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245B1 - 프레임 정보가 저장된 ic 카드, 프레임 정보 출력 단말기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임 정보가 저장된 ic 카드, 프레임 정보 출력 단말기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245B1
KR100836245B1 KR1020060114153A KR20060114153A KR100836245B1 KR 100836245 B1 KR100836245 B1 KR 100836245B1 KR 1020060114153 A KR1020060114153 A KR 1020060114153A KR 20060114153 A KR20060114153 A KR 20060114153A KR 100836245 B1 KR100836245 B1 KR 10083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erminal
text
information
cod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036A (ko
Inventor
천호정
임헌문
구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114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2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4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acilitating integration of the record carrier with a hand-held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f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Abstract

프레임 정보가 저장된 IC 카드 및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접점단자가 형성된 IC 카드와 착탈가능한 단말기는, 텍스트 정보의 디코딩을 위한 언어 코덱 및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의 디코딩을 위한 이미지 코덱이 저장된 코덱 저장부; 상기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이미지 변환부; 상기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텍스트 변환부;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래 사용하던 제1단말기에서 IC 카드를 꺼내서 임의의 제2단말기에 자신의 IC 카드를 넣어 사용할 때 제2단말기가 제공하는 이미지가 아닌 IC 카드에 저장된 사용자에게 익숙한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UICC, SIM, 배경 이미지, 프레임, 디코딩, 플라스틱 로밍

Description

프레임 정보가 저장된 IC 카드, 프레임 정보 출력 단말기 및 방법 {IC card with frame data, Method and terminal of displaying fram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가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함께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c)는 같은 텍스트 정보가 다른 프레임 정보와 함께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단말기(200) 내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경우의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단말기에서 디코딩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 내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단말기 상에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 내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IC 카드에 저장된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디코딩 된 텍스트 정보와 함께 단말기 상에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에서 디코딩된 텍스트 정보와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단말기의 IC 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C 카드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과 단말기 및 IC 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IC 카드 또는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또는 주소록(이하 주소록으로 통칭함)이나 문자 메시지를 단말기가 읽고 디스플레이할 때 출력되는 배경 화면 또는 배경 이미지는 IC 카드를 삽입한 단말기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단말기가 IC 카드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최소한의 정보, 즉 주소록이나 문자 메시지 등의 텍스트 정보만을 읽어 들이게 되면 화면에는 별도의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거나, 임의의 단말기가 제공하는 임의의 배경 이미지가 텍스트 정보와 함께 표시된다.
예컨대 유럽에서 네트웍 인증 및 고객의 주소록과 문자 메시지(SMS)를 저장하고 있는 IC 카드의 일종인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만을 들고 다른 나라에 가서 사용하는 이른바 플라스틱 로밍(Plastic Roaming) 서비스를 받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는 플라스틱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자신의 주소록과 문자 메시지를 볼 때 생소한 배경 이미지를 제공받아야 하는 불편이 발생한다.
또는 국내에서 단말기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IC 카드를 새 단말기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는 변경된 단말기의 새로운 배경 이미지를 제공받아야 한다. 이로 인해 주소록이나 기존 문자 메시지 이용 시에도 변경된 단말기의 화면 구성 등에 사용자는 새로이 적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IC 카드를 어떤 단말기에 삽입 또는 적용하여 사용하더라도, 단말기 상의 조건과 무관하게 본인의 IC 카드 내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익숙한 배경 이미지와 함께 출력하는 방법과 단말기 및 IC 카드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IC 카드 내에 탑재된 이미지 코덱을 이용하여 프레임 정보를 복원하는 프로세서를 이용함으로써 단말기에 나타날 수 있는 이미지의 변형을 방지하는 단말기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IC 카드 내에 저장된 주소록이나 문자 메시지 정보 등의 텍스트 정보를 볼 때, 어떠한 디자인의 배경 화면 이미지를 제공받을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소록이나 문자 메시지 정보와 함께 표시되며 단말기 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가 함께 복원함으로써, 평소에 사용자가 사용하던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되던 텍스트 정보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익숙한 화면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주소록과 문자 메시지 정보를 글 깨짐 현상 없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외에서 플라스틱 로밍 서비스를 이용할 때 글 깨짐 현상이나 화면 구성이 평소와 상이해져서 겪을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드 접점단자를 이용하여 단말기 본체에 착탈가능한 IC 카드에 있어서, 사용자의 식별, 인증 중 하나 이상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및 하나 이상의 프레임 정보가 저장되는 프레임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 정보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가 제공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카드 접점단자가 형성된 IC 카드와 착탈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텍스트 정보의 디코딩을 위한 언어 코덱 및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의 디코딩을 위한 이미지 코덱이 저장된 코덱 저장부; 상기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이미지 변환부; 상기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텍스트 변환부;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카드 접점단자가 형성된 IC 카드와 착탈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 또는 제1 언어 코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제2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딩 제어부; 상기 제2 언어 코덱 및 이미지 코덱이 저장된 코덱 저장부;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텍스트 변환부; 상기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이미지 변환부;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 의해 디코딩된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이미 지 변환부에 의해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 제어부;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카드 접점단자가 형성된 IC 카드와 착탈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글 깨짐 현상을 인식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딩 제어부;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제2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IC 