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371B1 -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371B1
KR100835371B1 KR1020070017371A KR20070017371A KR100835371B1 KR 100835371 B1 KR100835371 B1 KR 100835371B1 KR 1020070017371 A KR1020070017371 A KR 1020070017371A KR 20070017371 A KR20070017371 A KR 20070017371A KR 100835371 B1 KR100835371 B1 KR 10083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breaker
temperature
cable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식
최창규
Original Assignee
강문식
최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문식, 최창규 filed Critical 강문식
Priority to KR1020070017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74Means for adjus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vice will function to provide pro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 단자 또는 케이블 외피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IC, 및 상기 차단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온도센서IC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아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내에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차단기 작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달열, 배선용 차단기, 온도센서IC, 가스센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솔레노이드, 케이블, 케이블 외피

Description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INTERRUPT FUNCTION BY TEMPERATURE SENSING}
제1a도는 종래 기계식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특성 그래프이다.
제1b도는 종래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특성 그래프이다.
제2도는 화재가 발생한 종래 배선용 차단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3도는 종래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4도는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정면도와 측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정면도와 측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7도는 CV케이블 사용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차단기 본체 11: 단자
20: 온도센서IC 30: 가스센서
40: 차단기 작동 수단 41: 마이크로프로세서
42: 솔레노이드 50: 케이블
51: 케이블 압착터미널 52: 케이블 외피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접촉저항 증가에 따른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배선용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란 교류 600V 이하, 또는 직류 250V 이하의 저압 옥내전로의 보호에 사용되는 몰드케이스(mold case) 차단기를 말하며, 통전상태의 전로를 수동 또는 전기 조작에 의해 개폐할 수 있으며, 과부하 및 선간단락 등의 이상 상태시 자동적으로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는 소형이며 조작이 안전하고 퓨즈를 끼우는 등의 수고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나이프 스위치와 퓨즈를 결합한 것에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에는 열동형 차단기(바이메탈이 차단기를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어 만곡되므로 트립동작을 하는 것), 완전전자식(完全電磁式) 차단기(전자석의 원리에 의해 동작하는 것), 전자식 차단기(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이상전류 판단하여 동작하는 것) 등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와 같은 트립장치의 트립 특성은 정격전류의 100%를 연속 통전하여도 트립동작하지 않고, 정격전류의 125%, 200%의 전류가 흐를 때에는 미리 정해진 동작시간만큼 지속될 경우 차단기가 트립되도록 트립 동작시간이 정해져 있어 과전류 및 단락전류로부터 부하 기기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선용 차단기는 밀폐된 공간인 배전함과 분전함 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도체의 냉각이 원활하지 못하여 금속도체의 발열이 지속될 수 있으며, 차단기를 계속 사용함에 따라 또는 연결 작업 중의 실수로 차단기 단자(11)와 케이블 압착터미널(51)을 연결하는 결합 부분의 볼트의 조여짐이 느슨해지거나 전원측 부스바와 부하측 부스바를 체결한 볼트가 같은 원인으로 풀리거나 느슨하게 조여져 국부적인 발열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은 원인에 의한 전달열은 차단기에서 발생하는 전기화재의 원인이 되나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배선용 차단기는 이러한 전달열을 감지하여 차단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못하여 전달열에 의한 화재를 방지할 수 없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에 화재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물론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원라인의 발열을 검출하여 차단기를 동작시키는 별도의 부속 기기를 차단기에 병렬로 연결하도록 하는 방법이 고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 또는 배전함 내에는 주 전력선에 설치된 차단기 이외에도 각 부하로 연결되는 다수의 차단기가 필요하므로(도 2에는 총 5개의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음) 차단기 마다 전원라인의 발열을 검출하여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별도의 기기를 병렬 부착하는 종래의 방법은 설치 공간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며, 별도의 차단기가 부가되어야 하는 만큼 비용적 측면에서도 효율적이 못하였다.
또한 차단기에 병렬로 연결되는 기기는 일반적으로 온도센서로부터 신호에 따라 접점을 오픈시키는 계전기, 릴레이 등 다수의 기기들로 구성되어 있어 기능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오작동될 가능성이 많으며, 차단기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기, 발전기 등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곳에 설치될 경우 그 진동으로 인해 차단기와의 연결이 느슨해져 오작동될 우려도 높았다.
