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063B1 -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063B1
KR100834063B1 KR1020070047414A KR20070047414A KR100834063B1 KR 100834063 B1 KR100834063 B1 KR 100834063B1 KR 1020070047414 A KR1020070047414 A KR 1020070047414A KR 20070047414 A KR20070047414 A KR 20070047414A KR 100834063 B1 KR100834063 B1 KR 100834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information
digital broadcasting
digital
receiving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욱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6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play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파 디지털방송과 위성 디지털방송을 동시에 지원하는 디지털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재생을 빠르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식의 디지털 방송 중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과정, 및 상기 방송신호 재생 중,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에 따라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 재생 중,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 선택 시, 프로그램정보를 별로로 수신할 필요 없이 수신된 방송신호를 바로 재생할 수 있다.
디지털방송, 프로그램정보, 방송신호

Description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method for receiving of program information of device of receiving of digital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정보 수신 방법이 수행되는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수신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지상파 디지털방송과 위성 디지털방송을 동시에 지원하는 디지털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 재생 시 선택되지 않은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여 다음에 선택되지 않은 디지털방송이 선택될 시, 선 택된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바로 재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CD 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또는 영상서비스 등이 가능하고 우수한 고정 및 이동수신 품질을 제공하는 디지털방식의 멀티미디어 방송으로, 전송수단(지상파/위성)에 따라 지상파 디지털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비디오, 오디오, 데이터)를 고정 수신자에게 경제적인 방송망을 통해 고품질로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지상파 디지털방송은 방송법상으로 지상파 방송사업자만이 해당되는데, 지상중계기를 이용하여 음악 및 영상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위성 디지털 방송은 지상파보다 훨씬 높은 대역인 극초단파(UHF)에 해당하는 2.6~2.655 Ghz대역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지상파 디지털방송이 관악산 송신소에서 전파를 발사해 수도권을 커버한다면, 위성 디지털방송은 대기권 밖의 위성에서 한반도를 향해 전파를 발사함으로써 단번에 전국방송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지상파 디지털방송과 위성 디지털방송의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방송 수신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사용자가 특정 방식의 디지털 방송을 선택하면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는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프로그램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는 프로그램정보가 없으면,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수 분을 소요한다.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좋아하는 프로그램이 방송중인 경우, 빨리 시청하고 싶기 때문에 이와 같이 소요되는 시간을 지루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방송 선택 시,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없이 바로 재생되는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상파 디지털방송과 위성 디지털방송을 지원하는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에서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을 바로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과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을 재생하는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은 서로 다른 방식의 디지털 방송 중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과정 및 상기 방송신호 재생 중,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일부 용어에 대하여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 : 위성 디지털방송
2.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 지상파 디지털방송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저장부(11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스크린(110)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는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프로그램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는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를 저장한다.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는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튜너와 제1 튜너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처리 가능한 기저대역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1 기저대역처리모듈을 포한한다. 그리고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는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튜너와 제2 튜너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처리 가능한 기저대역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2 기저대역처리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는 수신된 방송신호를 오디오 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부(120)로 출력하고, 영상신호는 영상처리 부(13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부(150)에 표시 가능한 형태(예컨대, MPEG 규격신호)로 디코딩한다
제어부(140)는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로부터 수신된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따른 방송신호와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따른 방송신호의 재생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디지털방송들 중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중,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한다.
표시부(150)는 디지털방송 수신장치(100)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입력부(170)로부터 입력된 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거나, 디지털방송 수신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아이콘 등으로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17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서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다양한 유형의 입력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특히, 입력부(170)는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의해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 또는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을 선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수신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및 전술한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서로 다른 방식의 디지털 방송 종류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S210). 제어부(140)는 표시된 서로 다른 방식의 디지털방송 종류 중 특정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선택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S220). 특정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를 통해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영상처리부(130)와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여 방송신호를 재생한다(S230). 방송신호 재생 중, 제어부(140)는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를 통해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S240).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 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 재생 중, 제어부(140)는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 종료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250). 디지털방송 종료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40)는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를 제어하여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방송신호의 수신을 종료한다(S260). 그리고 제어부(140)는 전술한 S220과정에서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선택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270). 전술한 S220과정에서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선택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40)는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를 제어하여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S280). 이와 같이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 재생 중,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 선택 시,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 없이 바로 방송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전술한 도1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표시부(150), 오디오처리부(160)를 제어하여 재생한다(S310).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 재생 중, 제어부(140)는 저장부(110)를 검색하여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20).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를 제어하여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S330). 이어서, 제어부(140)는 제1 방식의 디지??방송의 종료신호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340). 종료신호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40)는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방송신호의 재생을 종료한다(S350).
그 후, 제어부(140)는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방송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선택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360).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 선택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40)는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이와 같이, 제1 디지털방송 재생 중에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면,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 선택 시,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없이 바로 재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및 전술한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표시부(150), 오디오처리부(160)를 제어하여 재생한다(S410).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 재생 중, 제어부(140)는 저장부(110)를 검색하여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420).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디지털방송 수신부(120)를 제어하여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S430). 여기서, 프로그램정보는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140)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프로그램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프로그램정보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한편, 프로그램정보가 존재하면, 제어부(140)는 저장된 프로그램정보가 유효한 프로그램정보인지 판단한다(S440). 프로그램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한편, 프로그램정보가 유효하면, 제어부140)는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종료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단한다(S45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프로그램정보와 저장된 프로그램정보의 생성일일 비교하여 결과를 출력한다. 비교결과, 프로그램정보들의 생성일이 동일하면, 제어부(140)는 저장된 프로그램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한편, 프로그램정보들의 생성일이 상이하면, 제어부(140)는 저장된 프로그램정보가 유효하지 않 다고 판단하고, 저장된 프로그램정보를 수신된 프로그램정보로 갱신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전술한 S450과정에서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 종료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40)는 재생중인 디지털방송을 종료한다(S460). 이 후, 제어부(140)는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 선택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470).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 선택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40)는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표시부(150) 및 오디오 처리부(160)를 제어하여 재생한다(S480). 이와 같이, 제2 방식의 디지털 방송의 방송신호 재생 중,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면,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 선택 시,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없이 바로 재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 재생 중,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 선택 시, 프로그램정보를 별로로 수신할 필요 없이 수신된 방송신호를 바로 재생할 수 있다.

