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270B1 - Method and Apparatus for movable auto photographing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ovable auto photograp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270B1
KR100833270B1 KR1020070011436A KR20070011436A KR100833270B1 KR 100833270 B1 KR100833270 B1 KR 100833270B1 KR 1020070011436 A KR1020070011436 A KR 1020070011436A KR 20070011436 A KR20070011436 A KR 20070011436A KR 100833270 B1 KR100833270 B1 KR 100833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image
recognized
camera
removabl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30908A (en
Inventor
안현상
김도형
이재연
김계경
이인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30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9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2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4Vie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with position, velocity or acceleration sens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이미지를 인식하고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인식된 외부의 이미지에 상응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호출자 인식부,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손 흔들림에 상응하여 카메라의 초점 및 노출을 조정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사진 보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unit for recognizing and photographing an external image, a call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all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external image, a moving unit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recognized caller, and shaking of the recognized call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automatic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a camera controller for adjusting a focus and exposure of a camera and a photo corrector for correcting the photographed image.

자동 사진 촬영, 로봇, Robot Auto Photo Shooting, Robot, Robot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vable auto photographing } METHOD AND APPARATUS FOR MOVABLE AUTO PHOTO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movable automatic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vable automatic photograph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Figure 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taking a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자를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4 illustrates a method for recognizing a caller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왼 손 흔들림 인식 방법을 설명한 도면.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ft hand shake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인물 중에서 호출자를 판단하는 예시도. 6 is an exemplary view of determining a caller among a plurality of perso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7 is a view showing an i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작업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correctio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1 : 카메라 제어부 203 : 카메라부 201: camera control unit 203: camera unit

205 : 호출자 인식부 207 : 입력부 205 caller recognition unit 207 input unit

209 : 송수신부 211 : 메모리 209: transceiver 211: memory

210 : 이미지 보정부 215 : 사진 출력부 210: image correction unit 215: photo output unit

217 : 이동부 219 : 제어부 217: moving unit 219: control unit

221 : 디스플레이 221: display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automatic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로봇 기술이 발전하면서 로봇의 활용 방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동이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즉, 로봇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 또한 로봇 기술의 한 분야로서 종래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로봇 사진사 기술 및 연구는 사용자의 요청에 관계없이 촬영을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리모컨이나 이동 단말기와 같은 외부 기기를 통하여 로봇을 제어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 다. With the development of robot technology,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o use robots. How to take automatic photos with you. That is, a method of photographing by a robot has also been studied in the past as a field of robot technology. However, the conventional robot photographer technology and research proceeded in the direction of shooting regardless of the user's request or the user to control the robot throug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or a mobile terminal.

따라서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적당한 때에 자동으로 사진을 찍거나,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사진을 찍어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자신이 원하는 구도로 사진을 찍지 못하거나, 그러한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Therefore, regardless of the user's will to take a picture automatically at the appropriate time, or take the picture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he user does not take a picture in the composition of his or her desired position in the desired location, or manually to obtain such a picture manually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operate.