카드의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IC 카드에 탑재된 제1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텍스트 변환부; 상기 제2 언어 코덱 및 이미지 코덱이 저장된 코덱 저장부; 상기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이미지 변환부;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서 디코딩된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 의해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 제어부;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카드 접점단자가 형성된 IC 카드와 착탈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 또는 제1 언어 코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제2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상기 IC 카드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프레임 선택 신호를 상기 IC 카드에 출력하는 디코딩 제어부; 상기 IC 카드에서 디코딩된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 제어부;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카드 접점단자가 형성된 IC 카드와 착탈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글 깨짐 현상을 인식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상기 IC 카드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다른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프레임 선택 신호를 상기 IC 카드에 출력하는 디코딩 제어부; 상기 IC 카드에서 디코딩된 상기 텍스트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 제어부;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IC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단말기가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 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IC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단말기가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읽어 들이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이미지 코덱 및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각각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IC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단말기가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 또는 제1 언어 코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제2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읽 어들이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IC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단말기가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글 깨짐 현상을 인식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제2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IC 카드의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IC 카드에 탑재된 제1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단말기에서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IC 카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IC 카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는" 또는 "저장된" "탑재된" "삽입된"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 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IC 카드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기에 삽입이 가능한 SIM 카드, UIM 카드, USIM 카드, UICC 등의 모든 기록매체(예를 들어, 통신용 카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카드는 3세대 이동통신인 WCDMA 단말기에 필수적으로 탑재되는 스마트카드이다. USIM 카드는 2세대 이동통신인 GSM과 CDMA 환경에서 각각 SIM 카드와 UIM 카드가 제공했던 것처럼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기능은 물론, 교통카드·모바일 뱅킹·증권·거래·멤버십·결제 등 다양한 금융거래 서비스도 지원한다.
2세대 CDMA 환경에서는 단말기에서 UIM 카드 등이 선택사양이지만 WCDMA 환경에서 는 USIM 카드가 단말기의 필수적 요소이다. 통신사업자는 USIM 카드를 발급하고, 가입자는 USIM 카드 한 장만 들고 다니면 세계 어디에서나 단말기를 빌려 자신의 휴대폰 번호로 자유롭게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USIM 카드는 유럽통신표준기구(ETSI) 산하 SIM 카드 표준화 그룹(EP SCP)과 3세대 이동통신 표준기구(3GPP TSG-TS)에 의해 국제 표준규격이 정해져 있다.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가입자 인증 모듈) 카드는 보통 단말기 뒤에 있는, 카드 삽입용 슬롯에 끼워 넣는 통신용 IC 카드를 지칭한다. SIM 카드의 장점 중 하나는, 사용자는 SIM 카드만 있으면 어느 단말기에나 SIM 카드를 삽입하여 자신의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SIM 카드가 그 안에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SIM 카드는 보안성이 우수하여 전자상거래 등에서도 효용성이 높다.
UIM 카드 역시 이동 통신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이동 통신용 IC 카드의 일종이다. UIM은 전 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SM)의 가입자 정보 모듈(SIM)을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변경한 것이다. UIM 카드는 가입자 정보, 보안, 로밍 모듈 인증 및 단말기 제어 명령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지불 방식의 IC 카드는 사용자 인증은 물론 각종 응용 서비스와 관련된 지불 정보를 탑재함으로써 지불 사고 방지뿐만 아니라 신용 카드나 휴대폰 번호, 전자 화폐 등의 지불도 가능하다.
UICC(Universal IC Card)는 범용 IC 카드로서, 3세대(3G)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터미널에 사용되는 칩 카드를 의미한다. 전 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SM)의 가입자 정보 모듈(SIM)과 같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주요 컴포넌트이며 SIM 카드를 확장한 UICC는 범용 가입자 정보 모듈(USIM) 어플리케이션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UICC는 다양한 다중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지원을 통해 모든 개인 정보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을 보장한다. UICC 내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주소록과 문자 메시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SIM 카드, UIM 카드, USIM 카드, UICC 등과 같이 임의의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기에 결합 또는 삽입될 수 있는 기록매체를 통칭하여 IC 카드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IC 카드에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의 인증 또는 식별을 위한 가입자 정보, IC 카드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및 기타 문자 형태의 텍스트 정보 뿐 아니라 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에 관한 정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 중 주소록 정보나 문자 메시지 정보 등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결합 등으로 구성된 형태로 제공되는 정보를 이하 텍스트(Text) 정보라고 칭하기로 한다.
텍스트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의 배경 화면의 이미지(image) 및 단말기 화면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이미지들에 관한 정보는 이하 프레임(frame) 정보라고 칭하기로 한다. 프레임 정보는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상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열람할 경우 그 정보의 배치, 구도나 배경 화면 등의 시각적인 면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프레임 이미지가 본 발명에서의 프레임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텍스트 변환부 또는 이미지 변환부는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 또는 프레임 정보들이 변경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단말기가 변경되기 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주소록 정보, 문자 메시지 정보 또는 프레임 정보 등을 디코딩하거나 변환하는 과정들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의미한다.