Claims (11)

  1.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과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을 재생하는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식의 디지털 방송 중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과정,
    상기 방송신호 재생 중,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방식의 디지털방송 종료 후, 상기 선택되지 않은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2. 삭제
  3.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과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을 재생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식의 디지털방송 중 선택된 제1 방식의 디지털 방송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과정;
    상기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방송신호 재생 중, 상기 제2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방식의 디지털 방송 종료 후, 상기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프로그램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6.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과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을 재생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방식의 디지털방송 중 선택된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과정;
    상기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방송신호 재생 중, 상기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방식의 디지털방송 종료 후, 상기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그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정보 수신 방법.
  7. 삭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정보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정보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가 유효한 프로그램정보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한 프로그램정보인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방식의 디지털방송의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정보와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정보의 생성일을 비교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프로그램정보들의 생성일이 동일하면 저장된 프로그램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프로그램정보들의 생성일이 상이하면 저장된 프로그램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유효한 프로그램정보인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정보를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KR1020070047414A 2007-05-16 2007-05-16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KR100834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414A KR100834063B1 (ko) 2007-05-16 2007-05-16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414A KR100834063B1 (ko) 2007-05-16 2007-05-16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063B1 true KR100834063B1 (ko) 2008-06-02

Family

ID=3976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414A KR100834063B1 (ko) 2007-05-16 2007-05-16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0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298A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케이블 티브이의 채널 정보 설정 방법
KR19990042295A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복합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9990052319A (ko) * 1997-12-22 1999-07-05 전주범 복합 방송 수신기의 정보 갱신 방법
KR20040049997A (ko) * 2002-12-06 2004-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이드 정보 수신 및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298A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케이블 티브이의 채널 정보 설정 방법
KR19990042295A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복합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9990052319A (ko) * 1997-12-22 1999-07-05 전주범 복합 방송 수신기의 정보 갱신 방법
KR20040049997A (ko) * 2002-12-06 2004-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이드 정보 수신 및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11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및 방법
KR10075467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81834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디지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9976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부가정보 저장 및이용방법
KR10073532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US200702772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in electronic device
CN101658029A (zh) 用于从手持设备向计算机系统传送多媒体信号以进行显示的方法和装置
EP173475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KR10075458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중 방송 다시보기를 위한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 및 방법
US776857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S7801631B2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for preset recording and method thereof
KR1008462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정보 공유 방법
KR100834063B1 (ko)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CN102215360A (zh) 移动通信终端中基于声音采样调谐节目频道的方法和装置
KR100644401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방송 채널 번호 직접 입력을 통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52859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JP2011151443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0836611B1 (ko) 방송 프로그램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31459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KR10067805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퀵 뷰어 실행방법
KR100351798B1 (ko) 디지탈위성방송수신장치및방법
JP6980177B2 (ja) オーディオ装置
KR100737096B1 (ko) Dmb 수신기에서 채널 탐색 방법
KR10070385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0892465B1 (ko) 방송 신호의 재생/녹화 장치 및 방법,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