또한 단순히 온도센서를 차단기 접속부에 인접되게 설치하여 설정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할 경우 차단기가 차단되도록 하는 장치가 고안되기도 하였으나 종래의 장치들은 발화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였으며, 부스바 또는 단자에서 발생된 열이 완벽하게 온도센서로 전달되지도 않아 전달열로 인한 전기화재를 완벽하게 예방할 수도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별도의 차단기기를 부착하지 않고 기존의 차단기를 이용함으로써 공간적,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진동이 발생하는 곳에서의 사용이나 오랜 사용에도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의 원인을 정확히 인식하고 전달열을 가장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전달열로 인한 전기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배선용 차단기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저항 증가로 인한 전달열을 감지하고 이를 차단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차단기의 구성을 최대한 활용하므로써 공간적, 경제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가 전달되는 구성을 간소화시켜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환경에 관계없이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센서IC를 사용함으로써 차단기에서 발생하는 전달열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센서IC를 차단기 단자에 매입설치함으로써 차단기에서 발생하는 전달열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센서IC를 차단기 단자에 매입설치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한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확한 차단 온도를 설정함으로써 전달열로 인한 화재를 신뢰성 있게 예방할 수 있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달열로 인해 방출되는 유독가스농도를 감지함으로써 전달열로 인한 화재를 신뢰성 있게 예방할 수 있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10), 상기 차단기 본체 단자(11) 또는 케이블 외피(52)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IC(20), 및 상기 차단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온도센서IC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아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차단기 작동 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기는 전달열로 인해 방출된 유독가스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작동 수단(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가스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아 미리 정해진 농도 이상으로 유독가스농도가 상승된 경우 상기 차단기를 작동시키도록 하여 전달열로 인해 케이블 외피가 연화되면서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차단기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 3에 종래의 일반적인 배선용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는 도 1a와 같은 트립 특성이 세팅된 바이메탈이 내장되어 있거나 도 1b와 같은 트립 특성이 세팅된 마이크로프로세서 키트가 내장되어 있어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정해진 시간에 전원공급을 차단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단기는 차단기와 케이블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달열에 대해서는 감시 기능을 갖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10), 상기 차단기 본체 단자(11) 또는 케이블 외피(52)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IC(20), 및 상기 차단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온도센서IC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아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내에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차단기 작동 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전달열에 의해 차단기에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차단기를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전달열에 의한 화재를 차단하기 위해 단순히 온도센서를 사용하여 온도를 측정한 후 이 온도값에 따라 차단기를 작동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단순한 온도센서, 예를 들어 열전대를 사용할 경우 열전대의 감도 즉, 온도변화에 따른 열기전력의 변화가 수십 마이크로볼트/℃ 미만으로 대단히 미약하므로 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오프셋이 아주 작은 증폭기가 요구되고 정확한 온도계측을 위해 영점보정회로가 요구된다. 또한 차단기와 같이 큰 전류가 흐르는 환경에서는 열전대의 신호레벨 자체가 대단히 낮음으로 인해 신호대잡음비(S/N)가 낮아 정확하고 안정적인 온도계측이 불가능하다.
또한 온도센서로 서미스터(Thermistor)를 사용할 경우 온도센서는 온도의 변화를 저항의 변화로 출력하지만 서미스터의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 특성곡선의 비선형성이 너무 크기 때문에 별도의 복잡한 선형화 회로가 요구되고 사용 온도범위가 제한적이다.