또한 사진을 찍고 난 경우에도 그 사진의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즉시 수정할 방법이 없어서 문제가 되었다. In addition, even after taking a picture, even if you do not like the result of the picture, there was no way to modify it immediately, which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automatic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자동으로 사진을 찍는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photo ta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king a photo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tention in the desired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 결과가 사용자의 의도에 맞지 않는 경우 즉석해서 사진의 변경이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hotographing that is capable of changing a photograph on the fly when a photographing result does not correspond to a user's intention.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이미지를 인식하고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인식된 외부의 이미지에 상응하여 호출 자를 인식하는 호출자 인식부,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손 흔들림에 상응하여 카메라의 초점 및 노출을 조정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사진 보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for recognizing and photographing the external image, the call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all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external image, the direction of the recognized caller The mobile unit may move to a camera, a camera controller for adjusting focus and exposure of the camera in response to the recognized caller's hand shake, and a photo corrector for correcting the photographed imag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호출자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자 인식부는 상기 인식된 이미지 내부에서 호출자의 손 흔들림을 감지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의 촬영은 상기 호출자의 오른손의 흔들림 및 왼손의 흔들림에 따라 초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초점은 인식된 얼굴을 기준으로 No Middle Rule, Rule of Third 및 Simple Background Rule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의 보정은 인식된 피사체 및 주위 배경의 명암비를 비교하여 피사체를 미리 설정된 명도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mera un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caller. The caller recognition unit may detect a caller by detecting a hand shake of the caller in the recognized image.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of the image may be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focus according to the shake of the right hand and the shake of the left hand of the caller. In addition, the focus of the camera may be characterized by applying a No Middle Rule, a Rule of Third, and a Simple Background Rule based on the recognized face. In addition, the correction of the picture may be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subject to a brightness higher than a preset brightness by comparing the contrast ratio of the recognized subject and the surrounding background.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을 참조하면, 외부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외부의 이미지에 상응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손 흔들림에 상응하여 이미지의 초점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초점 조정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ing an external image, recognizing a call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external image.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recognized caller, adjusting the focus of the image in response to the recognized caller's shaking, photographing the focused image and correcting the photographed im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automatic photographing metho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인식은 상기 호출자와의 거리 계 산이 가능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자의 인식은 상기 인식된 이미지 내부에서 호출자의 손 흔들림을 감지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의 촬영은 상기 호출자의 오른손의 흔들림 및 왼손의 흔들림에 따라 초점 조절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초점은 인식된 얼굴을 기준으로 No Middle Rule, Rule of Third 및 Simple Background Rule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의 보정은 인식된 피사체 및 주위 배경의 명암비를 비교하여 피사체를 미리 설정된 명도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cognition of the imag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gnition of the image that can be calculated distance with the caller.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the caller may be characterized by recognizing the caller by detecting the hand shake of the caller inside the recognized image.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of the image may be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focusing control according to the shaking of the right hand and the shaking of the left hand of the caller. In addition, the focus of the camera may be characterized by applying a No Middle Rule, a Rule of Third, and a Simple Background Rule based on the recognized face. In addition, the correction of the picture may be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subject to a brightness higher than a preset brightness by comparing the contrast ratio of the recognized subject and the surrounding background.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Nex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movable automatic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체적으로 인간형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 사진 촬영 장치로서, 일반적인 사진사를 대신하여 자동으로 사진을 찍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간에게 혐오감을 주지 않고, 사진을 찍는데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인간형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ith reference to FIG. 1,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take the form of a humanoid as a whol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picture taking device, it can play a role of automatically taking a picture on behalf of a general photograph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takes a humanoid shape in order not to give a disgust to humans and to avoid a feeling of rejection in taking a picture.

이러한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는 카메라(101), 안내 스피커(103), 터치스크린(105) 및 이동 장치(107)를 포함한다. Such a movable automatic picture taking device includes a camera 101, a guide speaker 103, a touch screen 105, and a mobile device 107.

카메라(101)는 본 발명에서 피사체를 인식하고 촬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카메라(101)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피사체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간과 유사한 형상을 취하기 위해서 2대의 카메라(101)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The camera 101 is responsible for recognizing and photographing a su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101 should be composed of two or more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cameras 101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take a shape similar to a human.

또한 카메라(101)는 광학 줌 기능, 초점 조절 기능, 노출 조절 기능, 화이트 밸런스 조절 기능 등 피사체를 찍어내기 위한 카메라로서의 일련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camera 101 should be equipped with a series of functions a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subject, such as an optical zoom function, a focus control function, an exposure control function, and a white balance adjustment function.

안내 스피커(103)는 사진을 찍을 사람에게 사진에 관한 안내 멘트를 방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안내 스피커(103)는 사진을 찍을 각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조작이나 위치 선정을 지정하고, 자동 촬영을 할 것인지 수동 촬영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The guide speaker 103 plays a role of broadcasting a guide comment about the picture to the person who takes the picture. The guide speaker 103 designates a user's operation or location selection at each step of taking a picture, and determines whether to take an automatic picture or a manual picture.

