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167B1 -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 - Google Patents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167B1
KR100835167B1 KR1020060071764A KR20060071764A KR100835167B1 KR 100835167 B1 KR100835167 B1 KR 100835167B1 KR 1020060071764 A KR1020060071764 A KR 1020060071764A KR 20060071764 A KR20060071764 A KR 20060071764A KR 100835167 B1 KR100835167 B1 KR 100835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plate
diet
light emitting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989A (ko
Inventor
허정림
Original Assignee
허정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림 filed Critical 허정림
Priority to KR1020060071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16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47G1/04Multi-part mirr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2001/002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comprising magnifying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자신의 신체를 비추어 볼 수 있도록 마련된 거울에 체중 측정수단과 신장 측정수단을 구비되도록 하고, 이어 그 측정된 체중, 신장 및 기타 성별 조건에 따라 분류된 표준체형을 거울면을 통해 가변적인 인체 곡선형태로 점등, 표시되게 하여 자신의 비만도 및 체형조건을 시각적으로 측정가능하게 함으로써, 비만증 및 기타 섭식장애 등과 같은 신체적 장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면 거울판을 중심으로 그 좌,우 양측면에 오목거울판과 볼록거울판을 접철식 연결구조로 결합시킨 거울본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평면거울판 후측면에 규칙적이고 반복적 배열구성의 인체곡선표시램프가 구비된 발광표지판을 장착시키고;
상기 발광표지판 배면부에 데이터 입력부와, 수치저장부와, 연산처리부와,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컨트롤박스를 장착시키며;
상기, 평면거울판 상부 전면 중앙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 절곡된 구성으로, 높이측정센서와 측정구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장측정기를 장착시키고;
상기, 평면거울판 하단 정면 중앙부에 힌지프레임 의한 접철식 연결구조로써 디지털 체중측정기를 더 구비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Diet mirr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을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의 배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의 측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컨트롤박스의 블럭 구조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거울본체 2 : 발광표지판 3 : 컨트롤박스
4 : 디지털 신장측정기 5 : 디지털 체중측정기 11 : 평면거울판
12 : 설치판 13 : 볼록거울판 21 : 설치판
22 : 인체곡선표시램프 31 : 데이터 입력부 32 : 수치저장부
33 : 연산처리부 34 : 디스플레이부 41 : 설치연결대
42 : 측정구 51 : 힌지프레임
본 발명은 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의 반사작용에 의해 물체의 상(相)을 비춰볼 수 있도록 한 통상의 거울에 체중 측정수단과 신장 측정수단을 더 구비되게 하고, 아울러 그 측정된 체중, 신장 및 기타 성별 조건에 따라 분류된 표준체형을 거울면을 통해 가변적인 인체 곡선형태로 점등, 표시되게 하여 자신의 비만도 및 체형조건을 시각적으로 측정,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우리의 식생활 문화 또한 점차 서구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상생활에 있어서 또한 과거와 비교하여 볼 때 각종 스트레스와 운동량 부족 등으로 인해 비만증의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비만은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및 관상동맥 질환과 연관관계가 있어, 광범위하고 심각한 건강상태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담석 및 담관질환, 골관절염, 월경불순 및 과월경증, 심리적장애 등 많은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시킬수 있는 것으로, 이에 정상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이러한 성인병의 치료와 예방에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정상체중을 유지시켜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비만증 발병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신체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다이어트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인바, 이러한 다이어트 방법의 몇몇 예를 살펴보면 이는 식이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 각종 기구를 이용하는 방안들이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다이어트 방법들은 이미 비만증에 도달한 자가 그 심각성을 인지한 이후에, 자신의 불필요한 체중을 감량하기 위해 실시하는 매우 적극적인 대응 방안으로써, 이에 이러한 다이어트 방법들은 그 실행과정에 있어 상당한 노력과 시간, 그리고 비용이 소모될 수 밖에 없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이러한 방법들은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와 함께 그에 따른 심리적인 부담감 등으로 인해 다이어트 성공률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는 실효성 저하의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최근에 들어서는 미적 기준이 점차 서구화되면서 마른 체형을 선호하고 그에 따라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며, 심지어는 이러한 현상이 상업성과 대중매체의 힘을 빌어 한 트렌드(Trend)로서 우리 사회에 자리 잡아가고 있음이 현실이다.