또한 백금저항체를 사용할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가 너무 작고 정전류전원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한 일정한 전류를 소자에 흘리면서 소자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온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회로가 복잡하고 차단기에 센서를 설치하기에 공간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소자에 흘려주는 수 밀리암페어 정도의 전류로 소자 자체에서 열이 발생함으로 인해 온도측정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백금을 사용하므로 소자의 가격도 비싸고 크기도 차단기의 단자에 매입하고자 할 경우 소자가 너무 크고, 소자와 차단기 단자간 전기절연도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차단기 단자 또는 케이블 외피의 온도계측소자로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센서들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본원 발명에서는 전달열 측정을 위해 온도센서IC(20)를 사용한다. 온도센서IC는 센서와 증폭회로가 하나의 소자로 집적되어 있는 온도센서집적회로소자이다. 이러한 온도센서IC(20)로는 소형으로 직경이 5mm이하의 플라스틱 케이스 제품(TO-92)을 사용할 경우 차단기의 단자에 직접 매입하여 설치하거나 케이블 외피에 열수축튜브를 이용하여 밀착 설치하여 온도측정상의 오차와 측정시간지연을 없애고 신호대잡음비를 높이면 차단기 단자 및 케이블 외피의 온도변화를 신속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IC로는 별도의 교정회로나 조정회로가 불필요하고 섭씨온도에 비례하는 전압(10mV/℃)이 출력되며, 영점보상이 필요하지 않고, 온도에 대한 출력전압의 선형성이 매우 좋으며, 동작전류에 의한 자기발열량이 작아 측정의 정확도가 높은 내셔널세미컨덕터사의 LM3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용도로 LM34, LM45, LM50, LM135, LM235, LM335 계열도 사용가능하다.
전달열에 의한 화재발생을 연구한 결과 전달열에 의한 화재는 대부분 전달열이 케이블에 전달될 경우 케이블의 외피가 연화되면서 화재가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차단기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점증적으로 증가시키면서 5분간격으로 케이블의 외피상태를 관찰한 결과 차단기의 케이블로 널리 사용되는 CV(가교폴리에틸렌)케이블의 경우 아래의 표와 같이 케이블 외피온도가 80℃이상 가열될 경우 케이블 외피가 연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7015286777-pat00001
따라서 전달열에 의한 차단기 작동을 위해서는 케이블 외피의 온도를 측정하며,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차단기가 작동하는 트립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차단기 케이블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CV케이블의 경우 IEC규격에 의하면 CV케이블의 연속사용 허용온도가 90℃로 되어 있으나 주 절연재료인 가교폴리에틸렌은 허용 온도가 250℃인 반면 외피재료인 내열성 PVC는 허용온도가 75℃이고, 위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80℃ 근방에서 케이블에 연기가 나면서 연화되기 시작함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으므로 CV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케이블 외피의 온도가 약 75℃이상으로 일정시간 유지될 경우 차단기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달열로 인한 화재는 대부분 케이블 외피의 과열로 발생하므로 온도센서IC를 케이블 외피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렇게 구성할 경우 차단기를 설치할 때마다 케이블 외피에 온도센서IC를 부착하고 이를 다시 차단기와 연결시켜야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에 허용전류가 30A인 전선에 여러 가지 전류를 흘리면서 2분 간격으로 케이블 외피와 차단기 단자의 온도를 측정할 결과 아래의 표와 같이 케이블 외피가 가열되는 것과 유사하게 차단기 단자의 온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7015286777-pat00002
따라서 온도센서IC는 케이블 외피에 열수축튜브를 이용하여 밀착 설치하거나 차단기 단자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단자의 온도변화가 생겼을 때 빠른 시간 내에 단자와 온도센서IC가 열평형상태에 이르게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에 홀을 만들어 온도센서IC를 매입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과열로 인한 화재예방을 완벽하게 하기 위해서는 모든 단자 또는 케이블에 온도센서 IC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3상 4선식 차단기의 경우 전원 측 단자 4곳과 부하 측 단자 4곳에 각각 1개씩의 온도센서IC를 설치하거나 각각의 케이블 외피에 총 8개의 온도센서IC(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상기 온도센서IC의 신호는 차단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차단기 작동수단(40)에 전달되며, 온도센서IC로부터의 신호를 분석하여 단자나 케이블 외피가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차단기가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온도센서IC는 온도 신호값을 0mA 내지 수십mA의 전류값 또는 0 내지 수십 mV의 전압값으로 출력하여 차단기 작동수단(40)으로 전달하며, 전류 값 또는 전압 값 사용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작동수단(40)은 구체적으로 온도센서IC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1)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차단신호를 전달받아 차단기를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자 및 각 케이블외피에 온도센서IC를 연결한 경우 모든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일괄 처리할 수 없으므로 이런 경우 멀티플렉서를 통하여 각 온도센서IC로부터의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ADC 입력단자에 연결하고 각 온도센서IC의 값을 적절히 돌아가면서 측정하도록 프로그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41)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원이 전압 분배회로 및 서지 방지 회로, 브리지 정류기, 정류 회로, 레귤레이터를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41)에 입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1)는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입력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차단기가 차단동작(트립)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42)에 전기신호를 보내 