또한 플라스틱 로밍은 IC 카드를 가지고 세계 각국에서 단말기를 대여받아 사용하는 로밍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로밍은 '칩 로밍'이라고도 불린다. 제3세대 휴대전화 시스템 'IMT-2000'은 사용자의 계약정보 등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IC 카드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다른 단말기로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여러 대의 단말기를 사용하기가 용이해졌고, 세계 각국에서 이와 같은 플라스틱 로밍 서비스를 받는 것도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서 "이미지 코덱"이라 함은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또는 미리 설정된 대로 이미지의 모양, 크기, 배치 등을 결정하여 단말기의 화면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덱"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어 코덱은 제1 언어 코덱과 제2 언어 코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언어 코덱은 IC 카드에 탑재된 언어 코덱을 지칭한다. 제2 언어 코덱은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단말기를 변경하거나, 플라스틱 로밍 서비스를 받음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대여한 단말기 등 IC 카드가 삽입되는 단말기에 기 탑재되어 있는 임의의 언어를 지원하는 언어 코덱을 지칭한다. 물론, IC 카드에는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에 상응하는 제3 언어 코덱, 제4 언어 코덱 등이 더 탑재될 수도 있을 것이나,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 언어 코덱 및 제2 언어 코덱으로 만 구분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단말기 화면의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단말기 화면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나 다양한 텍스트 정보의 배열이나 위치를 특정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배경 화면과 텍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러한 프레임 이미지, 배경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어부 또는 디코딩 제어부에 의해 구성된 전체 화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표시용 데이터라고 칭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가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함께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같은 텍스트 정보가 다른 프레임 정보와 함께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프레임 정보만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실제 단말기 사용 시에 텍스트 정보 없이 도 1(a)와 같이 프레임 정보만이 출력 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보통의 경우, 도 2(b)와 같이 프레임 정보는 텍스트 정보의 배경 이미지의 형태로 표시되며, 텍스트 정보의 위치나 배열 상태와 연관되어 표시된다. 도 2(b)의 텍스트 정보는 IC 카드 또는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c)는 도 1(b)의 경우와 동일한 텍스트 정보가 IC 카드가 아닌 단말기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 또는 IC 카드에 저장된 또 다른 프레임 정보와 함께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a)의 프레임에 익숙해진 제1 단말기 사용자가, 제2 단말기로 단말기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제2 단말기에서는 도 1(c)에 나타 난 프레임만을 제공하는 경우, 텍스트 정보는 도 1(c)에 예시된 형태로만 출력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메뉴 화면에서 도 1(a)에 나타난 프레임을 선택하여(예컨대 프레임 선택 신호의 입력) 도 1(c)가 아닌 도 1(b)에 도시된 대로 원하는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단말기(200) 내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경우의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IC 카드에는 그 IC 카드의 사용자에 상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주소록이나 문자 메시지 등의 텍스트 형태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IC 카드(210)에는 사용자가 IC 카드(210)를 삽입한 단말기(200)를 변경하기 전에 제공받던 배경 이미지 등이 프레임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의 식별 또는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가입자 정보)가 사용자 정보 저장부(225)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200)는 IC 카드(210)에 저장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200)는 키 입력부(230), 텍스트 정보 저장부(240), 텍스트 변환부(250), 코덱 저장부(260), 이미지 변환부(270), 제어부(280), 디스플레이부(290)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230)는 사용자에 의한 특정 키 버튼의 입력을 인지한다. 사용자는 IC 카드 내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단말기 상에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입력한다. 그러면 키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 버튼에 상응하는 키 선택 신호를 제어부(280)로 출력한다.
제어부(280)는 키 선택 신호가 키 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되면 키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 선택 신호를 이미지 변환부(270)로 출력하여 이미지 변환부(270)를 구동시킨다. 제어부(280)는 프레임 정보 저장부(220)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읽어 들여서 이미지 변환부(270)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80)는 프레임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이미지 변환부(270)가 프레임 정보 저장부(220)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읽어 들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 결과 IC 카드(210) 내의 프레임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는 단말기(200)의 이미지 변환부(270)에 의해 디코딩된다.
이 때에도 역시 이미지 코덱 저장부(260)에 저장된 이미지 코덱이 사용된다. 그리고 단말기(200) 내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텍스트 정보들이 있으며, 이 텍스트 정보들은 단말기(200) 내의 텍스트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키 입력부(230)의 특정 키 버튼 입력을 이용하여 특정 텍스트 정보의 표시 또는/및 IC 카드(210)에 저장된 이미지의 출력을 위한 프레임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80)는 이미지 변환부(270)에 의해 디코딩된 IC 카드(210)의 프레임 정보와 단말기(200)의 텍스트 변환부(250)에 의해 디코딩된 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던 텍스트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전체 화면을 구성한다.
상기 과정에 의해 구성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290)를 통해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키 입력부(340)는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IC 카드(310) 내의 텍스트 정보를 요청하는 키 버튼과 IC 카드(310)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 요청하는 키 버튼을 입력 받아 각각의 키 선택 신호를 제어부(380)로 전달한다.
단말기(300)의 이미지 변환부(36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의해 프레임 정보 저장부(320)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읽어들인다. 또는 제어부(380)가 프레임 선택 신호에 의해 프레임 정보 저장부(320)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독출하고, 이미지 변환부(360)는 제어부(380)가 독출한 프레임 정보를 읽어 들일 수도 있다. 이미지 변환부(360)는 단말기(300)의 코덱 저장부(350)에 저장된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IC 카드(310)로부터 독출한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한다.