이에, 상기 마른 체형을 선호하는 사회적 현상은 비만증과는 또 다른 형태로써, 이상적 체격조건을 왜곡되게 조장하여 자신의 신체가 무척 말랐음에도 불구하고 뚱뚱하다 주장하거나, 낮은 체중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특정부위가 뚱뚱하다고 믿으며 섭식장애 등의 유병율을 증가되게 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 자신의 이상적인 표준체형 관리를 통해 비만증 및 섭식장애 등의 요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건강관리법 및 그에 도움을 줄수 있도록 한 기술의 개발을 절실한 해결과제로 남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상적 체형관리를 위해 이용되는 종래 다이어트 기구들의 제반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의 신체를 비추어 볼 수 있도록 마련된 거울에 체중 측정수단과 신장 측정수단을 구비되도록 하고, 이어 그 측정된 체중, 신장 및 기타 성별 조건에 따라 분류된 표준체형을 거울면을 통해 가변적인 인체 곡선형태로 점등, 표시되게 하여 자신의 비만도 및 체형조건을 시각적으로 측정가능하게 함으로써, 비만증 및 기타 섭식장애 등과 같은 신체적 장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상생활에 있어, 단 하루도 빠짐없이 접하게 되는 거울을 통해 자신의 체형변화를 가변적인 인체곡선과 데이타화 된 수치에 의해 체크 가능하도록 하여, 항상 심리적인 경각심을 갖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수 있도록 한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은;
평면 거울판을 중심으로 그 좌,우 양측면에 오목거울판과 볼록거울판을 접철식 연결구조로 결합시킨 거울본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평면거울판 후측면에 규칙적이고 반복적 배열구성의 인체곡선표시램프가 구비된 발광표지판을 장착시키고;
상기 발광표지판 배면부에 데이터 입력부와, 수치저장부와, 연산처리부와,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컨트롤박스를 장착시키며;
상기, 평면거울판 상부 전면 중앙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 절곡된 구성으로, 높이측정센서와 측정구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장측정기를 장착시키고;
상기, 평면거울판 하단 정면 중앙부에 힌지프레임 의한 접철식 연결구조로써 디지털 체중측정기를 더 구비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을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을 정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의 배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의 측단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컨트롤박스의 블럭 구조도로써, 그 일련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일련의 유기적 결합관계를 갖는 거울본체(1)와, 발광표지판(2)과, 컨트롤박스(3)와, 디지털 신장측정기(4)와, 디지털 체중측정기(5)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거울본체(1)는 빛의 반사작용에 의해 물체의 상(相)을 비춰볼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구성으로써, 이에 이와 같은 거울본체(1)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신(全身)을 비추어볼 수 있도록 하는 직사각 판상체 구조의 평면거울판(11)을 중심으로 하여, 그 좌, 우 양측면에, 상기 평면거울판(11)과 동일한 규격 형태로써, 오목거울판(12)과 볼록거울판(13)을 힌지 접철식 연결구조로 더 결합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평면거울판(11)은 정면 상부 중앙에 수치표시창(111)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수치표시창(111)의 하단으로, 재차 복수개의 관통구성을 이루는 입력버튼노출공(112)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발광표지판(2)은 측정된 사용자의 신장치수 정보에 따라 그에 합당한 표준체형 신호를 후술하는 컨트롤박스(3)로 부터 제공받아 이를, 인체곡선 형태로 발광표시되게 하는 수단으로써, 이에 이러한 발광표지판(2)은 도 1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판상체 구조를 취하는 설치판(21)을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설치판 