차단기가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차단기가 작동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데, 케이블 또는 몰드케이스의 종류에 따라 발화되는 온도 및 시간이 다르므로 사용되는 케이블 또는 몰드케이스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동작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차단기의 트립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CV케이블일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되도록 프로그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달열에 의해 케이블 외피가 연화될 경우 케이블 외피가 연화되면서 유독성 기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외피나 단자의 온도뿐만 아니라 케이블 외피의 연화로 인해 발생하는 기체를 감지하여 차단기를 작동시킬 경우 보다 확실하게 전달열로 인한 전기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달열로 인해 방출된 유독가스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를 더 설치하고, 상기 차단기 작동 수단(40) 즉, 마이크로프로세서(41)가 상기 가스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전달 받아 미리 정해진 농도 이상으로 가스 농도가 상승된 경우 상기 차단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널리 사용되고 있는 CV케이블의 외피재료인 PVC는 허용온도를 초과하면 연화과정을 거쳐 발화될 경우 유독성 기체인 염소가스가 분출된다. 따라서 밀폐된 분전함 및 배전함에 가스센서(30)를 설치하고 염소가스가 일정 농도이상이 될 경우 차단기가 트립되도록 하면 과열에 의한 전기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가스센서(30)로 Analox사의 6003SI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센서는 0.1ppm,에서 100ppm,까지 염소농도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4mA에서 20mA의 전류신호로 전기신호를 출력하므로 염소가스센서의 출력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41) ADC단자에 연결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그 출력 값을 통해 미리 설정한 농도이상으로 염소가스가 분출된 경우 차단기가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열동식 및 완전전자식 차단기에는 상기 차단기 작동 수단(40)을 부가적으로 설치하고, 전자식 차단기에는 전자식 차단기에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램에 본 발명의 기술에 해당되는 기능을 추가한 후 온도센서IC 및/또는 가스센서와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촉 저항 증가로 인한 전달열을 감지하고 이를 차단할 수 있고, 종래 차단기의 구성을 최대한 활용하므로써 공간적, 경제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호가 전달되는 구성을 간소화시켜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설치 환경에 관계없이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IC를 사용함으로써 차단기에서 발생하는 전달열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IC를 차단기 단자에 매입설치함으로써 차단기에서 발생하는 전달열을 정확하게 감지할 뿐 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며, 정확한 차단 온도를 설정함으로써 전달열로 인한 화재를 신 뢰성 있게 예방할 수 있고, 전달열로 인해 방출되는 유동가스농도를 감지함으로써 전달열로 인한 화재를 신뢰성 있게 예방할 수 있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차단기 본체(10);
    상기 차단기 본체 단자(11) 또는 케이블 외피(52)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IC(20);
    상기 차단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온도센서IC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아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차단기 작동 수단(40); 및
    전달열로 인해 방출된 유독가스농도를 감지하기 위해 차단기 내부에 설치된 가스센서(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기 작동 수단(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가스센서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아 미리 정해진 농도 이상으로 유독가스농도가 상승된 경우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작동 수단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1)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차단신호를 전달받아 차단기를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IC는 차단기 단자에 매입설치되어 있거나 케이블 외피에 열수축튜브를 이용하여 밀착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케이블 또는 차단기 몰드케이스의 종류에 따라 배선용 차단기를 동작시키는 트립 포인트가 달라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PVC를 외피재료로 하는 CV케이블일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센서IC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약 75℃ 이상일 경우 배선용 차단기를 동작시키도록 트립 포인트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50)이 PVC를 외피재료로 하는 CV케이블일 경우 상기 가스센서는 염소가스농도센서이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미리 정해진 염소가스농도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상기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KR1020070017371A 2007-02-21 2007-02-21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KR10083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371A KR100835371B1 (ko) 2007-02-21 2007-02-21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371A KR100835371B1 (ko) 2007-02-21 2007-02-21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371B1 true KR100835371B1 (ko) 2008-06-04

Family

ID=3977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371A KR100835371B1 (ko) 2007-02-21 2007-02-21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37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9495A2 (en) * 2008-09-23 2010-04-08 Energy Saf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electrically-caused fires in wiring devices