단말기(300)의 텍스트 변환부(370)는 IC 카드(310)의 텍스트 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읽어들이고, 단말기(300)의 코덱 저장부(350)에 저장된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IC 카드(31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한다.
제어부(380)는 디코딩된 IC 카드(310)의 텍스트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화면을 구성한다. 디스플레이부(390)는 제어부(380)에 의해 구성된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IC 카드(310) 내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IC 카드(41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함에 있어 단말기(400)에 탑재된 언어 코덱(제2 언어 코덱)이 아닌, IC 카드(410)에 탑재된 언어 코덱, 즉 제1 언어 코덱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IC 카드(410)에 탑재된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IC 카드를 들고 해외에 나가서 플라스틱 로밍을 받는 경우에는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에 상응하는 언어를 외국에서 대여한 단말기에 탑재된 언어 코덱이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프레임 정보는 정상적으로 디코딩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텍스트 정보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디코딩이 이루어질 수 없고, 글 깨짐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IC 카드에 텍스트 정보에 상응하는 언어를 지원하는 제1 언어 코덱이 탑재되어 있으면 단말기 또는 IC 카드 상에서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할 때 제1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글 깨짐 현상 없이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글 깨짐의 발생 사실을 디코딩 제어부가 인식하는 과정 또는 글 깨짐 발생 신호의 생성 과정은 다음과 같이 예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글 깨짐 발생 신호로 인식되는 미리 지정된 키 버튼 또는 키 버튼의 조합) 입력에 의한 IC 카드 내의 텍스트 정보 요청이 있으면 디코딩 제어부(480)는 단말기(400) 내에 기 탑재된 언어 코덱, 즉 제2 언어 코덱으로부터, 제2 언어 코덱이 지원하는 제2 언어의 종류 정보 또는 제2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디코딩 제어부(480)는 IC 카드(41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에 삽입된 상기 텍스트 정보의 언어 종류 정보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의 디코딩에 필요한 언어 코덱, 즉 제1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 또는 제1 언어 코덱에 의해 지원되는 제1 언어의 종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2 언어 코덱의 종류와 제1 언어 코덱의 종류를 비교한다. 각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가 아닌 각 언어 코덱에 의해 지원되는 언어의 종류 정보를 추출한 경우에는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종류를 비교 한다. 디코딩 제어부(480)는 비교 결과 두 언어 또는 언어 코덱이 상이하면,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는 제2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디코딩되면 글 깨짐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글 깨짐 발생 신호를 텍스트 변환부(470)로 출력한다. 텍스트 변환부(470)는 디코딩 제어부(480)의 글 깨짐 발생 신호에 의해 디코딩 시 제2 언어 코덱을 사용하도록 제어된다.
또는 글 깨짐 발생 신호는 사용자의 키 버튼 입력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글 깨짐 현상의 발생 또는 발생 가능성을 인지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이 있으면 디코딩 제어부(480)는 키 입력부(440)로부터 키 선택 신호를 인식하여 글 깨짐 발생 신호를 텍스트 변환부(470)로 출력한다.
디코딩 제어부(480)는 글 깨짐 발생 신호를 텍스트 변환부(470)로 출력함으로써, 텍스트 변환부(470)가 텍스트 정보 디코딩 시 IC 카드(410)에 탑재된 제1 언어 코덱을 사용하도록 제어한다.
단말기(400)의 텍스트 변환부(470)는 디코딩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IC 카드(410)의 텍스트 정보 저장부(43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읽어들이고, 단말기(400)의 언어 코덱 저장부(435)에 저장된 제1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IC 카드(41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한다. 또는 디코딩 제어부(480)가 텍스트 정보를 먼저 읽어 들인 후, 텍스트 변환부(470)가 이를 디코딩 제어부(480)로부터 읽어 들여서 텍스트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400) 내에도 언어 코덱은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단말기(400) 내에 언어 코덱은 코덱 저장부(450)에 저장되어 있으며, 코덱 저장부(450)에는 언어 코덱과 이미지 코덱 모두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이유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텍스트 변환부(470)는 텍스트 정보 디코딩 시 IC 카드(410)의 언어 코덱 저장부(435)에 저장된 제1 언어 코덱을 사용한다.
단말기(400)의 이미지 변환부(460)는 디코딩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프레임 정보 저장부(320)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읽어들인다. 또는 디코딩 제어부(480)가 프레임 선택 신호에 의해 프레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독출하고, 이미지 변환부(460)는 디코딩 제어부가 독출한 프레임 정보를 읽어 들일 수도 있다.
출력 제어부(490)는 이미지 변환부(460)에 의해 디코딩된 프레임 정보 및 텍스트 변환부(470)에 의해 디코딩된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화면을 구성한다. 디스플레이부(495)는 출력 제어부(490)에 의해 구성된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IC 카드(410) 내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도 5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IC 카드(51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언어 코덱과 프로세서, 그리고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이미지 코덱 및 프로세서가 단말기(500)가 아닌 IC 카드(510)에 존재한다는 점이다. 제1 언어 코덱과 이미지 코덱은 IC 카드(510)의 코덱 저장부(540)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IC 카드(510)의 텍스트 변환부(550)와 이미지 변환부(560)는 텍스트 정보와 프레임 정보를 각각 디코딩 하는 프로세서이다. 도 5에서는 텍스트 변환부(550)와 이미지 변환부(560)는 별개의 구성 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500)에서는 IC 카드(510)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디코딩이 수행되지 않으며, IC 카드(510)에서 디코딩된 상태의 텍스트 정보와 프레임 정보를 받아 출력 제어부(590)가 전체 화면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부(595)가 이를 출력한다. 이 경우에도 IC 카드(510)의 텍스트 변환부(550)가 텍스트 정보 디코딩 시 제1 언어 코덱을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단말기(500)의 디코딩 제어부(580)이다. 디코딩 제어부(580)는 IC 카드(510)의 텍스트 변환부(550)로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출력한다.