터치스크린(105)은 카메라(101)의 화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표시되는 화상을 보고 카메라(101)의 초점이나 노출 등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ouch screen 105 not only serves to display an image of the camera 101, but also allows a user to manually view the displayed image and adjust the focus or exposure of the camera 101.

이러한 터치스크린(105)은 사용자가 화상을 확인하기에 편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표시되는 화상을 통하여 사용자가 촬영될 화면을 확인하고, 그 화명을 조정하며,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touch screen 105 takes a convenient form for a user to check an image, and plays a role of allowing a user to check a screen to be photographed, adjust its name, and adjust the image through the displayed image.

이동 장치(107)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를 이동 시키는 장치이다. 이는 구동 기기와 모터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요청하는 것으로 인식된 사용자에게 사진 촬영에 적합한 거리로 이동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이동 장치(107)에 의해서 사용자는 사진 촬영을 위해서 기기에 다가갈 필요 없이 특정한 동작이나 몸짓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를 부를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The moving device 107 is a device for moving the movable automatic picture t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takes a role of moving to a distance suitable for taking a picture to a user who is recognized to request picture taking using a driving device and a motor. By the mobile device 107, the user can call the movable automatic picture t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specific operation or gesture without having to approach the device for taking a picture, and the user can take a picture at a desired position. Do.

이러한 이동 장치(107)의 이동은 카메라(101)에서 인식된 외부 이미지를 이용하여 기존에 알려진 길 찾기 기능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movement of the mobile device 107 may be implemented using a previously known path finding function using an external image recognized by the camera 101.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vable automatic photograph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는 카메라 제어부(201), 카메라부(203), 호출자 인식부(205), 입력부(207), 송수신부(209), 메모리(211), 이미지 보정부(210), 사진 출력부(215), 이동부(217) 제어부(219) 및 디스플레이(221)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movable automatic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control unit 201, a camera unit 203, a caller recognition unit 205, an input unit 207, a transceiver 209, and a memory 211. , An image corrector 210, a photo output unit 215, a moving unit 217, a control unit 219, and a display 221.

카메라 제어부(201)는 카메라부(203)에서 인식하는 피사체의 초점 및 노출을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카메라 제어부(201)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자동 노출 및 초점 조절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입력부(207)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초점 및 노출을 변경할 수 있다. The camera control unit 201 adjusts the focus and exposure of the subject recognized by the camera unit 203. The camera controller 201 may use an automatic exposure and focus adjustment function applied to a digital camera, and change the focus and exposure according to a user's input input from the input unit 207.

카메라부(203)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피사체를 인식하고,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호출하는 호출자를 인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카메라부(203)는 2대 이상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203)는 호출자의 위치 및 거리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amera unit 203 is equipped with a camera to recognize a subject and to take a role of recognizing a caller who calls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ake a picture. The camera unit 203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cameras. In addition, the camera unit 203 can calculate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caller.

호출자 인식부(205)는 카메라부(203)에서 인식한 피사체를 호출자로 판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호출자 인식부(205)는 카메라에서 인식된 피사체가 특정한 동작을 하는지를 판단하여 그러한 동작을 하는 경우에는 그 피사체를 호출자로 인식하도록 한다. 자세한 호출자 인식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The caller recognition unit 205 is responsible for determining the subject recognized by the camera unit 203 as the caller. The caller recognition unit 205 determines whether the subject recognized by the camera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and recognizes the subject as the caller when performing the operation. A detailed caller recogni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입력부(207)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할 경우에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사진 촬영 구도나, 초점, 노출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조절하는 입력 장치이다. 또한 이러한 입력부(207)는 카메라의 조절뿐만 아니라, 출력 사진의 저장 방법, 배경 변환 등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장치이다. The input unit 207 is an input device that adjusts the camera so that when the user takes a picture, the user can adjust the picture composition, focus, exposure, etc.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In addition, such an input unit 207 is an input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operat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not only the adjustment of the camera, but also a method of storing an output picture and a background conversion.