KR20140143548A (ko) * 2013-06-07 2014-12-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주위 온도 보상을 이용한 차단기 개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10792B1 (ko) 2015-12-30 2016-04-08 이승철 금속함 내 전기화재 사전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626961B1 (ko) * 2016-03-03 2016-06-1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CN107481885A (zh) * 2017-08-03 2017-12-15 山东泰开高压开关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开合功能的断路器用加热装置以及断路器
KR102006295B1 (ko) * 2018-04-17 2019-08-01 청진산전 주식회사 지상변압기 내장형 분전함의 조립식 접속장치
WO2019156328A1 (ko) * 2018-02-06 2019-08-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전자식 트립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939A (ko) * 2001-07-11 2003-01-23 조내준 누전차단기의 과열방지장치
KR200428989Y1 (ko) 2006-08-03 2006-10-17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분전반 누전 차단기의 개폐버튼 작동 시스템
KR20070016348A (ko) * 2005-08-03 2007-02-08 김정권 전기차단기의 이상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939A (ko) * 2001-07-11 2003-01-23 조내준 누전차단기의 과열방지장치
KR20070016348A (ko) * 2005-08-03 2007-02-08 김정권 전기차단기의 이상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200428989Y1 (ko) 2006-08-03 2006-10-17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분전반 누전 차단기의 개폐버튼 작동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9495A2 (en) * 2008-09-23 2010-04-08 Energy Saf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electrically-caused fires in wiring devices
WO2010039495A3 (en) * 2008-09-23 2010-07-01 Energy Saf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electrically-caused fires in wiring devices
KR20140143548A (ko) * 2013-06-07 2014-12-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주위 온도 보상을 이용한 차단기 개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10792B1 (ko) 2015-12-30 2016-04-08 이승철 금속함 내 전기화재 사전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626961B1 (ko) * 2016-03-03 2016-06-1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CN107481885A (zh) * 2017-08-03 2017-12-15 山东泰开高压开关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开合功能的断路器用加热装置以及断路器
CN107481885B (zh) * 2017-08-03 2024-04-19 山东泰开高压开关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开合功能的断路器用加热装置以及断路器
WO2019156328A1 (ko) * 2018-02-06 2019-08-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전자식 트립 장치
CN111566773A (zh) * 2018-02-06 2020-08-21 Ls电气株式会社 配线用断路器的电子式跳闸装置
US11257648B2 (en) 2018-02-06 2022-02-22 Ls Electric Co., Ltd. Electronic trip device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111566773B (zh) * 2018-02-06 2022-08-05 Ls电气株式会社 配线用断路器的电子式跳闸装置
KR102006295B1 (ko) * 2018-04-17 2019-08-01 청진산전 주식회사 지상변압기 내장형 분전함의 조립식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371B1 (ko) 전달열 감시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US8605402B2 (en) Heat sensor responsive to electrical overloads
EP2591529B1 (en) Secondary thermal sensor for primary conductors
KR101052991B1 (ko) 아크 플래쉬 검출 방법 및 회로 차단기
EP2898524B1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an electronic trip circuit, a number of temperature sensors and an over-temperature trip routine
US8159803B2 (en) Heat actuated interrupter receptacle
KR101904578B1 (ko) 부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10141635A1 (en) Thermally protected GFCI
KR20070079129A (ko) 전달열 차단 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KR20090130992A (ko) 온도센서가 내장된 전기장치
EP28346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glowing contact in a power circuit
US200502190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ical protection to a protected circuit
JPS628419A (ja) 過熱防止装置付回路遮断器
KR100572624B1 (ko) 전선용량 과부하 감지회로 및 이를 내장한 전원차단장치
CN111200273B (zh) 用于识别串联故障电弧的针对低压电路的保护开关装置
US9520707B2 (en) Device for protecting a user
EP3411929B1 (en) Safety socket
US20060146465A1 (en) Protective switch
CA2225753A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unit for buildings
CN113544810A (zh) 电路断路器和基于温度确定触点磨损的方法
CZ75595A3 (en) Thermal protection against overload for switches
KR200327364Y1 (ko) 테스트용 단자를 구비한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US90196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appliance junction
GB2276991A (en) Protection circuit responsive to several sensors
JP2003217748A (ja) 感熱遮断機能付き防火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