글 깨짐 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단말기가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키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을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IC 카드 내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단말기 상에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입력한다. 그러면 키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 버튼에 상응하는 키 선택 신호를 제어부(280)로 출력(S600)한다.
제어부(280)는 프레임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키 선택 신호가 키 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되면 프레임 선택 신호를 이미지 변환부(270)로 출력하여 이미지 변환부(270) 를 구동시킨다(S610).
이미지 변환부는 IC 카드의 프레임 정보 저장부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읽어 들인다(S620).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선택 신호에 의해 제어부(280)가 프레임 정보를 독출하고, 이미지 변환부(270)는 제어부(280) 에 의해 독출된 프레임 정보를 읽어 들여서 디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이미지 변환부(270)는 코덱 저장부(260)에 저장된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S625)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한다(S629).
이어서, 텍스트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키 입력(S630)에 의해 제어부(280)는 텍스트 변환부(250)를 구동시킨다(S635). 그러면 텍스트 변환부(250)는 단말기의 텍스트 정보 저장부(240)로부터 요청받은 텍스트 정보를 읽어들이고(S640), 단말기의 코덱 저장부(260)에 저장된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S645) 텍스트 정보 저장부(240)로부터 독출한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한다(S649). 텍스트 정보도 프레임 정보와 마찬가지로, 제어부(280)가 텍스트 정보를 먼저 읽어 들인 후, 텍스트 변환부(250)가 이를 제어부(280)로부터 읽어 들여서 텍스트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S600 내지 S629에 따른 프레임 정보 출력 과정과 S630 내지 S649에 따른 텍스트 정보 출력 과정은 그 순서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또한 프레임 선택 신호의 입력(S600)과 텍스트 정보 요청(S630)은 순서에 무관하며,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단계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프레임 선택 신호 입력(S600)이나 텍스트 정보 요청(S630)시의 사용자의 특정 키 입력은 단말기의 기종이나 IC 카드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의 키 버튼 입력을 말한다. 메뉴 버튼을 눌러 메뉴 화면을 먼저 구동 시킨 후에 이미지 선택이나 텍스트 정보를 요청하는 선택 키를 입력하는 방식이 될 수도 있다.
이미지 변환부(270)는 프레임 정보가 디코딩되면, 디코딩된 프레임 정보를 단말기의 제어부로 출력한다(S650). 도 6에 의하면 디코딩 된 프레임 정보는 텍스트 정보의 디코딩도 완료된 후에 함께 제어부로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레임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는 각각 디코딩이 완료되는 대로, 즉 순서에 무관하게 제어부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출력 순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텍스트 변환부(250)도 디코딩된 텍스트 정보를 단말기(200)의 제어부(280)로 출력한다(S655).
제어부(280)는 디코딩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전체 화면을 구성하여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90)에 표시될 화면의 텍스트 및 프레임의 내용으로 구성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여(S659), 디스플레이부(290)로 표시용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 신호를 출력한다(S660).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에 의해 구성된 화면대로, IC 카드에서 제공하는 배경 이미지에 단말기 내에 있는 텍스트 정보를 함께 출력한다(S66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3에 도시된 단말기(300)가 IC 카드 내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키 버튼 입력에 의한 텍스트 정보 요청이 있으면(S700), 제어부(380)는 이를 인식하여 텍스트 변환부(370)를 구동시킨다(S710). 텍스트 변환부(370)는 IC 카드(31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읽어 들이고(S720), 단말기(300)의 코덱 저장부(350)로부터 언어 코덱을 읽어 들여서(S725) 텍스트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S730).
또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이 있으면 키 선택 신호가 제어부(380)로 입력된다(S740). 제어부(380)는 이미지 변환부(360)로 키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 선택 신호를 출력하여 이미지 변환부(360)를 구동시킨다. 동시에, 이미지 변환부(36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IC 카드(310)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도록 제어한다(S750). 이미지 변환부(360)는 IC 카드(310)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읽어들이고(S760), 단말기(300)의 코덱 저장부(350)에 저장된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S765)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한다(S770). 이미지 변환부(360)와 텍스트 변환부(370)는 각각 디코딩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단말기의 제어부(380)로 출력한다(S780, S785). 제어부(380)는 상기 디코딩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전체 화면을 구성하고(S790), 화면에 표시될 프레임과 텍스트 내용으로 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S790).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부(390)가 상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표시용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스플레이부(390)로 출력한다(S795). 디스플레이부(390)는 제어부(380)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가 입력되면 구성된 화면에 의해 IC 카드의 텍스트 정보와 프레임 정보를 출력한다.(S799)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4에 도시된 단말기가 IC 카드 내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IC 카드에 저장된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디코딩 된 텍스트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IC 카드를 사용함으로 인한 가장 큰 장점은 단말기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기존에 필요로 하던 정보나 단말기 이용 환경,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바뀌지 않을 수 있다는 데에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플라스틱 로밍 서비스를 받아 해외에서 단말기를 사용할 때 IC 카드를 들고 나가서 로밍 서비스에 의해 대여받은 단말기에 사용자 자신의 IC 카드를 삽입하는 경우이다.