입력부(207)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221)와 결합하여 입력 및 출력이 같은 화면에서 구성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207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input unit 207 may be combined with the display 221 to be configured on the same screen.

송수신부(209)는 무선 및 유선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제어해야하는 경우 입력부(209)에서 제어할 수도 있으나, 입력부(209)는 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메뉴의 입력을 받을 수 있을 뿐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송수신부(209)를 통하여 유선이나 무선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The transceiver 209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ly and wired, and serves to output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the outside. I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eeds to be controlled, the input unit 209 may be controlled. However, since the input unit 209 can only receive input of a menu selectable by the user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rolled. The managing manager may manage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209.

메모리(211)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 제어 프로그래미나 촬영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메모리(211)는 하드 디스크나, RAM 및 ROM 등 디지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The memory 211 stores an overall operation control program or a photographing program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s to temporarily stor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he memory 211 may be a hard disk or a storage medium capable of storing digital information such as RAM and ROM.

이미지 보정부(210)는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image corrector 210 serves to correct the photographed image.

일반적으로 사진을 찍은 경우에는 원하는 명도나 채도가 나오지 아니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원하는 사진을 얻을 수 없다. 특히 배경이 너무 밝거나 피사체가 너무 어두운 경우 이러한 결과가 자주 발생하는데, 이미지 보정부(210)는 촬영된 이미지가 적당하지 않은 경우를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보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다. In general, when the picture is taken, the desired brightness or saturation may not come out, and in this case, the desired picture cannot be obtained. In particular, when the background is too bright or the subject is too dark, such a result often occurs. The image correction unit 210 may automatically correct the image by determining that the captured image is not suitable. This image corre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사진 출력부(215)는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현장에서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이메일로 전송하거나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으나, 특히 촬영된 이미지를 바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된 이미지를 그 자리에서 출력하는 사진 출력부(215)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The photo output unit 215 is responsible for outputting the captured imag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an image in the field and send the photographed image by e-mail or store it on a disk, but it can be particularly aimed to provide a photographed image directly output. Therefore, the photo output unit 215 for outputt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spot will be required.

이동부(217)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동부(217)는 본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부는 모터나 구동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확립된 길 찾기 알고리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가갈 수 있으며, 촬영을 위한 구도나 거리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이동할 수도 있다. The moving unit 217 is responsible for moving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unit 217 allows the user to take a picture at a desired location. Such a moving unit may use a motor or a driving device, may approach a user by using an established path finding algorithm, or may move to optimize a composition or distance for photographing.

제어부(2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동부에서 사용자를 찾아서 이동하는 방법의 계산, 카메라의 최적 구도의 계산, 입력 장치의 명령의 전달 및 출력화면의 디스플 레이 재생 명령 등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동작하는데 적절한 제어 명령을 내리고 장치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19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vable automatic picture ta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perat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calculating a method of finding and moving a user in the moving unit, calculating an optimal composition of a camera, transmitting an instruction of an input device, and displaying a display on an output screen, You can control the whole movement.

디스플레이(221)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카메라에서 촬영하는 화상을 그대로 나타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본 디스플레이(221)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21)와 입력부(207)가 통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The display 221 serves to display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as it is 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when the display 221 is used as a touch screen method, the display 221 and the input unit 207 may be integrated and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taking a pi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카메라에 촬영할 이미지가 입력된다(단계 301). 그러면 입력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호출자를 인식한다(단계 305). 이러한 호출자를 인식하는 방법은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 first, an image to be photographed is input to a camera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301). The input image is then analyzed to recognize the caller (step 305). The method of recognizing such caller is described in detail in FIG. 4.

