15 정호 환자 이송용 탑승장치
JP2002050599A (ja) * 2000-07-27 2002-02-15 Toyo Technol Inc 表面を研磨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5102877A (ja) * 2003-09-29 2005-04-21 Nishimura Seiko:Kk 折りたたみ式担架
KR100782528B1 (ko) * 2006-01-24 2007-12-06 김종은 환자이송장치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314640
10-0782528
10-1997-0014740
10-1997-0025579
10-1999-0024131
2002-50599
20-1991-0002266
20-1997-000513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605A (ko) 2019-08-30 2021-03-1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장치
US11612531B2 (en) * 2019-09-20 2023-03-28 Jürg O. Schuster Repositioning system for the safe repositioning of a pati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2842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lifting, moving, turning, and positioning a patient
US5577281A (en) Stretcher
KR101445456B1 (ko) 환자 이송장치
US8161583B1 (en) Easy change support bed pad
US20230240924A1 (en) Patient positioning and support system
US11266557B2 (en) Patient transport apparatus
US20110271444A1 (en) Inflatable Mattress
US20180193213A1 (en) Positioning device and system
KR100838171B1 (ko) 휴대형 환자이동기구
KR102460807B1 (ko) 환자용 침대 시스템
KR101072846B1 (ko) 회전벨트가 구비된 스쿠프형 들것
KR20140055319A (ko) 환자 이송용 분리형 침대
JP2016112080A (ja) ギャッジアップ機能付きベッド及びそのようなベッドに使用するためのサブマットレス体
CN201058092Y (zh) 滑板式医用过床器
KR101468170B1 (ko) 환자 이송 장치
CN210078072U (zh) 医学成像治疗护理车
JP2004261435A (ja) 介護ベッド
US8990977B2 (en) Patient movement support device and method
CN206167246U (zh) 一种新型防下滑床单
JPH1189672A (ja) ベッド装置およびマットレス装置
JP5599265B2 (ja) マットレス
JPH05253262A (ja) 医療介護システムにおけるベッド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シーツ並びにこれと組み合わされる患者移送装置
JPH07213561A (ja) 医療介護システムにおけるベッド及びこれと組み合わされる患者移送装置並びにこれらを連結する連結装置及び連動操作装置
CN210872360U (zh) 一种自发热的颈部理疗器
CN209951596U (zh) 转运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