대여 받은 단말기에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에 상응하는 언어를 지원하는 언어 코덱이 탑재되어 있지 않다면,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여 이미지를 복원한다고 해도 텍스트 정보는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없다. 따라서 텍스트 정보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못하는 현상, 즉 글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려면 본 실시예와 같이 IC 카드(410) 내에 언어 코덱(제1 언어 코덱)이 탑재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사용자의 키 버튼 입력에 의한 IC 카드 내의 텍스트 정보 요청이 있으면 디코딩 제어부(480)는 단말기(400) 내에 기 탑재된 언어 코덱, 즉 제2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를 읽어들인다(S810a). 그리고 디코딩 제어부(480)는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에 삽입된 상기 텍스트 정보의 언어 종류 정보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의 디코딩에 필요한 언어 코덱, 즉 제1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를 추출한다(S815a). 그리고 제2 언어 코덱의 종류와 제1 언어 코덱의 종류를 비교한다(S819a). 비교 결과 두 언어 코덱이 상이하면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는 제2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디코딩되면 글 깨짐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디코딩 제어부(480)는 글 깨짐 발생 신호를 텍스트 변환부(470)로 출력한다(S820).
또는 글 깨짐 발생 신호는 사용자의 키 버튼 입력에 의해서도 발생(S810b)될 수 있 다. 글 깨짐 현상의 발생 또는 발생 가능성을 인지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이 있으면 디코딩 제어부(480)는 키 입력부로부터 키 선택 신호를 인식하여 글 깨짐 발생 신호를 텍스트 변환부(470)로 출력한다(S820).
디코딩 제어부(480)는 글 깨짐 발생 신호와 함께 텍스트 변환부(470)를 구동시키며, 텍스트 변환부(470)의 디코딩 시 제2 언어 코덱이 아닌 제1 언어 코덱을 사용하도록 제어한다(S820). 이에 따라 텍스트 변환부(470)는 IC 카드(41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읽어들이고(S830), IC 카드(410)의 언어 코덱 저장부(435)로부터 제1 언어 코덱을 읽어 들인다(S835). 텍스트 변환부(470)는 제1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텍스트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S840).
또한 IC 카드(410)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으면 이에 상응하는 키 선택 신호가 디코딩 제어부로 출력된다(S850). 디코딩 제어부(480)는 이를 인식하여 프레임 선택 신호를 이미지 변환부(460)로 출력하여 이미지 변환부(460)를 구동시킨다(S855). 프레임 선택 신호를 입력 받은 이미지 변환부(460)는 IC 카드(410)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읽어들이고(S865), 단말기의 코덱 저장부(450)에 저장된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S860)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한다(S870). 이미지 변환부(460)와 텍스트 변환부(470)는 각각 디코딩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단말기(400)의 출력 제어부(490)로 출력한다(S880, S885).
출력 제어부(490)는 상기 디코딩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전체 화면을 구성하고(S890), 화면에 표시될 프레임과 텍스트 내용으로 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8790). 출력 제어부(490)는 디스플레이부(495)가 상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표시 용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스플레이부(495)로 출력한다(S895).
디스플레이부(495)는 제어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 제어부(490)에 의해 구성된 화면에 의해 텍스트 정보와 프레임 정보를 출력한다(S899).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 정보는 복수일 수 있고, 각 이미지는 고유의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 선택 신호에는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복수의 이미지 중에 특정 이미지를 텍스트 정보와 함께 제공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코딩 제어부와 출력 제어부는 같은 구성 요소(제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5에 도시된 단말기가 IC 카드에서 디코딩된 텍스트 정보와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예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텍스트 정보와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여, 이미지 코덱, 언어 코덱(제1 언어 코덱) 및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프로세서(이미지 변환부(560)) 및 제1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프로세서(텍스트 변환부(550))도 IC 카드(510)에 내장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단말기(500)는 IC 카드(510) 내에서 디코딩이 완료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받아서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IC 카드(510) 내의 텍스트 변환부(550)와 이미지 변환부(560)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될 수 있다.
사용자의 키 버튼 입력에 의해 IC 카드(510) 내의 텍스트 정보 요청이있으면 디코 딩 제어부(580)는 단말기(500) 내에 기 탑재된 언어 코덱, 즉 제2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를 읽어들인다(S910a). 그리고 디코딩 제어부(580)는 IC 카드(51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에 삽입된 상기 텍스트 정보의 언어 종류 정보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의 디코딩에 필요한 언어 코덱, 즉 제1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를 추출한다(S915a). 그리고 제2 언어 코덱의 종류와 제1 언어 코덱의 종류를 비교한다(S919a). 비교 결과 두 언어 코덱이 상이하면 IC 카드(510)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는 제2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디코딩되면 글 깨짐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디코딩 제어부(580)는 글 깨짐 발생 신호를 IC 카드(510) 내의 텍스트 변환부(550)로 출력한다(S920).