그 후,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동하여 호출자의 사진을 찍기에 적합한 장소로 위치한다.(단계 306). 그 후 호출자가 손을 흔드는지를 판단하고(단계 307), 왼손을 흔든다면(단계 309), 화면에 잡히는 인물이 1명인지 아니면 여러 명인지를 판단하여(단계 311), 1명인 경우에는 중심 금지 규칙(No Middle Rule) 및 1/3 규칙(Rule of Third)을 이용하여 사진 구도를 설정하고, 1명이 아니라면 1/3 규칙(Rule of Third)을 이용하여 사진 구도를 설정한다.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hen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ognized caller and placed in a suitable place to take a picture of the caller (step 306). It then determines if the caller is waving (step 307), and if it is shaking the left hand (step 309),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one or more people caught on the screen (step 311). Photo composition is set using the No Middle Rule) and the Rule of Third, and the composition of the photo is set using the Rule of Third if not one.

한편 호출자가 오른손을 흔든다면(단계 319), 단순 배경 규칙(Simple Background Rule) 및 1/3 규칙(Rule of Third)을 이용하여 사진 구도를 설정한다(단계 317). On the other hand, if the caller shakes his right hand (step 319), the picture composition is set using a simple background rule and a rule of third (step 317).

각 방식에 의해서 사진 구도가 설정이 되면 그 구도에 알맞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동시키고, 카메라의 노출 및 초점을 보정한다(단계 321). 이러한 보정이 완료되면 사진을 촬영한다(단계 323). When the picture composition is set by each method,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and the exposure and focus of the camera are corrected (step 321). When this correction is completed, a picture is taken (step 323).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자를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 ca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카메라에 촬영할 이미지가 입력된다(단계 401). 그러면 입력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얼굴을 인식하게 된다(단계 403). 그 후 얼굴의 위치를 추적하고(단계 405), 추적된 위치에 상응하여 손이 흔들릴 위치를 계산하여 손 흔들림 인식 영역을 설정한다(단계 407). 이후 인식된 이미지를 계속 갱신하여(단계 409), 지정된 위치에서 손 흔들림이 일어났는지를 판단한다(단계 411). 손 흔들림이 일어나지 않으면 계속 이미지를 갱신하면서 화면을 분석하고, 손 흔들림이 일어나면 손 흔들림이 일어난 위치에 상응하는 얼굴을 호출자로 인식하여(단계 413), 호출자의 위치로 이동한다(단계 415). 4, first, an image to be photographed is input to a camera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401). The face is then recognized by analyzing the input image (step 403). Then, the position of the face is tracked (step 405), and the hand shake recognition area is set by calculat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hand shakes corresponding to the tracked position (step 407). Thereafter, the recognized image is continuously updated (step 409),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and shake has occurred at the designated position (step 411). If the hand shake does not occur, the screen is analyzed while updating the image continuously. If the hand shake occurs, the fa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and shake occurs is recognized as the caller (step 413), and the caller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caller (step 415).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왼 손 흔들림 인식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ft hand shake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화면을 일정 공간으로 분할하여 나눈다. 본 도에서는 화면의 가로축의 경우에는 8 칸으로 나눠져 있고, 세로축의 경우에는 6칸으로 나눠져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얼굴 인식 영역(510)은 f1(511) 지점에서 f2(513) 지점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5, first, a screen is divided into predetermined spaces. In this figure, it is assumed that the horizontal axis of the screen is divided into 8 spaces and the vertical axis is divided into 6 spaces. In this case, the face recognition area 510 may be displayed from the point f1 511 to the point f2 513.

이러한 경우 손 흔들림 위치를 판단하는 영역(520)은 h1(521) 및 h2(523)로 결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gions 520 for determining the hand shake position may be determined by h1 521 and h2 523.

이러한 경우 f1 위치의 좌표가 (x1,y1) 이고 f2 의 좌표가 (x2,y2)라 하면 In this case, if the coordinate of f1 position is (x1, y1) and the coordinate of f2 is (x2, y2)

h1의 좌표는 (x1-(x2-x1), y1+(y2-y1)/2) 로 하며, The coordinate of h1 is (x1- (x2-x1), y1 + (y2-y1) / 2)

h2의 좌표는 (x1, y1+(y2-y1)*2) 로 지정한다. The coordinate of h2 is designated as (x1, y1 + (y2-y1) * 2).