전면에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다수개의 배열구성으로, 인체곡선표시램프(22)를 설치토록 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3)는 후술하는 디지털 신장측정기(4)와, 디지털 체중측정기(5)로 부터 측정된 신장치수와 체중치수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처리하여, 이를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형태로 출력되게 하는 수단으로써, 이에 이와 같은 컨트롤박스(3)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31)와, 수치저장부(32)와, 연산처리부(33)와, 디스플레이부(34)로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3)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34)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구성으로써, 이는 복수개의 표시구성, 즉 신장치수표시창(341)과, 감량체중표시창(342)으로 분할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34) 하부 중앙으로는, 사용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성별입력버튼(35)이 소정길이 돌출된 복수개의 분할구성으로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장측정기(4)는 전자적 센서작동에 의해 높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토록 하는 통상의 구성으로써, 이에 이와 같은 디지털 신장측정기(4)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의 절곡구성을 갖는 설치연결대(41)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절곡된 설치연결대(41)의 일측단부에 높이측정센서(도시생략)가 내장된 측정구(42)를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디지털 신장측정기(4)에 있어 설치연결대(41)의 내부로는 케이블(도시생략)이 내설된 형태로써, 그 내설된 케이블에 의해 신장측정기(4)는 상기 컨트롤박스(3)와 상호 회로적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체중측정기(5)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토록 하는 통상의 구성으로써, 이에 이와 같은 디지털 체중측정기(5)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1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체중측정기(5)의 정면 중앙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힌지프레임(51)을 연결,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디지털 체중측정기에 있어 힌지프레임의 내부로는 케이블(도시생략)이 내설된 형태로써, 그 내설된 케이블에 의해 디지털 체중측정기(5)는 상기 컨트롤박스(3)와 상호 회로적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을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먼저,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거울판(11)을 중심으로 그 좌,우 양측면에 오목거울판(12)과 볼록거울판(13)을 접철식 연결구조로 결합시켜 거울본체(1)를 형성토록 한 후;
상기 평면거울판(11) 후측면에 인체곡선표시램프(22)가 설치된 발광표지판(21)을 장착시키고;
상기 발광표지판(21) 배면부에 도 4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31)와, 수치저장부(32)와, 연산처리부(33)와, 디스플레이부(34)가 구비된 컨트롤박스(3)를 장착시키며;
이어,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거울판(11) 상부 전면 중앙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 절곡된 구성으로 디지털 신장측정기(4)를 장착시키고;
재차, 상기 평면거울판(11) 하단 정면 중앙부에 힌지프레임(51) 의한 접철식 연결구조로써 디지털 체중측정기(5)를 더 연결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면거울판(11)을 마주보는 형태로 피측정자가 디지털 체중측정기(5)에 올라서게 되면, 상기 디지털 체중측정기(5)는 피측정자의 신체하중을 감지하여 체중을 측정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평면거울판(11) 상부 전면 중앙을 향해 돌출 설치된 디지털 신장측정기(4)는 높이측정센서에 의한 감지에 의해 피측정자의 신장을 측정하게 된다.