또는 글 깨짐 발생 신호는 사용자의 키 버튼 입력에 의해서도 발생(S910b)될 수 있다. 글 깨짐 현상의 발생 또는 발생 가능성을 인지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이 있으면 디코딩 제어부(580)는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키 선택 신호를 인식하여 이에 상응하는 글 깨짐 발생 신호를 IC 카드(510)의 텍스트 변환부(550)로 출력한다(S920).
디코딩 제어부(580)는 글 깨짐 발생 신호와 함께 IC 카드(510)의 텍스트 변환부(550)를 구동시키며, IC 카드(510)의 텍스트 변환부(550)가 텍스트 정보 디코딩 시 제2 언어 코덱이 아닌 제1 언어 코덱을 사용하도록 제어한다(S920). 이에 따라 텍스트 변환부는 IC 카드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읽어들이고(S930), IC 카드의 언어 코덱 저장부로부터 제1 언어 코덱을 읽어 들인다(S935). 텍스트 변환부는 제1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텍스트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S939).
또한 IC 카드에 저장된 이미지를 제공 받기 위한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으면 키 입력부(570)는 키 선택 신호를 디코딩 제어부로 출력한다(S940). 디코딩 제어부는 사용자의 키 선택 신호를 인식하여 이에 상응하는 프레임 선택 신호를 이미지 변환부로 출력하여 이미지 변환부를 구동시킨다(S950). 프레임 선택 신호를 입력 받은 이미지 변환부는 IC 카드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읽어들이고(S960), 단말기의 코덱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S965)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한다(S970). IC 카드의 이미지 변환부와 텍스트 변환부는 각각 디코딩된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단말기의 출력 제어부로 출력한다(S980, S985). 출력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고(S990),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표시용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한다(S995).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 제어부에 의해 구성된 화면에 의해 IC 카드의 텍스트 정보와 프레임 정보를 출력한다(S999).
도 6 내지 도 9에서는 프레임 정보나 텍스트 정보가 제어부 또는 디코딩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미지 변환부나 텍스트 변환부에 의해 직접 독출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어부 또는 디코딩 제어부가 먼저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독출하고, 이미지 변환부나 텍스트 변환부는 제어부로부터 프레임 정보나 텍스트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이미지 코덱이나 언어 코덱(제1 언어 코덱과 제2 언어 코덱 모두 포함)이 단수인 것을 가정하여 기재하였으나, 코덱은 종류에 따라 복수 개의 이미지 코덱 또는 복수 개의 언어 코덱이 단말기 또는 IC 카드의 코덱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코덱 별로 식별자를 부여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필요한 코덱을 선택하여 단말기나 IC 카드로 하여금 프레임 정보나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정보가 그 프레임 정보의 디코딩에 필요로 하는 이미지 코덱이 정해져 있다면, 필요한 이미지 코덱에 관한 정보를 프레임 정보에 삽입하는 방법을 통해 단말기 또는 IC 카드가 스스로 이미지 코덱을 선택하여 디코딩을 수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IC 카드를 어떤 단말기에 적용하여 사용하든, 단말기 상의 조건과 무관하게 본인 IC 카드 내에 있는 프레임 정보를 단말기 상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내에 저장된 정보를 볼 때에도 사용자는 선택에 의해 IC 카드에 저장된 이미지를 단말기 상의 텍스트 정보와 함께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소록이나 문자 메시지 정보와 함께 표시되며 단말기 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가 함께 복원되므로, 평소에 사용자가 사용하던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되던 텍스트 정보의 내용이, 사용자에게 익숙한 화면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주소록과 문자 메시지 정보를 글 깨짐 현상 없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는 이미지 코덱 및 언어 코덱(제2 언어 코덱에 해당됨)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되, IC 카드에도 언어 코덱(제1 언어 코덱) 또는 이 미지 코덱을 탑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코덱을 이용하여 프레임 정보와 텍스트 정보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인 이미지 변환부와 텍스트 변환부가 IC 카드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미지 변환부나 텍스트 변환부가 IC 카드에 포함되어 있으면 IC 카드의 언어 코덱이 단말기로 연동되거나 전송되는 단계가 생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IC 카드에 프로세서 즉 이미지 변환부나 텍스트 변환부가 포함되지 않으면 IC 카드의 용량이나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외에서 플라스틱 로밍 서비스를 이용할 때 글 깨짐 현상이나 화면 구성이 평소와 상이해져서 겪을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카드 접점단자를 이용하여 단말기 본체에 착탈가능한 IC 카드에 있어서,
    사용자의 식별, 인증 중 하나 이상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하나 이상의 프레임 정보가 저장되는 프레임 정보 저장부;
    상기 프레임 정보의 디코딩을 위한 이미지 코덱이 저장되는 이미지 코덱 저장부; 및
    상기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이미지 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 정보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텍스트 정보 저장부;및
    상기 텍스트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 정보의 언어에 상응하는 언어 코덱이 저장된 언어 코덱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IC 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는 UICC, USIM 카드, SIM 카드 및 UIM카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정보가 저장된 IC 카드.