이러한 지정은 일반적인 손 흔들림 위치를 얼굴의 위치와 관련하여 설정한 것이다. 즉 얼굴의 가로 길이 정도의 위치를 왼쪽으로 옮기고 얼굴의 세로 길이의 1.5배 정도의 높이를 얼굴의 중간 높이 정도부터 설정한 것이다. This designation sets the general hand shake position in relation to the face position.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width of the face is moved to the left and the height of 1.5 times the length of the face is set from the height of the middle of the face.

이렇게 설정하면 일반적으로 손을 흔들 때 손의 흔들림을 측정할 수 있다. This setting can generally be used to measure hand shake when shaking.

오른손의 흔들림의 지정은 얼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계산하면 된다. The right hand shake can be calculat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fac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인물 중에서 호출자를 판단하는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view of determining a caller among a plurality of perso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인식된 화면에 두 인물이 있는 경우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얼굴 인식을 통하여 두 인물의 얼굴을 인식한다(601, 611). 이렇게 얼굴이 인식되었다면, 도 5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얼굴을 기준으로 하여 손 흔들림을 인식하는 위치를 지정한다(603, 613). 그 후 화면을 갱신하면서 두 인물을 관찰하면, 가운데 위치한 인물은 왼 손을 흔들고, 오른쪽에 위치한 인물은 손을 흔들지 않는다. 그러한 경우 참조 번호 603 구역에서는 손 흔들림이 감지될 것이나, 참조 번호 613 구역에서는 손 흔들림이 감지되지 않을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참조 번호 601의 얼굴을 호출자로 판단하고 그쪽으로 이동한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re are two persons on the recognized screen, the apparatus first recognizes faces of two persons through face recognition (601, 611). If the face is recognized as described above, a position for recognizing hand shake is designated based on the face in the mann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603 and 613). Then, while updating the screen and observing two people, the person in the middle shakes his left hand and the person on the right does not shake his hand. In such a case a hand shake will be detected in area 603, but a hand shake will not be detected in area 613,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termines the face of reference number 601 as the caller and moves there.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n i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이미지를 촬영하면(단계 701), 촬영된 이미지의 피사체와 배경의 명암비를 측정한다(단계 703). 그 후, 피사체의 명암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낮은지를 판단하여(단계 705), 낮은 경우에는 피사체 부분의 명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향상시킨다(단계 707). 이러한 명도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배경에 비해 너무 어둡거나 피사체의 색감이 제대로 살아나지 않을 정도로 그림자가 크게 진 정도이다. Referring to FIG. 7, when an image is first captured (step 701), the contrast ratio between the subject and the background of the captured image is measured (step 703). Then, it is judged whether the contrast of the subject is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step 705), and if it is low,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portion is improved to be above the preset reference (step 707). The standard of brightness is generally too dark for the background or the shadow is so large that the color of the subject does not come out properly.

다만 이러한 경우에 이미지 전체의 명도를 올리면 배경의 명암이 너무 밝아질 수 있으므로, 배경의 명암은 그대로 두고 피사체의 명암만 변경시킨다. In this case, however,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entire image may cause the background contrast to be too bright. Therefore, only the contrast of the subject is changed while leaving the background contrast unchanged.