이에, 상기 디지털 체중측정기(5)와 디지털 신장측정기(4)에 의해 측정된 신장치수와 체중치수는 하나의 데이터 신호로써, 케이블을 통해 컨트롤박스(3)로 전송되어, 데이터 입력부(31)에 입력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31)에 입력된 신장치수와 체중치수는 연산처리부(33)로 전송되어, 수치저장부(32)에 저장된 데이타 자료, 즉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의 조사에 의해 설정된 표준체형치수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측정된 신장치수를 디스플레이부(34)의 신장치수표시창(341)을 통해 표시되게 하는 것이며, 아울러 측정된 체중치수는 표준체형과 비교에 의해 필요에 따른 증,감량을 디스플레이부(34)의 체중표시창을 통해 표시하게 된다.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은 측정된 신장치수의 분석에 따라 표준체형을 발광표지판(2)의 인체곡선표시램프(22)를 통해 인체곡선으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자신의 체형이상 유무를 시각적으로 감지, 판단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오목거울판(12)과 볼록거울판(13)은 거울면의 굴곡작용에 의해 자신의 신체변화를 미리 예견해 봄으로써, 비만증에 대한 또 다른 경각심을 유발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은 자신의 신체를 비추어 볼 수 있도록 마련된 거울에 체중 측정수단과 신장 측정수단을 구비되도록 하여, 그 측정된 체중, 신장 및 기타 성별 조건에 따라 분류된 표준체형을 거울면을 통해 가변적 인 인체 곡선형태로 점등, 표시되게 함으로써, 자신의 비만도 및 체형조건을 시각적으로 측정가능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측정기능에 비만증 및 기타 섭식장애 등과 같은 신체적 장애 발생을 미연에 방지되도록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평면 거울판을 중심으로 그 좌,우 양측면에 오목거울판과 볼록거울판을 접철식 연결구조로 결합시킨 거울본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평면거울판 후측면에 규칙적이고 반복적 배열구성의 인체곡선표시램프가 구비된 발광표지판을 장착시키고;
    상기 발광표지판 배면부에 데이터 입력부와, 수치저장부와, 연산처리부와,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컨트롤박스를 장착시키며;
    상기, 평면거울판 상부 전면 중앙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 절곡된 구성으로, 높이측정센서와 측정구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장측정기를 장착시키고;
    상기, 평면거울판 하단 정면 중앙부에 힌지프레임 의한 접철식 연결구조로써 디지털 체중측정기를 더 구비되게 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장측정기와 디지털 체중측정기는 소정길이를 갖는 케이블에 의해 컨트롤박스와 상호 회로적 연결관계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거울판은 그 정면 상부 중앙에 수치표시창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는 신장치수표시창과, 감량체중표시창으로 분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
  5. 삭제
KR1020060071764A 2006-07-28 2006-07-28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 KR100835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764A KR100835167B1 (ko) 2006-07-28 2006-07-28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764A KR100835167B1 (ko) 2006-07-28 2006-07-28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989A KR20080010989A (ko) 2008-01-31
KR100835167B1 true KR100835167B1 (ko) 2008-06-04

Family

ID=3922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764A KR100835167B1 (ko) 2006-07-28 2006-07-28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441B1 (ko) * 2011-11-21 2012-06-26 권오원 다이어트 결과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이어트 결과 측정 시스템
KR101650631B1 (ko) * 2014-12-09 2016-08-23 (주)애니토이 신장 측정 거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989A (ko)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brien et al.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s: recommendations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JP2023116568A (ja) 分析物データを用いた健康及び栄養の監視及び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KR100717405B1 (ko) 생체 신호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EP2846690B1 (en) Sound-based spirometric device
US20050228244A1 (en) Small-scale, vital-signs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GB2497630A (en) Modular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Kuntz et al. Validity of the exercise vital sign tool to assess physical activity
DE60210939D1 (de) Gerät zur bestimmung des hämodynamischen zustands
CN101346097A (zh) 血糖浓度的无创测量系统
US20220071520A1 (en) System for screening and diagnosis of diabetes
ATE545360T1 (de) Blutzuckermessgerät
KR100835167B1 (ko) 다기능 다이어트 거울
CN106250680A (zh) 心脏健康指数检测系统及模型构建方法
JP2010510839A (ja) 指先血中酸素飽和度測定装置
JP2011103914A (ja) 筋緊張計測装置、筋緊張計測方法および筋緊張計測プログラム
WO2019061921A1 (zh) 移动式多功能健康检查一体机
CN101147674B (zh) 睡眠时消耗卡路里测量装置
JP4443335B2 (ja) 携帯型健康管理装置
KR100698362B1 (ko) 생체 신호 측정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HALABY et al. Novel approach of a smart medical mirror system for medical applications
WO2019061922A1 (zh) 健康监测一体机设备
CN105708424A (zh) 号脉仪控制电路、智能号脉仪、智能手环及移动终端
CN201005690Y (zh) 一种脉搏显示器
TWM329220U (en) Modulated biomedical signal measuring device
KR20160022638A (ko) 음식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