  5. 카드 접점단자가 형성된 IC 카드와 착탈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텍스트 정보의 디코딩을 위한 언어 코덱 및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의 디코딩을 위한 이미지 코덱이 저장된 코덱 저장부;
    상기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이미지 변환부;
    상기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텍스트 변환부;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변환부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 또는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카드 접점단자가 형성된 IC 카드와 착탈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 또는 제1 언어 코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제2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딩 제어부;
    상기 제2 언어 코덱 및 이미지 코덱이 저장된 코덱 저장부;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텍스트 변환부;
    상기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이미지 변환부;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 의해 디코딩된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 의해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 제어부;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키 선택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키 선택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프레임 선택 신호로 인식되는 키 선택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선택 신호를 상기 이미지 변환부로 출력하여 상기 이미지 변환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카드 접점단자가 형성된 IC 카드와 착탈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글 깨짐 현상을 인식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딩 제어부;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제2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IC 카드의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IC 카드에 탑재된 제1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텍스트 변환부;
    상기 제2 언어 코덱 및 이미지 코덱이 저장된 코덱 저장부;
    상기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이미지 변환부;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서 디코딩된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 의해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 제어부;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카드 접점단자가 형성된 IC 카드와 착탈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 또는 제1 언어 코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제2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상기 IC 카드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프레임 선택 신호를 상기 IC 카드에 출력하는 디코딩 제어부;
    상기 IC 카드에서 디코딩된 상기 텍스트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 제어부;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카드 접점단자가 형성된 IC 카드와 착탈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글 깨짐 현상을 인식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상기 IC 카드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다른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프레임 선택 신호를 상기 IC 카드에 출력하는 디코딩 제어부;
    상기 IC 카드에서 디코딩된 텍스트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 제어부;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지정된 프레임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IC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단말기가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내에 탑재된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용 데이터는 상기 디코딩된 텍스트 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
  15. IC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단말기가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읽어 들이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이미지 코덱 및 언어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각각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
  16. IC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단말기가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 또는 제1 언어 코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제2 언어 코덱의 종류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키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더 포함하되,
    상기 키 선택 신호는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이미지의 출력을 요청하기 위한 프레임 선택 신호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
  18. IC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단말기가 상기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글 깨짐 현상을 인식한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에 의해 글 깨짐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제2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IC 카드의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글 깨짐 발생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IC 카드에 탑재된 제1 언어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기 탑재된 이미지 코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상기 프레임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는 UICC, USIM 카드, SIM 카드 및 UIM카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
  20. IC 카드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를 단말기에서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IC 카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으로서,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프레임 정보 출력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060114153A 2006-11-17 2006-11-17 프레임 정보가 저장된 ic 카드, 프레임 정보 출력 단말기및 방법 KR10083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153A KR100836245B1 (ko) 2006-11-17 2006-11-17 프레임 정보가 저장된 ic 카드, 프레임 정보 출력 단말기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153A KR100836245B1 (ko) 2006-11-17 2006-11-17 프레임 정보가 저장된 ic 카드, 프레임 정보 출력 단말기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036A KR20080045036A (ko) 2008-05-22
KR100836245B1 true KR100836245B1 (ko) 2008-06-09

Family

ID=3966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153A KR100836245B1 (ko) 2006-11-17 2006-11-17 프레임 정보가 저장된 ic 카드, 프레임 정보 출력 단말기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2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875A (ja) * 2000-10-16 2002-08-23 Sony Internatl Europ Gmbh 背景画像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875A (ja) * 2000-10-16 2002-08-23 Sony Internatl Europ Gmbh 背景画像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036A (ko)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0366B2 (en) Wireless devices for storing a financial account card and methods for storing card data in a wireless device
JP6035443B2 (ja) 記憶媒体
US20090307132A1 (en) Enhanced user interface for contactless payment function in mobile telephone
US20180114260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facing a multi-card radio frequency (rf) device with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20140027506A1 (en) Multifunction smart card
KR20120040693A (ko) 결제수단 설정 방법
US108671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int of sale age verification
CN105225103A (zh) 继续支付系统和方法
KR20120049578A (ko) 이동단말기 기반 신용카드 결제 방법
CN103812999A (zh) 移动终端及其通话记录处理方法和装置
KR101763031B1 (ko) 난수와 지문 정보를 이용하는 보안 결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0836245B1 (ko) 프레임 정보가 저장된 ic 카드, 프레임 정보 출력 단말기및 방법
CN111523875A (zh) 跨境支付方法、装置、设备及系统
CA31152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int of sale age verification
KR20020011052A (ko) 신용지불 결제기능을 갖는 인터넷 모바일 조립체
KR100836246B1 (ko) 번역 프로그램이 탑재된 ic 카드, 텍스트 정보 번역단말기 및 방법
KR100851574B1 (ko) 언어 코덱이 탑재된 ic 카드와 글 깨짐 방지 방법 및단말기
KR102466318B1 (ko) 포인트 전환을 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1966438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JP2007080120A (ja) 広告画面表示システム
EP2843603A1 (en) Payment terminal, payment system, payment method, and payment terminal program
KR20220061387A (ko) 타인의 단말기를 이용한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결제 시스템
KR970064017A (ko) 이동전화단말기 대여 시스템 및 이동전화단말기 대여/반환방법
KR101710199B1 (ko) 역방향 자동응답 처리 방법
KR20140073047A (ko) 코드를 이용한 카드결제 방법, 이를 위한 결제장치, 모바일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