그 후 변경된 이미지를 확정한다(단계 709). 물론 피사체의 명도가 낮지 않다면 이러한 명도 보정 작업은 필요가 없을 것이다. The modified image is then confirmed (step 709). Of course, if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is not low, such brightness correction will not be necessary.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작업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corr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참조 번호 810의 화면은 이미지를 보정하기 전의 화면이다. 참조 번호 810의 사진에서 피사체 부분(811)은 너무 어두워서 좋은 사진이 라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피사체의 명도를 보정하면 참조 번호 820과 같은 화면이 생성된다. 참조 번호 820의 화면을 살펴보면 피사체 부분(821)의 명도가 이전 피사체 부분(811)에 비해서 매우 밝아졌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first, a screen 810 is a screen before correcting an image. In the picture 810, the subject portion 811 is too dark to be regarded as a good picture. Accordingly, when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is correct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820 is generated. Looking at the screen 820, it can be seen that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portion 821 is much brighter than the previous subject portion 811.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vable automatic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자동으로 사진을 찍는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atic photo ta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king a photo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e user at a desired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촬영 결과가 사용자의 의도에 맞지 않는 경우 즉석해서 사진의 변경이 가능한 자동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atic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the photograph on the fly when the photographing result does not meet the intention of the user.

Claims (12)

외부의 이미지를 인식하고 촬영하는 카메라부(203) Camera unit 203 for recognizing and photographing an external image 상기 인식된 외부의 이미지에 상응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호출자 인식부(205) Caller recognition unit 205 for recognizing the call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external image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217) A moving unit 217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recognized caller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손 흔들림에 상응하여 카메라의 초점 및 노출을 조정하는 카메라 제어부(201) 및 A camera controller 201 that adjusts the focus and exposure of the camera in response to the recognized caller's hand shake;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사진 보정부(213) Photo correction unit 213 for correcting the photographed image 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Removable automatic photo shoot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호출자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것 The camera unit can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caller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Removable automatic picture ta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호출자 인식부는 상기 인식된 이미지 내부에서 호출자의 손 흔들림을 The caller recognition unit shakes the caller's hand in the recognized image. 을 감지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것 To recognize the caller by detecting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Removable automatic picture ta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의 촬영은 상기 호출자의 오른손의 흔들림 및 왼손의 흔들림에 따라 초점을 조절하는 것 Shooting the image is to adjust the focus according to the shake of the right hand and the shake of the left hand of the caller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Removable automatic picture ta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메라의 초점은 인식된 얼굴을 기준으로No Middle Rule, Rule of Third 및 Simple Background Rule을 적용하는 것 The focus of the camera is to apply a No Middle Rule, a Rule of Third, and a Simple Background Rule based on the recognized face.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Removable automatic picture ta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진의 보정은 인식된 피사체 및 주위 배경의 명암비를 비교하여 피사체를 미리 설정된 명도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것 The correction of the picture is to compare the contrast ratio of the recognized subject and the surrounding background to enhance the subject above the preset brightness.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장치. Removable automatic picture ta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외부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Steps to Recognize External Images 상기 인식된 외부의 이미지에 상응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단계 Recognizing the call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external image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recognized caller 상기 인식된 호출자의 손 흔들림에 상응하여 이미지의 초점을 조정하는 단계 Adjusting an image focus according to the recognized caller's hand shake 상기 초점 조정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Taking the focused image and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Correcting the photographed image 를 포함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Removable automatic photo shooting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미지의 인식은 상기 호출자와의 거리 계산이 가능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 Recognition of the image is to recognize the image capable of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caller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Removable automatic photo shoo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호출자의 인식은 상기 인식된 이미지 내부에서 호출자의 손 흔들림을 Recognition of the caller is caused to shake the caller's hand within the recognized image. 을 감지하여 호출자를 인식하는 것 To recognize the caller by detecting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Removable automatic photo shoo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미지의 촬영은 상기 호출자의 오른손의 흔들림 및 왼손의 흔들림에 따라 초점 조절을 변화시키는 것 Shooting of the image is to change the focus control according to the shake of the right hand and the shake of the left hand of the caller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Removable automatic photo shoo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카메라의 초점은 인식된 얼굴을 기준으로No Middle Rule, Rule of Third 및 Simple Background Rule을 적용하는 것 The focus of the camera is to apply a No Middle Rule, a Rule of Third, and a Simple Background Rule based on the recognized face.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Removable automatic photo shoo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사진의 보정은 인식된 피사체 및 주위 배경의 명암비를 비교하여 피사체를 미리 설정된 명도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것 The correction of the picture is to compare the contrast ratio of the recognized subject and the surrounding background to enhance the subject above the preset brightness.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동 사진 촬영 방법. Removable automatic photo shoo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70011436A 2006-10-02 2007-02-05 Method and Apparatus for movable auto photographing KR1008332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948 2006-10-02
KR20060096948 2006-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908A KR20080030908A (en) 2008-04-07
KR100833270B1 true KR100833270B1 (en) 2008-05-29

Family

ID=3953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436A KR100833270B1 (en) 2006-10-02 2007-02-05 Method and Apparatus for movable auto photograp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2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648B1 (en) * 2009-08-10 2011-12-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uto Photograph Robot for Taking a Composed Picture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23B1 (en) * 2010-10-20 2012-01-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Camera robot for taking moving picture and method for taking moving picture using camera robot
KR102028757B1 (en) * 2012-12-18 2019-10-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 in vehicle using head up display and apparatus thereof
KR20190141303A (en) 2018-06-14 2019-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moving robot
CN115134506A (en) * 2021-03-26 2022-09-30 阿里巴巴新加坡控股有限公司 Camera shooting picture adjusting method, video pictur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066A (en) * 1999-03-23 2000-10-16 구자홍 Automatic focus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iris recognition system
JP2003333438A (en) 2002-05-14 2003-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motion correcting device
KR20040027764A (en) * 2004-03-03 2004-04-01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A method for manipulating a terminal using user's glint, and an apparatus
KR20040054600A (en) * 2001-11-07 2004-06-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Robot system and robot apparatus control method
KR20040060374A (en) *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ing focus of camera using voice recognition
JP2004298988A (en) 2003-03-31 2004-10-28 Honda Motor Co Ltd Picture image transmission device of mobile robot
KR20050019794A (en) * 2002-06-26 2005-03-03 브이케이비 인코포레이티드 Multifunctional integrated image sensor and application to virtual interface technology
KR20060070280A (en) * 2004-12-20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its method of user interface using hand gesture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066A (en) * 1999-03-23 2000-10-16 구자홍 Automatic focus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iris recognition system
KR20040054600A (en) * 2001-11-07 2004-06-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Robot system and robot apparatus control method
JP2003333438A (en) 2002-05-14 2003-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motion correcting device
KR20050019794A (en) * 2002-06-26 2005-03-03 브이케이비 인코포레이티드 Multifunctional integrated image sensor and application to virtual interface technology
KR20040060374A (en) *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ing focus of camera using voice recognition
JP2004298988A (en) 2003-03-31 2004-10-28 Honda Motor Co Ltd Picture image transmission device of mobile robot
KR20040027764A (en) * 2004-03-03 2004-04-01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A method for manipulating a terminal using user's glint, and an apparatus
KR20060070280A (en) * 2004-12-20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its method of user interface using hand gesture recogn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648B1 (en) * 2009-08-10 2011-12-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uto Photograph Robot for Taking a Composed Pictur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908A (en) 200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441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538865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11717B1 (en) Zoo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7259785B2 (en) Digital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ye-tracking control
KR101817657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10324B2 (en) Image processing
EP1628465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916513B2 (en) Imaging device
JP2004040712A (en) Imaging apparatus
US10447919B2 (en) Imaging device, external device, imaging system, imaging method, opera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3945494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60044222A1 (en) Detecting apparatus, detec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detecting state in predetermined area within images
KR1008332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able auto photographing
JP201510385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09261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d taking digital contents
JP2010268019A (en) Photographing apparatus
KR102497526B1 (en) Detecting apparatus, detec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recording medium
JP5448868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JP4475118B2 (en) Camera device, white balance bracketing shooting method
JP2018195938A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JP637014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988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ic composition recognition and optimal composition guide of a digital image capture device
JP2021131441A (en) Electronic apparatus
JP4771524B2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KR20190142290A (en) Method for control a camera apparatus and the camera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